KR20210006859A -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 Google Patents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859A
KR20210006859A KR1020200083385A KR20200083385A KR20210006859A KR 20210006859 A KR20210006859 A KR 20210006859A KR 1020200083385 A KR1020200083385 A KR 1020200083385A KR 20200083385 A KR20200083385 A KR 20200083385A KR 20210006859 A KR20210006859 A KR 2021000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housing
heat
fixed
rhom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801B1 (ko
Inventor
여상호
Original Assignee
여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상호 filed Critical 여상호
Publication of KR2021000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Abstract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도어부 및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도를 포함하며, 내부에 소정의 크기의 연소실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측면으로 분산시켜 단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상기 하우징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A FIREWOOD BOILER WITH RHOMBUS-SHAPED HEAT SINK TO PREVENT FI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을 하거나 온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물을 데우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특히 겨울철에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장치로서 본체의 구조, 노의 위치, 물의 순환방식,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이중에서 사용되는 연료에 따른 보일러를 살펴보면 석유나 난방유를 연료로 하는 기름 보일러, 가스를 연료로 하는 가스보일러, 목재를 연료로 하는 화목 보일러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전기보일러 등이 가정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 구분되는 여러 종류의 보일러 중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는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으로 인해 도심지에 거주하는 일반 가정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인데 기름보일러의 경우에는 열효율이 좋으면서 안정성이 뛰어난 이점이 있으나 연료비가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가스보일러의 경우에는 도시가스를 사용함에 따라 가스비가 저렴한 이점은 있으나 도심지에서 떨어진 외곽의 경우에는 도심지에 비해 도시가스의 보급율이 저조하여 도시가스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축을 키우는 축산 농가나 각종 야채나 꽃을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하우스 농가의 경우에는 축사와 하우스 내부의 난방이 필수적인데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음에 따라 연료비가 저렴한 가스보일러를 사용치 못하고 연료비가 많이 들어가는 기름보일러나 전기보일러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겨울철 난방에 들어가는 연료비를 감당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근래에는 농촌이나 어촌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폐목 등의 나무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화목보일러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화목보일러는 화목(장작, 잔목, 폐목) 등을 태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열효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지속적으로 땔감을 공급하여야 하며, 연소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그 구조가 간단하고 연료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아직도 농촌이나 산간지역의 가정이나 시설물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상기 화목보일러의 이용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구조개선 및 효율적인 제어방식의 도입을 통해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배출구의 열을 연통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6418호(2014.12.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지며,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방열판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화력을 유지하여 난방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연통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는,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도어부 및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도를 포함하며, 내부에 소정의 크기의 연소실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측면으로 분산시켜 단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상기 하우징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제1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 측면과 용접되어 고정되되,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방열판의 전면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1 방열판의 좌면이 상기 제1 측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 방열판의 우면이 상기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연도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되, 상기 전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높이가 상기 도어부보다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제1 방열판, 제2 방열판 및 제3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 측면 상부의 제1 영역에 용접되어 고정되되,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중앙부의 제2 영역에 용접되어 고정되되,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3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제1 측면 하부의 제1 영역에 용접되어 고정되되,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이 전후좌우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은, 전면이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 각각이 설치된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고, 좌우측면에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 각각이 설치면 측면과 인접한 좌우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3 방열판은 최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되, 상기 전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높이가 상기 도어부보다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 상측의 제1 모서리에서 좌우측의 제2 모서리 및 제3 모서리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는, 후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 측면과 고정된 하나 이상의 방열판과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측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 상기 제1 측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흔들림을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크기 및 형태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소정의 패턴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측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의 이동 방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의 형태의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지며, 마름모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방열판을 구비함으로써, 높은 화력을 유지하여 난방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복수의 방열판에 의해 불꽃의 이동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불꽃이 연통으로 직접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소 상태의 조절을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하여 일 회의 장작 투입으로 일정한 화력을 유지하므로 인하여 난방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소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간단하고 연료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어 농촌이나 산간지역 등의 각종 시설물 등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이 화목 보일러의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열판 상부에 슬라이딩 홈이 구비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방열판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엠보싱 처리되어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가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13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내부에서의 불꽃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16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내부에서의 재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치과 분야에 적용되어, 치아의 정밀 진단 모듈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노라마 영상 기법을 이용할 수 있는 어떠한 