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2430B1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2430B1
KR101732430B1 KR1020160062764A KR20160062764A KR101732430B1 KR 101732430 B1 KR101732430 B1 KR 101732430B1 KR 1020160062764 A KR1020160062764 A KR 1020160062764A KR 20160062764 A KR20160062764 A KR 20160062764A KR 101732430 B1 KR101732430 B1 KR 101732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receiver
signal
alarm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인순
오범석
Original Assignee
열두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열두방재(주) filed Critical 열두방재(주)
Priority to KR102016006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24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4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motely monitoring and remotely controlling system of a fire occurrence receiver and a method therefor. The remotely monitoring and remotely controlling system can be easily additionally installed at low costs in a general automatic fire detecting facility comprising: one or more P-type fire occurrence receivers for generating a fire alarm by receiving fire signals from a fire sensor and a transmitter, and displaying a boundary region position from which the fire signals are sent; and one or more member receivers installed in a security office, a management office, or a mechanical room which is a third place, identifying and displaying a P-type fire occurrence receiver for generating a fire alarm, applying a fire alarm in a third place, and capable of grasping a position of a P-type fire occurrence receiver from which a fire alarm is generated. When a fire alarm is generated in the P-type fire occurrence receiver, the position of the P-type fire occurrence receiver which has generated the corresponding fire alarm and a fire signal-receiving boundary section, which is the position of a sensor or a transmitter which has generated fire signals, are rapidly grasped in a remote place where a member receiver is installed. Thus, a fire can be coped with in advance. Also, when the fire alarm turns out to have been incorrectly applied due to a mechanical error or a persons mistake, a restoring switch or the like can be remotely operated. A means capable of storing and viewing a fire alarm generation history such as fire alarm generation time and termination time is provided, so malfunction and an operators rapid treatment can be grasped in the future by viewing the fire alarm generation history.

Description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본 발명은 자동 화재탐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기존건물들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P형 화재수신기를 원격지에서 감시하고 제어 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conventional P-type fire receiver installed in existing buildings.

일반적으로 자동 화재탐지설비라 함은 건축물 내에 화재발생시 화재발생 초기 단계에서,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 또는 연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건축물 관계자에게 통보하고 건축물 내의 거주자에게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으로 화재 발생을 알리는 설비의 일체를 말하며, 화재수신기, 중계기, 감지기, 발신기, 표시등, 경종, 사이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is a facility that automatically senses the heat or smoke generated by the fir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in the building and notifies the person in charge of the building, And includes a fire receiver, a repeater, a detector, a transmitter, an indicator lamp, a light alarm, a siren, and the like.

자동 화재탐지설비의 구성 중 화재수신기는 감지기와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 혹은 가스누설경보기로부터 가스누설신호 또는 그 외 설비작동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해서, 화재발생이나 가스누설발생 또는 소화설비 작동상태 등을 방화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하는 장치로서,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During the construction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 fire receiver receives a gas leakage signal or other facility operation signal from a detector or a gas detector directly or through a repeater to detect a fire, a gas leak, Etc., to the persons concerned with the fire protection object, and plays a pivotal role 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이러한 화재수신기는 화재신호의 종류 및 기능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화재발생 신호전송 방식에 따라 P형(Proprietary type)과 R형(Record type)으로, 가스누설신호 표시 유무에 따라 GP형(Gas-Proprietary type), GR(Gas- Record type)형으로, 기능에 따라 다신호식, 축적식 등으로 구분하고, P형 및 GP형은 회로수 등에 따라 1급 및 2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se fire receiver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fire signal. Depending on the type of fire signal transmission, it is possible to use P type (Proprietary type) and R type (Record type) (Gas-Proprietary type) and GR (Gas-Record type). The P-type and GP-type can be classified into first class and second clas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ircuits.

그중 R형 수신기는, 감지기 및 발신기에서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기에 접속하도록 하고 중계기에서 각 회선마다 고유한 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보내는 방식의 수신기이기 때문에 회선수가 많거나 다수의 건물을 한 곳에서 집중 관리하고자 할 때 또는 가까운 장래에 회선수의 증설이 필요할 수도 있는 경우에 사용하며, P형 수신기에 비해 고가이지만 자가진단기능, 소방기기 관리 기능, 정확한 화재 정보 액정표시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확장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원격 모니터링 또는 원격제어 등과 타 시스템과의 연계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어서 효율적인 화재시스템의 구축, 운영이 가능하다. 다만 P형 수신기에 비하여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Among them, the R-type receiver connects to the receiver through the repeater in the detector and the transmitter, and the repeater sends the unique signal to each repeater in a time division manner. Therefore, It is used in cases where it may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of player in the near future. It is expensive compared to P-type receiver, but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self-diagnosis function, It is easy to expand and maintain, has remote monitoring or remote control, easy connection with other system, high reliability, etc., enabling efficient fire system construction and operation. However,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more expensive than a P-type receiver.

한편, P형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에서 발신한 화재신호를 직접 수신하는데, 화재신호를 수신했을 때 적색의 화재등과 화재가 발생한 경계구역을 각각 자동적으로 표시하고 동시에 주 음향장치, 지구음향장치를 자동적으로 울리게 되는 구조이다. 이와 더불어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재표시 시험장치, 감지기 신호회로의 도통을 회로마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도통시험장치, 주전원의 차단 등 비상시를 대비한 예비전원 자동전환장치, 회로전압을 감시할 수 있는 전압계 등을 구비하게 되어있다. P형2급수신기의 구조.기능은 P형1급수신기와 거의 같지만 접속할 수 있는 회선의 수는 5회선 이하로 한정하며 전화 연락장치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P형수신기는 R형수신기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type receiver directly receives the fir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etector or the transmitter. When receiving the fire signal, the P-type receiver automatically displays the red fire and the boundary area where the fire occurs, It is a structure that is automatically ringed. In addition to this, a fire indication test device which can easily confirm the operation, a continuity test device which can easily check the conduction of the detector signal circuit per circuit, a spare power automatic change device for emergency such as breaking of main power, And the like.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the P-type class 2 receiver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P-type class 1 receiver, but the number of lines that can be connected is limited to 5 lines or less. P-type receivers can be purchased at a relatively low cost as compared with R-type receivers.

그러나 P형 화재수신기는 저가라는 장점은 있지만, 경계구역에서 수신기까지 각각의 선로가 요구되므로 선로공사비가 많이 소요되고, 일단 한 번 설치한 뒤에는 건물의 확장이나 경계구역 추가 시 선로증설에 따른 비용이나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인 관리실이나 통합경비실, 기계실 등에서 화재현황을 소상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 무엇보다도 가장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since P-type fire receivers are advantageous at low cost, they require a lot of cost for the line from the boundary area to the receiver. Therefore, once the installation is once complet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technical problem occurs.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monitor from a remote place, it is pointed out that the biggest disadvantage is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fire situation in the management room, the integrated guard room, and the machine room where the person is always working.

도 1은 기존의 P형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설비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P형 화재수신기(100)는 다수의 경계구역을 가지고 있으며, 경계구역 중에서 화재감지기(102)에 의한 화재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또는 발신기(101)가 눌러져서 화재신호가 발신되는 경우 P형 화재수신기(100)는 화재경보를 발하고 경종(103)을 울림과 동시에 화재감지기(102) 또는 발신기(101)가 작동된 경계구역을 파일럿램프 등을 이용한 경계구역표시등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FIG. 1 is a simplified view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type fire receiver. As shown in FIG. 1, the P-type fire receiver 100 has a plurality of boundary zones. When a fire signal is detected by the fire detector 102 in the boundary zone, or when the transmitter 101 is pushed, The P-type fire receiver 100 emits a fire alarm and sounds the alarm 103. At the same time, the boundary area where the fire detector 102 or the transmitter 101 is activated is visually displayed on a boundary area indicator using a pilot lamp or the like Display.

