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621A -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 Google Patents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621A
KR20210003621A KR1020190079668A KR20190079668A KR20210003621A KR 20210003621 A KR20210003621 A KR 20210003621A KR 1020190079668 A KR1020190079668 A KR 1020190079668A KR 20190079668 A KR20190079668 A KR 20190079668A KR 20210003621 A KR20210003621 A KR 2021000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olding
seatback
rota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6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20040B1 (en
Inventor
김재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Priority to KR1020190079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040B1/en
Priority to PCT/KR2019/011964 priority patent/WO2020130294A1/en
Publication of KR2021000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0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 device comprises: a pair of fixed brackets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a seat cushion, respectively; a pair of rotating bracket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fixed brackets, respectively; a folding operation unit; and a folding assis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asily fold or unfold a seat back.

Description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본 발명은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작케이블을 당기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시트백을 접거나 세우는 것이 용이하고, 나아가 케이블분배기에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조작케이블인 제1, 2 케이블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레버연동수단을 구비하고 그에 연동되는 회전구속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터치로 조작케이블을 계속 당기더라도 시트백이 세팅 위치 부근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pulls an operation cable, the seatback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a setting position forming a certain acute angle with the seat cushion b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user folds or stands the seatback. It is easy, and furthermore, the operation cable is provided with a lever interlocking means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which are the operation cables, based on the locking release point determined in the cable distributor, and a rotation restraining means interlocked therewith. It relates to a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seatback from being repeatedly shaken by the elastic force and rotational inertia in the vicinity of the setting position even if it is continuously pulled.

시트백 폴딩 장치는 후석(2열이나 3열)의 시트백을 폴딩함으로써 러기지 공간 및 착좌 공간을 손쉽게 확보하기 위한 장치이고, 시트백 폴딩 어시시트 장치는 시트백을 폴딩하거나 다시 세울 때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The seatback folding device is a device for easily securing a luggage space and seating space by folding the seatback of the rear seat (2nd or 3rd row), and the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is a device that facilitates this when folding or rebuilding the seatback. Say.

관련된 종래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44817호(2004.09.10.)에는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가 제안된 바 있고, 등록특허공보 제10-0523044호(2005.10.20.)에는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a "car rear seat folding structure" has been proposed in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044817 (2004.09.10.), and Registr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0523044 (2005.10. "Seatback folding device" has been proposed.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에서 폴딩할 경우에는 레버를 당겨 락을 해제한 후 손으로 시트백을 밀어 폴딩시키고, 반대로 폴딩된 상태에서 시트백을 세울 경우에는 레버를 당겨 락을 해제한 후 손으로 시트백을 들어 올려 시트백을 복원시켜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시트백을 처음부터 끝까지 회동시켜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folding while the seatback is upright, the lever is pulled to release the lock, and then the seatback is pushed and folded by hand, and when the seatback is erected in the folded state, the lever is pulled to release the lock.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such as having to manually rotate the seatback from start to finish by lifting the seatback by hand to restore the seatback.

