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5275A -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 Google Patents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5275A
KR20210005275A KR1020207035292A KR20207035292A KR20210005275A KR 20210005275 A KR20210005275 A KR 20210005275A KR 1020207035292 A KR1020207035292 A KR 1020207035292A KR 20207035292 A KR20207035292 A KR 20207035292A KR 20210005275 A KR20210005275 A KR 20210005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plink
precoding
transmiss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0699B1 (ko
Inventor
츄핑 황
츄빈 가오
라케스 탐라카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5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3Auxiliary parameters, e.g. power control [PCB] or not acknowledged commands [NACK], used as feedback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 중 코드북 또는 비 코드북의 업링크 멀티 안테나 전송에 대하여, 단말에서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방법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방안은 부분 프리코딩 지시하에 최대 업링크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업링크 전송의 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본 출원은 2018년 5월 11일 중국에 제출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0450703.2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파워 제어를 파제로 약칭할 수 있음)에 따라 하나의 업링크 송신 파워를 연산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해당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일정한 파워 제어 방법에 따라 비율 스케일링 후 업링크 전송에 사용된다.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장기 진화) 시스템에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규정하였으며, 단말은 3GPP 프로토콜 TS36.213(3GPP TS 36.213: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물리층 프로그램)”)에서 제5.1.1절중의 업링크 파워 제어 과정에 따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의 송신 파워
Figure pct00001
을 연산할 수 있고, 그리고, PUSCH 전송시에 넌제로인 PUSCH 전송을 구비하는 안테나 포트의 수량 및 기지국에서 PUSCH에 대응되는 전송 방안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의 수량의 비율에 따라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실제상에서 업링크 전송할 때, 비율 스케일링 후 산생된 스케일링 파워는 넌제로인 PUSCH 전송을 구비하는 안테나 포트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Figure pct00002
은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의 규정에 따라 기지국의 파워 제어의 지시 정보, 단말이 추정한 경로 페이딩 정보, 업링크 최대 출력 파워 등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확정해낸 것이다.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본 실시예의
Figure pct00003
)에 대해, 관련되는 안테나 포트의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은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출력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단말의 구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비용을 고려하여, 모든 멀티 안테나를 지원하는 단말이 모두 비교적 바람직한 송신 안테나 교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로하여, 상이한 단말은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다. 예컨대, 어떤 단말에서는 모든 안테나가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어떤 단말에서는 오로지 부분적인 안테나만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어떤 단말에서는 모든 안테나가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없다.
3GPP NR 시스템에서 3가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정의하였으며, 상기 능력은:
- 풀 코히어런트(Full Coherent): 안테나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있어서, 모든 안테나는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즉 모든 안테나는 모두 위상 교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 부분 코히어런트(Partial coherent): 안테나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오로지 쌍을 이룬 안테나만이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있으며, 즉 단말에서는 쌍을 이룬 송신 안테나는 교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및
- 비 코히어런트(Non-coherent): 안테나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있는 안테나가 없으며, 즉 단말의 모든 송신 안테나는 모두 교정을 진행할 수 없는 것인; 것을 포함한다.
코드북을 토대로 하는 업링크 전송에 있어서,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코드북중의 상이한 코드워드에 대응된다. 만약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넌제로인 PUSCH 전송 포트가 총 배치 포트중에서 점용한 비율에 따라 스케일링을 진행할 것을 단말에 여전히 요구한다면,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 및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예하면 rank1과 같은 로 랭크(rank)에서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없다.
비 코드북의 업링크 전송에 대해, rank 수가 배치된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 자원 수보다 작을 경우, 단말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없는 문제를 직접적으로 초래하게 된다.
그러나, 단말의 SNR(Signal Noise Ratio, 신호 잡음 비율)이 비교적 낮(특히 셀 에지의 단말)을 때, 통상적으로 낮은 rank, 최대 송신 파워 전송으로 성능을 향상시킨다. 현재의 업링크 파워의 안테나 포트 비율 스케일링에 관한 준칙에 따라, 코드북의 업링크 전송에 기초하지 않은 단말 또는 코드북 업링크 전송에 기초하지 않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N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하였을 때, 싱글 rank 전송의 송신 파워는 오로지 최대 송신 파워의 1/N을 달성한다. 만약 싱글 rank 전송시의 송신 파워를 최대 송신 파워로 향상시킬 수 있다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멀티 입력 멀티 출력)의 커버를 향상시킬 수 있지만, 기존의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관련기술 중 일부 단말이 업링크 멀티 안테나 전송시,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하지 못하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제1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에 응용되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단계;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TPMI)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랭크 지시(T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 상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전송 모드하에서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제2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는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TPMI)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랭크 지시(T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 상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전송 모드하에서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제4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제5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한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또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6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며;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로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만약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제8 측면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상술한 기술방안은 하기의 유익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에서는,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한 후,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이로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에서도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업링크 전송의 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low)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음으로,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어야 할 도면들을 간단하게 소개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에서의 도면들은 오로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인 것으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있어서, 창조적 노동을 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이러한 도면들에 의해 기타 도면들을 더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단말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구조 예시도이다.
도 6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또 다른 구조 예시도이다.
이하, 본 개시에서 해결하려는 기술과제,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결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려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에 응용되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계 101: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101); 및
단계 102: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단계(102);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단말에서 낮은 SNR(Signal Noise Ratio, 신호 잡음 비율)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업링크 전송의 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하는 업링크 MIMO 전송을 진행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모두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1보다 작음)에 관한 파워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에 비해,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일 때,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는 더 클 수 있으며, 따라서, 더욱 바람직한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102는:
단계 1021: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단계(1021); 또는
단계 1022: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1022); 를 포함한다.
이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 작업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하에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성능을 향상시킨다. 진일보하여,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송신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고, 직접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를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PUSCH를 송신하는 안테나 포트 상에 분배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는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의 규정에 따라 기지국의 파워 제어의 지시 정보, 단말이 추정한 경로 페이딩 정보, 업링크 최대 출력 파워 등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확정해낸 것이며, 예컨대 LTE 시스템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는 PUSCH 전송시, 3GPP 프로토콜 TS36.213에서 제5.1.1절중의 PUSCH의 송신 파워의 규정을 참조하여
Figure pct00004
을 확정해낸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시그널링에서 통지한 프리코딩 지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기정의된 방식은 직접적인 방식이거나 또는 간접적인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에서 미리 정의한 것이다. 예컨대, 프로토콜을 통해 약정된 것이다. 프로토콜에서는 프리코딩 지시가 몇몇 특정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공식에 따라 연산해낸 업링크 신호의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antenna ports with a non-zero PUSCH transmission power) 상에 분배되는 것으로 약정된다.
업링크 전송은 코드북(codebook based)을 토대로 한 PUSCH 전송일 때,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지시한 프리코딩 매트릭스 중 임의의 하나의 넌제로인 원소에 대응되는 안테나 포트는 모두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안테나 포트에서 송신한 PUSCH에 대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하나의 4행 R열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지시할 수 있고, R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PUSCH를 위해 지시한 스트림 수(rank)에 대응되고,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각 행은 하나의 PUSCH 안테나 포트에 대응된다. 즉, 만약 프리코딩 매트릭스의 어느 한 행에 0이 아닌 하나의 원소가 존재한다면, 이 한 행에 대응되는 안테나 포트는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이며; 만약 어느 한 행의 모든 원소는 모두 0이라면, 이 한 행에 대응되는 PUSCH 안테나 포트는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가 아니다.
