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944A - 에너지 그리드의 향상된 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그리드의 향상된 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944A
KR20210004944A KR1020207021202A KR20207021202A KR20210004944A KR 20210004944 A KR20210004944 A KR 20210004944A KR 1020207021202 A KR1020207021202 A KR 1020207021202A KR 20207021202 A KR20207021202 A KR 20207021202A KR 20210004944 A KR20210004944 A KR 20210004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grid
temporarily determined
control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르 로센
Original Assignee
이엠지 에너지몬타게그루펜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엠지 에너지몬타게그루펜 에이비 filed Critical 이엠지 에너지몬타게그루펜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21000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0District heating systems
    • F24D10/006Direct domestic delivery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44Measuring or calculating 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6Reducing cost using the price of energy, e.g. choos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energy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55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 F24H15/37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of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3Heat from a district heating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1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control
    • F24H15/176Improving or maintaining comfort of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62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17District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히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컬 히팅 시스템은, 히팅 그리드(Heating Grid)(110)에 연결된 제1 열원(10);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에 연결된 제2 열원(20); 열 방출 장치(30); 열 방출 장치(30)와 제1 및 제2 열원(10, 20)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40); 및 히팅 그리드(110)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 각각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열원(10, 20)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너지 그리드의 향상된 활용 방법
본 발명은, 히팅 그리드에 연결된 제1 열원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 제2 열원을 포함하는 로컬 히팅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의 거의 모든 선진국 대도시에는 인프라 구조에 포함되는 적어도 2 종류의 에너지 분배 그리드가 있다. 이 중 하나의 그리드는 히팅(Heating)을 제공하는 것이고, 다른 그리드는 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히팅을 제공하는 그리드는 예를 들면 쾌적 히팅 및/또는 프로세스 히팅, 및/또는 온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전기를 제공하는 그리드는 가전 제품, 전기차, 조명 장치 등에 전기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히팅 제공용 일반 그리드는 가연성 기체, 보통 화석 연료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그리드이다. 가스 그리드에 의해 제공되는 가스는 국소적으로 건물에서 연소되어 쾌적 히팅 및/또는 프로세스 히팅, 및/또는 온수 제조에 사용된다. 난방 제공용 대안 그리드(Alternative Grid)는 지역 난방 그리드(District Heating Grid)다. 지역 난방 그리드는 가열된 열 전달 액체를 일반적으로 물의 형태로 도시 건물들에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중앙에 위치하는 히팅 및 펌핑 시설은 열 전달 액체를 가열하고 분배하는데 사용된다. 열 전달 액체는 하나 이상의 공급 도관을 통해 건물로 전달되고, 하나 이상의 회수 도관을 통해 히팅 및 펌핑 시설으로 회수된다. 국소적으로 건물에서, 열 전달 액체로부터 나온 열기는 열 교환기를 통해 로컬 히팅 시스템으로 추출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가 가열에 사용될 수 있다. 열 에너지는 예를 들어, 쾌적 히팅 및/또는 프로세스 히팅에 사용되는 로컬 열 전달 액체의 가열 또는 수돗물의 가열에 사용될 수 있다.
