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148A -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148A
KR20210004148A KR1020190080088A KR20190080088A KR20210004148A KR 20210004148 A KR20210004148 A KR 20210004148A KR 1020190080088 A KR1020190080088 A KR 1020190080088A KR 20190080088 A KR20190080088 A KR 20190080088A KR 20210004148 A KR20210004148 A KR 2021000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eat plate
crops
chai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가영
Original Assignee
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가영 filed Critical 박가영
Priority to KR1020190080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4148A/ko
Publication of KR2021000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6Seats made of wooden, plastics, or metal sheet material; Panel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하되, 수확한 농작물의 수집, 보관을 편리하게 할 뿐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도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능률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장통의 바닥 일측에 두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수장통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수장통의 상단 테두리에 투입공이 뚫린 좌판을 결합하여, 작업자가 좌판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한 다음 투입공을 통하여 수장통의 수장실에 저장되게 한 것이며, 이때 수장실에는 별도의 망자루를 설치하여 수확된 농작물이 자루에 담겨질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FARMING WORK CHAIR WITH CROPS HARVESTING AND CARRYING FUNCTIONS}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에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수확한 농작물의 수집보관이 편리하게 할 뿐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과 같이 높이가 대체로 낮은 농작물의 수확을 위한 작업은,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수확물을 수집보관하기 위한 용기와 함께 고랑 사이를 이동하여 작업을 하게 된다.
작업자가 장시간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허리와 하반신의 피로감이 가중되고, 특히 척추나 무릎관절에 무리를 주어 허리통증이나 무릎관절염등과 같은 신체이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업자의 엉덩이에 깔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작업방석이 사용되고 있다.(공개특허 제10-2018-0129560호, 복대형 작업방석(특허문헌 1)), 상기 작업방석의 경우에도,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엉덩이부분에 낮은 방석을 깔고 앉는 수단이기 때문에, 이동시에는 방석으로부터 엉덩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옆으로 이동하여야 함으로, 이동시 무릎관절에 부담을 주게 될 뿐 아니라, 이동이 불편하고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개특허 제10-2010-0006518호, 작업용 의자 바퀴간격조절장치(특허문헌 2)와, 공개특허 제10-2010-0057142호, 편심축으로 고정된 바퀴가 달린 작업용 의자(특허문헌 3)과 같이 의자 하단에 4개의 바퀴가 달린 작업용 의자가 제공된바 있다.
상기 작업용 의자의 경우 작업방석과 비교하면 허리와 무릎관절에 부담을 덜어주기는 하나, 수확한 농작물의 수집을 위한 별도의 용기나 자루를 준비하여야 하고, 이동시마다 함께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고, 특히 밭고랑 사이에는 토양이 다져진 상태가 아니므로 바퀴가 빠져 이동에 불편이 있는 등의 문제도 있는 것이었다.
공개특허 제10-2018-0129560호(복대형 작업방석) 공개특허 제10-2010-0006518호 (작업용 의자 바퀴간격조절장치) 공개특허 제10-2010-0057142호 (편심축으로 고정된 바퀴가 달린 작업용 의자)
본 발명은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하되, 수확한 농작물의 수집, 보관을 편리하게 할 뿐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도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능률을 증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수장통의 바닥 일측에 두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수장통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수장통의 상단 테두리에 투입공이 뚫린 좌판을 결합하여, 작업자자 좌판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한 다음 투입공을 통하여 수장통의 수장실에 저장되게 한 것이며, 이때 수장실에는 별도의 망자루를 설치하여 수확된 농작물이 자루에 담겨질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장통의 바닥 일측에 두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수장통의 이동이 자유롭게 하고, 수장통의 상단 테두리에 투입공이 뚫린 좌판을 결합하여, 작업자가 좌판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한 다음 투입공을 통하여 수장통의 수장실에 저장되게 한 것이며, 이때 수장실에는 별도의 망자루를 설치하여 수확된 농작물이 자루에 담겨질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의자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하되, 수확한 농작물의 수집, 보관을 편리하게 할 뿐 아니라, 앉은 상태에서도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서,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임과 동시에 작업능률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다른 예시도
도 3 : 도 2의 작업용 의자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측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바퀴부분의 구성도
도 6 : 본 발명 작업용 의자의 바퀴부분의 사시도
도 7 : 본 발명에 사용되는 좌판의 또다른 예시도
도 8 : 본 발명 수장통과 좌판의 절단면구성도
도 9 : 도 8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의 구성을 알 수 있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작업용 의자(10)는 수장통(20)과 좌판(60)으로 구성된다.