이에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2296호(2018.10.12. 공개)에 게재된 것과 같은 "자동차용 시트백 폴딩 보조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Accordingl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car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s publish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112296 (published on October 12, 2018).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반복 요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atback is repeatedly shaken by the elastic force and rotational inertia at the setting position where the seatback forms a constant acute angle with the seat cush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시트백을 접거나 세우는 것이 용이한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in which a user can easily fold or erect a seatbac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조작케이블을 계속 당기더라도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반복 요동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seatback is repeatedly shaken by elastic force and rotational inertia at a setting position in which the seatback forms a constant acute angle with the seat cushion even if the user continues to pull the operation cable.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자동차 시트백의 폴딩을 보조할 수 있는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시트백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브래킷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폴딩조작부와; 상기 폴딩조작부와 연동되며 상기 시트백을 상기 시트쿠션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폴딩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폴딩조작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제1 케이블과, 상기 폴딩보조부에 타단이 연결된 제2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일단을 상호 연결 및 연결 해제할 수 있는 레버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연동수단은, 상기 제1 케이블이 당겨지는 경우 초기위치에서 정해진 락킹해제지점까지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락킹해제지점 이후에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apable of assisting the folding of a seatback of an automobile, and a pair of fixing brackets respectively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and ; A pair of rotation brackets each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fixing brackets while the seatback is supported; A folding operation unit operable by a user; A folding auxiliary uni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olding operation unit and assists in folding the seat back in the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and sta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cluding, wherein the folding operation unit, a first cable pull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a second cable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lding auxiliary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and one end of the second cable are interconnected and connected Consisting of a lever interlocking means that can be released,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when the first cable is pulled, connects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and the locking After the release poi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레버연동수단은 분배기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케이스에 상기 힌지축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꺾쇠판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케이스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꺾쇠판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형상의 걸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꺾쇠판과 일체로 하강될 수 있는 케이블홀더와, 상기 꺾쇠판이 상기 락킹해제지점을 지나치는 경우 상기 꺾쇠판을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이 상기 케이블홀더의 걸림단에서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distributor cas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by a hinge shaft, and the hinge shaft is supported to be movable vertically and slidably on the distributor case, but a locking jaw protruding outwardly at the other end The bracket plate is formed, and one end of the second cable is connected and supported to be slid up and down in the distributor case, but when the bracket plate is lowered, a locking end of the bracket plate is formed so that the bracket A cable holder that can be lowered integrally with a plate, and when the bracket plate passes the locking release point, the bracket plate is rotated inward with the hinge axis as a rotational center, so that the locking step of the bracket plate is caught by the cable hold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unit for guiding to be separated from the stage.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꺾쇠판에 구비된 가이드핀와, 상기 분배기케이스에 상기 꺾쇠판의 상하 이동 및 회동을 유도하는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지지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guide unit includes a guide pin provided on the bracket plate, and a guide groove formed so that the guide pin is inserted and supported along a movement path of the guide pin that induces vertical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bracket plate in the distributor case. Characterized in that.

여기서, 상기 레버연동수단은 상기 제1 케이블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꺾쇠판을 상승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복귀스프링과, 초기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꺾쇠판을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이 상기 케이블홀더의 걸림단에 걸리도록 하는 제2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return spring that raises the bracket plate by an elastic force and returns it to an initial pos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first cable, and moves the bracket plate outward by an elastic force at the initial pos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return spring for rotating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bracket to be caught on the locking end of the cable holder.

여기서, 상기 폴딩보조부는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 좌우측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조작부는 상기 제2 케이블이 2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 좌우측 각각에 구비된 폴딩보조부에 연결되며, 상기 꺾쇠판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홀더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2개의 제2 케이블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folding auxiliary unit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and the folding operation unit is composed of two second cables, and each other end is connected to a folding auxiliary unit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 The clamping plate is composed of two and arranged symmetrically around the hinge axis, and the cable holder is composed of two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wo second cables,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상기 폴딩보조부가 상기 제2 케이블이 당겨지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 방향으로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탄성회전수단과,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asticity that rotates the rotation bracket in the direction of a setting position in which the seatback forms a constant acute angle with the seat cushion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second cable is pulled by the folding auxiliary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means and a rotation restraint means for restrain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케이블을 당기는 경우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로 회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세팅 위치로부터 시트백을 접는 방향으로 힘을 주는 것이 용이하고, 시트백이 접힌 위치에서 사용자가 다시 조작케이블을 당기는 경우 시트백이 세워진 위치까지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회동됨으로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move the seatback from the setting position by rotating the seatback to a setting position forming a constant acute angle with the seat cushion when the user pulls the operation cable while the seatback is erect. It is easy to apply force in the folding direction, and when the user pulls the operation cable again from the folded position of the seatback, the seatback is rotated to the upright position by elastic force and rotational inerti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케이블분배기에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기준으로 조작케이블인 제1, 2 케이블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레버연동수단이 구비된 폴딩조작부와 그에 연동되는 폴딩보조부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사용자가 원터치로 조작케이블을 계속 당기더라도 시트백이 세팅 위치 부근에서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lding operation unit provided with a lever interlocking means for connecting and releas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which are operation cables, based on the locking release point determined in the cable distributor, and a folding auxiliary unit linked theret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eatback can be prevented from repeatedly swinging near the setting position even if the user continues to pull the operation cable with one touch due to the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의 내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핀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수단의 사용상태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rotating state of a seat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lever inter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ovement trajectory of a guide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main part of a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rotation restrain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핀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구속수단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rotating state of a seat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according to,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guide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8 and 9 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rotation restraint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자동차 시트백(2)의 폴딩을 보조할 수 있는 장치로서 고정브래킷(10)과, 회동브래킷(20)과, 폴딩조작부(30)와, 폴딩보조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9,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capable of assisting the folding of the seatback (2) of the vehicle, the fixing bracket 10, the rotating bracket 20, and the folding operation unit 30 )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olding aid (40).

