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577A -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 Google Patents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577A
KR20210004577A KR1020190081206A KR20190081206A KR20210004577A KR 20210004577 A KR20210004577 A KR 20210004577A KR 1020190081206 A KR1020190081206 A KR 1020190081206A KR 20190081206 A KR20190081206 A KR 20190081206A KR 20210004577 A KR20210004577 A KR 20210004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us information
firefighting
control
equipmen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2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학준
이혜선
홍상기
박소영
양회성
이강복
임선화
전지훈
한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1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577A/en
Publication of KR20210004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a fire fighting facility. 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a fire fighting facility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or at least one fire fighting facility; performing correction on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and updating a safety inspection table stored in a database by using the corrected and obtained status inform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accurately perform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 fighting facility.

Description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Methods and device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본 발명은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관리자의 소방 점검 단말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점검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inspection by performing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through a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of a manager.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야기하는 화재가 발생하면, 피해를 완전히 복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화재를 미연에 예방하고 피해를 경감할 수 있는 노력이 필수적이다.In the event of a fire that causes a lot of human and property damage,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recover the damage, so efforts to prevent the fire and reduce the damage are essential.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각 건축물과 시설물에 설치된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이 주기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현재 국내의 소방 안전 점검은 소방 안전 관리자 1명과 보조 인력 2명이 하루에 최대 10000 내지 12000 m3의 공간에 대해 실시된다.As a part of these efforts, safety checks on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in each building and facility are periodically conducted. Currently, fire safety inspections in Korea are conducted by one fire safety manager and two auxiliary personnel for a space of up to 10,000 to 12000 m 3 per day.

이때, 소방 안전 관리자는 방재실 서버의 모니터를 주시하면서 방재실 서버에 수신되는 동작 신호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보조 인력 2명이 현장에 배치된 각종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이때, 소방 안전 관리자와 보조 인력은 무전기와 같은 통신 장비를 이용해 서로 소통하면서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At this time, since it is common for the fire safety manager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server while watching the monitor of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server, in practice, there is an abnormality in various firefighting facilities deployed by two auxiliary personnel. Check. At this time, the fire safety manager and auxiliary personnel use communication equipment such as radio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check whether the fire fighting equipment is abnormal.

이처럼, 다수의 인원이 소방 설비를 개별적으로 점검할 경우 서로간의 소통 오류, 착오 등으로 안전 점검 상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방재실 서버에서 한명이 반드시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소방 설비를 확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인력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In this way, when a large number of personnel individually inspect firefighting equipment, errors may occur in safety checks due to communication errors or errors, etc., and because one person must reside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server, the task of actually checking firefighting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of reducing the number of manpower to perfor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es: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efighting equipment, performing correction on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and the modified acquisi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updating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by using the status information.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은 앞선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소방 점검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may be performed by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according to FIGS. 1 to 4 above.

상기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현장 점검자의 입력을 통해 상태 정보의 수정이 수행되고,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 현장 점검자로부터 상태 정보의 수정이 없다는 확인(confirm)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ction, if there is a correction, the status information is corrected through the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and if there is no correction, a confirmation input that there is no correc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field inspector. hav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통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server.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 및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safety check items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상기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D),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fighting equipment, and cou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of the ring facility.

상기 커플링 설비는, 특정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보완관계에 있는 소방 설비일 수 있다.The coupling facility may be a firefighting facility in an installation location adjacent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or functionally interacting or complementary.

상기 안전 점검 항목은,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check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ropriateness of an installation location, an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and whether or not within the expiration date.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using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includes: searching the safety inspection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dentical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he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and Retriev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detec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 Considering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further check.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은, 상기 통제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제 서버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risk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riggers an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response equipment to the control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ther object can provide an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 memory storing instructions for instructing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I ca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tep may includ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performing correction on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and a database using the modified status information It may include updating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상기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현장 점검자의 입력을 통해 상태 정보의 수정이 수행되고,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 현장 점검자로부터 상태 정보의 수정이 없다는 확인(confirm)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ction, if there is a correction, the status information is corrected through the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and if there is no correction, a confirmation input that there is no correc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field inspector. hav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통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server.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 및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safety check items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상기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D),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fighting equipment, and cou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of the ring facility.