난방을 위한 에너지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에너지 분배 그리드에 분배되는 에너지의 활용 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에너지 분배 그리드에 분배되는 에너지의 활용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에너지 그리드의 활용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완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양태에 따라,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 (Primary Local Heating System)을 제어하는 방법을 이용해 상기 목적을 달성했다.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은, 히팅 그리드(Heating Grid)에 연결된 제1 열원,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 제2 열원, 쾌적 히팅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열 방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열 방출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열원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방법을 진행하는 동안, 제1 열원은 히팅 그리드에 연결되고, 제2 열원은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히팅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Temporary Resolved Overall Available Heating Capacity)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상기 히팅 그리드에 연결됨)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내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열원이 연결된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내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 방출량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Outtake)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제어된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열기를 소비하는 특성에서 나온 과거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는 일별 시각, 연중 일자와 같은 시간 데이터에 기인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는 풍속, 강우량, 강설량, 외부 온도, 외부 습도 등과 같은 날씨 데이터에도 기인할 수 있다. 그로써,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과거 데이터, 시간 데이터 및/또는 날씨 예측 데이터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를 예측하기 위해, 열기를 소비하는 다른 특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는 전기 소비자로부터 과거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예측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는 일별 시각, 연중 일자와 같은 시간 데이터에 기인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는 풍속, 강우량, 강설량, 외부 온도, 외부 습도 등과 같은 날씨 데이터에도 기인할 수 있다. 그로써,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는 과거 데이터, 시간 데이터 및/또는 날씨 예측 데이터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다수의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 각각은, 히팅 그리드에 연결된 열원, 쾌적 히팅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열 방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열 방출 장치와 상기 열원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을 포함한다.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은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에너지의 입력, 전달 효율성 및/또는 히팅 그리드와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수용량은 각각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체 가용 전력에서의 시간적 변화는 추가 에너지 생산 설비의 일시적 이용, 및/또는 태양열 발전, 풍력 발전 및/또는 조력 발전과 같이 시간에 따라 생산이 변하는 전기 생산 설비의 이용에 따른 것일 수 있다. 시간에 따라 생산이 달라지는 전기 생산 설비의 이용은 미래에 반드시 증가할 것이다. 또한, 변화는 수력 발전소의 저수지 내의 수위의 변화에 따른 것일 수 있다. 덧붙여, 전체 가용 전력은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대한 파손 또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공급하는 발전소의 폐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히팅 그리드의 전체 가용 히팅 용량은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는 히팅 그리드에 공급하는 추가 에너지 발전소의 일시적인 이용, 히팅 그리드에 공급하는 지열 에너지의 가용성 상승, 또는 히팅 그리드 공급에 사용되는 연소 발전소(Combustion Power Plant)에서 연소 물질의 초과 사용 등에 기인한다. 또한, 히팅 그리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은 히팅 그리드에 대한 손상 또는 히팅 그리드에 공급하는 하나의 이상의 발전소의 폐쇄에 의해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체 히팅 소비 필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차가운 외부 온도, 풍향 조건, 로컬 히팅 시스템이 쾌적 히팅을 전달하는 건물의 사용 현황, 태양으로부터의 방사선, 일별 시각, 주중 일자 및/또는 연중 일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바람이 안 부는 동안 및/또는 상대적으로 외부 온도가 높을 때 줄어들 수 있다. 추가 예시에 따라,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주중에 일부 오피스 건물에서 내부 온도가 더 낮게 제어될 때 줄어들 수 있다. 또 다른 추가 예시에 따라,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바람이 부는 상황 및/또는 상대적으로 낮은 외부 온도를 유지하는 상황에 증가할 수 있다.
전체 전력 필요는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체 전력 필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외부 온도, 풍향 조건, 전기 에너지 그리드가 전력을 전달하는 건물의 사용 현황, 태양으로부터의 방사선, 일별 시각, 주중 일자 및/또는 연중 일자를 포함한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히팅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 사이에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관계를 나타내며, 히팅 그리드의 수용량을 소비하는 '가상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력의 공급과 수요 사이에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관계를 나타내며,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수용량을 소비하는 '가상 비용'을 제공할 수 있다.
히팅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공통 척도로 규정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쉽게 서로 비교할 수 있다.
히팅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도입하고 그 값을 결정한 후, 이 같은 값을 기초로 제1 및 제2 열원으로부터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함으로써, 전체 가용 용량/전력과 비교해 전체 필요들 사이의 불균형을 보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히팅 소비 필요에 있어서 전체 수요가 비슷하게 높으면,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 제2 열원으로부터 열기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열원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기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전체 전력 필요에 있어서 전체 수요가 비슷하게 높으면,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 제2 열원으로부터 열기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열원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기 유리할 수 있다.
히팅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체 필요와 가용 용량 사이의 관계보다는 다른 요인들을 고려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히팅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생산의 환경적 영향을 고려할 수도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은 예측 내용을 고려할 수도 있다. 전체 히팅 필요가 다른 히팅 시설을 작동시켜야 하는 임계점(Critical Point)에 도달하면, 히팅 제어 파라미터가 결정되고, 그 후 상기 파라미터는 전체 히팅 소비 필요를 실제보다 더 크게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 제2 열원이 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열기의 방출을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히팅 그리드로부터의 히팅 용량에 대한 필요는 감소할 수 있으므로, 히팅 그리드로 열기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추가 열 생산 설비의 작동을 다행히 피할 수 있다.