업링크 전송은 비 코드북(non-codebook based)의 PUSCH 전송일 때,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지시한 SRS 자원에 대응되는 PUSCH 안테나 포트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 코드북 유형의 SRS 자원 세트에 4개의 SRS 자원을 배치했다면, 각 SRS 자원은 하나의 PUSCH 안테나 포트에 대응된다. 즉, 네트워크 기기는 SRI(SRS 자원 지시,SRS resource indicator)를 통해 지시한 SRS 자원에 대응되는 PUSCH 안테나 포트는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이며; 네트워크 기기에서 지시하지 않은 SRS 자원에 대응되는 PUSCH 안테나 포트는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가 아니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파워 제어 공식에 따라 연산해낸 업링크 신호의 송신 파워는 넌제로인 파워를 사용하여 송신한 안테나 포트 상에 균일하게 분배되며, 상기 파워를 사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예컨대, 직접적인 기정의된 방식은: TPMI의 index(인덱스)는 0일 때, 그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임으로 기정의 되는 방식이다. 또 다른 직접적인 기정의된 방식은: SRI가 어느 하나 또는 어떤 값에 대응 될 때, 그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임으로 기정의 되는 방식이다.
일부 간접적인 방식은:
- TPMI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의 방식;
- TPMI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팩터가 1인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의 방식;
- TPMI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와 같은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 방식;
- SRI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 방식;
- SRI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팩터가 1인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 방식;
- SRI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와 같은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 방식; 및
- 오로지 부분 안테나 포트만 사용한 부분 코드워드를 정규화(normalized) 파워가 1인 것으로 코드북중에 설정하는 일종의 방식; 을 포함함다. 상기 부분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함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TPMI(Transmit Precoding Matrix Indicator,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TRI(Transmit Rank Indication,전송 랭크 지시)를 포함한다.
예컨대, 업링크 전송 방안은 코드북을 토대로 하는 업링크 전송일 때, 프리코딩 지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다운링크 제어 정보)중의 프리코딩 정보 및 스트림 수(Precoding information and number of layers) 영역을 통해 지시를 한다면, 상기 프리코딩 지시는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TPMI 및 TRI를 포함한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recoding information and number of layers의 값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모두 싱글 스트림 전송의 코드워드의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중의 몇몇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며, 일부 프리코딩 지시는 멀티 스트림 전송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드워드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기정의된 코드워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타겟 코드워드 지시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에 송신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코드워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코드워드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코드워드는 단말에서 시그널링 지시를 통해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단말의 안테나 포트의 파워 능력에 따라 확정된 코드워드이다. 예컨대, 단말의 모든 안테나 포트의 파워 능력이 모두 풀 파워로 송신하는 것일 때, 타겟 코드워드는 모든 코드워드이다. 예컨대, 단말의 안테나 포트의 파워 능력이 임의의 두개의 안테나 포트의 출력 파워의 합이 풀 파워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일 때(예컨대, 임의의 두개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 출력 파워의 합은 단말의 파워 등급에 대응되는 최대 출력 파워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음), 타겟 코드워드는 적어도 두개의 안테나 포트에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하는 코드워드이다. 또 예컨대, 단말의 안테나 포트의 파워 능력은 임의의 두개의 안테나 포트의 출력 파워의 합이 풀 파워에 달성할 수 있는 것일 때(예컨대, 임의의 두개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 출력 파워의 합은 단말의 파워 등급에 대응되는 최대 출력 파워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음), 타겟 코드워드는 두개의 안테나 포트 또는 네개의 안테나 포트에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하는 코드워드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모든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모든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예컨대,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2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할 때, 코드북중 오로지 첫번째 안테나 포트(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됨)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예를 더 들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4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할 때, 코드북중 오로지 두번째 안테나 포트(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됨)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프리코딩 지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타겟 안테나 포트는 기정의된 안테나 포트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타겟 안테나 포트의 지시 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에 송신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안테나 포트는 단말에서 시그널링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에 지시한 안테나 포트이다. 예컨대, 단말에서 보고한 풀 파워로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 포트 등이다.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의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안테나 포트는 단말에서 풀 파워로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 포트이다. 상기 하나의 안테나 포트는 풀 파워로 송신할 수 있다는 것은 하나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 출력 파워는 단말의 파워 등급에 대응되는 최대 출력 파워 요구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RAN4 프로토콜에서 Power class 3의 UE의 최대 출력 파워는 23dBm일 것을 요구하고, 만약 하나의 안테나 포트의 최대 출력 파워는 23dBm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안테나 포트는 풀 파워로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 포트이다.
예를 들면, UE는 하나의 SRS 자원내에서 최고로 4개의 안테나 포트(즉 UE는 최고로 4개의 안테나 포트의 PUSCH 전송을 지원함)를 지원하며, 만약 첫번째 및 세번째 안테나 포트는 풀 파워를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 포트(즉, 첫번째 및 세번째 안테나 포트는 타겟 안테나 포트임)라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지시한 PUSCH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의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첫번째 및/또는 세번째 안테나 포트에 넌제로인 값이 존재하고, 기타 안테나 포트에서 모두 영일 때, 단말은 PUSCH 파워 제어 공식에 따라 연산해낸 송신 파워를 넌제로인 값이 존재하는 안테나 포트상에 직접 균일하게 분배하여 전송을 진행한다. 예컨대, 기지국에서 지시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1 0 j 0]T이라면, 이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이고, 단말은 PUSCH 파워 제어 공식에 따라 연산해낸 송신 파워를 첫번째 및 세번째 안테나 포트상에 직접 균일하게 분배하여 전송을 진행하며; 만약 기지국에서 지시한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1 1 j j]T이라면, 이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이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업링크 참조 신호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한다.
예컨대,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프리코딩 지시는 SRI(SRS resource indicator, SRS 자원 지시)이며, SRI는 DCI중의 “SRS 자원 지시 SRS resource indicator” 영역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SRI는 PUSCH 전송에 대응되는 SRS 자원을 지시한다. 단말은 동시에 SRI에 따라 업링크 전송의 스트림 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SRS 자원에 따라 배치한 인덱스 승차순으로 배열)을 지시하는 SRI를 포함한다. 예를 더 들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첫 두개의 SRS 자원(SRS 자원에 따라 배치한 인덱스 승차순으로 배열)을 지시하는 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SRI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모든 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을 할 때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예컨대, 3GPP NR 시스템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의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할 때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TMPI일 때, 대응되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 수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코드워드는:
- 단말에 배치된 안테나 포트 수가 2일 때,
Figure pct00005
이고;
- 단말에 배치된 안테나 포트 수가 4일 때,
Figure pct00006
이다.