상기 커플링 설비는, 특정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보완관계에 있는 소방 설비일 수 있다.The coupling facility may be a firefighting facility in an installation location adjacent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or functionally interacting or complementary.

상기 안전 점검 항목은,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check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ropriateness of an installation location, an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and whether or not within the expiration date.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acquiring the status information,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using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includes: searching the safety inspection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dentical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he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and Retriev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detec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 Considering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further check.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통제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제 서버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t least one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risk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triggering an operation of a fire fighting facility to the control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안전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nd accurately perform safety inspection.

또한, 안전 점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착오나 오류를 미연에 확인하여 다시 점검함으로써 점검 신뢰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inspection is improved by checking and re-inspecting errors or errors that may occur in the safety inspection.

또한, 기존의 소방 설비에 내장된 신호 전달 방식과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도입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활용도가 높다.In addition, the method and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roduced irrespective of the signal transmission method built into the existing firefighting equipment, so it is economical and highly usefu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안전 점검 테이블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시 발생하는 추가 점검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에 대한 대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afety check table that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through safety check of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ditional inspection occurring during safety inspec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presentative flowchart of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provid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소방 설비(20)는 화재 발생시 불을 진화하거나 경보를 울리고 피난에 사용되는 장비들로서, 소화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소화용수 설비, 방화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화 설비는 소화기, 자동소화장치, 스프링클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보 설비는 누전 경보기, 가스누설 경보기, 비상방송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난 설비는 피난사다리, 완강기, 구조대, 미끄럼대, 방화복, 공기호흡기, 심폐소생기, 피난유도등, 비상조명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e fighting equipment 20 is equipment used for evacuation by extinguishing a fire or sounding an alarm when a fire occurs, and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 alarm facility, an evacuation facility, a fire extinguishing water facility, and a fire door. Here, 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er,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a sprinkler. The alarm equipment may include an earth leakage alarm, a gas leakage alarm, and an emergency broadcasting equipment. Evacuation facilities may include an evacuation ladder, a stubborn machine, a rescue team, a slide, a fire suit, an air ventilator,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device, an evacuation guide light, and an emergency light.

소방 설비(20)는 용도에 따라 소방 감지 설비와 소방 대응 설비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 설비는 화재 발생 사실을 감지하는 소방 감지 설비로 분류될 수 있고, 소화 설비, 피난 설비 및 방화문 등은 화재 발생 이후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소화시키고, 피난 경로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되므로 소방 대응 설비로 분류될 수 있다.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may be classified into a firefighting detection facility and a firefighting response facility according to its use. For example, alarm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as fire detection facilities that detect the fact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evacuation facilities, and fire doors are used to prevent or extinguish the spread of fire after a fire occurs, and to provide an evacuation route. It can be classified as a fire fighting facility because it is used as.

통제 서버(30)는 일반적으로 각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방재실에 위치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이 추가된 형태의 서버로서, 건축물이나 시설물에 설치된 다수의 소방 설비(20)들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30 is a server in whic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dded to a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located in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of each building or facility, and manages and monitors a plurality of firefighting facilities 20 installed in the building or facility. can do.

소방 점검 단말(10)은 소방 안전 점검을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각 현장 점검자(40)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소방 점검 단말(10)에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소방 안전 점검 및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툴이 설치될 수 있다.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is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each field inspector 40 to efficiently and accurately perform the firefighting safety inspection, and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performs the firefighting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software tool can be installed to do so.

데이터베이스(50)는 소방 점검 단말(10)을 통해 진행된 각종 소방 안전 점검 사항에 따른 소방 설비(20)의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50)는 소방 점검 단말(10)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소방 점검 단말(10)의 저장소와 통합하여 구현되거나 통제 서버(30) 내부의 저장소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후에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는 안전 점검 테이블은 테이터베이스(50)에서 획득될 수도 있고, 소방 안전 점검 단말(10) 내부 저장소를 통해 획득될 수도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database 50 may receive, store, and manag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according to various firefighting safety inspection items conducted through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Here, the database 50 is shown to be located outside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but in some cases, it may be implemented by integrating with the storage of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or in the form of a storage inside the control server 30. have. Therefore,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50 may be obtained from the database 50 or may be obtained through the internal storage of the fire safety check terminal 10.