상기 고정브래킷(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쿠션(1)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구성이다.The fixing bracket 10 is composed of a pair and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1, respectively.

상기 회동브래킷(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트백(2)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1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다.The rotation bracket 20 is configured as a pair,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fixing brackets 10 while the seat back 2 is supported.

즉, 상기 고정브래킷(10)에 대한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동은 상기 시트쿠션(1)에 대한 상기 시트백(2)의 회동이 되는 것이다.That i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20 with respect to the fixing bracket 10 becomes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2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1.

상기 폴딩조작부(30)는 사용자에 의해 시트백(2)의 폴딩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조작몸체(31)와, 폴딩레버(32)와, 조작케이블(33)과, 레버연동수단(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lding operation unit 30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operate the folding of the seat back 2,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body 31, the folding lever 32, the operation cable 33 and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ver interlocking means (34).

상기 조작몸체(31)는 상기 폴딩조작부(3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폴딩레버(32)의 일단이 상기 조작몸체(31)에 힌지(321) 연결된다.The operation body 31 is configured to form the outer shape of the folding operation unit 30, and one end of the folding lever 32 is connected to the operation body 31 by a hinge 321.

상기 폴딩레버(32)는 일단이 상기 조작몸체(31)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승되며 상기 조작케이블(33)로서의 제1 케이블(331)을 당길 수 있는 구성이다.The folding lever 32 has one end hinged to the operating body 31, the other end is raised by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and the first cable 331 as the operating cable 33 can be pulled.

상기 조작케이블(33)은 상기 일단은 상기 폴딩레버(32)에 연결되고 타단은 폴딩보조부(4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폴딩레버(32)를 통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1개의 제1 케이블(331)과, 한 쌍의 회동브래킷(20) 좌우측 각각에 구비된 폴딩보조부(40)에 각각의 타단이 연결된 2개의 제2 케이블(332)로 분리되어 구성된다. The operation cable 33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olding lever 3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olding auxiliary unit 4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external force is prevented through the folding lever 32. It is composed of one first cable 331 pulled by the pair, and two second cables 332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each of the folding aids 40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20 .

상기 레버연동수단(34)은 상기 제1 케이블(331)의 타단과 상기 제2 케이블(332)의 일단을 상호 연결 및 연결 해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케이블(331)이 당겨지는 경우 초기위치에서 정해진 락킹해제지점까지는 상기 제1 케이블(331)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연결(332)하고, 상기 락킹해제지점 이후에는 상기 제1 케이블(331)과 상기 제2 케이블(332)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The lever interlocking means 34 is configured to mutually connect and disconnec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331 and one end of the second cable 33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able ( When 331) is pulled, the first cable 331 and the second cable are connected 332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a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and after the unlocking point, the first cable 331 and the second It is configured to disconnect the cable 332.

상기와 같이 작동을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34)은 분배기케이스(341)와, 꺾쇠판(342)과, 케이블홀더(343)와, 가이드유닛(344)과, 제1 복귀스프링(345)과, 제2 복귀스프링(3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tributor case 341, a bracket plate 342, a cable holder 343, a guide unit 344, and It consists of 1 return spring 345 and a second return spring 346.

케이블 분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에 고정되어 1개의 제1 케이블(331)을 2개의 제2 케이블(332)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분배기케이스(341)는 이러한 케이블 분배기의 하우징의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The cable distributor is fixed to the seatback 2 as shown in FIG. 2 to distribute one first cable 331 to two second cables 332, and the distributor case 341 It is a configuration that serves as the housing of the cable distributor.

상기 꺾쇠판(342)은 상기 제1 케이블(331)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축(342a)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케이스(341)에 상기 힌지축(342a)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42b)이 형성된다.The bracket plate 342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331 by a hinge shaft 342a, and the hinge shaft 342a is supported to be movable vertically and slidably on the distributor case 341, At the other end, a locking projection 342b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즉, 상기 꺾쇠판(342)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케이블(331)이 당겨지는 경우 상기 제1 케이블(331)과 일체로 하강되게 구성된다. That is, the clamp plate 342 is configured to descend integrally with the first cable 331 when the first cable 331 is pulled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꺾쇠판(322)이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축(342a)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late 322 is made of two and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342a.