예를 들면,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을 할 때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고,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07
일 때, 즉 PUSCH가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가 2이고, 코드워드 중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영이 아니며, 또 다른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0이다.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Figure pct00008
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식에 의하면,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며,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없고, 즉,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지 않을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을 할때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위한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09
일 때, 즉 PUSCH가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가 4이고, 코드워드 중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영이 아니며, 기타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0이며, 즉 기존의 방식에 의하면,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Figure pct00010
이고,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식에 따르면,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며, 즉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없고,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지 않을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정규화 팩터는 상기 코드워드의 정규화 파워를 1로 한다. 그 중, 코드워드의 정규화 파워는 코드워드내의 모든 위치의 파워 합을 나타내며, 즉 코드워드내의 모든 위치의 수치의 평방을 나타낸다. 예컨대, 코드워드
Figure pct00011
의 정규화 파워는 1/2이고, 코드워드
Figure pct00012
의 정규화 파워는 1이다. 예컨대,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된다면, 현재 3GPP NR 시스템에서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업링크 코드북은:
표6.3.1.5-1: 두개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는 싱글 스트림 전송의 프리코딩 매트릭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표6.3.1.5-2: 4개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는 싱글 스트림 전송이고 또한 프리코딩 변환을 진행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Figure pct00015
(DFT-S-OFDM 파형에 대응되는 4개의 안테나 포트인 싱글 스트림 전송의 코드북)
Figure pct00016
표6.3.1.5-3: 4개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는 싱글 스트림 전송이며 또한 프리코딩 변환을 진행하지 않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Figure pct00017
(CP-OFDM 파형에 대응되는 4개의 안테나 포트인 싱글 스트림 전송의 코드북)
Figure pct00018
비 코드북의 업링크 전송일 때,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I이면, 예컨대,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SRS 자원에 따라 배치한 인덱스의 순차순 배열)을 지시하는 SRI이다. 만약 네트워크 기기가 지시한 SRI는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에 대응된다면,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식에 따라, 업링크 프리코딩은 SRI더러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도록 지시하고,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없고,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만약 네트워크 기기가 지시한 SRI는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예컨대, SRI는 첫번째, 두번째 SRS 자원에 대응됨)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거나 또는 첫번째 SRS 자원(예컨대, SRI는 세번째 SRS 자원에 대응됨)에 대응되지 않는다면, 대응되는 PUSCH 총 업링크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파워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은 몇몇 특정된 유형의 단말에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오로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만 적용된다. 예를 더 들면, 오로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만 적용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은 일종의 전송 모드에서는 몇몇 유형의 단말에 적용되고, 또 다른 전송 모드에서는 또 다른 유형의 단말에 적용된다. 예컨대, 코드북 전송 모드에서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적용되고, 비 코드북 전송 모드에서는 모든 단말에 적용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단말은 상이한 전송 모드에서는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로서, N개의 안테나 포트의 배치하에, 타겟 프리코딩의 수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컨대, 비 코드북 전송 모드에서는 타겟 프리코딩의 수량은 2일 수 있고, 타겟 프리코딩은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을 지시하는 SRI이며, 또한 첫번째 및 두번째 SRS 안테나 자원을 지시하는 SRI이다. 즉 SRI가 지시한 SRS 자원은 첫번째 SRS 자원일 때, 또는 SRI가 지시한 SRS 자원은 첫번째 및 두번째 SRS 자원일 때,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총 업링크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 없고,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SRI가 지시한 SRS 자원은 기타 SRS 자원일 때, 예컨대, 오로지 두번째 SRS 자원을 지시하거나, 또는 기타 SRS 자원을 지시할 때,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총 업링크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송신 파워이다.
만약 상술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즉 기정의되거나 또는 시그널링이 상술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통지한 것)가 존재한다면, 단말에서 업링크 전송 모드에 대응하기 위한 업링크 참조 신호(예컨대, SRS)를 송신할 때,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 또는 자원에 따라 물리 안테나 및 안테나 포트의 매핑을 진행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이 때, 단말에서 업링크 전송 모드에 대응하기 위한 업링크 참조 신호(예컨대, SRS)를 송신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 또는 자원에 따라 물리 안테나 및 안테나 포트의 매핑을 진행한다.
예컨대,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가 넌제로인 코드워드(예컨대,
Figure pct00019
)에 대응된다면, 단말은 코드북 업링크 전송을 위한 SRS를 송신할 때,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첫번째 SRS 안테나 포트를 송신해야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3GPP NR 시스템중에서 정의된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한정되지 않는다. 3GPP NR 시스템중에서 쌍을 이룬 안테나는 코히어런트 전송을 할 수 있고,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것으로 나타낸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3GPP NR 시스템중에서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한 정의와 동일할 수 있고, 기타 정의일 수도 있다. 예컨대, 모든 안테나가 코히어런트 전송을 할 수 있는 것만 아니면, 또한 모든 안테나가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을 진행할 수 없는 것이 아니면, 단말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것으로 나타낸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의 방식에 대해,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번호 또는 수치를 직접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안테나 포트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정보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스트림 수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101 이후, 상기 방법은:
단계 103: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103)를 더 포함한다.
이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즉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지 않을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모든 안테나가 모두 최대 출력 파워를 도달할 것을 단말에 요구하지 않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단말의 구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그중,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리크 송신 모드하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1보다 작은 스케일링 팩터를 사용하여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101 이후, 상기 방법은:
단계 104: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104)를 포함한다.
이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즉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지 않을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모든 안테나가 모두 최대 출력 파워를 도달할 것을 단말에 요구하지 않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단말의 구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그 중, 제1 스트림 수는 싱글 스트림일 수 있고, 예하면 2 스트림, 3 스트림, 4 스트림과 같은 멀티 스트림일 수도 있다.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될 때, 파워 스케일링 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멀티 스트림(예컨대, 2 스트림, 3 스트림 또는 4 스트림)에 대응될 때, 또 다른 파워 스케일링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1 스트림 수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1보다 자은 스케일링 팩터를 사용하여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이 하,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몇가지 파워 스케일링 방식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방식 1: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103 또는 단계 104에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단계 1051: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105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만약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PUSCH의 안테나 포트 수를 Qused1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는 Qconfigured1로 하면, 획득한 제1 비율 값은 K1:
Figure pct00020
이다.
단계 1052: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105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여, 단말의 구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단말은 기타 프리코딩 지시의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Qused1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 Qconfigured1 사이의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제1 스트림 수 전송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단말은 기타 프리코딩 지시의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Qused1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 Qconfigured1 사이의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그 중, 제1 스트림 수는 싱글 스트림일 수 있고, 예하면 2 스트림, 3 스트림, 4 스트림과 같은 멀티 스트림일 수도 있다.
방식 2: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103 또는 단계 104에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단계 1053: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1053)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를 Qmax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는 Qconfigured1로 하면, 획득한 제2 비율 값은 K2:
Figure pct00021
이다.