한편 P형 화재수신기(100) 설치장소와는 별도의 제3의 장소 즉 경비실이나 관리실 또는 기계실 등에는 부수신기(200)를 설치하고 관할구역의 P형 화재수신기(100)들을 연결하게 되는데, 부수신기(200)에 연결된 P형 화재수신기(100)들은 화재신호를 탐지하여 화재경보를 발하는 경우 제3의 장소에 설치된 부수신기(200)도 작동시키게 된다. 즉 부수신기(200)는 자신과 연결된 P형 화재수신기(100) 중 하나에서 화재경보가 발생하는 경우 부수신기(200)에 연결된 경종(201)을 울리고, 부수신기에 설치된 파일럿램프 등을 이용하여 화재경보가 발생한 P형 화재수신기(100) 설치장소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부수신기(200)에는 P형 화재수신기(100) 설치장소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은 있으나,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의 정보는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화재경보 발생시 부수신기 설치장소에서 상시근무 하는 건물관리자 등은 부수신기(200)에서 화재경보가 발생한 P형 화재수신기(100) 설치장소를 먼저 파악한 후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가 설치된 장소로 가서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에 표시된 화재발생 경계구역을 확인한 이후에야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장소를 파악할 수 있다.In the third place separate from the place where the P type fire receiver 100 is installed, that is, a security room, a management room, a machine room, or the like, an auxiliary shake device 200 is installed and the P type fire receivers 100 in the jurisdiction area are connected.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connected to the generator 200 also detect the fire signal and activate the fire alarm 200 installed in the third location when a fire alarm is issued. That is, when the fire alarm is generated in one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connected to the auxiliary fire station 200, the auxiliary fire station 200 sounds the alarm 201 connected to the auxiliary fire station 200 and uses a pilot lamp The location where the P type fire alarm receiver 100 in which a fire alarm occurs is visually displayed. However, although there i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place where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s installed in the incidental fire station 200,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border area where a fire signal is generated can not be provided. Therefore, The building manager or the like who works at all times first ascertain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 type fire alarm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occurs in the auxiliary fire device 200 and then goes to the place where the P type fire alarm receiver 100 is installed and detects the P type fire alarm receiver 100 ), You can identify the exact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red.

최근 들어 아파트나 빌딩 등의 관리주체들이 인건비절감을 이유로 각 라인별 또는 구역별로 분산설치되어 있던 경비실 등을 통합하는 추세이다 보니 CCTV설치, 카드키 방식의 자동문 설치 등과 병행하여 통합경비실을 설치하여 다수의 건물 또는 층을 묶어 한 곳에서 관리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오래된 대부분의 아파트나 빌딩 들은 저가의 P형 화재수신기를 설치해놓고 통합경비실이나 관리실 등에는 화재경보가 발생한 수신기 설치장소만 파악이 가능한 부수신기를 설치해놓았기 때문에 화재경보 발생시 정확한 장소를 신속히 파악할 수 없고, 화재경보 발생한 경우 경비원 등은 해당 화재경보가 발생한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에 출동해서 해당 화재수신기를 확인해 봐야 정확한 화재경보 발생지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화재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consolidate the security rooms, which were distributed and installed for each line or area, due to the reduction of personnel expenses, in order to reduce the labor cost. Therefore, the integrated security room is installed in parallel with the installation of CCTV, The building or the floor of the building. However, most of the old apartments and buildings are equipped with a low-priced P-type fire receiver, and installed a counter-clock which can detect only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receiver where the fire alarm occurs, such as in the integrated guard room or the management room. If a fire alarm occurs, the security guard must check the fire receiver at the place where the fire alarm is generated and know the exact location of the fire alar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spond quickly when a fire occurs.

뿐만 아니라, 발생된 화재경보가 사람의 실수나 전기적 또는 기계적 오류로 인하여 오작동되는 비화재경보의 경우 신속한 상황파악 후 발생된 화재경보신호를 리셋시켜야 하나, P형 화재수신기(100)와 부수신기(200)로 이루어진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는 오작동으로 인한 화재경보 발생시에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on-fire alarm in which the generated fire alarm is malfunctioning due to human error or electrical or mechanical error, it is necessary to reset the fire alarm signal generated after the quick situation detection, but the P-type fire receiver (100) 200) can not accurately and promptly detect a fire alarm due to a malfunction, so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pe with such a fire alarm.

일부 건물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첨단 기능이 구비된 R형 화재수신기로 교체하는 경우도 있으나, 교체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건물주 입장에서는 꺼리게 되어 R형 화재수신기로의 교체는 실제로 그리 많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 현재 전국의 대부분의 아파트나 빌딩은 P형 화재수신기 기반의 자동화재탐지설비여서 국가적으로 볼 때 많은 건물들이 화재재난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Some buildings may be replaced with R-type fire receivers equipped with advanced function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However, since it takes a lot of cost to replace, it is reluctant to replace with R-type fire receivers. It is a reality.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apartments and buildings in the country ar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s based on P-type fire receivers. Therefore, many buildings are very vulnerable to fire disasters nationwide and it is urgent to improve th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 및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 위치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와, 제3의 장소인 경비실, 관리실 및/또는 기계실에 설치되어 화재경보를 발생시킨 상기 P형 화재수신기를 식별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제3의 장소에서 화재경보를 발하고 화재경보가 발생한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로 이루어진 통상의 자동 화재탐지설비에, 적은 비용으로도 손쉽게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P형 화재수신기에서 화재경보가 발생된 경우 상기 부수신기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해당 화재경보가 발생한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는 물론 화재신호가 수신된 경계구역 즉 화재신호를 발생시킨 상기 화재감지기나 상기 발신기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기에 대응토록 함은 물론 상기 화재경보가 기계적 오류 또는 사람의 실수로 잘못 발해진 것으로 밝혀진 경우에는 원격으로 복구스위치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화재경보가 발생한 시각과 종료시각 등 화재경보발생이력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화재경보 발생이력을 열람하여 오동작여부, 근무자의 신속한 조치여부 등을 추후에 파악해 볼 수 있도록 하는 P형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e alarm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P-type fire receiver for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a fire detector and a transmitter to generate a fire alarm, The P-type fire receiver installed in the guard room, the management room and / or the machine room to identify and display the P-type fire receiver which has generated the fire alarm, and to fire the fire alarm at the third place and to locate the P- A remote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which can be additionally installed easily at a small cost, in a conventional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made up of at least one auxiliary machine, If the fire alarm is generated at the remote place where the incidental firearm is installed,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as well as the boundary zone in which the fire signal is received, i.e., the position of the fire detector or the transmitter that has generated the fire signal, can be promptly detected and promptly responded, and the fire alarm can be detected as a mechanical error or a mistake If it is found that the fire alarm has been detecte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recovery switch remotely, and by providing a means to store and view the fire alarm history such as the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fire alar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a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P-type fire receiver, which enables a user to know whether a malfunction has occur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화재감지기 및/또는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와, 상기 P형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와는 다른 제3의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P형 화재수신기들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경보를 발생시킨 P형 화재수신기를 식별하여 표시하고 경보를 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로 이루어진 자동 화재탐지설비를 원격지에서 실시간 감시함은 물론 원격제어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alar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re signal from a fire detector and / or a transmitter, generates a fire alarm, Type fire receivers installed in a third place different from the place where the P-type fire receivers are installed and provided with status information of the P-type fire receivers to identify the P-type fire receivers generating the fire alarm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r more additional units for indicating and displaying an alarm, in real time, from a remote place, as well as being capable of remote control.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P형 화재수신기들의 설치장소와는 다른 제3의 장소 즉, 부수신기 설치장소에 정확한 화재발생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P형 화재수신기들 각각에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고유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 저장부,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경보 발생여부를 탐지하는 화재경보 탐지부,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을 탐지하여 결과 값을 발생시키는 경계구역 탐지부,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경계구역 탐지부에서 탐지한 상기 결과 값을 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재신호 변환부 및 상기 화재경보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제3의 장소에 설치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화재신호 송신부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so as to provide a correct fire occurrence position at a third place different from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P-type fire receivers, that is, Where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cludes an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 type fire receiver, a fire alarm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fire alarm is generated from the P type fire receiver, A border zo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boundary zone where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when the fire alarm is detected by the fire alarm detection unit and generating a result value; The unique ID code and the resultant value detected by the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are combined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a fire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repeatedly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to a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third place while the fire alarm is continu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서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로부터 보내주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신호가 탐지된 경계구역의 정확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부수신기 설치장소에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들과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와 관할 경계구역정보를 입력받는 수신기정보 입력부,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를 저장하는 수신기정보 저장부, 상기 화재신호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신호 수신부,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식별하는 화재발생구역 식별부 및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에서 식별한 상기 위치와 상기 경계구역을 화재발생구역으로 표시하는 화재발생구역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quickly identify the precise position of the boundary zone in which the fire signal is detected by using a signal sent from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even in the place where the auxiliary shoe is installed, Where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nique ID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input to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A fire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fire signal, Analyz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er and storing the location and boundary area of the P-type fire receiver where the fire alarm was detect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a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dentified by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and the boundary area as a fire occurrence area.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사이에 원활한 신호 송수신 수단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특징들과 더불어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사이에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ooth signal transmitting / receiving means betwee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To this end,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features, there is provided, betwee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 signal.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부수신기가 설치된 원격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발생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보내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특징들과 더불어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에 대한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에 대한 원격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조작 스위치부, 상기 원격조작 스위치부에서 상기 원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의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원격조작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송신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generated is quickly and accurately controlled A remote control switch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he various switches and a recovery switch for the P 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When the remote oper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combined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to control the P-type fire receiver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control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o the receiver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서 보내는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화재신호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에 부착된 복구스위치를 비롯한 각종 스위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특징들과 더불어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제어신호수신부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제어신호 식별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P형 화재수신기에 포함되어 있는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various switches including a recovery switch attached to a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signal is detected by using a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A control signal discrimination unit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a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is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A recovery switch includ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according to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various switches.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화재경보가 발생한 시각과 종료시각 등 화재경보발생이력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특징들과 더불어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가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개시일시 및 수신종료일시를 측정하는 시각판단부,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신호에 상기 시각판단부에서 측정하는 수신개시일시 및 상기 수신종료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으로 저장하는 경보발생이력 저장부 및 상기 경보발생이력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을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조회할 수 있는 경보발생이력 열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storing and browsing fire alarm history such as the time and end time of the fire alarm. A time determination unit for measuring the reception start date and the reception end time of the digital signal received by the fire signal reception unit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And a fire alarm history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e alarm occurrence history and the fire alarm history stored in the alarm history storage unit in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al boundar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Whereas alarms can be viewed and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viewing history.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특징은 하나의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 모든 P형 화재수신기들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특징들과 더불어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가 2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가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2 이상의 상기화재발생구역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tate of all P type fire receivers can be monitored by on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To this end,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section, when the fire occurrence area indicator is identified as having two or more P-type fire receivers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ection sequentially displays the two or more fire occurrence sections And the display is repeatedly displayed.