상기 케이블홀더(343)는 상기 제2 케이블(33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케이스(341)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One end of the second cable 332 is connected to the cable holder 343 and supported by the distributor case 341 so as to be slidable vertical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홀더(343)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2개의 제2 케이블(332)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holder 343 is composed of two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wo second cables 332, respectively.

한편, 상기 케이블홀더(343)는 상기 제1 케이블(331)이 당겨지며 상기 꺾쇠판(342)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342b)이 걸릴 수 있는 형상의 걸림단(343a)이 형성되어 상기 꺾쇠판(342)과 일체로 하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cable 331 is pulled and the bracket plate 342 is lowered, the cable holder 343 has a locking end 343a having a shape in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342b of the bracket plate can be caught. It is formed and configured to be lowered integrally with the clamp plate 342.

상기 가이드유닛(344)은 상기 꺾쇠판(342)이 상기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지나치는 경우 상기 꺾쇠판(342)을 상기 힌지축(342a)을 회전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342b)이 상기 케이블홀더(343)의 걸림단(343a)에서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구성이다.When the bracket plate 342 passes the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the guide unit 344 rotates the bracket plate 342 in an inward direction with the hinge shaft 342a as a center of rotation to engage the bracket plate. It is a configuration that guides the jaw 342b to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end 343a of the cable holder 343.

상기와 같은 가이드유닛(344)의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제1 케이블(331)을 계속 해서 원터치로 당기더라도 상기 꺾쇠판(342)이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지나서게 되면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342b)이 상기 케이블홀더(343)의 걸림단(343a)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케이블(331)과 상기 제2 케이블(332)의 연결이 해제되게 된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unit 344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continues to pull the first cable 331 with one touch, when the bracket plate 342 passes a predetermined locking release point, the locking projection 342b of the bracket plate )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end 343a of the cable holder 343,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able 331 and the second cable 332 is released.

상기와 같이 작동되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닛(344)은 가이드핀(344a)과, 가이드홈(344b)을 포함한다.To operate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unit 34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in 344a and a guide groove 344b.

상기 가이드핀(344a)은 상기 꺾쇠판(342)에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The guide pin 344a is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or rearward from the bracket plate 34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꺾쇠판(342)은 2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핀(344a)은 상기 꺾쇠판(342)이 회동되는 경우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꺾쇠판(342)에 서로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As shown in Figure 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late 342 is made of two, and the guide pins 344a are each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when the bracket plate 342 is rotated. It is provid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each other on the bracket 342 of.

상기 가이드홈(344b)은 상기 분배기케이스(341)에 상기 꺾쇠판(342)의 상하 이동 및 회동을 유도하는 상기 가이드핀(344a)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가이드핀(344a)이 삽입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guide groove 344b is formed so that the guide pin 344a is inserted and supported along the moving path of the guide pin 344a that induces the vertical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clamp plate 342 in the distributor case 341 It is a configuration.

도 5는 상기 가이드홈(344b)의 형상에 따른 상기 가이드핀(344a)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홈(344b)을 기본적으로 상하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꺾쇠판(342)이 회동되지 않은 상태 그대로 하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정해진 락킹 지점에서 측방으로 상기 가이드핀(344a)이 이동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여 그 지점에서 상기 꺾쇠판(342)이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5 is a diagram showing a movement path of the guide pin 344a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344b.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344b is formed in a vertically straight line to form the bracket plate. 342 is configured to descend as it is not rotated, and a gap in which the guide pin 344a can be moved laterally from the determined locking point is formed so that the bracket plate 342 can be rotated at that point. Configured.

상기 가이드홈(344b)은 상기 가이드핀(344a)의 이동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며 다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groove 344b may be formed in a multi-directional shape saying that it can guide the movement path of the guide pin 344a.