분야에서든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1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100)는 하우징(10), 연소실(20) 및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화목 보일러(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 요소가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구비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도어부(11), 연도(12) 및 재 토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도어부(11)는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분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은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부(11)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는 형태로 결합되되, 별도의 결합 모듈(예: 경첩)을 통해 일부 영역만이 고정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부(11)는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어부(11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형태와 동일한 형상(예: 사각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어부(11)의 크기는 다수의 땔감(1)이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땔감(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도(12)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연도(12)는 하우징 내부의 연소실(20)에서 화목과 같은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연소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양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예: 하우징(10)을 관통하는 구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도(1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가 후술되는 연소실(20)과 연결되고, 상부가 외부(실외)로 연결됨으로써, 연소실(20)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도(12)는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상승되는 것을 고려하여, 하우징(10)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도(12)는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연소 가스가 상승되는 것을 고려하여, 하우징(10)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재 토출구(13)는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분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재 토출구(13)의 크기, 형태 및 결합구조는 도어부(11)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재 토출구(13)는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재가 하강하여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20) 하단부에 쌓이는 것을 고려하여, 하우징(10)의 측면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재 토출구(13)는 연소실(20) 내에 구비되는 재받이(미도시)를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재받이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소실(20)은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땔감(1)(예: 도어부(11)를 통해 삽입되는 땔감(1))을 수납할 수 있고,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을 축열하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10에 도시된 연소실(20)은 표면에 굴곡이 없이 매끄러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소실(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닿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내부의 축열 용량을 증가시키고, 연소실(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급속도로 연소실(20) 상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태의 굴곡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0)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보다 많은 열을 축적할 수 있도록 표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연소실(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축열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측(예: 하우징(10)과 결합되지 않는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방열판(30)은 일측이 개방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단면이 가로 방향으로 길쭉한 마름모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가로폭 약 20~30cm, 세로폭 약 1~5cm로 가로가 길쭉한 형태의 마름모 형상을 단면으로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하우징(10)의 하부에서 발생된 열이 마름모 하단의 빗면을 타고 분산되어 상승하도록 함과 동시에,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재가 마름모 상단의 빗면 경사를 타고 하우징(10) 하부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의 제1 측면(예: 하우징(10)의 후면)에 고정되되, 전면이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예: 하우징(10)의 전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10~15cm) 이격되고,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의 좌면 및 우면이 제1 측면과 좌우측에 연결된 제3 측면(예: 하우징(10)의 좌면) 및 제4 측면(예: 하우징(10)의 우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5~10cm) 이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의 제1 측면과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하우징(10)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과 착탈 가능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되되,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지면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전면이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짐으로써, 열에 의해 발생된 재가 기울어진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을 타고 자연스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상단부에 재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하우징(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의 올라가는 속도와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가 낙하하는 정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지면과 평행하도록 고정될 수 있고(예: 도 5),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중 적어도 일부의 방열판(30)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고정되고, 적어도 일부의 방열판(30)은 지면과 평행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목 보일러(100)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슬라이딩 홈(3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32)은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상측의 제1 모서리(33)에서 좌우측의 제2 모서리(34) 및 제3 모서리(35)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하우징(10)의 하부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홈(32)은 열에 의해 발생된 재가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의 빗면을 타고 낙하할 수 있도록, 제1 모서리(33)에서 제2 모서리(34) 및 제1 모서리(33)에서 제3 모서리(35)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2)과 동일한 형태의 슬라이딩 홈(32)을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하부에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우징(10)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슬라이딩 홈(32)을 따라 분산되어 상승하도록 할 수 있고, 열이 닿는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각각의 축열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은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하나 이상의 돌출부(40)을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 하부에서 발생된 열이 연소실(20)의 측면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증가시키고, 열이 닿는 표면적을 증가시켜서 직접적으로 연도(12)로 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 예방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돌출부(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돌출부(40)의 형태, 크기 및 배치는 경우에 따라 불규칙하게 배치됨으로써, 열이 상승하는 경로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화목 보일러(100)는 하우징(10)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과 하나 이상의 방열판(30)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50)는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의 제1 측면(예: 하우징(10)의 후면)과 고정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제1 측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측면(예: 하우징(10)의 좌측면)과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 및 제1 측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측면(예: 하우징(10)의 우측면)과 하나 이상의 방열판(30)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하우징(10)의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예: 도 10(A)).