히팅 및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에너지량당 가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어 파라미터는 에너지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수치 지수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내용에 의해, 에너지 방출은 히팅 그리드와 전기 에너지 그리드 사이에서 역학적으로(Dynamically)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자원 효율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에너지 분배 그리드로부터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환경적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서만 또는 히팅 그리드에서만 에너지를 제거할 수 있었거나 다양한 비율로 두 가지 그리드 모두에서 에너지를 일부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방출은 현 시점에 최적화되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대 방출량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내용의 맥락상에서 "최소화"라는 표현은 상대 방출에 관한 기능에서의 실제 최소값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최소값에 충분히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예를 들면, 이는 실제 값의 20% 이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제 값의 10% 이내이다.
가열용 전기 에너지 그리드만을 사용하는 특정 상황은, 현재 열기 수요와 관련해 히팅 그리드의 수용량이 제한되거나 불충분한 경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체 전력 그리드 내의 현재 전기 수요와 관련해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생산 수용이 훨씬 제한되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 히팅 그리드에서만 에너지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히팅 그리드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 내에 상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수용량의 그리드로 더 많은 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히팅 필요 측면에서 더 큰 변화를 줄 수 있고, 히팅 에너지 및/또는 전기 에너지의 간헐적 생산을 더 많이 허용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히팅 그리드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 그리드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량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온실 가스 방출이 완화되도록(예를 들어, 온실 가스를 덜 생산하는 자원으로 열 생산물을 만들 때 이 같은 열기를 제거함으로써) 로컬 히팅 시스템의 히팅 그리드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열기를 히팅 그리드로부터 분배 시스템의 열 전달 유체로 전달하는 제1 열원의 성능(Capability) 효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열기를 히팅 그리드로부터 분배 시스템의 열 전달 유체로 전달하는 제1 열원의 성능 효율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방출 또는 열기의 에너지 효율을 더 향상시켜 환경적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히팅 그리드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히팅 그리드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각각의 열원을 이용하여 비용을 더 쉽게 비교할 수 있어,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는데 더 쉽게 비용을 사용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량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온실 가스 방출이 완화되도록(예를 들어, 온실 가스를 덜 생산하는 자원으로 전력 생산물을 만들 때 이 같은 열기를 제거함으로써) 로컬 히팅 시스템의 전력 그리드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분배 시스템의 열 전달 유체 내의 열기로 변환시키는 제2 열원의 성능 효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히팅용 전기를 이용하여 비용을 더 쉽게 비교할 수 있어,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는데 더 쉽게 비용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열원은 히팅 그리드로 연결된 열 펌프 또는 열 교환기일 수 있다.
제2 열원은 저항성 전기 히터(Resistive Electric Heater)일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로컬 히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었다. 로컬 히팅 시스템은, 히팅 그리드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히팅 그리드로부터 열을 추출하도록 배열된 제1 열원;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를 통해 전기 공급을 열기로 변환시키는 제2 열원; 열 방출 장치; 상기 열 방출 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열원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 및 상기 히팅 그리드 및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열원의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 및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비교를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히팅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상기 히팅 그리드에 연결됨)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내며,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대 방출량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내용의 맥락상에서 "최소화"라는 표현은 상대 방출에 관한 기능에서의 실제 최소값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최소값에 충분히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예를 들면, 이는 실제 값의 20% 이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제 값의 10% 이내이다.
제2 열원은 분배 시스템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열원은 저항성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제1 열원은 열 펌프 또는 열 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앞서 언급된 특징들은 적용 가능한 경우 이 제2 양태에도 적용된다.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위의 내용을 참조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제어기에 의해 달성되었다. 제어기는, 히팅 그리드에 연결된 제1 열원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연결된 제2 열원(상기 제1 및 제2 열원은 로컬 히팅 시스템에 속함)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 열원 및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히팅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상기 히팅 그리드에 연결됨)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낸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열원이 연결된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낸다.