상기 제1 복귀스프링(345)은 상기 제1 케이블(331)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꺾쇠판(342)을 상승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이다.When an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first cable 331, the first return spring 345 is configured to raise the clamp plate 342 by an elastic force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상기 제2 복귀스프링(346)은 초기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꺾쇠판(342)을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342b)이 상기 케이블홀더의 걸림단(343a)에 걸리도록 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return spring 346 rotates the bracket plate 342 in an outward direction by an elastic force at the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342b of the bracket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343a of the cable holder. Configuration.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버연동수단(34)의 사용상태를 도시하였다.6 shows the state of use of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3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a), (b)는 초기상태에서 제1 케이블(331)이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꺾쇠판(342)이 하강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이때 상기 꺾쇠판(342)의 걸림턱(342b)이 케이블홀더(343)의 걸림단(343a)에 걸려 상기 케이블홀더(343)가 함께 하강되고, 제2 케이블(332)은 당겨지는 상태가 된다. 6A and 6B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first cable 331 is pulled by the user in the initial state, and the clamp plate 342 is lowered. At this time, the clamping jaws of the clamp plate 342 The 342b is caught by the locking end 343a of the cable holder 343 and the cable holder 343 descends together, and the second cable 332 is pulled.

여기서, 가이드핀(344a)은 직선형으로 형성된 가이드홈(344b)에 따라 이동되며 상기 꺾쇠판(342)의 회동을 구속하게 된다.Here, the guide pins 344a are moved according to the guide grooves 344b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bracket plate 342.

도 6의 (c), (d), (e)는 상기 꺾쇠판(342)이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에 이르게 되는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이때 상기 꺾쇠판(342)은 회동되며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342b)이 상기 케이블홀더(343)의 걸림단(343a)에서 이탈되고, 제2 케이블(332)은 제1 케이블(331)과의 연결이 해제되어 이완되는 상태가 된다.6(c), (d), and (e) show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plate 342 reaches a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wherein the bracket plate 342 is rotated and the locking jaw of the bracket plate The 342b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end 343a of the cable holder 343, and the second cable 332 is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cable 331 is released, thereby being relaxed.

여기서, 가이드핀(344a)은 측방에 틈새로 형성된 가이드홈(344b)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꺾쇠판(342)은 회동되게 된다.Here, the guide pin 344a is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344b formed with a gap in the side, and the bracket plate 342 is rotated.

도 6의 (f), (g)는 사용자가 제1 케이블(331)을 계속 당겨 꺾쇠판(342)이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지나치는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이때 상기 꺾쇠판(342)은 회동된 상태로 계속 하강되고, 케이블홀더(343)는 제2 케이블(332)이 연결된 폴딩보조부(40)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승되게 된다. 6(f) and (g) illustrate a case where the user continuously pulls the first cable 331 and the bracket plate 342 passes a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wherein the bracket plate 342 is rotated. It continues to descend in a state, and the cable holder 343 is raised by the pulling force from the folding auxiliary part 40 to which the second cable 332 is connected.

도 6의 (h), (i)는 사용자가 제1 케이블(331)의 당김 상태를 해제한 경우를 도시하였는데, 이때 상기 꺾쇠판(342)은 회동된 상태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된 제1 복귀스프링(345)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게 된다.6(h) and (i)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user releases the pulled state of the first cable 331, wherein the clamp plate 342 is rotated and the first return spring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It is raised by the elastic force of (345).

도 6의 (i), (j)는 상기 꺾쇠판(342)이 초기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도시하였는데, 이때 상기 꺾쇠판(342)은 비트림스프링으로 구성된 제1 복귀스프링(346)의 탄성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342b)이 상기 케이블홀더의 걸림단(343a)에 걸리게 된다.6(i) and (j) show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plate 342 is returned to its initial position, wherein the bracket plate 342 is an elastic force of the first return spring 346 composed of a bitrim spring It is rotated outwardly by means of the clamping protrusion 342b of the bracket plate is caught by the engaging end 343a of the cable holder.

상기 폴딩보조부(40)는 상기 폴딩조작부(30)와 연동되며 상기 시트백(2)을 상기 시트쿠션(1)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20) 좌우측 각각에 구비되고, 탄성회전수단(41)과, 회전구속수단(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olding auxiliary part 40 is interlocked with the folding operation part 30 and assists in folding the seat back 2 in the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1 and sta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 pair of rotation brackets 20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ncludes an elastic rotation means 41 and a rotation restraint means 42.