일반적으로 소방 설비(20) 중 상당수는 별도의 통신 모듈이 내장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소화나 피난 등에 사용되는 장비들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을 위해서는 먼저 현장 점검자(40)가 시설물(또는 건축물)의 여러 구역에 설치된 각종 소방 설비(20)에 외관, 동작 여부 등을 세밀히 점검하고, 점검 사항에 따른 상태 정보를 소방 점검 단말(10)에 입력할 수 있다. 소방 점검 단말에 입력되는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 자체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소방 설비에 대한 개별 안전 점검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해당 소방 설비가 작동하면 상호작용하거나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는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커플링 설비는 해당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관계(예를 들어 누전감지기와 차단기)에 있는 장비 또는 기능적으로 보완관계에 있는 장비(예를 들어 자동 소화 장치와 스프링클러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와 자동화재탐지기)일 수 있다. 또한, 개별 안전 점검 항목은, 현장 점검자(40)가 소방 설비마다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정보로서,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기적 상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현장 점검자(40)가 입력할 필요 없이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제공받게되는 안전 점검 테이블로부터 획득된 후 현장 점검자(40)에게 표시될 수도 있다.In general, many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do not have a separate communication module built-in, and there are many equipment used for fire extinguishing or evacuation by manual operation of a user. Therefore, in order to check the safety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field inspector 40 carefully checks the appearance and operation of various firefighting equipment 20 installed in various areas of the facility (or building). An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spection item to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The status information input to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may include individual safety inspection items for firefighting equipment as well as mechanical status information for the firefighting equipment itself. For example, the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D),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al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 fighting equipment. , When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facility is activated, an identification symbol of a coupling facility that can interact or act in response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 coupling facility may be located in an installation location that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the firefighting facility, or is in a functionally interactive relationship (e.g., an earth leakage detector and a circuit breaker), or a functionally complementary device (e.g.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s and sprinklers or gas leak alarms and automated fire detectors). In addition, the individual safety inspection items are information that can be individually input by the on-site inspector 40 for each firefighting facility, and include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the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whether it is within the expiration date, etc. can do. In this case, some or all of the device status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he safety check table provided from the database 50 without the need for input by the field inspector 40 and then displayed to the field inspector 40.

다만, 소방 설비(20) 중에는 자동으로 주변 상황(예를 들면 화재 발생 여부) 및 기기 자체의 동작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태 정보를 통제 서버(30)로 전송하는 기기가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자동화된 통신 모듈이 내장된 소방 설비(20)는 주기적으로(또는 화재가 발생하거나 화재 발생 위험이 감지되었을 때) 상태 정보를 통제실에 위치한 통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된 통신 모듈이 내장된 소방 설비(20)에 대해서는 현장 점검자(40)가 직접 점검할 필요없이 통제 서버(30)로부터 소방 설비(20)가 생성한 상태 정보를 소방 점검 단말(10)에서 수신하고, 소방 점검 단말(10)에 수신된 상태 정보를 현장 점검자(40)가 확인하고 경우에 따라 수정한 후, 최종적으로 확인된 상태 정보를 소방 점검 단말(10)에 저장할 수 있다.However, among the firefighting facilities 20, a device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surrounding situation (for exampl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tself, generates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30 There may be.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in which the automated communication module is built in this way may periodically (or when a fire occurs or a risk of fire is detected)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30 located in the control room. Therefore, for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in which the automated communication module is embedded,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transmits th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from the control server 30 without the need for the on-site inspector 40 to directly inspect it. After receiving at, and after the on-site inspector 40 checks the condition information received in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and corrects it if necessary, the finally confirmed condi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fire inspection terminal 10.