제어기는 국소적으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제어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히팅 그리드로부터의 상기 제1 열원의 열기의 방출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 및 로컬 히팅 시스템의 앞서 언급된 특징들은, 적용 가능한 경우 이 제3 양태에도 적용된다.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위의 내용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아래 상세 설명을 통해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변형과 변경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상세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명백히 드러나기 때문에, 상세 설명과 특정 예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설명을 위한 내용으로만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같은 장치와 방법은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장치의 특정 부분이나 여기에 설명되는 방법의 특정 단계에만 국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여기 사용된 전문 용어들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지 그것들로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서 사용된 관사 및 복수 표현은 문맥상 정확하게 언급되지 않은 이상 하나 이상의 요소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유닛” 또는 “상기 유닛”과 같은 표현은 여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구성”, “포함”, “함유” 및 유사한 표현들은 다른 요소나 단계를 제외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동일한 히팅 그리드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에 각각 연결된 다수의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 내에 상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수의 특정 수용량의 그리드로 로컬 히팅 시스템을 연결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사용자에 대한 히팅 필요 측면에서 더 큰 변화를 줄 수 있고, 히팅 에너지 및/또는 전기 에너지의 간헐적 생산을 더 많이 허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양태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로만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이해하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현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된 개략도를 참조하여, 예시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열원 및 제2 열원을 포함하는 로컬 히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컬 히팅 시스템의 제1 및 제2 열원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는 방법(200)의 블록도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개념의 상세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나온 실시예로만 제한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이 같은 실시예들은 예시의 방식으로 제시되며,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 범위를 전달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로컬 히팅 시스템(Local Heating System)(1)에 대해 논의하기로 한다. 로컬 히팅 시스템(1)은 제1 열원(10), 제2 열원(20), 열 방출 장치(30), 및 상기 열 방출 장치(30)와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제1 열원(10)은 히팅 그리드(Heating Grid)(110)에 연결된다. 히팅 그리드(110)는 제1 열원(10)으로 열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히팅 그리드(110)는 지역 난방 시스템일 수 있다. 지역 난방 시스템은, 지역 열 전달 유체의 유입 흐름을 위한 지역 공급 도관 및 지역 열 전달 유체의 회수 흐름을 위한 지역 회수 도관을 포함하는 유압식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지역 난방 시스템에서, 유압식 네트워크의 지역 공급 도관과 지역 회수 도관 사이의 구동 압력차는 소위 "압력콘(Pressure Cone)"을 생성하여, 지역 공급 도관에서의 압력이 회수 도관보다 높아진다. 이 같은 압력차는 유압식 네트워크 내의 지역 열 전달 유체를 중앙 열 생산 설비와 지역 난방 시스템에 연결된 로컬 히팅 시스템 사이에서 순환시킨다. 또한, 하나 이상의 지역 그리드 순환 펌프는 구동 압력차를 제공하기 위해 지역 난방 시스템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히팅 그리드(100)가 지역 난방 시스템인 경우, 제1 열원(10)은 열 교환기다. 이 또한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이다.
대안적으로, 히팅 그리드(100)는 WO 2017/076868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지역 열 에너지 분배 시스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원(10)은 WO 2017/076868 및/또는 WO2017/076866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열 에너지 소비재 열 교환기다.
다른 대안적으로, 히팅 그리드(100)는 가연성 기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된 가스 분배 그리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열원(10)은 가스 버너(Burner)다.
분배 시스템(40)은 공급선(42) 및 회수선(44)을 포함한다. 분배 시스템(40)은 순환 펌프(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원(10)은 공급선(42) 및 회수선(44)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열 전달 유체가 회수선(44)로부터 제1 열원(10)을 통해 공급선(42)으로 흐르게 한다. 그러는 동안 제1 열원(10)은 제1 열원(10)을 통해 흐르는 분배 시스템(40)의 열 전달 유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1 열원(10)은 열기를 히팅 그리드(110)으로부터 분배 시스템(40)의 열 전달 유체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2 열원(20)은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에 연결된다. 제2 열원(20)은 일반적으로 저항성 전기 히터(Resistive Electric Heater)다. 제2 열원(20)은 분배 시스템(40) 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 열원(20)은 공급선(42) 상에 배열된다.