한편, 본 발명에 의한 P형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은 화재경보가 발생된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신호가 수신된 경계구역의 위치를 원격지에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와 수신기정보 제공장치 및 상기 P형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와 다른 제3의 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와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 이루어진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P형 화재수신기에서 화재경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경보 탐지단계;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을 탐지하여 결과 값을 발생시키는 경계구역 탐지단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결과 값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재신호 변환단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화재신호 전송단계; 상기 화재신호 전송단계 이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화재경보 발생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탐지하여 상기 화재경보 발생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을 중단하는 화재신호전송 중단여부 판단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신호 전송단계에서 전송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신호 수신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신호를 해석한 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저장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들과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와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식별하는 화재발생구역 식별단계; 상기 화재구역 식별단계에서 식별한 상기 위치와 상기 경계구역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표시하는 화재발생구역 표시단계; 및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를 중단하는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P-type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quickly detecting a location of a boundary zone where a fire signal is received from a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a fire alarm is generated Type fire detector,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a remote receiver for a fire receiver comprising at least one additional fire detector and a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a third place different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installation place And a control method, comprising: a fire alarm detection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alarm has occurr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Detecting a boundary zone where a fir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P type fire receiver when the fire alarm is detected, and generating a result value; A fire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resultant value into a digital signal by combining the result value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 fire signal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repeatedly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is stopp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fire alarm is stopped and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is stopped if the generation of the fire alarm is stopped after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step; A fire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in the fire signal transmitting step; Where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nalyzes the digital signal received in the fire signal reception step and then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each of the P type fire receivers stor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 fire occurrence zone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 location and a border zone of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and jurisdictional boundary zone information of each corresponding P-type fire receiver; A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location and the boundary area identified in the fire area identification step o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after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tep and if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stopped, And a determination step.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화재경보가 발생한 화재수신기의 복구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들을 원격지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단계 이후에,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화재수신기에 대한 원격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제어신호 입력단계; 상기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원격제어신호와 상기 디지털신호에 포함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결합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단계;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를 식별하는 제어신호 식별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 식별단계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의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quickly and conveniently controlling various switches such as a fire alarm reset switch of a fire receiver in a remote place. After the above-described step,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step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h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inputted in the state where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fire signal,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monitors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digital signal A control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coupl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ing step in which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by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signal,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the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step, And a control step of operating switches and various switches.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화재경보가 발생한 시각과 종료시각 등 화재경보발생이력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술한 단계 외에 상기 화재신호 수신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개시일시를 측정하는 화재경보 개시일시 측정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와 상기 수신개시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이력으로 저장하는 화재경보 개시정보 저장단계; 상기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중단일시를 측정하는 화재경보 종료일시 측정단계; 및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와 상기 수신중단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중단이력으로 저장하는 화재경보 중단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toring and viewing fire alarm history such as the time and end time of the fire alarm. Measuring a fire alarm start date when the fire occurrence zone monitoring device measures the start time of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when the digital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e signal reception step; A fire alarm start information storing step of storing the fire signal as a fire alarm history by combining the digital signal with the reception start date; Measuring a fire alarm end date when the reception of the digital signal is stopp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e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measuring a reception stop date and time of the digital signal; And a fire alarm stop information storing step in which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combines the digital signal and the reception stop date / time to store the fire alarm stop history as a fire alarm occurrence interrupt histor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P형 화재수신기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경보 및 화재신호가 발생한 경계구역을 식별하여 원격지에 설치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보내어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원격지에서도 정확한 화재발생위치 즉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이로 인하여 관리실이나 경비실 등에 상주하는 관리인력 등이 화재경보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alar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dditionally installed in a conventional P-type fire receiver receives a fire alarm and a fire signal from a P-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precise location of fire, that is, the boundary area where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at a remote place by quickly identifying the boundary zone where the fire zone is generated, and displaying it to the monitoring unit of the fire zone installed at the remote place. And management personnel residing in the guard room can respond promptly and accurately in case of a fire alarm.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관리실 등 원격지에 설치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서 원격으로 제어신호를 보내 멀리있는 P형 화재수신기에 있는 복구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비화재보 발생 등으로 파악되어 신속한 경보중단이 요구되는 때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remo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at a remote place such as a management room and various switches such as a recovery switch in a remote P-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problem promptly when it is required to stop the alarm promptly.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여러 대의 P형 화재수신기들의 상세정보 모니터링과 원격조작을 한 대의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러 곳에 산재된 P형 화재수신기들을 한 곳에서 집중적으로 상세모니터링과 원격조작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적은 인력으로 효과적인 화재감시 및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detailed information monitoring and remote operation of a plurality of P type fire receivers to be performed in a singl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Detailed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the fire receivers can be done in one place, and effective fire monitoring and countermeasures with less manpower are possible.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는 부수신기가 여러 곳에 있는 경우 각 부수신기 마다 설치 할 수 있어 다수의 장소에서 기존 P형 화재수신기들을 상세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부수신기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 설치해도 부수신기 역할까지도 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부수신기를 증설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와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사이에 포설되는 통신회선을 하나의 회선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fire detection zon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each of the sub-fleet units in the case where the auxiliary firearms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o that the existing P-type fire receivers can be monitored in detail at a plurality of places, Even if it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the air conditioner is not installed, it is possible to even play the role of ancillary to the air conditioner. This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line installed betwee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can be a single lin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신기정보 제공장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수신기정보 제공시 P형 화재수신기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하나의 회선으로 다수의 신호를 보내도 어느 화재수신기에서 발생한 정보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회선으로도 모든 화재수신기를 연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que ID code assigned to each P-type fire receiver when providing receiver information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so that even when a plurality of signals are transmitted on one line, It is possible to connect all the fire receivers to one line.

또한,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서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원격제어 신호를 보낼 때에도 제어신호에 P형 화재수신기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코드를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회선을 이용하더라도 제어대상이 되는 P형 화재수신기만 정확하게 식별하여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lso, when transmitting the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to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the control signal includ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ssigned for each P type fire receiver, so that even if one line is used, There is an effect that only the receiver can be accurately identified and controlled.

그러므로, 다수의 수신기정보와 다수의 제어신호를 하나의 통신회선을 이용하여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회선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since a plurality of receiver information and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can be exchanged by using one communication line, the cost required for installing a lin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감시 및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화재경보가 발생한 시각과 종료시각 등 화재경보발생이력을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화재경보 발생이력을 열람하여 오동작여부, 근무자의 신속한 조치여부 등을 추후에 파악해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 control of a fire alar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storing and viewing a fire alarm history such as a time and an end time of a fire alarm, thereby detecting a fire alarm history, And whether or not the worker can take quick a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에 설치된 P형 화재수신기 기반의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교체 없이도 기존에 설치된 P형 화재수신기에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와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를 부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업그레이드 시키는 효과가 있다.Also,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type fire receiver installed in a conventional fire extinguishing system based on a P- Since the monitoring device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re is an effect of upgrading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t low cos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에 설치된 P형 화재수신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원격감시기능, 원격제어기능, 화재경보 발생이력 정보제공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여러 곳에서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the fire alar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a remote monitoring function, a remote control function, a fire alarm history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nitor and control in various places.