단계 1054: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1054)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여, 단말의 구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싱글 스트림 전송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단말은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Qmax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 Qconfigured1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이 때,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멀티 스트림(예컨대, 2 스트림, 3 스트림 또는 4 스트림) 전송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단말은 상술한 방식 1에 따라, 기타 프리코딩 지시의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Qused1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 Qconfigured1 사이의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물론,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멀티 스트림(예컨대, 2 스트림, 3 스트림 또는 4 스트림) 전송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단말은 방식 2에 따라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의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단말은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Qmax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 Qconfigured1 사이의 제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이 때,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의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기만 하면, 단말은 상술한 방식 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그 중, 풀 코이허런트 전송 기능을 구비한 단말에 있어서,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의 안테나 포트 수와 같기에,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상술한 방식 2에 따라 파워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획득한 스케일링 비율 값은:
Figure pct00022
이다.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있어서,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통상적으로 1개이기에,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상술한 방식 2에 따라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획득한 스케일링 비율 값은:
Figure pct00023
이다.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있어서,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통상적으로 2개이기에,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상술한 방식 2에 따라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획득한 스케일링 비율 값은:
Figure pct00024
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대해, 단말은 임의의 프리코딩 지시에 대해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방식 3: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103 또는 단계 104에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단계 1055: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1055)를 포함한다.
여기서, 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를 Qused2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SRS 자원 수를 Qconfigured2로 하면, 획득한 제3 비율 값은 K3:
Figure pct00025
이다.
단계 1056: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105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비율 값 K3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여, 단말의 구현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 3은 각 SRS 자원에 하나의 SRS 포트가 포함될 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계 106: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106); 및
단계 107: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107);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이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상이한 업링크 코드북에 대응되며, 단말은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안테나 코히어런트 전송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3GPP NR 시스템에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고층 파라미터 codebookSubset를 포함하며, 상기 파라미터의 후보 값은 {fullyAndPartialAndNonCoherent, partialAndNonCoherent, nonCoherent}이며, 그 중, fullyAndPartialAndNon Coherent는 지시 안테나가 풀 코히어런트 전송할 수 있다는 가설하의 코드워드에 의해 구성된 코드북에 대응되며, partialAndNonCoherent는 안테나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할 수 있다는 가설하의 코드워드에 의해 구성된 코드북에 대응되며, nonCoherent는 모든 안테나가 모두 코히어런트 전송을 할 수 없다는 가설하의 코드워드에 의해 구성된 코드북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모든 방안은 특정된 몇몇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대응되는 어느 값 또는 어떤 값의 시나리오에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 codebookSubset는 nonCoherent로 배치될 때의 시나리오에만 적용된다. 예를 더 들면, 3GPP NR 시스템중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 codebookSubset는 noncoherent 또는 partialAndNon Coherent로 배치될 때의 시나리오에만 적용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에서 수신한 네트워크 기기로부터 송신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상이한 값일 때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 후, 단말은 상기 업링크 송신 파워를 데이터의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하는 안테나 포트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 단말은 스케일링 후 획득한 파워를 데이터의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하는 안테나 포트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업링크 신호의 전송을 진행한다.
데이터의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하는 안테나 포트는 업링크 신호 데이터를 매핑한 안테나 포트이다. 업링크 전송은 PUSCH의 전송인 것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의 전송 PUSCH를 스케줄링 할 때의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1/2[1 0 1 0]T인 것으로 가설하면, 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하나의 타겟 코드워드(상기 프리코딩 매트릭스는 첫번째, 세번째 포트에서 넌제로인 원소가 존재하고, 즉 데이터의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함)이고, PUSCH는 싱글 스트림 전송이며, 데이터는 첫번째 및 세번째 안테나 포트(첫번째 및 세번째 안테나 포트에 데이터의 넌제로인 전송이 있음)에 매핑된다.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를 데이터의 넌제로인 전송이 존재하는 안테나 포트에 균일하게 분배하여, PUSCH의 전송을 진행한다.
이 하,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려 한다.
실시예 1: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N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하였고, 만약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면,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며, 그렇지 않으면,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그 중, N은 양의 정수이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rank1 전송일 때, 오로지 하나의 넌제로인 안테나 포트의 하나의 프리코딩 지시만 존재한다.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rank1 전송일 때, 코드워드 중에서 오로지 하나의 넌제로인 안테나 포트의 하나의 코드워크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하나의 SRS 자원을 지시하는 하나의 SRI 지시이다.
업링크 코드북을 다음과 같이 가설할 때:
Figure pct00026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DCI 영역중의 프리코딩 정보 및 스트림 수에 대응되는 인덱스(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코드워드
Figure pct00027
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할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코드북에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의 정규화 팩터는 상기 코드워드의 총 파워를 1로 할 수 있도록 하며, 즉 다음과 같은 코드북을 채용하며:
Figure pct00028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DCI 영역중의 프리코딩 정보 및 스트림 수에 대응되는 인덱스(index)가 1인 프리코딩 지시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코드워드
Figure pct00029
에 대응된다.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DCI 영역중의 SRS 자원 지시에 대응되는 인덱스(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을 지시하는 것에 대응된다.
만약 특정된 프리코딩 지시는 DCI 영역중의 SRS 자원 지시에 대응되는 인덱스(index)가 1인 프리코딩 지시일 수도 있으며,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예시된 실시예들은 쉽게 4개의 안테나 포트로 확장될 수 있는바,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실시예 2:
단말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이거나,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일 때, 타겟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가 존재하며, 그렇지 않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존재하지 않는다.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지시한 것이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존재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을 위해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지시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을 위해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유사하지만, 구별점은,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어느 하나의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의 모든 프리코딩 지시이다.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어느 하나의 넌제로인 안테나 포트의 모든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어느 하나의 타겟 SRS 자원을 포함한 모든 SRI 지시이다.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타겟 SRS 자원은 첫번째 SRS 자원(인덱스는 0)인 것으로 가설하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는 4개이며, 만약 SRI 지시는 아래의 표 1에 대응되면, 표에서 모든 인덱스 0을 포함하는 SRS 자원의 SRI 지시에 대응되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모두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표 1
Figure pct00030
실시예 4:
실시예 1과 유사하지만, 구별점은,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어느 하나의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의 rank 1인 프리코딩 지시만 포함하며: 및 상술한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 및 또 다른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의 rank 2인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여전히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는 4개이고, 만약 SRI 지시가 아래의 표 2에 대응된다면, 일 실시예세서 표에는 오로지 인덱스가 0인 SRS 자원의 SRI, 및 인덱스가 0과 인덱스가 1인 SRS 자원의 SRI 지시를 포함하며, 대응되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모두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물론 기타 실시예일 수도 있는바, 예컨대, 오로지 인덱스 1만 포함하는 SRS 자원의 SRI, 및 인덱스 1과 인덱스 3을 포함하는 SRS 자원의 SRI 지시에 대응되며,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모두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표 2
Figure pct00031
실시예 5: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만약 단말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이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어느 하나의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의 rank 1을 포함하는 프리코딩 지시, 또한 상술한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 및 또 다른 하나의 타겟 안테나 포트의 rank 2를 포함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실시예 6: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만약 단말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이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어느 하나의 어느 넌제로인 타겟 안테나 포트의 rank 1을 포함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실시예 7: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만약 단말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이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모든 프리코딩 지시이며, 즉 어떠한 SRI 지시든지 불문하고,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모두 진행하지 않는다.