열 방출 장치(30)는 쾌적 히팅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열 방출 장치(30)는 라디에이터(Radiator)일 수 있다. 로컬 히팅 시스템(1)은 다수의 열 방출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열 방출 장치(30)는 열을 그 주변으로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열 방출 장치(30)는 건물의 방 안에 배열된다.
제1 열원(10)은 히팅 그리드(110)의 열 전달 유체로부터 로컬 히팅 시스템(1)의 분배 시스템(40) 내의 열 전달 유체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열기는 대규모 열 생산 설비(미도시)에서 원거리로 생성되고 설비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국소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설비는 예를 들어 지열 에너지 또는 가정 내 쓰레기를 연소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프로세스를 통해 생성된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에너지는 히팅 그리드(110)을 통해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열기는 히팅 그리드(110)에 연결된 열원에 의해 제거된다.
제1 열원(10)으로 나온 열기에 더해 또는 이를 대신해,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으로부터의 전기를 제2 열원(20)로 공급하면 제2 열원(20)이 히팅 시스템(1)의 분배 시스템(40)의 열 전달 유체를 가열함으로써, 제2 열원(20)을 이용해 로컬 히팅 시스템(1) 내에서 국소적으로 열기가 생성될 수 있다.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가 히팅 그리드(110)와 다르게 작동하기 때문에, 각각의 다른 열원(10, 20)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히팅 그리드(110)이나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부족이나 고장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어느 열원을 사용할지, 어느 정도 사용할지에 대한 결정은 각각의 로컬 히팅 시스템(1)에서 국소적으로 제어되거나, 히팅 그리드(110) 및/또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에 연결된 각각의 로컬 히팅 시스템(1)에 연결된 제어기에 의해 중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로컬 히팅 시스템은 제1 및 제2 열원(10, 20)의 열기의 방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히팅 그리드(110)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 각각으로부터의 제1 및 제2 열원(10, 20)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대적 제어는 제1 및 제2 열원(10, 20)이 한 번에 하나씩 사용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보다는, 한 번에 하나씩 사용되거나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열원(10, 20)으로부터의 상대적 에너지 방출이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기(50)는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의 상대적 방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 및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비교를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히팅 그리드(11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Temporary Resolved Overall Available Heating Capacity)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상기 히팅 그리드(100)에 연결됨)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소비의 필요를 나타낸다.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를 국소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중앙 서버(미도시)로부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의 필요를 나타낸다.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중앙 서버(미도시)로부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어기(50)는,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적화되도록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대 방출량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내용의 맥락상에서 "최소화"라는 표현은 상대 방출에 관한 기능에서의 실제 최소값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최소값에 충분히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예를 들면, 이는 실제 값의 20% 이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제 값의 10% 이내이다.
상기 히팅 그리드(110)로부터의 상기 제1 열원(10)의 열기의 방출은 제어 밸브(12)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제어 밸브(12)를 제어함으로써, 히팅 그리드의 열 전달 유체의 제1 열원(10)으로의 흐름이 제어된다. 제어기(50)는 제어 밸브(1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밸브(1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 열원(10)으로부터 히팅 그리드로 열 전달 유체를 회수하도록 배열된 회수선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는, 예를 들어, 히팅 그리드(110)가 열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그리드 내의 열 전달 유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그리드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 밸브(12)는 히팅 그리드(110)로부터 제1 열원(10)으로 열 전달 유체를 공급하도록 배열된 공급선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는, 예를 들어, 히팅 그리드(110)가 가연성 기체를 제공하는 그리드이며 제1 열원(10)이 가스 버너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의 제어는, 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의 제어는, 수동 결정 및 오버라이드(Override)와 결합해 데이터 분석을 기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내용에 따라 로컬 히팅 시스템(1)의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는 방법(200)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방법(200)은, 히팅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상기 히팅 그리드에 연결됨)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내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202)를 포함한다.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는 기설정된 시간이 흐르는 동안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을 가열하는데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한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과거 데이터를 기초로 할 뿐 아니라 예측 데이터도 기초할 수 있다. 히팅 그리드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은 예를 들어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날씨 예보와 같은 예측 정보를 기반으로도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로컬 히팅 시스템에 대한 로컬 센서는 외부 날씨, 풍량, 외부 습도 등과 같은 지역 날씨 데이터를 보고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같은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또는 로컬 히팅 소비 필요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방법(200)은, 제2 열원(20)이 연결된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내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20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200)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는 단계(S206)를 포함한다.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적화되도록 상기 방출량이 제어된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대 방출량이 최적화될 수 있다. 본 내용의 맥락상에서 "최소화"라는 표현은 상대 방출에 관한 기능에서의 실제 최소값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 최소값에 충분히 근접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예를 들면, 이는 실제 값의 20% 이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제 값의 10% 이내이다.