도 1은 기존의 P형 화재수신기를 이용한 자동화재탐지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를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제어 및 화재경보 발생이력정보 저장 및 열람을 위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정보 및 발생이력정보를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 원격감시방법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 원격제어방법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 화재경보 발생이력 저장 흐름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 conventional P-
2 is a block diagram for remote monitoring of a fire receiv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remote monitoring, control, and fire alarm histor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transmitting fire alarm receiver remote monitoring information and occurrence history information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area monitoring device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of a P-type fire receiver remote monito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 P-type fire recei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of a P-type fire alarm history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여러 가지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Embodiments set forth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and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in which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set forth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but are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rms such as " comprising "or" may include "may be us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to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inventive function, operation, or element, Not limited. Also, in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expressions "or" and the like include any and all combinations of words listed together. For example, "A or B" may include A, B, and in some cases both A and B.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expression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etc. among the descriptions of the various embodiments may modify various elem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elements. For example, the representat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 /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The representations may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various embodiments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various embodiments belo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in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Do not.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를 위한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화재감지기(102) 및 발신기(101)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의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100)와, 상기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와는 다른 제3의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화재수신기들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경보를 발생시킨 화재수신기를 식별하여 표시하고 경보를 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200)로 이루어진 자동 화재탐지설비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FIG. 2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remote monitoring of a fire receiver,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fire alar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fire signal from a fire detector 102 and an originator 101 to generate a fire alarm, Type fire alarm receiver 100 for detecting a fire alarm and a fire receiver 100 installed at a third place different from the place where the fire receiver is installed and receiv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fire receivers, Based on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consisting of at least one additional fire detector 200 for identifying, displaying, and issuing an alarm,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 각각에는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고유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 저장부(301),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로부터 상기 화재경보 발생여부를 탐지하는 화재경보 탐지부(302),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302)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로부터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을 탐지하여 결과 값을 발생시키는 경계구역 탐지부(303),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302)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경계구역 탐지부(303)에서 탐지한 상기 결과 값을 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재신호 변환부(304) 및 상기 화재경보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제3의 장소에 설치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화재신호 송신부(305)로 이루어 진다.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includes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stores an identification code stor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 A fire alarm detection unit 302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alarm is generated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100; a fire alarm detection unit 302 for detecting the fire alarm from the P- A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303 for detecting a boundary zone in which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100 and generating a result value; a fire alarm detection unit 302 for detecting the fire alarm, A fire signal conversion unit 304 for combining the resultant values detected by the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303 and converting the resultant values into a digital signal, and a fire signal generator 304 for generating the digital signal during the fire alarm, Repeating the station monitoring unit 400, and is made of a fire signal transmitting section 305 to transmit.

한편,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 각각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들과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와 관할 경계구역정보를 입력받는 수신기정보 입력부(401),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401)에 입력되는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를 저장하는 수신기정보 저장부(402), 상기 화재신호 송신부(305)에서 전송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신호 수신부(403),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403)에서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100)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식별하는 화재발생구역 식별부(404) 및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404)에서 식별한 상기 위치와 상기 경계구역을 화재발생구역으로 표시하는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402 for storing the unique ID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input to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1; A fire signal receiving unit 403 for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signal transmitting unit 305; a fire signal receiving unit 403 for analyz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signal receiving unit 403, Identifying the location and boundary zon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was detect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al boundary zone information, And a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dentified by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404 and the boundary area as a fire occurrence area.

또한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 사이에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수단(500)을 포함한다.And communication means 500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betwee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400.

여기서 상기 P형 화재수신기별로 부여되는 고유 식별코드는 0과 1로 이루어진 숫자의 조합으로 함이 바람직하며, 하나의 부수신기(200)에 연결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최대 숫자 이상 각각 구별이 가능하게 조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401)는 딥스위치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인데, 딥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며, 별도의 입력장비 없이도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용이하게 입력 또는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서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401)를 딥스위치로 하고,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최대 숫자가 40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딥스위치의 폴 수를 6개로 하면 될 것인데, 이는 폴 수가 6개인 딥스위치는 2의 6승에 해당하는 64가지 2진 숫자의 조합(000001~111111)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고유 식별코드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설치순서 등을 감안하여 부여하면 바람직할 것인데, 예를 들어 104동 건물에 설치된 P형 화재수신기(100)가 자체적인 관리순서상 4번째인 경우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에 대한 고유 식별번호는 000011이 될 것이다.The unique ID code assigned to each P-type fire receiver is preferably a combination of numbers consisting of 0 and 1,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maximum number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connected to one additional transmitter 200 It is more preferable to combine them as possible. If the DIP switch is used,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401 can be implemented at a relatively low cost,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can be easily entered or changed without a separate input device. This is because there are advantages. In the case where the identification number storage unit 401 is a DIP switch and the maximum number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is 40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The number of poles may be set to six, because a dip switch having six poles can have a combination of 64 binary numbers (000001 to 111111) corresponding to the sixth power of tw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s given in consideration of the installation order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For example, whe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stalled in the building 104 has the fourth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the corresponding P-type fire receiver 100 will be 000011.

한편,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401)를 딥스위치 대신 반도체 메모리로 할 수도 있는데, 반도체 메모리로 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문자, 숫자 또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유 식별코드의 입력 및 변경은 별도의 입력장치와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도 있고, 퍼스널컴퓨터나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 등의 메모리연결포트에 연결하여 전용 또는 범용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텍스트방식의 파일로 기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401 may be a semiconductor memory instead of the DIP switch. In the case of a semiconductor memory,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letter, number, or a combination of letters and numbers. In this case, a separate input device and dedicated software may be used for inputting and chang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r a memory card may be connected to a memory connection port of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or a smart phone, You can also record.

또한,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302)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경보 탐지여부를 탐지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 있는 화재경보표시등(미도시)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하여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화재경보가 탐지된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값 미만일 경우에는 화재경보가 탐지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 값은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서 상기 화재경보표시등의 작동전압을 참조하여 정하면 될 것이며, 이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종류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정 값을 특정하지는 않는다.The fire alarm detection unit 302 detects whether or not a fire alarm is detected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 alarm detection unit 302 detects a fire alarm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oltage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e alarm is detected, and if it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the fire alarm is not detected. Her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fire alarm indicator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Sinc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 do not.

또한,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302)가 상기 화재경보 발생을 탐지하게 되면 상기 경계구역 탐지부(302)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로부터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 탐지하게 되는데,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 있는 경계구역표시등(미도시)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하여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는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으로 판단하고 소정 값 미만일 경우에는 화재신호가 탐지되지 않는 경계구역으로 한다. 여기서 경계구역표시등은 화재감지기(102)가 화재를 감지하거나 발신기(101)가 눌러진 경우 해당 경계구역에 화재신호가 발생했다고 표시하는 파일럿램프나 LED램프 등을 말하며, 상기 경계구역 표시등에 인가된 소정 값은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서 정한 상기 경계구역표시등의 작동전압을 참조하여 정하면 될 것이며, 이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종류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계구역 표시등에 인가된 소정 값을 특정하지는 않는다.When the fire alarm detection unit 302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fire alarm, the border zone detection unit 302 detects the boundary zone from which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100. However, (Not shown)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When the voltag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100 determines the boundary area to which the fire signal is sent. If the fire signal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Shall not be a boundary zone. The boundary zone indicator is a pilot lamp or an LED lamp that indicates that a fire signal has occurred in the boundary zone when the fire detector 102 detects a fire or the transmitter 101 is pushed,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operating voltage of the boundary zone indicator set by the P-type fire receiver 100. Since the predetermined valu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And does not specify an authorized predetermined value.

한편, 경계구역 탐지부(303)가 발생시킨 결과 값은 0과 1의 숫자조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의 관할 경계구역의 순서에 따라 0과 1을 조합하되,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서 표시할 수 있는 경계구역의 숫자만큼의 자릿수로 하여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를 1로 하고 탐지되지 않는 경우를 0으로 하여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경계구역 수가 12개인 경우로서 3번째 경계구역에서 화재신호가 탐지된 경우 결과 값은 001000000000이 된다. 여기서 관할 경계구역의 순서는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의 상기 경계구역 표시등의 배열순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든 P형 화재수신기(100)들에 대하여 통일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undary value detection unit 303 generates a result value of 0 and 1, and 0 and 1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boundary area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The number of digits of the number of the border area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s set to 1 when a fire alarm is detected and set to 0 when no fire alarm is detected.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the border zones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s 12, and the fire signal is detected in the third boundary zone, the result is 001000000000. Here, the order of the border zone is preferably in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boundary zone indicators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unify all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그리고, 화재신호 변환부(304)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결과 값을 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게 되는데, 상술한 예에서 설명한 사례인, 4번째 P형 화재수신기(100)의 3번째 경계구역에서 화재신호가 탐지된 경우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결과 값의 결합은 000011+구분코드+001000000000가 될 것이며,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결과 값 사이에 들어가는 구분코드는 특정한 숫자나 문자가 될 수도 있으며, null값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구분코드를 없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fire signal converting unit 304 combin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with the resultant value and converts the combined result into a digital signal. In the case of the fourth P-type fire receiver When a fire signal is detected in the third boundary area of the terminal 100, the combination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resultant value will be 000011+ discrimination code +001000000000, and the discrimination code between the unique discrimination code and the resultant value It can be a specific number or character, or it can use null values. Of course, it would be possible to do without the identification code.