소방 점검 단말(10)은 현장 점검자(40)를 통해 직접 입력되거나 통제 서버(30)를 통해 전달받은 소방 설비(20)의 각종 상태 정보를 외부의 데이터베이스(50)와 연동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 점검 단말(10)은 소방 설비(20)에 대한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에 업로드하고, 데이터베이스(50)는 업로드받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할 수 있다.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can store and manage various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directly input through the on-site inspector 40 or transmitted through the control server 30 in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atabase 50. have. For example,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uploads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20 to the database 50, and the database 50 updates the safety inspection table stored inside using the uploaded status information. I ca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안전 점검 테이블에 대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afety check table that is converted into a database through safety check of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따른 데이터베이스(50)에서 관리되는 안전 점검 테이블에는 현장 점검자(40)가 소방 점검 단말(10)에 입력한 상태 정보 또는 통제 서버(30)를 통해 소방 점검 단말(10)에서 수신한 상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소방 점검 단말에 입력되거나 수신되는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 자체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the safety check table managed by the database 50 according to FIG. 1, the on-site inspector 40 inputs status information to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or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through the control server 30 (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in 10) may be included. At this time, the state information input or received in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may include not only mechanical state information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itself, but also safety inspection items of the firefighting facility.

즉, 도 1에서 설명한 상태 정보와 마찬가지로 안전 점검 테이블에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해당 소방 설비가 작동하면 상호작용하거나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는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소방 설비의 종류는 소방 감지 설비와 소방 대응 설비 중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분류코드 또는 세부적으로 소화 설비, 경보 설비, 피난 설비, 소화용수 설비, 방화문 중 하나를 나타내는 분류코드일 수 있다.That is, as in the state information described in Fig. 1, the safety inspection table is provided with an identification symbol (Identification, ID),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e,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inspector, and firefighting equipment. An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producer, and an identification symbol of a coupling facility that can interact or act in response when the corresponding fire fighting equipment is activated may be included. Here, the type of firefighting equipment may be a classification code indicating either a firefighting detection facility or a firefighting response facility, or a classification code indicating one of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 alarm facility, an evacuation facility, a fire extinguishing water facility, and a fire door in detail.

여기서 커플링 설비는 해당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관계(예를 들어 누전감지기와 차단기)에 있는 장비 또는 기능적으로 보완관계에 있는 장비(예를 들어 자동 소화 장치와 스프링클러 또는 가스누설경보기와 자동화재탐지기)일 수 있다. 또한, 안전 점검 테이블에는 안전 점검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들인,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upling facility is located in an installation location that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the firefighting facility, or is in a functionally interactive relationship (e.g., an earth leakage detector and a circuit breaker) or functionally complementary equipment (e.g.,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Sprinkler or gas leak alarm and automatic fire detector). In addition, the safety check table may inclu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afety check items, such as appropriateness of an installation location,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and whether or not within the expiration date.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안전 점검 테이블에는 각 소방 설비의 종류나 기능에 따라 소방 설비가 갖추어야 하는 요구사항들(requirements)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방 설비 중에서 소화 설비에 대해서는, 소화기의 지시 압력계에서 표시되어야 하는 적정 요구압력, 적정 연료량, 연료 특성에 따른 적정 설치위치 등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소방 설비 중에서 자동화재탐지설비(감지기 또는 발신기 등)에 대해서는, 작동 시 적정 음량, 음색, 시각적 표시 여부 등이 정의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요구사항들은 관계 법령이나 각 소방 설비의 생산자 매뉴얼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afety check table may define requirements that firefighting equipment must have according to the type or function of each firefighting equipment. For example, for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mong firefighting facilities, an appropriate required pressure, an appropriate amount of fuel, and an appropriate installation location according to fuel characteristics to be displayed on an indication pressure gauge of the fire extinguisher may be defined. In addition, for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such as a detector or a transmitter) among firefighting facilities, an appropriate volume, tone, visual display, etc. may be defined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requirements can be individually defined through relevant laws or the manufacturer's manual of each firefighting equipm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시 발생하는 추가 점검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additional inspection occurring during safety inspection of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점검 단말(10)은 통제 서버(30) 또는 현장 점검자(40)를 통해 획득된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에 기록된 안전 점검 테이블과 대조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status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ontrol server 30 or the on-site inspector 40 with the safety inspection table recorded in the database 5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You can decide.