시간적 분석을 위한 기설정된 기간은, 로컬 히팅 시스템, 열 생성 설비 또는 전기 생성 설비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해상도 및 지연과 같은 에너지 분배 그리드 각각의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기간은 1시간, 2시간, 6시간 또는 24시간일 수 있다. 다른 기간도 본 발명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전체 가용 히팅 용량은 모든 생성된 히팅에 관한 것으로, 이 말인 즉, 소비된 히팅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마찬가지로, 전체 가용 전력은 모든 생성된 전력에 관한 것으로, 소비된 전력은 고려하지 않는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히팅 그리드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 방출되는 온실 가스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열기를 히팅 그리드로부터 분배 시스템의 열 전달 유체로 전달하는 제1 열원의 성능(Capability) 효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히팅 그리드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분배 시스템의 열 전달 유체 내의 열로 변환하는 제2 열원의 성능 효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전기 에너지 그리드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은 상기 서술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반대로, 모든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기(50)는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어기(50)는 제1 및 제2 열원(10,20) 모두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단일 제어기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 제어기(50)는 두 개 이상의 제어기 모듈을 포함하는 분산된 제어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기 모듈은 제1 열원(1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제어기 모듈은 제2 열원(2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제어기 모듈은 서로 통신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은 무신 또는 유선으로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청구되는 발명을 실행하는데 있어 통상의 기술자는 도면, 본 발명 및 첨부된 청구항을 통해 개시된 실시예에 변형을 이해하고 영향을 받을 수 있다.

Claims (18)

  1. 히팅 그리드(Heating Grid)(110)에 연결된 제1 열원(10),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에 연결된 제2 열원(20), 쾌적 히팅(Comfort Heating)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열 방출 장치(3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열 방출 장치(30)와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40)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리 로컬 히팅 시스템(Primary Local Heating System)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히팅 그리드(11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Temporary Resolved Overall Available Heating Capacity)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 - 상기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은 상기 히팅 그리드(100)에 연결됨 - 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내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202),
    상기 제2 열원(20)이 연결된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내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204), 및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1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Outtake)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비교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는 단계(S206)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히팅 그리드(110)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열기를 상기 히팅 그리드(110)로부터 상기 분배 시스템(40)의 상기 열 전달 유체로 전달하는 상기 제1 열원(10)의 성능(Capability) 효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히팅 그리드(110)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의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로 방출되는 온실 가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분배 시스템(40)의 상기 열 전달 유체 내의 열기로 변환시키는 상기 제2 열원(20)의 성능 효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전기 에너지 유닛 별 비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원(10)은, 상기 히팅 그리드(110)로 연결된 열 펌프 또는 열 교환기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원(20)은, 저항성 전기 히터(Resistive Electric Heater)인 방법.
  10. 로컬 히팅 시스템(Local Heating System)에 있어서,
    히팅 그리드(Heating Grid)(110)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히팅 그리드(110)로부터 열을 추출하도록 배열된 제1 열원(10);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에 연결 가능하고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를 통해 전기 공급을 열기로 변환시키는 제2 열원(20);
    열 방출 장치(30);
    상기 열 방출 장치(30)와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 사이에서의 열 전달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분배 시스템(40); 및
    상기 히팅 그리드(110) 및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 각각으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의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50)
    를 포함하는 로컬 히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 및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비교를 제어하는 것에 기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히팅 그리드(11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 - 상기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은 상기 히팅 그리드(100)에 연결됨 - 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내며,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내는, 로컬 히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50)가,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1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Outtake)을 곱한 값과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기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로컬 히팅 시스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원(20)이 상기 분배 시스템(40) 내에 배열되는 로컬 히팅 시스템.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원(20)은, 저항성 전기 히터(Resistive Electric Heater)인 로컬 히팅 시스템.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원(10)은, 열 펌프 또는 열 교환기인 로컬 히팅 시스템.