한편,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401)는 상기 화재수신기(100) 각각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들과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 설치된 장소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에 데이터테이블형태로 저장하게 되는데, 입력되는 정보를 예시하면 아래 테이블과 같다.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1 includ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includes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each of the fire receivers 100 and the 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ed location of the fire detection area monitoring device 400 is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part 402 includ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400 in the form of a data table. same.

<고유 식별번호별 화재수신기 위치정보 테이블><Fire receiver location information table by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igure 112016501984435-pat00001
Figure 112016501984435-pat00001

이와 더불어,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 각각이 관할하는 경계구역의 숫자만큼 상기 경계구역의 순서대로 상기 경계구역의 명칭을 입력하여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포함된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에 입력하게 되는데, 상기 경계구역 탐지부(303)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경계구역의 결과 값들에 대응되는 경계구역 명칭을 데이터테이블 형태로 아래와 같이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putting the name of the boundary zone in the order of the boundary zones by the number of boundary zones occupied by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The boundary zone nam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boundary zone that may be generated by the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303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data table as follows.

<경계구역 위치정보 테이블><Boundary Zone Location Information Table>

Figure 112016501984435-pat00002
Figure 112016501984435-pat00002

따라서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404)는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403)에서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신호에서 상기 고유 식별번호와 상기 경계구역의 결과 값을 각각 추출한 뒤 상기 고유 식별번호별 화재수신기 위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번호에 해당하는 P형 화재수신기(100) 설치위치를 획득하며, 경계구역위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경계구역의 결과 값에 해당하는 경계구역의 위치를 획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404 extracts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the result of the boundary zone from the digital signal received by the fire signal reception unit 403, Type fire receiver 100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and acquires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zone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the boundary zone from the boundary zone position information table.

그러나 상기 경계구역 위치정보 테이블 구성 및 위치정보 획득에 있어 상기 결과 값 자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401)에서 상기 경계구역위치정보 테이블에 1부터 시작하는 순서와 이에 상응하는 경계구역 위치를 입력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404)는 상기 경계구역의 결과 값을 추출하여 1이 몇번째에 위치하였는지 파악하여 경계구역의 위치를 획득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계구역위치정보 테이블은 아래와 같이 저장하게 될 것이다.Howev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oundary zone location information table and the acquisi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sult information itself is not used, and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1 determines the boundary zone location information table based on the order starting from 1, And the fire occurrence zone identification unit 404 may extract the result of the border zone so as to determine how many 1s are located to obtain the position of the border zone. The boundary zone location information table implemented in this way will be stored as below.

<경계구역 위치정보 테이블의 다른 사례><Another Example of Boundary Zone Location Information Table>

Figure 112016501984435-pat00003
Figure 112016501984435-pat00003

한편,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는 반도체 메모리 등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위치정보와 경계구역 명칭의 입력과 저장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USB 단자를 마련하여 노트북컴퓨터 등을 연결하여 텍스트파일 형태로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텍스트파일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의 반도체 메모리를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하여 노트북이나 PC 또는 스마트폰 등에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의 반도체 메모리를 연결하여 입력 및 저장하는 것도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402 uses a semiconductor memory or the like, and the input and storag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boundary zone nam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may include a USB terminal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and input in the form of a text file. However, it may be possible to construct a file or a database in a form other than a text fil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semiconductor memory of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402 is detachab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memory of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402 such as a notebook PC, a PC, or a smart phone.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의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 및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401)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는 LCD 또는 기타 이에 대응되는 기능을 갖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에는 상기 화재경보가 발생한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설치장소(예: 104동)와 경계구역(예:1,2라인 4층)이 문자형식으로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는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401)로서의 USB 포트가 도시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and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1 of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5,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may include a display panel hav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n LCD or the like. In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the P-type fire The location of the receiver (eg 104) and the boundary area (eg 1, 2, 4th floor) will be displayed in text format. 6 shows a USB port as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1. In FIG.

도 7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의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에 대한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이다. 도7에서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는 파일럿 램프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재경보가 발생한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설치장소(예: 104동)와 경계구역(예:1,2라인 4층)에 해당하는 파일럿램프가 점등되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은 P형 화재수신기(100)의 설치장소별 각 경계구역이 동일 또는 유사한 배열형태나 숫자로 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여기서 이 방식의 경우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401)를 생략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의 순서대로 이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설치장소를 표시하도록 하고, 경계구역의 결과 값에 1이 포함된 위치 값(몇 번째에 1이 포함되어 있는지)을 읽어 이에 대응되는 순서에 해당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7 i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of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Referring to FIG. In FIG. 7,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is formed of a pilot lamp type.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includes a place (for example, 104) for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generated, ) Is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ilot lamp corresponding to the pilot lamp is turned on. This method may be very effective when each boundary reg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has the same or similar arrangement form or numbers. In this case,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1 may be omitted, in order to display the installation plac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fire receiver, The position value including 1 is included in the result valu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number 1 is included), and the boundary reg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s displayed.

한편 상기 통신수단(500)으로는 무선통신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인터넷 회선 등을 사용할 수도 있는 등 각종 유무선 통신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RS-485 케이블을 이용한 통신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500)으로 RS-485 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회선으로 복수의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신호를 송수신하며, 복수의 P형 화재수신기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재신호와 제어신호에는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번호가 있기 따문에 하나의 회선으로도 정확한 값을 주고 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500 may us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use an Internet line or the like, and may use various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However, more preferably, communication means using an RS-485 cable can be applied. When the RS-485 cable is used as the communication means 5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P-type fire receivers on one line, and control signals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o a plurality of P-type fire receivers. Since the fire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for each fire receiver, an accurate value can be exchanged even on one line.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도시한다.3 shows a P-type fire alar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도2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더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 대한 복구스위치(미도시) 및 각종 스위치(미도시)에 대한 원격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조작 스위치부(406), 상기 원격조작 스위치부(406)에서 상기 원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100)의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원격조작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100)에 대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407) 및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407)에서 발생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송신부(404)가 더 포함되어 있으며,3,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the fire alar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very switch (not shown) for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A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406 for receiving a remote operation signal for various switches (not shown) and a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406 for receiving a remote operation signal from the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406, A control signal generation unit (407)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by combin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fire alarm receiver (100) with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ing unit 404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in the generating unit 407 to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이와 더불어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306) 상기 제어신호수신부(306)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301)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제어신호 식별부(307)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307)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 포함되어 있는 복구스위치(미도시) 및 각종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08)를 더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includes a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06 for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06, A control signal identifying unit (307) for identifying whether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301); and a control signal identifying unit (Not shown) and various switches (not shown) includ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de corresponding to the stored unique ID code is included in the P- ).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포함된 원격조작 스위치부(406)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원격조작 스위치부(406)는 복구스위치, 경종정지 스위치 등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 포함된 복구스위치(미도시) 및 각종 스위치(미도시)들을 각각 원격으로 조작하는 스위치들이며, 상기 원격조작 스위치부(406)의 스위치들을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407)가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 포함된 해당 스위치들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신호 송신부(404)를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407)에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할 때는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100)의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원격조작신호를 결합하게 되는데, 각종 스위치 중에서 스위치가 눌러진 곳은 1을 나머지는 0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하여, 상술한 상기 화재신호 변환부(304)에서 상기 고유식별코드와 상기 경계구역 탐지부에서 탐지한 상기 결과 값을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상기 4번째 P형 화재수신기로 5개의 스위치 중 2 번째 스위치에 해당하는 주경종 정지스위치를 조작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000011+구분코드+01000 이 제어신호가 될 것이다. 구분코드는 특정한 숫자나 문자가 될 수도 있으며, null값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구분코드를 없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6 and 7 show the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406 includ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respectively. The remote control switch unit 406 is a switch for remotely operating a recovery switch (not shown) and various switches (not shown) includ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such as a recovery switch and a buzzer stop switch, When the switches of the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406 are operate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07 generates a signal for controlling corresponding switches includ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via the control channel. When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407,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is combined with the remote control signal. 1 and the remainder is 0, and the fire signal conversion unit 304 may combine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with the resultant value detected by the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For example, when the fourth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transmits a signal operated by the main buzzer stop switc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witch among the five switches, the control signal 000011 + Will be. The delimiter code may be a specific number or character, or it may use a null value. Of course, it would be possible to do without the identification code.