상기 탄성회전수단(41)은 상기 제2 케이블(332)이 당겨지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시트쿠션(1)과 일정한 예각(θ)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P0) 방향으로 상기 회동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When the second cable 332 is pulled, the elastic rotating means 41 moves toward a setting position P0 at which the seat back 2 forms a constant acute angle θ with the seat cushion 1 by an elastic force. It is a configuration to rotate the rotation bracket 2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탄성회전수단(41)은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에서 접힌 위치(P2)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제1 탄성모듈(411)과, 상기 시트백(2)이 접힌 위치(P2)에서 세워진 위치(P1)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브래킷(20)을 회전시키는 제2 탄성모듈(4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rotating means 41 is a first elastic module that rotates the rotation bracket 20 by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folded position P2 from the seatback 2 erected position P1 It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411 and a second elastic module 412 that rotates the rotation bracket 20 by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from the folded position P2 to the erect position P1.

즉, 상기 제1 탄성모듈(411)과 상기 제2 탄성모듈(412)은 서로 반대방향의 탄성력을 갖는데, 상기 시트백(2)이 회동되는 경우의 회전관성은 무시하고 탄성력만을 고려하였을 경우 상기 제1 탄성모듈(411)과 상기 제2 탄성모듈(412)은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중립을 유지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elastic module 411 and the second elastic module 412 have elastic forces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rotational inertia when the seatback 2 is rotated is ignored and only the elastic force is considered The first elastic module 411 and the second elastic module 412 maintain neutral at the setting position P0.

한편, 상기 제1 탄성모듈(411)과 상기 제2 탄성모듈(41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긴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elastic module 411 and the second elastic module 412 may be composed of spiral springs woun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상기 회전구속수단(42)은 정해진 위치(P1, P0, P2)에서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걸쇠(421)와, 제1 걸림판(422)과, 제2 걸림판(423)과, 걸쇠푸시스프링(4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otation restraint means 42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P1, P0, P2).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421 and the first locking plate 422 ), and a second locking plate 423, and a latch pusher spring 424.

상기 걸쇠(421)는 상기 회동브래킷(20)에 지지되고 상기 제2 케이블(332)이 당겨지는 경우 후퇴되고 상기 제2 케이블(33)이 이완되는 경우 탄성 돌출되는 걸림돌기(421a)를 갖는다.The clasp 421 is supported by the rotation bracket 20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421a that retracts when the second cable 332 is pulled and that elastically protrudes when the second cable 33 is relaxed.

상기 제1 걸림판(422)은 상기 고정브래킷(10)에 지지되고,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421a)의 선단이 접촉되는 제1 슬라이딩면(422a)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면(422a) 상에는 제1 요홈(4221)과, 제2 요홈(4222)과, 제3 요홈(4223)이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first locking plate 422 is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 10, and a first sliding surface 422a contacting the tip of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sliding surface 422a ) On the first concave groove 4221, the second concave groove 4222, and the third concave groove 4223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제1 요홈(4221)은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면(422a) 상에 상기 걸림돌기(421a)가 삽입 지지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concave groove 4221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1a can be inserted and supported on the first sliding surface 422a at a position P1 in which the seatback 2 is erected.

상기 제2 요홈(422)은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에서 상기 제1 탄성모듈(411)에 의해 접힌 위치(P2)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면(422a) 상에 상기 걸림돌기(421a)가 삽입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When the second groove 42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olded position P2 by the first elastic module 411 from the seatback 2 erected position P1, the first in the setting position P0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formed to be inserted and supported on the sliding surface 422a.

상기 제3 요홈(4223)은 상기 시트백(2)이 세팅 위치(P0)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접힌 위치(P2)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접힌 위치(P2)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면(422a) 상에 상기 걸림돌기(421a)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When the seatback 2 is rotated from the setting position P0 to the folded position P2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third groove 4223 is on the first sliding surface 422a at the folded position P2. It is formed in a shape in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421a can be inserted.

상기 제2 걸림판(423)은 상기 제1 걸림판(422)에 겹쳐지게 배치되되 상기 제1 걸림판(422)의 제3 요홈(4223)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4 요홈(4231)이 형성되는 구성이다.The second locking plate 423 is disposed to overlap the first locking plate 422 and has a fourth concave groove 423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cave groove 4223 of the first locking plate 422 It is a configuration.

또한, 상기 제2 걸림판(423)은 외주면에 상기 걸림돌기(421a)의 선단과 접촉되는 제2 슬라이딩면(423a)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2 슬라이딩면(423a)은 상기 제4 요홈(4231)에서 상기 제1 요홈(4221)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상기 걸림돌기(421a)의 선단이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plate 423 has a second sliding surface 423a contacting the tip of the locking protrusion 421a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23a is the fourth groove 4231 )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ncave groove 4221 to gradually decrease the area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421a contacts.