실시예 8: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만약 단말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이라면, 배치된 안테나 포트 수는 4개일 때, 하나의 비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rank 수는 1이라면, 그에 대응되는 안테나 포트에 관한 스케일링 비율는 1/2이다.
실시예 9: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을 예로 들면, 만약 단말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이라면, 배치된 안테나 포트 수는 4개일 때, 하나의 비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rank 수는 3이라면, 그에 대응되는 안테나 포트에 관한 스케일링 비율는 1/2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단말에서 낮은 SNR(Signal Noise Ratio, 신호 잡음 비율)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업링크 전송의 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전송을 진행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모두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1보다 작음)에 관한 파워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에 비해,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일 때,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는 더 클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 제공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토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201): 및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202);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202)은: 구체적으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기 위한 것이며;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는 1인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202)은 또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202)은: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TPMI)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랭크 지시(T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 상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한 것이며,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며,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4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202)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202)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202)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전송 모드하에서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상술한 단말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단말에서 낮은 SNR(Signal Noise Ratio, 신호 잡음 비율)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업링크 전송의 커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전송을 진행할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은 모두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1보다 작음)에 관한 파워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에 비해,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일 때, 단말의 업링크 송신 파워는 더 클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한 성능을 획득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그 중, 상술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모든 구현 방식은 모두 상기 단말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바,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을 더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310), 메모리(320), 프로세서(30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버스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3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기(310)는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300)는 메모리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3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3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310)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3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구체적으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TPMI)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랭크 지시(T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 상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310)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300)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하며;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310)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300)는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전송 모드하에서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측의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단계 401: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401);
단계 402: 상기 송신한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는 단계(402); 및
단계 403: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403); 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고, 단말에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여,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에서도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하며, 예컨대,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채널 상태 정보), TPMI,TRI,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변조 및 코딩 전략) 등을 확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하여, 정규화 파워는 1인 것에 따라,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채널 질량 지시)연산을 진행하며,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해, 정규화 파워가 스케일링(scaling) 이후의 파워인 것에 따라 CQI 연산을 진행한다. 예컨대,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만약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는
Figure pct00032
라면, 네트워크 기기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실제로 대응되는 코드워드는
Figure pct00033
인 것에 따라 CQI 연산을 진행한다. 즉 네트워크 기기는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34
인 것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는 코드워드
Figure pct00035
인 것의 2배로 가설하여 CQI 연산을 진행한다. 에컨대,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만약 4개의 SRS 자원을 배치하고, 타켓 프리코딩 지시는 SRI=0에 대응된다면, 네트워크 기기는 SRI=0에 대응되는 SRS 자원에 대응되는 CQI를 연산할 때, 그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정규화 파워는 1인 것에 따라 CQI를 연산을 진행하며, 기타 SRI에 대해, scaling 이후의 정규화 파워에 따라 연산하며, 예컨대, 만약 SRI=1이면, 그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정규화 파워는 1/4인 것에 따라 CQI를 연산하고, 만약 SRI=1, 2이면, 그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정규화 파워는 1/2인 것에 따라 CQI를 연산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프리코딩에 대해, 정규화 파워가 1인 것에 따라 CQI를 연산을 진행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 정보가 해당 프리코딩에 대응된다고 가설하였을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설하에 CQI의 연산을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의 프리코딩에 대해, 정규화 파워가 스케일링 이후의 파워인 것에 따라 CQI의 연산을 진행한다는 것은,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 정보가 해당 프리코딩에 대응된다고 가설하였을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고, 상기 가설하에 CQI의 연산을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단말에서 스케일링 팩터는 1인 것을 사용하여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타겟 프리코딩은 제1 타겟 프리코딩, 제2 타겟 프리코딩 및 제3 타겟 프리코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은 기정의된 프리코딩이거나; 또는
타겟 프리코딩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배치한 프리코딩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의 기정의 방식은 직접적인 방식이거나 또는 간접적인 방식일 수 있다.
예컨대, 직접적인 기정의된 방식은: index(인덱스)는 0일 때, 그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임으로 기정의 되는 방식이다. 또 다른 직접적인 기정의된 방식은: 프리코딩은 어느 하나 또는 어떤 값에 대응 될 때, 그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임으로 기정의 되는 방식이다.
간접적인 방식은:
- 프리코딩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는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의 방식;
- 프리코딩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는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의 방식;
- 프리코딩의 값이 일부 기정의된 값에 대응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와 같은 것으로 기정의 되는 일종의 방식;
-오로지 부분 안테나 포트만 사용한 부분 코드워드를 정규화(normalized) 파워가 1인 것으로 코드북중에 설정하는 일종의 방식; 을 포함함다. 상기 부분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타 열거되지 않은 방식들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함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은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며,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TPMI(Transmit Precoding Matrix Indicator,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TRI(Transmit Rank Indication,전송 랭크 지시)이다.
예컨대, 업링크 전송 방안은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프리코딩 지시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다운링크 제어 정보)중의 프리코딩 정보 및 스트림 수(Precoding information and number of layers) 영역을 통해 지시를 한다면, 상기 프리코딩 지시는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TPMI 및 TRI를 포함한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recoding information and number of layers의 값이다.
타겟 프리코딩은 하나일 수 있고, 복수 개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모두 싱글 스트림 전송의 코드워드의 프리코딩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중의 몇몇 프리코딩은 싱글 스트림 전송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며, 어떤 프리코딩은 멀티 스트림 전송의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코드워드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기정의된 코드워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배치한 타겟 코드워드 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은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을 포함하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은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프리코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모든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모든 프리코딩을 포함한다.
예컨대, 타겟 프리코딩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2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하였을 때, 코드북중 오로지 첫번째 안테나 포트(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됨)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프리코딩을 포함하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2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할 때, 코드북중 오로지 첫번째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TPMI를 포함한다. 예를 더 들면, 타겟 프리코딩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4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할 때, 코드북중 오로지 두번째 안테나 포트(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됨)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프리코딩을 포함하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4개의 안테나 포트를 배치할 때, 코드북중 오로지 두번째 안테나 포트(인덱스에 따라 승차순으로 배열됨)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하나의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하나의 TPMI 등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타겟 안테나 포트는 기정의된 안테나 포트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배치한 타겟 안테나 포트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이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은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은 타겟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을 포함하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한다.
예컨대,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프리코딩 지시는 SRI(SRS resource indicator, SRS 자원 지시)이며, SRI는 DCI중의 “SRS 자원 지시 SRS resource indicator” 영역을 통해 획득할 수 있으며, SRI는 PUSCH 전송에 대응되는 SRS 자원을 지시한다. 단말은 동시에 SRI에 따라 업링크 전송의 스트림 수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은 첫번째 SRS 자원(SRS 자원에 따라 배치한 인덱스 승차순으로 배열)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며, 예를 더 들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첫 두개의 SRS 자원(SRS 자원에 따라 배치한 인덱스 승차순으로 배열)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을 포함하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I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리코딩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은 타겟 SRS 자원에 대응되는 모든 프리코딩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타겟 프리코딩은 싱글 스트림 전송할 때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401은:
단계 4011: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는 단계(4011); 및
단계 4012: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4012); 를 포함한다.