한편 상기 제어신호수신부(306)을 통하여 수신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신호 식별부(307)는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301)에 저장된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의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게 되는데 식별 결과 일치하는 코드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308)에 원격제어신호를 보내 상기 화재수신기(100)에 설치되어 있는 복구스위치(미도시) 및 각종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고유 식별코드 일치 여부를 식별하여 제어하게 함으로써, 모든 P형 화재수신기(100)들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겠지만, 상기 화재경보를 발생한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서만 정확하게 원격제어신호로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control signal identifying unit 307 identifie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06 as a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corresponding P-type fire receiver 100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301 (Not shown) installed in the fire receiver 100, and various kinds of codes (not shown) installed in the fire receiver 100 by sending a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unit 308 when there is a code that matches the identification result, Thereby activating a switch (not shown). By identifying and controlling the matching o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ll the P-type fire receivers 100 will receive the control signal, but only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generated can accurate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witch is op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을 도시한다.Figure 4 illustrates a fire receive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도3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더하여,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403)가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개시일시 및 수신종료일시를 측정하는 시각판단부(408),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403)에서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신호에 상기 시각판단부(408)에서 측정하는 수신개시일시 및 상기 수신종료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으로 저장하는 경보발생이력 저장부(409) 및 상기 경보발생이력 저장부(409)에 저장된 상기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을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조회할 수 있는 경보발생이력 열람부(410)를 더 포함하게 된다.4,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the P-type fire alar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e signal receiving unit 403, A time determination unit 408 for measuring the reception start time and the reception end time of the digital signal received by the fire signal receiving unit 403, An alarm generation history storage unit 409 for storing the fire alarm occurrence history and end history as a fire alarm occurrence and end history, and a fire alarm history storage unit 409 for storing the fire alarm occurrence and end history stored in the alarm history storage unit 409, And an alarm generation history browsing unit 410 that can be inquir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2,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여기서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은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한 일시 및/또는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종료된 일시와 상기 디지털신호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어 상술한 예에서의 상기 디지털신호를 2016년 5월1일 23시 36분 14초에 수신한 경우에는 20160501234614+구분코드+000011+구분코드+001000000000가 될 것이다. 여기서 구분코드는 특정한 숫자, 문자 또는 그 조합이 될 수도 있으며, null값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구분코드를 없이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Here, the fire alarm occurrence and termination history is configured to combine the date and time when the digital signal was received and / or the date and time when the digital signal was received and the digital signal. For example, in the above example, When received on May 1, 2016 at 23:36:14, it will be 20160501234614 + Category Code + 000011 + Category Code +001000000000. Here, the delimiter code can be a specific number, a character, or a combination thereof, or a null value. Of course, it would be possible to do without the identification co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화재발생신호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탐지된 경우도 한 대의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는데, 도 3 또는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구성들에 더하여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404)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100)가 2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가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2 이상의 상기 화재발생구역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표시하는 특징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른 순차적 반복표시방법 외에도 도 6에 도시된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를 넓은 화면으로 채택하여 2 이상의 화재발생구역을 문자형태로 나타나게 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를 사용하는 경우 2 이상의 화재발생구역을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405)에 동시에 점멸 또는 점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e alarm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for monitoring a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even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detected. FIG. 3 or FIG. 4 Whe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is identified as two or more in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404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And repeatedly displaying at least two of the fire occurrence zones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However, in addition to the sequential repetition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s described above,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shown in FIG. 6 is adopted as a wide screen to display two or more fire occurrence areas in a character form, When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as shown is used, two or more fire occurrence areas may be blinked or lighted simultaneously on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405.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시스템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소방관서(504), 소방시설관리회사(503) 및/또는 건물관리자(502) 등에 실시간으로 화재경보가 발생한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알려주는 기능과 더불어, 경보발생이력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재경보발생이력을 열람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5, a fire receive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information of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and outputs it to the firefighter's office 504, the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company 503, Type fire receiver 100 in which a fire alarm has occurred in real time in the building manager 502 and / or the building manager 502, as well as a function of detecting the fire alarm history stored in the alarm occurrence history storage unit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image.

이에 따르면,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상술한 구성요소 외에도 감시장치 정보수집부(411)와 감시장치 정보송신부(412)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감시장치 정보수집부(411)은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402)와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404)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설치위치와 상기 화재신호가 발생된 상기 경계구역의 명칭을 상기 감시장치 정보송신부(412)를 통하여 서버를 경유하여 또는 서버경유 없이 직접 상기 소방관서(504), 상기 소방시설관리회사(503) 및/또는 상기 건물관리자(502) 등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주게 되며, 이와 더불어 화재경보발생이력을 열람해 볼 수 있게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소방관서(504), 상기 소방시설관리회사(503) 및/또는 상기 건물관리자(502) 등이 화재발생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further includes a monitoring apparatu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411 and a monitoring apparatus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412. The monitoring apparatus information collecting unit 411 collects,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402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404,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and the name of the boundary zone in which the fire signal is generated, The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company 503 and / or the building manager 502 directly via the monitoring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12 via the server or directly via the server, In addition, the fire alarm history can be viewed. Accordingly, the firefighter 504, the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company 503, and / or the building manager 502 can respond effectively and quickly to fire occurrence.

이하 도 8 내지 도 10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 원격감시 및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와 수신기정보 제공장치 및 상기 P형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와 다른 제3의 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와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전제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P type fire alarm rece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The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method of the fire receiver includes at least one P-type fire receiver,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at least one additional fire detector and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a third place different from the P- .

도 8은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서 화재경보가 발생된 경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가 화재경보를 탐지하여 화재발생 경계구역 정보를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로 전달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when the fire alarm is generated,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detects a fire alarm and transmits the fire occurrence boundary zone information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400 And FIG.

먼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가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에서 화재경보가 발생되었는지를 탐지하는 화재경보 탐지단계이다.(s201) 상기 화재경보 탐지단계에서 화재경보를 탐지하는 방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화재경보 표시등에 인가된 전압이 소정 값 이상인지를 측정하여 소정 값 이상일 경우 화재경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First,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detects whether a fire alarm is generat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100. (s201) In the fire alarm detection step, a method of detecting a fire alarm 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e alarm indicator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f the volt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a determination is made that a fire alarm has occurred.

다음은 상기 화재경보 탐지결과(s201) 화재경보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s202)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로부터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을 탐지하여(s203) 결과 값을 발생시키는(s204) 경계구역 탐지단계를 진행하며Next, when the fire alarm detection result (s201) is determined to have generated a fire alarm (s202),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detects the fire alarm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100 s203), a boundary region detection step of generating a result value (s204)

그 다음에는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가 상기 결과 값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에 저장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고유 식별코드와 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재신호 변환단계(s205)를 거친 후The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combines the result value with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type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and converts the result into a digital signal (s 205) After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가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화재신호 전송단계(s207)를 진행한다.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proceeds to the fire signal transmitting step s207 in which the digital signal is repeatedly transmitted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

또한, 상기 화재신호 전송단계(s207) 이후에는 화재신호전송 중단여부 판단단계(s209)가 있어서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가, 상기 화재경보 발생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탐지하며(s208) 상기 화재경보 발생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을 중단하게 된다.(s210)After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step (s207),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detects whether the fire alarm generation is continuing in step s209 of determining whether to stop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s208) If the alarm is stopped,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is stopped (S210)

한편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는, 상기 화재신호 전송단계(s207)에서 전송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신호 수신단계(s301)를 진행 한 후, 상기 화재신호 수신단계(s301)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 설치위치정보 및 관할 경계구역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화재수신기(100)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식별하는 화재발생구역 식별단계(s302)를 진행하고,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화재수신기(100)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 표시하는 화재발생구역 표시단계(s303)를 진행한다.Meanwhile,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proceeds to a fire signal receiving step (s301) for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in the fire signal transmitting step (s207), and then, in the fire signal receiving step (s301) Analyzes the received digital signal,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fire receiver,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jurisdiction boundary zone lo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400 And a fire occurrence zone identification step (step S302) of identifying a fire zone and a boundary zone. The fire occurrence zone monitoring unit 400 displays the location and boundary zone of th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The display step s303 is performed.

그 이후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가,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단계(s303) 이후에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s304)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를 중단하게 된다.(s305)After that,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400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after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tep s303 (S304) The fire zone display is stopped (S305)

도 9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서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조작스위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P형 화재수신기(100)의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로 전달하면,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가 상기 제어신호를 식별하여 상기 P형 화재수신기(100)의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들에 대한 제어를 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the P-type fire alarm system 100 in which the fire alarm monitoring apparatus 400 receives a control signal for remotely controlling operation switches of the P-type fire alarm receiver 100, Type receiver 300,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identifies the control signal to control the recovery switch and the various switches of the P-type fire receiver 100. Referring to FIG.

먼저 원격제어신호 입력단계로서,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가,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화재수신기(100)에 대한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s306), 제어신호 발생단계에서는 상기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를 판단하여(s307)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로 판단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가 상기 원격제어신호와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화재수신기(100)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를 결합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s309)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로 전송하는(s310) 제어신호 전송단계를 진행하게 된다.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ting step is performed in step S306, the fir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the fire receiver 100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input in a state where the digital signal is continuously receive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400 determines whether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fire alarm A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combin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the detected fire receiver 100 (S309), and the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300 (S310).