또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50)는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의 제1 측면(예: 하우징(10)의 후면)과 고정된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예: 하우징(1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영역 상에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하우징(10)의 제2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예: 도 10(B)).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50)는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모두 배치되어 하나 이상의 방열판(30)과 하우징(10) 내부의 제1 측면, 제2 측면 및 제3 측면을 고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50)는 소정의 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0) 내부에 복수의 방열판(30)이 구비되는 경우, 막대 형태의 지지 부재가 하우징(10) 내부로 삽입되어 복수의 방열판(30)과 하우징(10) 내부의 일측면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하우징(10) 내에 하나의 방열판(30)이 설치된 형태와 3개의 방열판이 설치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10) 내부에 하나의 방열판(예: 제1 방열판(31a))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 하나의 방열판(예: 제1 방열판(31a))가 구비되는 경우, 제1 방열판(31a)은 후면이 하우징(10) 내부의 제1 측면(예: 하우징(10)의 뒷면)과 용접되어 고정되되,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또는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고정되며, 제1 방열판(31a)의 전면이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10~15cm) 이격되고, 제1 방열판(31a)의 좌면 및 우면이 제1 측면과 좌우 측에 연결된 제3 측면 및 제4 측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5~10cm)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정의 거리 이격된 공간을 통해, 열(불꽃)이 상승하거나, 열에 의해 발생된 재가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제1 방열판(31a)과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 사이에 다소 넓은 이격 거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방열판이 상기 하우징(10)의 적어도 일부분과 고정되는 경우(지면과 평행하게 고정되거나,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로 고정되는 경우), 하나의 방열판은 하우징(10)의 크기를 기준으로 지면으로부터 약 2/3정도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하우징(10)의 뒷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열판(31a)이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연도(12)가 하우징(10) 상단의 뒤쪽(예: 하나의 방열판이 고정된 측면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되어 열이 연도(12)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열판(31a)이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도어부(11)가 하우징(10)의 전면(예: 제1 방열판(31a)이 결합된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10) 내부에 3개의 방열판(예: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 복수의 방열판(예: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이 구비되는 경우, 제1 방열판(31a)을 하우징(10) 내부의 상단 영역에 고정하고, 제2 방열판(31b)을 하우징(10) 내부의 중단 영역에 고정하여, 제3 방열판(31c)을 하우징(10) 내부의 하단 영역에 고정됨으로써,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이 전후방향의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예: 도 3 내지 도 5)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이 좌우방향의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은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고정되거나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 각각의 기울어짐 정도는 서로 동일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후면이 하우징(10)의 제1 측면과 고정된 제1 방열판(31a) 및 제3 방열판(31c))의 경우, 전면이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10~15cm) 이격되고, 좌면 및 우면이 제1 측면과 좌우 측에 연결된 제3 측면 및 제4 측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5~10cm)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후면이 하우징(10)의 제2 측면과 고정된 제2 방열판(31b)의 경우, 전면이 제1 측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10~15cm) 이격되고, 좌면 및 우면이 제2 측면과 연결된 제3 측면 및 제4 측면과 소정의 거리(예: 약 5~10cm) 이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과 제1 측면, 제2 측면, 제3 측면 및 제4 측면 사이에 다소 넓은 이격 거리가 형성될 수 있고, 배치되는 형태가 상하좌우 모두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예: 도 6).