수장통(2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수장통(20)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상단부(22)가 넓고 하단부(23)가 좁은 형상으로서, 내면에 수장실(2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22) 테두리에는 플랜지(24)를 구성하고, 하단부(23) 일측에는 두개의 바퀴(30)를 설치한다.
바퀴(30)는 하단부(23) 일측 바닥(25)에 지지편(32)이 형성된 절삭부(36)를 구성하고, 상기 절삭부(36) 좌우측에 요입부(31)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31)에 바퀴(30)를 위치시킨 다음 지지편(32)을 관통하는 축볼트(33)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한다.
이때 바퀴(30)의 설치위치는, 바퀴(30)의 테두리부분이 수장통(20)의 바닥(25)과 측면(29)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하되, 다만 도 4에서와 같이 절삭부(36)에서는 바퀴(30)가 돌출되게 한다.
수장통(20) 상단부(22)에 구성되는 플랜지(24)는, 도 9에서와 같이 내측면(26)과 수평면(27) 및 외측면(28)이 형성되게 "ㄷ"형으로 절곡구성하여, 수장통(20)의 상단부(22)를 보강함과 동시에 형태안정성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수장통(20) 일측에는 등판기능을 겸하는 손잡이(40)를 구성하되, 바퀴(30)쪽에 구성하여 손잡이(40)를 잡고 수장통(20)을 기울이면 수장통(20)의 바닥(25)이 지면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상기 손잡이(40)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장통(20)과 일체형으로 사출성형하거나, 별도로 제작한 다음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손잡이(40) 아랫쪽에 관통부(46)를 구성하여 작업자의 한쪽발이 끼워질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장통(20) 상단부(22)에 결합되는 좌판(60)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좌판(60)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좌판(60)을 구성하는 본체(61) 테두리에는 결합부(62)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62)를 이용하여 수장통(20)의 상단플랜지(24)와 결합되게 한다.
상기 결합부(62)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단턱(63)과 외측결합편(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판(60)은, 본체(61) 상면을 도 1에서와 같이 편평하게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엉덩이와 양측다리가 위치하는 부분에 요입부(66)를 "U"형으로 요입구성하여, 그 사이에 만곡돌출부(67)가 형성되게 함으로서, 작업자가 좌판(60)에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판(60)은 작업자의 엉덩이가 위치하는 뒷부분을 조금 더 높게 구성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작업용 의자(10)로부터 쉽게 일어날 수 있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좌판(60) 일측에는 투입공(68)을 구성하여 수확한 농작물을 수장통(20)의 수장실(21)에 넣을 수 있게 하고, 좌판(60) 저면에는 보강편(69)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좌판(60)을 구성함에 있어서, 도 7에서와 같이 좌판(60) 상면에 구성되는 요입부(66)를 대각선방향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수장통(20)과 좌판(60)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된다.
수장통(20)의 수장실(21) 직상부에 좌판(60)을 위치시킨 다음, 아래로 내리면 좌판(60)의 본체(61) 테두리에 구성된 결합부(62)가, 수장통(20) 상단부 테두리에 구성된 플랜지(24)와 접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좌판(60)을 누르면 수장통(20)의 플랜지(24) 부분이, 좌판(60)의 결합부(62) 내측면으로 끼워지면서, 결합부(62)의 외측결합편(64)과 걸림턱(63)이, 플랜지(24)의 외측면(28) 및 수평면(27)과 접하게 되면서 수장통(20)과 좌판(6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수장통(20)과 좌판(60)을 결합하기 전에, 망자루(도시안됨)를 수장실(21)에 위치시킨 다음 망자루의 상단입구부를 수장통(20)의 플랜지(24) 외측으로 젖히고, 그 위에 좌판(60)를 결합하게 되면, 좌판(60)에 뚫린 투입공(68)으로 수확된 농작물을 집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망자루에 담기게 된다.