이 때, 네트워크 기기는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여,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업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그 중, 상이한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는 상이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응된다.
예를 들면,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할 수 있으며; 코드북을 토대로 한 전송 모드하에,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두개의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하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에서 보고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즉, 만약 단말에서 보고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면,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고; 만약 단말에서 보고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면,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며; 만약 단말에서 보고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면,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트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예컨대, 만약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비 코히어런트 전송에 대응되면,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 만약 상기 단말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지시 정보중의 고층 파라미터 codebookSubset는 nonCoherent로 배치될 것이거나 또는 배치되었다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임)이다. 예컨대, 만약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에 대응된다면,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 만약 상기 단말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지시 정보중의 고층 파라미터 codebookSubset는 partialAndNonCoherent로 배치될 것이거나 또는 배치되었다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임)이다. 예컨대, 만약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는 풀 코히어런트 전송에 대응되면,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 만약 상기 단말의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지시 정보중의 고층 파라미터 codebookSubset는 fullyAndPartialAndNonCoherent로 배치될 것이거나 또는 배치되었다면, 네트워크 기기에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임)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4012는:
단계 40121: 만약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40121)를 포함한다.
이 때, 네트워크 기기는 만약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며, 즉 제1 타겟 프리코딩의 정규화 파워 스케일링 팩터는 1이거나, 또는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수신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4012는:
단계 40122: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40122)를 포함한다.
이 때, 네트워크 기기는 만약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에 배치한 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단계중의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것이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제1 타겟 프리코딩의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할 때,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예컨대, 3GPP NR 시스템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의 타겟 프리코딩은 싱글 스트림 전송시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일 때, 대응되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 수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코드워드는:
- 단말에 배치된 안테나 포트 수가 2일 때,
Figure pct00036
이고;
- 단말에 배치된 안테나 포트 수가 4일 때,
Figure pct00037
이다.
예를 들면, 만약 타겟 프리코딩은 싱글 스트림 전송시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고,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상에서만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38
인 것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은 제1 타겟 프리코딩인 것으로 확정할 때, 그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한다. 단말에서 지시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39
인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하고, 즉 PUSCH가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가 2일 때, 코드워드 중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영이 아니며, 또 다른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0이다. 단말은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Figure pct00040
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없고,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일 때, 오로지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라고 가정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41
인 것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은 제1 타겟 프리코딩에 속한다고 확정하며, 그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한다. 단말에서 코드워드가
Figure pct00042
인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할 때, 즉 PUSCH가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가 4개일 때, 코드워드 중 하나의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영이 아니고, 기타 안테나 포트에 대응되는 수치는 0이며, 단말은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Figure pct00043
이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식에 따르면, 업링크 코드워드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고, 상기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없고,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일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코드워드의 정규화 팩터에 대응하여 상기 코드워드의 정규화 파워를 1로 한다. 그 중, 코드워드의 정규화 파워는 코드워드내의 모든 위치의 파워 합을 나타내며, 즉 코드워드내의 모든 위치의 수치의 평방을 나타낸다. 예컨대, 코드워드
Figure pct00044
의 정규화 파워는 1/2이고, 코드워드
Figure pct00045
의 정규화 파워는 1이다.
비 코드북의 업링크 전송일 때, 만약 타겟 프리코딩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면, 예컨대, 타겟 프리코딩은 첫번째 SRS 자원(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첫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은 제1 타겟 프리코딩에 속한다고 확정하며, 그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확정한다. 단말에서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I를 수신하고,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 SRI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고, 대응되는 PUSCH의 총 송신 파워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으로 변함없고, 즉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만약 프리코딩은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또는 첫번째 SRS 자원(예컨대, 타겟 프리코딩은 첫번째, 두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거나, 또는 타겟 프리코딩은 세번째 SRS 자원에 대응됨)에 대응되지 않는다면,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파워인 것임으로 확정한다. 만약 단말에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지시한 SRI는 오로지 첫번째 SRS 자원에만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또는 첫번째 SRS 자원(예컨대, 타겟 프리코딩은 첫번째, 두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거나, 또는 타겟 프리코딩은 세번째 SRS 자원에 대응됨)에 대응되지 않는다면, 단말은 대응되는 PUSCH 총 업링크 송신 파워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파워인 것으로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은 몇몇 특정된 유형의 단말에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오로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만 적용된다. 예를 더 들면, 오로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만 적용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의 실시예의 방법은 일종의 전송 모드에서는 몇몇 유형의 단말에 적용되고, 또 다른 전송 모드에서는 또 다른 유형의 단말에 적용된다. 예컨대, 코드북 전송 모드에서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 적용되고, 비 코드북 전송 모드에서는 모든 단말에 적용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은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단말은 상이한 전송 모드에서는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로서, N개의 안테나 포트의 배치하에, 타겟 프리코딩의 수치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예컨대, 비 코드북 전송 모드에서는 타겟 프리코딩의 수량은 2일 수 있고, 타겟 프리코딩은 첫번째 SRS 자원(인덱스의 승차순으로 배열됨)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며, 또한 첫번째 및 두번째 SRS 안테나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즉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SRS 자원은 첫번째 SRS 자원일 때, 또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SRS 자원은 첫번째 및 두번째 SRS 자원일 때,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이 변함없고,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SRS 자원은 기타 SRS 자원일 때, 예컨대, 프리코딩은 두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거나, 또는 기타 SRS 자원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안테나 포트에 관한 비율 스케일링을 진행한 후의 송신 파워인 것으로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4012가 포함하는 단계 40123 및/또는 단계 40124는:
단계 40123: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된다.
이 때, 네트워크 기기는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고, 즉 제2 타겟 프리코딩의 정규화 파워 스케일링 팩터는 1이거나, 또는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2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는 것을 수신하였을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단계 40124: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이 때,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라면,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며, 즉 제3 타겟 프리코딩의 정규화 파워 스케일링 팩터는 1이거나, 또는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3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는 것을 수신하였을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그 중, 상이한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는 상이한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술한 단계 4012은:
단계 40125: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하는 단계(40125)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만약 기타 프리코딩의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PUSCH의 안테나 포트 수를 Qused1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는 Qconfigured1로 하면, 제1 비율 값 K1은
Figure pct00046
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에 대해, 만약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제2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할 때,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히어런트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기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술한 단계 4012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가설한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PUSCH의 안테나 포트 수를 Qused1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안테나 포트 수는 Qconfigured1로 하면, 제1 비율 값 K1은
Figure pct00047
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에 있어서, 만약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3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는 것을 수신하였을 때,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그 중, 제1 스트림 수는 싱글 스트림일 수 있고, 예하면 2 스트림, 3 스트림, 4 스트림과 같은 멀티 스트림일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능력이며, 상술한 단계 4012는: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가설한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Qmax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를 Qconfigured1로 하면, 제2 비율 값 K2는
Figure pct00048
이다. 네트워크 기기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에 대해, 만약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제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제3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와 대응된다는 것을 수신하였을 때, 제 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이 때, 네트워크 기기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이고, 만약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멀티 스트림(예컨대, 2 스트림, 3 스트림 또는 4 스트림) 전송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이 제1 비율 값 K1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물론, 네트워크 기기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이고, 만약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멀티 스트림(예컨대, 2 스트림, 3 스트림 또는 4 스트림) 전송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이 제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며, 상술한 단계 4012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설한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Qmax로 하고,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단말의 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는 Qconfigured1로 하면, 제2 비율 값 K2는
Figure pct00049
이다.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는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제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단말에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는 것을 수신하였을 때, 제 2 비율 값 K2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며, 상술한 단계 4012는: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에 있어서, 만약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네트워크 기기는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한다. 단말은 임의의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하여,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될 때, 만약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에서 지시 정보를 통해 제1 타겟 프리코딩의 지시를 획득하도록 하며, 따라서, 수신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1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며, 즉 모든 프리코딩의 정규화 파워 팩터는 1이거나, 또는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될 때, 만약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2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제2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에서 지시 정보를 통해 제2 타겟 프리코딩의 지시를 획득하도록 하며, 따라서,수신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2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동일하게,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시그널링을 통해 통지될 때, 만약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3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에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에서 지시 정보를 통해 제3 타겟 프리코딩의 지시를 획득하도록 하며, 따라서, 수신된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3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한다.