최하단부에 고정되는 제3 방열판(31c)은 제3 방열판(31c)의 전면과 하우징(10)의 전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3 방열판(31c)의 후면과 하우징(10)의 뒷면이 서로 결합되되, 제3 방열판(31c)의 전면이 연직 하방(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제1 방열판(31a) 및 제2 방열판(31b)은 제3 방열판(31c)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의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열판(31c)이 하우징(10)의 후면에 고정된 경우, 제2 방열판(31b)은 하우징(10)의 전면에 고정되고, 제1 방열판(31a)은 다시 하우징(10)의 후면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열판(31a) 및 제2 방열판(31b)도 제3 방열판(31c)과 동일하게 후면과 하우징(10)의 일측면과 결합되되 전면이 연직 하방(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의 하부에서 발생된 열이 복수의 방열판을 단계적으로 타고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도(12)는 하우징(10) 상단의 뒤쪽(예: 하나의 방열판이 고정된 측면과 인접한 영역)에 설치된 경우, 하우징(10) 내부의 복수의 방열판(제1 방열판(31a), 제2 방열판(31b) 및 제3 방열판(31c))이 배치됨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전면보다 후면에 더 많은 방열판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예: 제2 방열판(31b)을 전면에 배치하고, 제1 방열판(31a) 및 제3 방열판(31c)을 후면에 배치). 이에 따라 열이 연도(12)로 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하우징(10) 내부에 하나의 방열판(31a)이 구비되거나, 3개의 방열판(31a, 31b, 31c)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경우에 따라 2개의 방열판이 구비되거나, 4개 이상의 방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100)에서의 열(불꽃)과 재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100)에서 열(불꽃)은 하우징(10) 내부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는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이 하우징(10) 내부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할 수 있다.
열(불꽃)은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아래쪽의 좌우 빗면(예: 하면의 넓이 방향의 빗면)을 타고 하우징(10)의 좌우측면 벽을 따라 상부 영역으로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불꽃)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하면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열(불꽃)은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길이 방향(예: 하우징(1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의 빗면을 타고 하우징(10)의 전면 및 후면 벽을 따라 상부 영역으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열(불꽃)은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위쪽의 좌우 빗면(예: 윗면 넓이 방향의 빗면)을 타고 하우징(10)의 중앙부 영역을 통해 상부 영역으로 상승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은 상부에 도달하는 열의 세기 및 열의 도달 속도를 고려하여, 하나의 방열판(31a)이 설치되거나 세개의 방열판(31a, 31b, 31c)이 설치될 수 있다.
즉, 화목 보일러(100)는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는 땔감(1)이 연소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이 하우징(10) 내의 하부 영역에 설치된 방열판(31c)부터 상부 영역에 설치된 방열판(31a)을 순차적으로 타고 올라가며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열이 도달하는 속도를 늦출 수 있고, 최종적으로 하우징(10)의 상부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하우징(10) 하부 영역에서 발생된 열(불꽃)의 세기보다 약한 불꽃이 도달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목 보일러(100)에서 열(불꽃)에 의해 발생된 재는 하우징(10) 내부의 상부 영역에서 하부 영역으로 낙하할 수 있다.
열에 의해 발생된 재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위쪽 좌우 빗면(예: 상면의 넓이 방향의 빗면)을 타고 하우징(10) 내부의 좌우측면 벽 방향을 따라 하우징(10)의 하부 영역으로 낙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상면을 타고 낙하할 수 있다.
또한, 재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 상면의 길이 방향(예: 하우징(10)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의 빗면을 타고 하우징(10)의 전면 및 후면 벽을 따라 하부 영역으로 낙하될 수 있다.
이때, 재는 지면 방향으로 기울어져 고정된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의 경사로 인해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 상부에 쌓이지 않고 하우징(10)의 하부 영역으로 낙하될 수 있다.
즉, 재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과 하우징(10)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에 따라 하부 영역으로 낙하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 상면의 빗면 경사에 따라 하부 영역으로 낙하될 수 있다.