예를 들어, 소방 점검 단말(10)에서 특정 소방 설비에 대해 획득된 상태 정보가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정의하는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소방 점검 단말은 해당 소방 설비의 이상 유무를 현장 점검자가 재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통해 추가 점검을 나타내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정보에 포함된 설치 위치가 요구사항에서 정의된 설치 위치 조건과 차이가 있는 경우 또는 점검 시기가 해당 소방 설비의 사용기한을 도과한 경우, 소방 점검 단말은 추가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tatus information obtained for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from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does not satisfy the requirements defined in the safety inspection table,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will reconfirm whether or not the firefighting facility is abnormal. In order to be able to do so, an indication of further checks can be made via the display. For example, if the installation location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differs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conditions defined in the requirements, or when the inspection timing exceeds the expiration date of the relevant fire fighting equipment, the fire inspection terminal determines that additional inspection is required. I can.

또한, 일정한 시간 간격 이내에 둘 이상의 현장 점검자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하여 상태 정보를 서로 달리 입력한 경우,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 이내에 현장 점검자가 특정한 제1 소방 설비에 대하여 직접 입력한 상태 정보와 상기 제1 소방 설비가 통제 서버를 통해 자동으로 전송해온 상태 정보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소방 점검 단말이 해당하는 소방 설비에 대하여 추가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on-site inspectors input different status information for the same firefighting facility within a certain time interval, or when the on-site inspector directly inputs status information for a specific first firefighting facility within a certain time interval, and the first Even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tatus information automatically transmitted by the firefighting equipment through the control server,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may determine that additional inspections are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firefighting equipment.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소방 점검 단말은,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할 수 있다(S10). 다음으로, 소방 점검 단말은,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S11)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may search the safety inspection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same firefighting facility as the firefigh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S10). Next,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may search for status information upd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n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from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S11).

다음으로,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할 수 있다(S12). 다음으로,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3). 예를 들어, 차이가 있는 항목이 작동 이상 여부 또는 동작 상태에 관한 것이라면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추가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차이가 있는 항목이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나 종류 등 형식적 항목인 경우 차이가 있는 항목을 표시함으로써 현장 점검자가 추가 점검 여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Nex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the state information may be detected by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e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S12). Nex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 (S13). For example, if an item with a difference relates to an operational abnormality or an operational condition, it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fety and may be determined that further inspection is required. However, if the items with differences are formal items such as identification symbols or types of firefighting equipment, the items with differences can be marked so that the on-site inspector can individual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 이후에 소방 설비에 대한 제어가 수행되는 예시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an example in which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is performed after safety inspection of fire fighting equipment.

소방 점검 단말(10)은 통제 서버(3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확인한 결과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통제 서버(30)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소방 대응 설비는 통제 서버(30)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에 포함된 커플링 설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상태 정보가 소방 감지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이고, 상태 정보에서 연기나 가스 등이 감지된 것이 확인되면, 소방 점검 단말(10)은 상태 정보를 읽어들여 커플링 설비를 식별하고, 식별된 커플링 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커플링 설비에 대한 식별 기호가 상태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소방 점검 단말(10)은, 수신된 상태 정보를 통해 설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확인된 설치 위치 주변에 설치된 소방 설비 중에서 소방 대응 설비에 속하는 소방 설비를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식별한 후, 식별된 소방 설비에 대한 제어 신호를 통제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risk of fire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30,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trigger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to the control server 30. have. Here, the fire fighting equipment may be a coupling facility included i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30. For example, if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is status information on a firefighting detection facility, and it is confirmed that smoke or gas is detected in the status information,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reads the status information to identify the coupling facility and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the identified coupling facility to the control server 30. However, when the identification symbol for the coupling facility is not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the fire 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may check the installation location through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Next, after identifying a firefighting facility belonging to a firefighting response facility among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ed around the identified installation location in the safety check table, a control signal for the identified firefighting facility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30.

통제 서버(30)가 소방 점검 단말(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통제 서버(3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소방 대응 설비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원격으로 소방 대응 설비의 작동을 트리거링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server 30 receives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10, the control server 30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efighting response facility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remotely trigger the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response facility. I ca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에 대한 대표 흐름도이다.5 is a representative flowchart of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S110) 및 수정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es the step of acquiring stat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efighting equipment (S100), and modifying the obtained stat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It may include performing (S110) and updating (S120)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by using the modified state information.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은 앞선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소방 점검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may be performed by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according to FIGS. 1 to 4 above.