이 하, 본 개시의 실시예의 구현 가능한 방식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려 한다.
실시예 1: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TPMI의 값은 index 0인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된다. 타겟 프리코딩은 대응되는 TPMI의 값은 index 0인 프리코딩(코드워드)이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인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닌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닐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2: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SRI 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SRI=0)에 대응된다. 타겟 프리코딩은 SRI=0인 것에 대응되는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인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닌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닐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3: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SRI 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SRI=0)에 대응된다. 타겟 프리코딩은 SRI=0인 것에 대응되는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인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닌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닐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4: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SRI 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SRI=0)에 대응된다. 타겟 프리코딩은 SRI=0인 것에 대응되는 SRS 자원(또는 첫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인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닌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닐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한다.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5: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SRI 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SRI=0)에 대응된다. 타겟 프리코딩은 SRI=0인 것에 대응되는 SRS 자원(또는 첫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인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닌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에 대응된다면,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정의에 따라,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2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하며; 그렇지 않으면,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트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닐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만약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일 때, 스케일링 비율는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정의에 따라,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2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하며; 그렇지 않으면,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코드워트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6: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다.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SRI index가 0인 프리코딩 지시(SRI=0)에 대응된다. 타겟 프리코딩은 SRI=0인 거에 대응되는 SRS 자원(또는 첫번째 SRS 자원)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이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프리코딩 지시인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에 송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닌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스케일링 비율는 해당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정의에 따라,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2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일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만약 단말에서 수신한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가 아닐 때,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스케일링 비율는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정의에 따라,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2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7: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다.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하지 않으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도 존재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이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으로 가설할 때, 스케일링 비율은 해당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정의에 따라,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2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단말에서 어떠한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하든,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며, 스케일링 비율는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예컨대, 3GPP NR 시스템중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의 정의에 따라,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단말에서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는 2개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음)와,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에 대응되는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의 비율 값을 의미한다.
실시예 8:
만약 단말의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전송 모드라면,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다.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하지 않으며, 타겟 프리코딩 지시도 존재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이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가설할 때, 단말에서 어떠한 프리코딩 지시를 수신하든, 단말은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고, 단말에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여,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에서도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서 제공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을 토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기기를 더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501);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502);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503);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고, 단말에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여,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하에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확정 모듈(501)은: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서브 모듈; 및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에서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이한 업링크 전송 모드에서는 상이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에 대응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이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이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3 확정 유닛; 및/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이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4 확정 유닛; 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5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6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7 확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8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제2 확정 서브 모듈은: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제9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고, 단말에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여,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하에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술한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실시예의 모든 구현 방식은 모두 상기 네트워크 기기의 실시예에 적용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를 더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는 송수신기(610), 메모리(620), 프로세서(600), 버스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620)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6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메모리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며;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610)는: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고, 단말에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여,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여, 부분 프리코딩 지시하에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바, 예컨대: 단말에서 비 코드북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또는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을 구비한 단말에서 코드북을 토대로 한 업링크 MIMO 로 랭크 전송을 진행할 때, 부분 프리코딩더러 업링크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단말의 모든 안테나가 최대 송신 파워에 달성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비용을 감소할 수 있다.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6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10)는 하나의 소자일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6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00)는: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600)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610)는: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610)는: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측의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각각의 과정의 인덱스의 크기는 수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각 과정의 수행 순서는 그의 기능 및 내적 로직에 의해 확정되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실현 과정에 대해 어떠한 제한도 구성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본 개시중 예하면 PUSCH 신호를 위한 전송, PUSCH 신호의 전송 등과 같은 업링크 전송은 특정된 신호의 업링크 전송임을 이해할 수 있다. PUSCH를 위한 전송일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는 PUSCH의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PUSCH의 업링크 송신 파워이다.