또한 좌판(60)에 요입부(66)가 형성된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좌판(60)의 양측 요입부(66)가 측방향으로 위치되게 결합하여 작업자가 좌판(60)에 앉게 되면 농작물이 전면에 위치되게 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용 의자(10)는 고추나 가지, 토마토 등과 같은 농작물 수확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용 의자(10)는 농작물이 심겨진 고랑 사이를 아무런 불편없이 이동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있다.
작업용 의자(10)를 농작물이 심겨진 고랑 사이에 위치시키되, 수장통(20) 하단에 위치한 두개의 바퀴(30)가 진행방향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좌판(60) 상에 걸터앉으면 농작물이 작업자 전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농작물에 달린 수확물을 양손으로 편안하게 수확할 수 있게 되고, 수확된 농작물은 작업자의 양측 다리사이에 위치한 좌판(60)의 투입공(68)에 집어 넣으면 수장통(20) 내에 위치한 망자루에 채워지게 된다.
작업중 작업용 의자(10)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앉은 상태에서 바퀴(30) 반대편에 위치한 수장통(20)의 플랜지(24)를 잡고 당기면서 몸을 바퀴(30)쪽으로 기울이면, 수장통(20)이 바퀴(30)를 축으로 진행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수장통(20)의 바닥(25)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일측발로 지면을 밀면, 바퀴(30)에 의해 쉽게 이동하게 된다.
이동이 완료되면 작업자 전면에 위치한 농작물을 수확하는 동작의 반복으로 작업하게 된다.
바퀴(30)는 수장통(20)의 바닥(25)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작업용 의자(10)에 걸터앉더라도, 체중이 수장통(20)의 바닥(25)에 분산되므로, 바퀴(30)가 지면에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고, 따라서 이동에 불편함이 없다.
특히 작업용 의자(10)의 좌판(60) 상면, 즉 작업자의 엉덩이와 양측 다리가 접하는 부분에 요입부(66)를 구성할 경우, 작업자의 엉덩이와 앙측 다리가 넓은 면적으로 좌판(60)의 요입부(66)와 접하게 되므로, 장시간 앉아있어도 불편함없이 편안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양측 다리가 위치하는 요입부(66) 사이에는 만곡돌출부(67)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돌출부(67)에 투입공(68)이 형성되어 있어 수확된 농작물의 수집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작업용 의자(10)는, 작업자가 좌판(60)에 걸터앉으면 양측 발이 지면에 닿으면서 양측 무릎이 대략 직각형태로 구부려지게 되므로, 무릎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좌판(60)에 구성된 요입부(66)가 대각선방향으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작업자의 한쪽 다리는 손잡이(40)에 구성된 관통부(46)에 끼우고, 다른쪽 다리는 수장통(20) 외측에 위치되게 하여 작업을 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양측 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용 의자(1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작업중 수장통(20)에 위치한 망자루에 수확된 농작물이 채워지면 손잡이(40)를 앞으로 잡아당겨 내리면, 바퀴(30)를 축으로 수장통(20)이 회전하여 수장통(20)의 바닥(25)이 지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손잡이(40)를 끌어당기면 작업용 의자(40)가 쉽게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작업용 의자(10)는 농작물 수확용 의자로만 사용가능한 것이 아니라, 점차 고령화되어가는 농어촌에서 간단한 물품을 싣고 이동하거나, 장보기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동중 휴식할때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의자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10)--작업용 의자 (20)--수장통
(21)--수장실 (22)--상단부
(23)--하단부 (24)--플랜지
(25)--바닥 (26)--내측면
(27)--수평면 (28)--외측면
(29)--측면 (30)--바퀴
(31)--요입부 (32)--지지편
(33)--축볼트 (40)--손잡이
(60)--좌판 (61)--본체
(62)--결합부 (63)--단턱
(64)--외측결합편 (66)--요입부
(67)--만곡돌출부 (68)--투입공
(69)--보강편

Claims (2)