  16. 히팅 그리드(Heating Grid)(110)에 연결된 제1 열원(10) 및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에 연결된 제2 열원(20) - 상기 제1 및 제2 열원(10, 20)은 로컬 히팅 시스템(Local Heating System) (1)에 속함 - 으로부터의 열기의 상대 방출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50)는,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1 열원(1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Outtake)을 곱한 값과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상기 제2 열원(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방출량을 곱한 값의 합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제1 열원(10) 및 제2 열원(20)으로부터 나온 열기의 상대 방출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히팅 그리드(11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용량에 관하여,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 - 상기 다수의 로컬 히팅 시스템은 상기 히팅 그리드(100)에 연결됨 - 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히팅 소비 필요를 나타내며,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열원(20)이 연결된 상기 전기 에너지 그리드(120)의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가용 전력에 관하여,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체 전력 필요를 나타내는, 제어기.
  17. 제16항에 있어서,
    국소적으로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히팅 제어 파라미터 및/또는 상기 일시적으로 결정된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어기.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제어 밸브(12)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히팅 그리드(110)로부터의 상기 제1 열원(10)의 열기의 방출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제어기.
KR1020207021202A 2017-12-27 2018-12-20 에너지 그리드의 향상된 활용 방법 KR202100049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10730.2 2017-12-27
EP17210730.2A EP3505833A1 (en) 2017-12-27 2017-12-27 Method for improved utilization of energy grids
PCT/EP2018/086057 WO2019129608A1 (en) 2017-12-27 2018-12-20 Method for improved utilization of energy gri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944A true KR20210004944A (ko) 2021-01-13

Family

ID=6095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202A KR20210004944A (ko) 2017-12-27 2018-12-20 에너지 그리드의 향상된 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00363073A1 (ko)
EP (2) EP3505833A1 (ko)
JP (1) JP2021509165A (ko)
KR (1) KR20210004944A (ko)
CN (1) CN111656098B (ko)
AU (1) AU2018393990B2 (ko)
BR (1) BR112020012767A2 (ko)
CA (1) CA3085537A1 (ko)
CL (1) CL2020001523A1 (ko)
HR (1) HRP20240206T1 (ko)
MX (1) MX2020006718A (ko)
PL (1) PL3732400T3 (ko)
WO (1) WO2019129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5614A1 (en) * 2019-11-22 2021-05-26 E.ON Sverige AB Method for controlling a flow of heat transfer fluid in a district heating/cooling grid, control unit and system
FI20225870A1 (fi) * 2022-09-30 2024-03-31 Fortum Oyj Lämmitysjärjestelmän kontrollointi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5416A1 (de) * 1982-12-08 1984-08-16 Strelow, geb. Schumacher, Roswitha, 4000 Düsseldorf Energietauschersystem
JP3548672B2 (ja) * 1997-06-30 2004-07-28 株式会社東芝 地域熱供給プラントの制御装置
US7174260B2 (en) * 2004-04-01 2007-02-06 Blue Line Innov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power meters
EP2122257B1 (en) * 2007-02-19 2017-04-26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Co2 based district energy system
WO2010102626A2 (en) * 2009-03-10 2010-09-16 Danfoss A/S Heating system
EA201491807A1 (ru) * 2009-06-16 2015-05-29 Дек Дизайн Микэникл Кэнсалтентс Лтд. Система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EP3431886A1 (de) * 2010-03-25 2019-01-23 Delta Systemtechnik GmbH Verfahren zum erwärmen von trinkwasser, haustechniksystem, wohnungsstation und gebäude
DE202011106855U1 (de) * 2011-10-15 2011-11-29 Institut Für Solarenergieforschung Gmbh Wärmeversorgungssystem mit dezentralen Wärmepumpen und gebäudeintegriertem Wärmequellennetz für Umweltwärme, insbesondere Erdwärme, Umgebungsluft, Abwärme oder/und Solarwärme
JP5990897B2 (ja) * 2011-11-25 2016-09-14 ソニー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送電装置、および電力制御システム
FR2989476B1 (fr) * 2012-04-12 2016-02-1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et systeme de pilotage d'une installation de gestion de l'energie