상기 걸쇠푸시스프링(424)은 상기 시트백(2)이 접힌 위치(P2)에서 상기 걸림돌기(421a)가 상기 제3 요홈(4223)에서 상기 제4 요홈(4231)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상기 걸쇠(421)를 상기 제4 요홈(4231)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구성이다.The latch push-sys spring 424 is the latch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horizontally moved from the third groove 4223 to the fourth groove 4231 at the folded position P2 of the seatback 2 It is a configuration that elastically presses the 421 in the direction of the fourth concave groove 4231.

이하에서는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에서 탄성력에 의해 세팅 위치(P0)로 회동되고,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접힌 위치(P2)로 회동되며, 상기 접힌 위치(P2) 위치에서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세워진 위치(P1)로 회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eatback 2 is rotated from the erect position (P1) to the setting position (P0) by an elastic force, and rotated from the setting position (P0) to the folded position (P2) by the user's external force, and the folded position The state in which the position (P2) rotates from the position (P2) to the erected position (P1) due to the elastic force and rotational inertia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인 경우 상기 걸림돌기(421a)는 상기 제1 요홈(4221)에 삽입 지지되고, 그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폴딩레버(32)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케이블(331) 및 제2 케이블(332)이 상호 연결되어 당겨지고 상기 걸림돌기(421a)는 후퇴되어 상기 회동브래킷(20)은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상기 제1 탄성모듈(41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2)은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된다.When the seatback 2 is in an erect position (P1),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groove 4221, and the folding lever 32 is raised by the user's operation in that state The first cable 331 and the second cable 332 are interconnected and pull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retracted so that the rotation bracket 20 is in a free-rotation state, and the first elastic module 411 )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at back (2) is rotated in the folding direction.

상기 시트백(2)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에 사용자가 상기 폴딩레버(32)를 지속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제1 케이블(331)을 당김으로써 상기 꺾쇠판(342)이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지나치는 경우 상기 제1 케이블(331)과 상기 제2 케이블(332)은 상기 레버연동수단(34)에 의해 상호 연결이 해제되며 상기 제2 케이블(332)이 이완되고 상기 걸림돌기(421a)는 탄성 돌출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면(42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다가 상기 제2 요홈(4222)에 삽입 지지됨으로써 상기 회동브래킷(20)은 세팅 위치(P0)에서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seat back 2 in the folding direction, the user continuously raises the folding lever 32 to pull the first cable 331 so that the clamp plate 342 passes a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In this case, the first cable 331 and the second cable 332 are mutually disconnected by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34, the second cable 332 is relax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1a elastically protrudes. The rotation bracket 2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first sliding surface 422a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groove 4222 so that rot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20 is restricted at the setting position P0.

만일, 종래기술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폴딩레버(32)를 상승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케이블(332)이 이완되지 않고 계속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면 상기 걸림돌기(421a)는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421a)는 상기 제2 요홈(4222)에 삽입 지지되지 않게 된다.If, as in the prior art, the second cable 332 is not loosened by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folding lever 32 and continues to be pulled, the locking protrusion 421a maintains a retracted state. Thus,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not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groove 4222.

이 경우 상기 시트백(2)은 회전 관성 및 상기 제1, 2 탄성모듈(411, 412)의 서로 반대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세팅 위치(P0) 부근에서 반복 요동되게 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버연동수단(34)과, 상기 회전구속수단(42)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폴딩레버(32)를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1, 2 케이블(331, 332)이 상호 연결되가 정해진 락킹해제지점 이후에는 상호 연결해제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걸림돌기(421a)가 상기 제2 요홈(4222)에 삽입 지지되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세팅 위치(P0) 부근에서 상기 회동브래킷(20)의 회전이 구속되어 상기 시트백(2)이 반복 요동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seatback 2 will be rotated repeatedly in the vicinity of the setting position P0 by rotational inertia and elastic force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odules 411 and 412 in opposite direction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r When the user raises the folding lever 32 due to an organic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ocking means 34 and the rotation restraining means 42, the first and second cables 331 and 3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fter the locking release point,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econd groove 4222 by being configured to be mutually disconnected, and thus rotation of the rotation bracket 20 near the setting position P0 It is constrained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seatback 2 is repeatedly shaken.