  1. 상단부(22)가 넓고, 하단부(23)가 좁은 수장실(21)이 형성된 수장통(20)을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고, 상기 수장통(20) 일측 상단에 손잡이(40)를 구성하고, 손잡이(40)가 위치한 수장통(20) 하단부 일측에 절삭부(36)를 구성하고, 상기 절삭부(36) 양측에 요입부(31)를 구성하고, 상기 요입부(31)에 바퀴(30)를 위치시킨 다음, 축볼트(33)로 바퀴(30)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되, 수장통(20)의 수장실(21) 상면에는 투입공(68)이 뚫린 좌판(60)을 결합하여, 작업자가 농작물수확시 좌판(60)에 앉은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수장통(20) 상단 테두리에 플랜지(24)를 구성하고, 좌판(60) 저면 테두리에 결합부(62)를 구성하여, 좌판(60)의 결합부(62)가, 수장통(20)의 플랜지(24)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좌판(60)의 본체(61) 상면에는 "U"형의 요입부(66)를 구성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게 하고, 수장통(20) 일측 하단에 구성된 바퀴(30)의 테두리 부분이 수장통(20)의 바닥(25)과 측면(29)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KR1020190080088A 2019-07-03 2019-07-03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KR20210004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88A KR20210004148A (ko) 2019-07-03 2019-07-03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88A KR20210004148A (ko) 2019-07-03 2019-07-03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48A true KR20210004148A (ko) 2021-01-13

Family

ID=7414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88A KR20210004148A (ko) 2019-07-03 2019-07-03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4148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518A (ko) 2008-07-09 2010-01-19 김성규 작업용의자 바퀴간격조절장치
KR20100057142A (ko) 2008-11-21 2010-05-31 김성규 편심축으로 고정된 바퀴달린 작업용의자
KR20180129560A (ko) 2017-05-27 2018-12-05 이재영 복대형 작업방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518A (ko) 2008-07-09 2010-01-19 김성규 작업용의자 바퀴간격조절장치
KR20100057142A (ko) 2008-11-21 2010-05-31 김성규 편심축으로 고정된 바퀴달린 작업용의자
KR20180129560A (ko) 2017-05-27 2018-12-05 이재영 복대형 작업방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328B1 (en) Mobile garden tool center
US7425035B2 (en) Gardening chair
US7052080B2 (en) Frame for supporting a back pack and providing a seat structure
US20230398268A1 (en) Breast pumping system
EP1746964A1 (fr) Marchette ajustable
Tewari et al. Rationalized database of Indian agricultural workers for equipment design
US20110041884A1 (en) Crutch Apparatus
KR20210004148A (ko) 농작물 수확 및 운반기능을 갖는 작업용 의자
KR101896472B1 (ko) 농업용 다목적 작업보조장비
KR102208714B1 (ko) 농어업용 썰매 의자
US10881563B2 (en) Device to assist person rising from a seated position
US10130187B1 (en) Kneeler
CN212368661U (zh) 一种便携式不压绿植除草凳
JP6731035B2 (ja) 携帯用椅子
KR200431883Y1 (ko) 고추수확용 작업 이송장치
KR20210008612A (ko) 작업용 의자
US120478A (en) Improvement in cotton-pickers velocipedes
KR100849205B1 (ko)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CN212465468U (zh) 一种便携式除草凳
KR101213295B1 (ko) 동력식 작업의자
US2674462A (en) Weeding cart
KR101424148B1 (ko) 농산물 수확대차
KR101070144B1 (ko) 작물수확용 다기능 카트
KR20120006132U (ko) 농작업용 이동식 소형 작업의자
JP3047612U (ja) 草取り作業用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