그러나, 원격제어신호 입력단계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입력되었다 하더라도(s306),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지속되는 상태가 아니라면(s309) 더 이상 진행하지 않고 입력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무시하고 종료하게 된다.However, even if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inputted in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 step (S306), if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not in the continuous state (S309),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not advanced and the input remote control signal is ignored .

한편,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s211)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를 식별하는(s212) 제어신호 식별단계를 진행한 뒤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300)에 저장된 화재수신기(100)별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의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s215,s104) 제어단계를 상기 도7에서 상술한 단계에 더하여 진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s211),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unique ID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the unique ID code of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If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fire receiver 100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0 after proceeding to the control signal identifying step S212, The control step of operating the recovery switch and the various switches of the fire receiver (s215, s104)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step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에서 화재경보 발생이력을 열람해 볼 수 있도록 상기 화재신호 발생이력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the fire signal generation history so that the fire occurrence monitoring device 400 can view the fire alarm history.

먼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400)는 상기 화재신호 수신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가 수신된 경우(s301)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개시일시를 측정하는(s311) 화재경보 개시일시 측정단계와 상기 디지털신호와 상기 수신개시일시를 조합하여(s312) 화재경보 발생이력으로 저장하는(s313) 화재경보 개시정보 저장단계를 진행한 후First,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400 measures a fire alarm start date and time when the digital signal is received (s301) in the fire signal receiving step (s311) (S312) is stored as a fire alarm occurrence history (s313), the fire alarm start information storage step is performed

상기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이 중단된 경우(s314)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중단일시를 측정하는(s315) 화재경보 종료일시 측정단계와 상기 디지털신호와 상기 수신중단일시를 조합하여(s316) 화재경보 발생중단이력으로 저장하는(s317) 화재경보 중단정보 저장단계를 상기 도 8에서 상술한 단계에 더 포함하여 진행하게 된다.If the reception of the digital signal is stopp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fire signal (s314),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measures (s315) the reception stop date and time of the digital signal, (S316) and stores it as a fire alarm occurrence interrupt history (s317). The fire alarm stop information storage step is further included in the above step of FI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형 화재수신기에 설치되는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화재경보가 발생한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와 더불어 해당 P형 화재수신기의 여러 경계구역 중 화재신호가 발생한 경계구역을 식별하여 원격지에 설치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보내어 표시하도록 하고,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서는 이를 통하여 화재가 발생한 화재수신기의 위치와 관할 경계구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건물관리자 들이 효율적인 화재감시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해당 화재경보 발생이 오류나 오작동 등 비화재보로 원인이 밝혀진 경우 원격지에서 해당 화재경보가 발생된 해당 P형 화재수신기에 제어신호를 보내 복구스위치 등 각종 스위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격지에서도 정확한 화재발생위치 즉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해당 화재수신기의 복구스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stalled in a P-type fire receiver identifies a position of a P-type fire receiver where a fire alarm occurs, and a boundary zone in which fire signals are generated among various boundary regions of the P-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location of the fire receiver where the fire occurs and the boundary area of the fire by visualizing the location of the fire receiver through which the fire manager can efficiently monitor the fire. Of course, if the cause of the fire alarm is found to be caused by errors or malfunctions, it is possible to remotely control various switches such as a recovery switch by send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P type fire receiver where the fire alarm occurred, The location where the fire occurred Information can be quickly and easily grasp, there is an advantage that allows to quickly and accurately respond and operate the reset switch of the fire receiver.

뿐만 아니라 소방관서나 소방시설관리회사 또는 건물관리인 등에게 화재경보 발생현황과 화재발생이력을 제공할 수 있어서 관계기관 및 관리자들이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도록 하는 등 정보의 제공범위를 손쉽게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firefighters,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companies, and building managers can be provided with fire alarm status and fire history, so that relevant agencies and administrators can respond promptly and effectively.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형 화재수신기의 감시 및 원격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에 설치된 P형 화재수신기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원격감시기능, 원격제어기능, 화재경보 발생이력 정보제공기능, 소방관리회사 및/또는 소방관서에 대한 정보제공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신호를 이용하므로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P-type fire alarm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mote monitoring function, a remote control function, a fire alarm history information providing function , Firefighting management company, and / or firefighter, as well as accurate control by using digital signals.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singular &lt; Desc / Clms Page number 5 &gt; embodiments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as appropriate.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that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to obtain a sequence of sequential orders, or a desired result . In certain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as a package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a magneto-optical disk, or the like. Such a proces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00 : P형 화재수신기
101 : 발신기 102 : 화재감지기
103 : 주경종
200 : 부수신기
300 : 수신기정보 제공장치
301 : 식별코드 저장부 302 : 화재경보 탐지부
303 : 경계구역 탐지부 304 : 화재신호 변환부
305 : 신호송신부 306 : 제어신호 수신부
307 : 제어신호 식별부 308 : 제어부
400 :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401 : 수신기정보 입력부 402 : 수신기정보 저장부
403 : 화재신호 수신부 404 : 화재발생구역 식별부
405 : 화재발생구역 표시부 406 : 원격조작 스위치부
407 : 제어신호 발생부 408 : 시각판단부
409 : 경보발생이력 저장부 410 : 경보발생이력 열람부
411 : 감시장치 정보수집부 412 : 감시장치 정보송신부
450 : 화재경보 표시부
100: P type fire receiver
101: transmitter 102: smoke detector
103: The Main Seed
200: crashing
300: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301: Identification code storing unit 302: Fire alarm detecting unit
303: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304: fire signal conversion unit
305: signal transmitting unit 306: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307: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unit 308:
400: Fire area monitoring system
401: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402: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403: fire signal receiving unit 404: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405: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ection 406: remote operation switch section
407: control signal generator 408:
409: an alarm occurrence history storing unit 410: an alarm occurrence history reading unit
411: Monitoring device information collecting part 412: Monitoring device information transmitting part
450: Fire alarm display

Claims (7)