DE102013015503A1 (de) * 2013-02-06 2014-08-07 Walter Pragst Bedarfsgerechte Heizleistungsregelung für Kraftwerke mit Kraft-Wärmekopplung
KR101434908B1 (ko) * 2013-05-23 2014-08-29 포스코에너지 주식회사 중저온 폐열을 활용한 난방 열원 또는 전기 생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GB2542222B (en) * 2014-01-09 2018-04-25 Erda Master Ipco Ltd Thermal energy network
CN108603667B (zh) 2015-11-04 2020-11-27 瑞典意昂公司 用于区域热能分配系统的局部热能消耗器组件和局部热能生成器组件
EP3165831A1 (en) 2015-11-04 2017-05-10 E.ON Sverige AB A district thermal energy distribution system
EP3273168A1 (en) * 2016-07-19 2018-01-24 E.ON Sverige AB Method for controlling heat transfer between a local cooling system and a local heating system
EP3343717A1 (en) * 2016-12-27 2018-07-04 Vito NV Hierarchical implicit controller for shielded system in a grid
US10641510B2 (en) * 2017-11-23 2020-05-05 Groundswell Grid Energy Cor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heating and cooling requirements in a modular heat energy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5833A1 (en) 2019-07-03
PL3732400T3 (pl) 2024-04-22
MX2020006718A (es) 2020-11-11
CL2020001523A1 (es) 2020-12-18
WO2019129608A1 (en) 2019-07-04
CA3085537A1 (en) 2019-07-04
EP3732400B1 (en) 2023-12-13
EP3732400A1 (en) 2020-11-04
US20200363073A1 (en) 2020-11-19
AU2018393990A1 (en) 2020-06-11
CN111656098B (zh) 2021-12-03
BR112020012767A2 (pt) 2021-03-23
EP3732400C0 (en) 2023-12-13
CN111656098A (zh) 2020-09-11
JP2021509165A (ja) 2021-03-18
HRP20240206T1 (hr) 2024-04-26
AU2018393990B2 (en)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6288B (zh) 家用能源设备及操作家用能源设备的操作方法
Zhao et al. A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structures using a multi-agent decision-making control methodology
Jiang et al. Modelling and operation optimization of an integrated energy based direct district water-heating system
Bandyopadhyay Design and optimization of isolated energy systems through pinch analysis
CN109858759A (zh) 一种工业园区综合能源平衡调度方法
WO2011105881A2 (en) Centralized heat and hot water supply system
Entchev et al. Application of hybrid micro-cogeneration system—Thermal and power energy solutions for Canadian residences
US201102459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objective management of the electrical and thermal energy generated by a co/trigeneration energy system in a multi-source energy plant
JP2013156937A (ja) エネルギーネットワークの最適運転制御装置
Ianakiev et al. Innovative system for delivery of low temperature district heating
Spriet et al. Wastewater as a heat source for individual residence heating: A techno-economic feasibility study in the brussels capital region
KR20210004944A (ko) 에너지 그리드의 향상된 활용 방법
Luo et al. A two-stage energy management strategy for CCHP microgrid considering house characteristics
Lee et al. A design methodology for energy infrastructures at the campus scale
Liu et al. Study of the thermal performance of a distributed solar heating system for residential buildings using a heat-user node model
CN110783917A (zh) 含有新能源消纳的多能源能量枢纽配置方法
Kang et al. Performance and benefits of distributed energy systems in cooling dominated regions: a case study
Shirazi et al. Comparison of control strategies for efficient thermal energy storage to decarbonize residential buildings in cold climates: A focus on solar and biomass sources
Curto et al. Flexibility Services in a Mediterranean Small Island to Minimize Costs and Emissions Related to Electricity Production from Fossil Fuels
CN102359732A (zh) 供热系统及其控制方法
Monghasemi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a photovoltaic/thermal-powered absorption chiller for a restaurant
Feng et al. The study of optimization model and cooperative control method for heat storage electric boiler to consume the abandoned wind and light
KIM et al. Power generation system for using unused energy in district heating pipelines
Brumana et al. Potential of solar-driven cooling systems in UAE region
Jin et al. Novel control strategy and modeling of air source heat pump for consuming PV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