이 상,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개변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변 및 변형도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64)

  1. 단말에 응용되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는 단계;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TPMI)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랭크 지시(TR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 상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는: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전송 모드하에서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모듈; 및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송수신기는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구체적으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지 않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파워 스케일링 팩터가 1인 것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고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될 때,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TPMI) 및/또는 타겟 코드워드에 대응되는 전송 랭크 지시(TR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코드워드는 오로지 타겟 안테나 포트 상에서 넌제로인 값을 가지는 코드워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안테나 포트는 인덱스가 제일 작은 안테나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타겟 SRS 자원을 지시하는 SRS 자원 지시(SR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SRS 자원은 인덱스가 제일 작은 SRS 자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8. 제23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싱글 스트림 전송시의 프리코딩 지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기정의된 프리코딩 지시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에 따라 획득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를 획득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따라, 물리 안테나와 안테나 포트 사이의 매핑 관계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1.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구체적으로, 상기 프리코딩 지시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넌제로인 파워에 대응되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2.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단말에서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할 때, SRS 자원 지시(SRI)가 지시한 SRS 자원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SRS 자원 수 사이의 제3 비율 값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4. 제19항 내지 제33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네트워크 기기에서 송신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가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5. 제19항 내지 제3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전송 모드하에서 상이한 타겟 프리코딩 지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7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7. 네트워크 기기에 응용되는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또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프리코딩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는 단계는: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위한 제1 확정 모듈;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제2 확정 모듈; 및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1.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며; 상기 송신 파워 가설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확정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단말에 상기 업링크 프리코딩 지시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 업링크 전송 모드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및/또는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에 따라, 상기 단말의 업링크 프로코딩 지시를 확정하기 위한 송신 파워 가설을 확정하기 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 보고에 따라 획득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이거나; 또는,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단말을 위해 배치한 코드북 서브세트 제한에 대응되는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만약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에 제1 타겟 프리코딩이 존재한다면,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안테나 포트 수 또는 단말을 위해 배치한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RS) 자원 수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2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및/또는, 만약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라면,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하의 제3 타겟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상기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기타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제1 스트림 수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넌제로인 파워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1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 이외의 기타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0.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부분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싱글 스트림 전송에 대응되는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단말이 지원하는 코히어런트 전송 가능한 최대 안테나 포트 수 및 네트워크 기기에서 단말을 위해 배치한 상기 단말의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대응되는 업링크 전송 모드의 안테나 포트 수 사이의 제2 비율 값에 따라,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에 대해 스케일링을 진행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1.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전송 모드는 비 코드북 업링크 전송이고, 상기 가설한 단말의 코히어런트 전송 능력은 풀 코히어런트 전송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프리코딩에 대응되는 송신 파워 가설을, 상기 단말에서 파워 제어 과정에 의해 확정된 업링크 송신 파워의 값을 변함없도록 제어하는 것임으로 확정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2.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단말에 상기 제1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3.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단말에 상기 제2 타겟 프리코딩 및/또는 상기 제3 타겟 프리코딩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6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중,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37항 내지 제49 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35292A 2018-05-11 2019-05-08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KR102380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50703.2A CN110475330B (zh) 2018-05-11 2018-05-11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设备
CN201810450703.2 2018-05-11
PCT/CN2019/086015 WO2019214648A1 (zh) 2018-05-11 2019-05-08 上行功率控制方法、终端及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5275A true KR20210005275A (ko) 2021-01-13
KR102380699B1 KR102380699B1 (ko) 2022-03-29

Family

ID=6846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292A KR102380699B1 (ko) 2018-05-11 2019-05-08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06618B2 (ko)
EP (1) EP3793274B1 (ko)
JP (1) JP7450554B2 (ko)
KR (1) KR102380699B1 (ko)
CN (1) CN110475330B (ko)
WO (1) WO2019214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8059B1 (en) * 2016-06-03 2020-11-2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10952151B2 (en) * 2018-04-19 2021-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Uplink power control for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1050390B (zh) * 2018-10-12 2021-11-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上行功率控制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BR112021015756A2 (pt) * 2019-02-13 2021-10-26 Idac Holdings, Inc. Unidade de transmissão/recepção sem fio, e, método
WO2020221422A1 (en) * 2019-04-29 2020-1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from a terminal device
WO2021138884A1 (en) * 2020-01-10 2021-07-1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design for uplink precoding with restricted uplink transmit power
WO2021142774A1 (zh) 2020-01-17 2021-07-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EP4120751A4 (en) * 2020-04-10 2023-05-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11647467B2 (en) * 2020-05-28 2023-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pability signaling to enable full power uplink transmission
CN114126023B (zh) * 2020-08-31 2024-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配置方法及装置
CN115333584B (zh) * 2021-05-10 2024-02-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预编码矩阵的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095802A (zh) * 2021-11-05 2023-05-09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Srs传输功率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177547A1 (en) * 2022-03-14 2023-09-21 Intel Corporation Eight port uplink transmission enhancements
WO2024016306A1 (en) * 2022-07-22 2024-01-25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control for sensing
CN117998554A (zh) * 2022-11-04 2024-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上行发送功率确定的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377A (zh) * 2016-03-30 2016-08-24 北京邮电大学 一种认知网络中接收端解码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2029B2 (en) * 2006-10-02 2010-04-2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IMO precoding enabling spatial multiplexing, power allocation and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WO2009026741A1 (fr) * 2007-08-29 2009-03-05 Alcatel Shanghai Bell Company, Ltd.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un précodage distribué
JP4801755B2 (ja) * 2009-04-23 2011-10-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WO2010133028A1 (zh) * 2009-05-21 2010-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装置和基站
CN101674642B (zh) * 2009-09-29 2014-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天线终端发射功率的控制方法和系统
WO2011053220A1 (en) * 2009-10-30 2011-05-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plink transmit diversity
JP5149348B2 (ja) 2010-04-05 2013-02-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移動局装置
WO2011145890A2 (ko) * 2010-05-20 2011-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사용자기기
CN102387575B (zh) * 2010-08-27 2016-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的控制方法及系统
CN102882657B (zh) 2011-07-15 2018-01-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上行链路秩自适应的方法、设备和系统
CN111615199B (zh) * 2011-10-28 2023-10-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功率控制的方法、用户设备和接入点
CN103369647B (zh) * 2012-04-06 2017-12-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天线的功率分配方法及装置
CN103379603B (zh) * 2012-04-17 2016-08-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功控信息通知及功控方法和设备
US9674801B2 (en) * 2012-07-26 2017-06-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UE power allocation according to scheduler utility metric for DL MU-MIMO and DL CoMP
KR101611825B1 (ko) 2013-11-08 2016-04-14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그 장치
EP3566328A1 (en) * 2017-01-09 2019-11-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ybrid-srs combination signaling
EP3709720B1 (en) * 2017-11-23 2021-10-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EP3520312B1 (en) * 2017-12-07 2022-02-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uplink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by user euq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CN111727642B (zh) * 2018-02-09 2023-07-1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和系统
CN111726149B (zh) * 2018-04-06 2021-11-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新无线上行链路单用户多输入多输出通信的功率控制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7377A (zh) * 2016-03-30 2016-08-24 北京邮电大学 一种认知网络中接收端解码方法及装置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02631 *
3GPP R1-171044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50554B2 (ja) 2024-03-15
WO2019214648A1 (zh) 2019-11-14
EP3793274A4 (en) 2021-09-29
US11206618B2 (en) 2021-12-21
KR102380699B1 (ko) 2022-03-29
EP3793274B1 (en) 2023-03-29
CN110475330A (zh) 2019-11-19
US20210314873A1 (en) 2021-10-07
JP2021524193A (ja) 2021-09-09
CN110475330B (zh) 2021-05-25
EP3793274A1 (en) 202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0699B1 (ko)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RU2730892C1 (ru) Зондирование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на множестве ресурсов и передача поднабора антенн
CN115395994B (zh) 一种传输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374768B2 (en) Efficient SRS resource indication methods
US10396875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US11184064B2 (en) Transmissions using antenna port sets
US20220053477A1 (en) Concurrent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Capability Reporting using Multiple Codebooks
CN114337953B (zh) 上行信道参数的确定和配置方法及装置
WO2020167747A1 (en) Ul mimo full tx power
KR20230058561A (ko) 업링크 파워 제어 방법 및 기기
CN116567833A (zh) 一种信号传输的方法、网络设备及终端设备
US20230024879A1 (en) Ind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WO201924202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transmission
WO2018137642A1 (zh) 信道质量信息的上报方法、多用户调度方法及装置
CN111436107B (zh) 上行信号的发送方法、信道质量确定方法和相关设备
AU2019443559B2 (en) Transmission of reference signals from a terminal device
US20230081552A1 (en) Uplink multi-antenn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321175A1 (en) CRI Extension for Multi-TRP CSI Enhancement
CN114598365B (zh) 传输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0804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status by a transceiver
EP3991316A1 (en)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reporting with cqi headroom
WO2024065385A1 (en) Ul precoding schemes for full coherent ue and non-coherent ue with eight antenna ports
CN10873694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基站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