상기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S110)는,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현장 점검자의 입력을 통해 상태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 현장 점검자로부터 상태 정보의 수정이 필요없다는 확인(confirm)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ction (S110), if there is a correction, the status information is corrected through the input of the on-site inspector, and if there is no correction, a confirmation input that the correc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is not required is received from the on-site inspector. It may include the step of.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S100) of acquiring stat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acquiring the stat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는, 외부의 통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S100) of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server.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 및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safety check items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상기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D),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fighting equipment, and cou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of the ring facility.

상기 커플링 설비는, 특정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보완관계에 있는 소방 설비일 수 있다.The coupling facility may be a firefighting facility in an installation location adjacent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or functionally interacting or complementary.

상기 안전 점검 항목은,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check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ropriateness of an installation location, an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and whether or not within the expiration date.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이후에,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acquiring the state information (S100),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using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includes: searching the safety inspection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dentical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he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and Retriev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detec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 Considering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further check.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은, 상기 통제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제 서버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risk based on the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riggers an operation of the firefighting response equipment to the control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6, an apparatus 100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structs at least one processor 110 and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It may include a memory 120 in which instructions are stored.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processor 110 mean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in which 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I can. Each of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또한,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100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may include a transceiver 130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device 100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and a storage device 160. Each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pparatus 100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100)의 예를 들면,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일 수 있다.Examples of the device 100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 communication capable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notebook (notebook), a smart phone (smart phone), a tablet PC ( tablet PC), mobile phone, smart watch, smart glass, e-book reader,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portable game console, navigation device, digital camera camer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layer, digital audio recorder, digital audio player, digital video recorder, digital video play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tc.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tep may includ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performing correction on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and a database using the modified status information It may include updating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상기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는 앞선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소방 점검 단말일 수 있다.The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may be a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according to FIGS. 1 to 4 above.

상기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현장 점검자의 입력을 통해 상태 정보의 수정이 수행되고, 수정 사항이 없는 경우 현장 점검자로부터 상태 정보의 수정이 없다는 확인(confirm)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erforming the correction, if there is a correction, the status information is corrected through the input of the field inspector, and if there is no correction, a confirmation input that there is no correction of the status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field inspector. hav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통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may include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state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server.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 및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information may include device state information and safety check items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상기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D),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fighting equipment, and cou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of the ring facility.

상기 커플링 설비는, 특정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보완관계에 있는 소방 설비일 수 있다.The coupling facility may be a firefighting facility in an installation location adjacent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or functionally interacting or complementary.

상기 안전 점검 항목은,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afety check ite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ppropriateness of an installation location, an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and whether or not within the expiration date.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it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using the obtained state information.

상기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includes: searching the safety inspection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firefighting equipment identical to the fire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the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Retriev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detec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status information, and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 Considering it may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further check.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통제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제 서버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at least one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risk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triggering an operation of a fire fighting facility to the control server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r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by combining all or part of its configuration or function,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Claims (20)