따라서, 화목 보일러(100)는 열에 의해서 발생되는 재가 하우징(10) 내의 상부 영역에 설치된 방열판(31a)부터 하부 영역에 설치된 방열판(31c)까지 순차적으로 낙하하도록 하되, 하나 이상의 방열판(31a, 31b, 31c) 각각이 마름모 형태를 가지며, 하우징(1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재가 하우징(10) 하부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화목 보일러
10: 하우징
11: 도어부
12: 연도
13: 재 토출구
20: 연소실
30: 하나 이상의 방열판
40: 하나 이상의 돌출부
50: 지지부재

Claims (10)

  1. 화목 보일러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분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도어부 및 연소 가스를 배출하는 연도를 포함하며, 내부에 소정의 크기의 연소실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단면이 마름모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지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고정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측면으로 분산시켜 단계적으로 상승시킴과 동시에 상기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상기 하우징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제1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 측면과 용접되어 고정되되,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1 방열판의 전면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고, 상기 제1 방열판의 좌면이 상기 제1 측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 방열판의 우면이 상기 제3 측면과 마주보는 제4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연도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되, 상기 전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높이가 상기 도어부보다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제1 방열판, 제2 방열판 및 제3 방열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 측면 상부의 제1 영역에 용접되어 고정되되,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중앙부의 제2 영역에 용접되어 고정되되,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제3 방열판은 후면이 상기 제1 측면 하부의 제1 영역에 용접되어 고정되되,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이 전후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은,
    전면이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 각각이 설치된 측면과 마주보는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고, 좌우측면에 상기 제1 방열판, 상기 제2 방열판 및 상기 제3 방열판 각각이 설치면 측면과 인접한 좌우 측면과 소정의 거리 이격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3 방열판은 최하단에 설치되며, 전면이 상기 지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 기울어지되, 상기 전면과 상기 지면 사이의 높이가 상기 도어부보다 높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 상측의 제1 모서리에서 좌우측의 제2 모서리 및 제3 모서리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에 의해 발생되는 재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을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는,
    후면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제1 측면과 고정된 하나 이상의 방열판과 상기 제1 측면과 마주보는 제2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측면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3 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영역, 상기 제1 측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4 측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흔들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일부분이 엠보싱(embossing) 처리되어 크기 및 형태가 서로 상이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방열판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분에 형성되되, 소정의 패턴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하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 측면을 타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의 이동 방향을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적어도 일측면에 소정의 형태의 굴곡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KR1020200083385A 2019-07-09 2020-07-07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KR102434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83396 2019-07-09
KR1020190083396 2019-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859A true KR20210006859A (ko) 2021-01-19
KR102434801B1 KR102434801B1 (ko) 2022-08-22

Family

ID=74237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385A KR102434801B1 (ko) 2019-07-09 2020-07-07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0385A (en) * 1929-10-08 Steam ob hot-water boilee
KR100825822B1 (ko) * 2007-08-09 2008-04-29 박병문 고체연료용 난방기의 화격자
KR20130136097A (ko) * 2012-06-04 2013-12-12 이상옥 화목 보일러
KR20140006418U (ko) 2013-06-17 2014-12-26 윤기원 화목 난로
KR101682316B1 (ko) * 2015-12-29 2016-12-02 명한철 보일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30385A (en) * 1929-10-08 Steam ob hot-water boilee
KR100825822B1 (ko) * 2007-08-09 2008-04-29 박병문 고체연료용 난방기의 화격자
KR20130136097A (ko) * 2012-06-04 2013-12-12 이상옥 화목 보일러
KR20140006418U (ko) 2013-06-17 2014-12-26 윤기원 화목 난로
KR101682316B1 (ko) * 2015-12-29 2016-12-02 명한철 보일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801B1 (ko) 202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944B1 (ko) 친환경 우드 펠렛 난방장치
US5383446A (en) Self concentrating combustion grate for pellet fueled stoves
US20140208996A1 (en) High performance burner
KR20150060137A (ko) 공기 순환식 난로
CN211650344U (zh) 一种以生物质为燃料的炉子
JP4785980B1 (ja) 燃焼装置
RU180744U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с каменкой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KR20210006859A (ko) 화재 예방을 위한 마름모 형상의 방열판을 구비하는 화목 보일러
KR20130136097A (ko) 화목 보일러
RU2635700C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RU2715487C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с каменкой
KR20130126571A (ko) 대류형 화목 난로
KR101204250B1 (ko) 무연 화목 난로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KR10137931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KR101727692B1 (ko) 펠릿 난로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KR102291476B1 (ko) 펠릿 난로용 연소기
KR101390042B1 (ko) 에너지 효율이 높은 난로
KR101147289B1 (ko) 난로 겸용 보일러
CN206247398U (zh) 一种波状篦生物燃料炉
KR20150000221A (ko) 고형 연료를 사용하는 무동력 난로
US20190086095A1 (en) Smokeless Safe Combustion Device
US4102320A (en) Fireplace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