삭제delete 화재감지기 및 발신기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화재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 위치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와, 상기 P형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와는 다른 제3의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P형 화재수신기들의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화재경보를 발생시킨 P형 화재수신기를 식별하여 표시하고 경보를 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로 이루어진 자동 화재탐지설비에서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의 고유 식별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식별코드 저장부;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경보 발생여부를 탐지하는 화재경보 탐지부;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상기 화재신호를 보낸 경계구역을 탐지하여 결과 값을 발생시키는 경계구역 탐지부;
상기 화재경보 탐지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경계구역 탐지부에서 탐지한 상기 결과 값을 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재신호 변환부; 및
상기 화재경보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제3의 장소에 설치되는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화재신호 송신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제어신호수신부에서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는 제어신호 식별부; 및
상기 제어신호에 상기 식별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되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P형 화재수신기에 포함되어 있는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이루어 진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들과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와 관할 경계구역정보를 입력받는 수신기정보 입력부;
상기 수신기정보 입력부에 입력되는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를 저장하는 수신기정보 저장부;
상기 화재신호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신호 수신부;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해석하여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식별하는 화재발생구역 식별부;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에서 식별한 상기 위치와 상기 경계구역을 화재발생구역으로 표시하는 화재발생구역 표시부;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에 대한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에 대한 원격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조작 스위치부;
상기 원격조작 스위치부에서 상기 원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의 상기 고유 식별코드와 상기 원격조작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에 대한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발생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와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 사이에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At least one P type fire receiver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a fire detector and a transmitter to generate a fire alarm and detecting and displaying a position of a boundary zone where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Type fire alarm receivers, which are installed at a location of the P-type fire receivers and are provided with status information of the P-type fire receivers to identify and display the P-type fire receivers generating the fire alarms, And in a system for control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An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for storing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P-type fire receiver;
A fire alarm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fire alarm is generated from the P-type fire receiver;
A boundary zon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boundary zone from which the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P type fire receiver when the fire alarm detection unit detects the fire alarm and generating a result value;
A fire signal converting unit for combin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the resultant value detected by the boundary detection unit when the fire alarm is detected by the fire alarm detection unit and converting the combined result into a digital signal; And
A fire signal transmitter repeatedly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the third place while the fire alarm is continued;
A control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whether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when the control signal is receiv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recovery switch and various switches includ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n the control signal includes a code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ode storage unit A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s include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for receiving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P-type fire receivers correspon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nd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A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nique ID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input to the receiver information input unit;
A fire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signal transmitting unit;
Analyz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at the fire signal receiving unit, and analyzing the location of the P-type fire receiver where the fire alarm is detect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a fire zone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boundary zone;
A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location identified by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and the boundary area as a fire occurrence area;
A remote control switch unit for receiving a remote control signal for a recovery switch and various switches for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When the remote operation signal is inputted from the remote operation switch unit,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combined with the remote control signal of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A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And
And a control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to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a commun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betwee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는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가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개시일시 및 수신종료일시를 측정하는 시각판단부;
상기 화재신호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상기 디지털신호에 상기 시각판단부에서 측정하는 수신개시일시 및 상기 수신종료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으로 저장하는 경보발생이력 저장부; 및
상기 경보발생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화재경보 발생 및 종료이력을 상기 수신기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 상기 위치정보 및 상기 관할 경계구역 정보에 기반하여 조회할 수 있는 경보발생이력 열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 time judging unit for measuring the reception start date and the reception end date of the digital signal received by the fire signal receiver;
An alarm generation history storage unit for combining the digital signal received by the fire signal reception unit with a reception start date and a reception end date measured by the time determination unit and storing the combined result as a fire alarm occurrence and termination history; And
An alarm generation history browsing unit that can inquire the fire alarm occurrence and termination history stored in the alarm generation history storage unit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jurisdiction boundary zone information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storage unit A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부에서,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가 2 이상인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부가 소정의 시간간격에 따라 2 이상의 상기 화재발생구역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형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Wherein when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is identified as being two or more in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unit,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unit sequentially displays at least two of the fire occurrence areas repeatedly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P-type fire receiver
삭제delete 적어도 하나 이상의 P형 화재수신기와 수신기정보 제공장치 및 상기 P형 화재수신기 설치장소와 다른 제3의 장소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수신기와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로 이루어진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P형 화재수신기에서 화재경보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화재경보 탐지단계;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경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P형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신호가 발생된 경계구역을 탐지하여 결과 값을 발생시키는 경계구역 탐지단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결과 값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조합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화재신호 변환단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를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화재신호 전송단계;
상기 화재신호 전송단계 이후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화재경보 발생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탐지하여 상기 화재경보 발생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디지털신호 전송을 중단하는 화재신호전송 중단여부 판단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신호 전송단계에서 전송하는 상기 디지털신호를 수신하는 화재신호 수신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디지털신호를 해석한 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저장된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고유 식별코드들과 상기 고유 식별코드들에 대응되는 상기 P형 화재수신기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와 관할 경계구역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P형 화재수신기의 위치와 경계구역을 식별하는 화재발생구역 식별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식별단계에서 식별한 상기 위치와 상기 경계구역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에 표시하는 화재발생구역 표시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단계 이후에 상기 디지털신호수신이 지속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중단된 경우에는 상기 화재발생구역 표시를 중단하는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화재경보가 탐지된 화재수신기에 대한 원격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원격제어신호 입력단계;
상기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 수신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원격제어신호가 입력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원격제어신호와 상기 디지털신호에 포함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를 결합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단계;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를 식별하는 제어신호 식별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 식별단계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코드가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에 저장된 화재수신기별 고유 식별코드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수신기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재수신기의 복구스위치 및 각종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단계로 이루어진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방법
A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 fire receiv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P-type fire receiver and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at least one additional fire detector and a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installed in a third place different from the P- In the method,
A fire alarm detection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re alarm has occurred in the P-type fire receiver;
Detecting a boundary zone where a fir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P type fire receiver when the fire alarm is detected, and generating a result value;
A fire signal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resultant value into a digital signal by combining the result value with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 fire signal transmission step in which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repeatedly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is stopped when the generation of the fire alarm is stopped and the digital signal transmission is stopped if the generation of the fire alarm is stopped after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step;
A fire signal receiving step of receiving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in the fire signal transmitting step;
Where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nalyzes the digital signal received in the fire signal reception step and then transmit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for each of the P type fire receivers stor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s A fire occurrence zone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a location and a border zone of the P-type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based on position information and jurisdictional boundary zone information of each corresponding P-type fire receiver;
A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tep of displaying the location and the border area identified in the fire occurrence area identification step o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Wherein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after the fire occurrence area display step and if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stopped, step
A remote control signal input step in which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for a fire receiver in which the fire alarm is detected;
When the remote control signal is inputted in the state where the digital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continue the fire signal,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apparatus monitors the remote control signal and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digital signal A control signal generating step of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y coupl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ing step in which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step of identifying, by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hich has received the control signal, whether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a unique identification code for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Whe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matches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each fire receiver stored in the receiver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in the control signal identification step, And a control step for operating various switch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신호 수신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개시일시를 측정하는 화재경보 개시일시 측정단계;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와 상기 수신개시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이력으로 저장하는 화재경보 개시정보 저장단계;
상기 화재신호수신 지속여부 판단단계에서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이 중단된 경우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의 수신중단일시를 측정하는 화재경보 종료일시 측정단계; 및
상기 화재발생구역 감시장치가 상기 디지털신호와 상기 수신중단일시를 조합하여 화재경보 발생중단이력으로 저장하는 화재경보 중단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수신기의 원격감시 및 제어를 위한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A fire alarm start date measurement step of, when the digital signal is received in the fire signal reception step,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measures a reception start date of the digital signal;
A fire alarm start information storing step of storing the fire signal as a fire alarm history by combining the digital signal with the reception start date;
Measuring a fire alarm end date when the reception of the digital signal is stopp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fire signal reception is continued, the fire occurrence area monitoring device measuring a reception stop date and time of the digital signal; And
Further comprising a fire alarm stop information storing step of storing the fire alarm occurrence monitoring history by combining the digital signal and the reception stop date and time,
KR1020160062764A 2016-05-23 2016-05-23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KR101732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764A KR101732430B1 (en) 2016-05-23 2016-05-23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764A KR101732430B1 (en) 2016-05-23 2016-05-23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2430B1 true KR101732430B1 (en) 2017-05-04

Family

ID=5874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764A KR101732430B1 (en) 2016-05-23 2016-05-23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2430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92A (en)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웰릭스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or
KR102298848B1 (en) * 2021-02-03 2021-09-06 육심복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receiver interlocking with digital substation system
KR102464640B1 (en)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20161956A (en) * 2021-05-31 2022-12-07 한국전력공사 Digital management device for substation auto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92453B1 (en) 2022-11-01 2023-01-27 (주) 원창설비 Fire receiver and fire extinguish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KR20230094899A (en) * 2021-12-21 2023-06-28 (주)태산전자 Fire warning system comprising early fire warning and evacuation for multi use facility
KR20240041521A (en) 2022-09-23 2024-04-01 김수연 Fire alarm device with self alarm function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57A (en) * 2001-01-31 2002-08-16 Nittan Co Ltd Fire receiv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0657A (en) * 2001-01-31 2002-08-16 Nittan Co Ltd Fire receiv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92A (en) * 2019-03-07 2020-09-16 주식회사 웰릭스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or
KR102214351B1 (en) * 2019-03-07 2021-02-09 주식회사 웰릭스 Management system for fire detector
KR102298848B1 (en) * 2021-02-03 2021-09-06 육심복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receiver interlocking with digital substation system
KR20220161956A (en) * 2021-05-31 2022-12-07 한국전력공사 Digital management device for substation auto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02575B1 (en) * 2021-05-31 2023-11-16 한국전력공사 Digital management device for substation auto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94899A (en) * 2021-12-21 2023-06-28 (주)태산전자 Fire warning system comprising early fire warning and evacuation for multi use facility
KR102646188B1 (en) * 2021-12-21 2024-03-12 (주)태산전자 Fire warning system comprising early fire warning and evacuation for multi use facility
KR102464640B1 (en) 2022-06-22 2022-11-09 주식회사 파이어룩스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40041521A (en) 2022-09-23 2024-04-01 김수연 Fire alarm device with self alarm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102492453B1 (en) 2022-11-01 2023-01-27 (주) 원창설비 Fire receiver and fire extinguishing integrated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4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ing fire alarm control panels from distance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KR10169793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Fire
KR102126281B1 (en) System for detecting fire using smart fire detector based on IoT and the smart fire detector
EP2960880A2 (en) Systems enabling testing of fire control panels together with remote control and providing text-to-speech of event data
KR100985804B1 (en) Tot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KR102501053B1 (en) Complex fire detector and fir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1640152B1 (en) Complex fire detector and fir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40004974A (en) Addressable automatic fire alarm system
KR101811393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Fire Alarm Equiment
KR102152123B1 (en) Video Processing System of Intelligent Mobile Device with Monitoring Application to Detect and Control Commercial Fire
KR100767425B1 (en) System for offering short message service when a fire breaks out and method therefor
US11499994B2 (en) Power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system and power distribution network monitoring device
KR100892604B1 (en) Complex control module for fire protection
KR100750513B1 (en) P-type and p-type compound fire receiver
KR102564397B1 (en)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fire unsing the sam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KR20200110982A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alarming abnormal operation of facilities
KR102464640B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fir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JP6310243B2 (en) Automatic fire alarm equipment
JP2015111327A5 (en)
KR101527371B1 (en) A fire detection system of analog electric current pursuit types
KR101868115B1 (en) Disaster control communication system
KR101527725B1 (en) System to manage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managing thereof
KR20100074445A (en) System reponding to emergency
KR101655827B1 (en) Addressable repeater and addressable manual call point base on location confi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