소방 점검 단말에서 수행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으로,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As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performed at the firefighting inspection terminal,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efighting equipment;
Modifying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And
And updating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by using the modified state information.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청구항 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통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1,
The step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by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server.
청구항 1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 및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1,
The status information,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equipment status information and safety check items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equipment.
청구항 4에서,
상기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4,
The device stat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Identification, ID) of firefighting equipment,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 fighting equipment, and identification code of coupling facilities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including one.
청구항 5에서,
상기 커플링 설비는,
특정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보완관계에 있는 소방 설비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5,
The coupling facility,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hich is a firefighting facility that is in an installation location that is geographically adjacent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or is functionally interacting or complementary.
청구항 4에서,
상기 안전 점검 항목은,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4,
The above safety check items are: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whether it is deformed or damaged in appearance, and whether it is within the expiration date.
청구항 1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1,
After 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us information,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using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청구항 8에서,
상기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8,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heck further comprises:
Searching the safety check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same firefighting facility as the firefigh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Retriev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n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from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detec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status information; And
A method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s.
청구항 3에서,
상기 통제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제 서버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방법.
In claim 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fire risk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triggering an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facility to the control server Method for safety check and control of.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수정된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안전 점검 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As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At least one processor; And
Including a memory (memory) for storing instructions (instructions) instructing the at least one processor to perform at least one step,
The at least one step,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firefighting equipment;
Modifying the acquired state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And
And updating the safety check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by using the corrected obtained state information.
청구항 1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입력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1,
The step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us information through an external input.
청구항 11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외부의 통제 서버로부터 상기 상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1,
The step of obtaining status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facility,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by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control server.
청구항 11에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방 설비에 대한 기기적 상태 정보 및 안전 점검 항목을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1,
The status information,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device status information and safety check items for the at least one firefighting equipment.
청구항 14에서,
상기 기기적 상태 정보는,
소방 설비의 식별기호(Identification, ID), 종류, 설치 위치, 동작 상태, 작동 이상 여부, 점검 시기, 점검자의 식별기호, 소방 설비를 공급하거나 생산한 자의 식별기호, 커플링 설비의 식별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4,
The device state information,
At least one of the identification symbols (Identification, ID) of firefighting equipment, type, installation location, operation status, operation abnormality, inspection tim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inspect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person who supplied or produced fire fighting equipment, and identification code of coupling facilities Device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including one.
청구항 15에서,
상기 커플링 설비는,
특정 소방 설비와 지역적으로 인접한 설치 위치에 있거나, 기능적으로 상호작용 또는 보완관계에 있는 소방 설비인,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5,
The coupling facility,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a firefighting facility, which is a firefighting facility that is located in a location adjacent to a specific firefighting facility or has a functional interaction or complementary relationship.
청구항 14에서,
상기 안전 점검 항목은,
설치 장소의 적정성, 설치 개수의 적정성, 외관상 변형이나 손상 여부, 사용기한 내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4,
The above safety check items are: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installations, the appearance of deformation or damage, and whether it is within the expiration date.
청구항 11에서,
상기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획득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1,
After the step of obtaining the status information,
An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equipment,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using the obtained status information.
청구항 18에서,
상기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른 소방 설비와 동일한 소방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안전 점검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태 정보 중에서 상기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점검 시기와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서 갱신된 상태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와 상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태 정보 상에 차이가 있는 항목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항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추가 점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8,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heck further comprises:
Searching the safety check table for status information on the same firefighting facility as the firefight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Retrieving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nd an inspection timing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from among the searched status information;
Comparing the retrieved updated status information with the acquired status information to detect an item having a difference in status information; And
A device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insp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tected item.
청구항 13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상기 통제 서버에서 수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화재 위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통제 서버에 소방 대응 설비에 대한 작동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방 설비에 대한 안전 점검과 제어를 위한 장치.
In claim 13,
The at least one step,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fire risk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triggering an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facility to the control server Device for safety check and control
KR1020190081206A 2019-07-05 2019-07-05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KR202100045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06A KR20210004577A (en) 2019-07-05 2019-07-05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06A KR20210004577A (en) 2019-07-05 2019-07-05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77A true KR20210004577A (en) 2021-01-13

Family

ID=74142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206A KR20210004577A (en) 2019-07-05 2019-07-05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57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463B1 (en) Fire supervisory apparatus to be installed on building and unite management system having the same
US9830806B2 (en) Systems enabling testing of fire control panels together with remote control and providing text-to-speech of event data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JP4634207B2 (en)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KR102322427B1 (en) Bigdata based building fire prevention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102760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back wireless fire system history events
KR20120027969A (en) Evacu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0767425B1 (en) System for offering short message service when a fire breaks out and method therefor
KR1017324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KR1017091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irefighting facilities
US11455881B2 (en) Alarm and first responder systems, methods, and devices
KR102564397B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TW201627955A (en) Pre-disaster warning system
KR102181819B1 (en) Information conversion device of iot fire monitor
KR10246464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2042585B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fire disaster prevention
KR101775489B1 (en) Monitoring system of power supply apparatus for fire fighting equipment
US20050035869A1 (en) Personal hydrogen sulfide gas alarm system
KR101527725B1 (en) System to manage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managing thereof
KR2021000457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afety inspection and control of fire fighting installations
KR102418352B1 (en) Fire detection and evacuation system
KR2023011157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fire situation by floor of a building
US20220128467A1 (en) Detecting and Monitoring Gas Leaks in an Industrial Setting
CN108961661B (en) Three-dimensional security intelligent alarm linkage system
JP2013191032A (en) Operation analysis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