상기 세팅 위치(P0)에서 사용자가 외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2)을 접힌 위치(P2)로 누르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421a)는 상기 제2 요홈(4222)에서 이탈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면(422a)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제3 요홈(4223)으로 삽입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seatback 2 to the folded position P2 by an external force at the setting position P0,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groove 4222 and the first sliding surface 422a ) And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ncave groove 4223.

상기 걸림돌기(421a)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요홈(4222)에서 이탈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요홈(4222)의 상기 제3 요홈(4223)으로의 경사는 완만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for the locking protrusion 421a to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groove 4222 by the user's external force, the inclination of the second groove 4222 to the third groove 4223 is preferably formed to be gentle.

상기 걸림돌기(421a)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요홈(4223)에 삽입되면 상기 걸쇠푸시스프링(424)에 의해 상기 걸쇠(421)는 상기 제2 걸림판(423)의 제4 요홈(4231)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며 상기 걸림돌기(421a)는 상기 제4 요홈(423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When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inserted into the third groove 4223 as shown in FIG. 9, the clasp 421 by the clasp push-sys spring 424 becomes the fourth locking plate 423 of the second locking plate 423. It horizontally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groove 4231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inserted into the fourth groove 4231.

상기 시트백(2)이 접힌 위치(P2)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폴딩레버(32)가 상승되는 경우 상기 제1, 2 케이블(331, 332)는 상호 연결되어 당겨지고 상기 걸림돌기(421a)는 후퇴되어 상기 회동브래킷(20)은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상기 제2 탄성모듈(41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2)은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When the folding lever 32 is raised by the user's manipulation in the folded position P2 of the seatback 2, the first and second cables 331 and 332 are interconnected and pulled,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retracted so that the rotation bracket 20 is in a free-rotating state, and the seatback 2 is rotated in an erect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odule 412.

이렇게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제2 탄성모듈(412)에 의해 세워진 위치(P1)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421a)는 제2 슬라이딩면(423a)을 따라 이동되는데, 상기 제2 슬라이딩면(423a)은 상기 제4 요홈(4231)에서 상기 제1 요홈(4221)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상기 걸림돌기(421a)의 선단이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쇠(421)가 점차적으로 상기 제1 걸림판(422) 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며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에서 상기 걸림돌기(421a)가 상기 제1 걸림판(422)의 제1 요홈(4221)에 삽입지지 되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when the seat back 2 is rotated to the erect position P1 by the second elastic module 412,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moved along the second sliding surface 423a, and the second sliding surface (423a) is formed to gradually decrease the area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421a contacts from the fourth concave groove 4231 to the first concave groove 4221 so that the clasp 421 gradually becomes the first concave groove 4221. 1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horizont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locking plate 422 and the locking protrusion 421a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first groove 4221 of the first locking plate 422 at the position P1 where the seatback 2 is erected. will b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상태(P1)에서 사용자가 상기 폴딩레버(32)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시트백(2)이 상기 시트쿠션(1)과 일정한 예각(θ)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P0)로 회동됨으로써 사용자가 세팅 위치(P0)로부터 시트백을 접는 방향(P2)으로 힘을 주는 것이 용이하고, 시트백이 접힌 위치(P2)에서 사용자가 상기 폴딩레버(32)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시트백(2)이 세워진 위치(P1)까지 탄성력 및 회전관성에 의해 회동됨으로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In the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folding lever 32 while the seatback 2 is erected (P1), the seatback 2 is the seat cushion 1 ) And a constant acute angle (θ) to the setting position (P0), it is easy for the user to apply force from the setting position (P0) in the direction of folding the seatback (P2), and the user in the seatback folded position (P2) When the folding lever 32 is operated, the seat back 2 is rotated up to the erect position P1 by elastic force and rotational inertia,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케이블분배기에 정해진 락킹해제지점을 기준으로 조작케이블(33)인 제1, 2 케이블(331, 332)을 연결 및 연결 해제하는 레버연동수단(34)이 구비된 폴딩조작부(30)와 그에 연동되는 폴딩보조부(4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사용자가 원터치로 조작케이블을 계속 당기더라도 시트백(2)이 세팅 위치(P0) 부근에서 반복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ver interlocking means 34 for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331 and 332, which are operation cables 33, based on the locking release point determined in the cable distributor. The seatback 2 is prevented from repeatedly swinging in the vicinity of the setting position (P0) even if the user continues to pull the operation cable with one touch due to the organic coupling between the provided folding operation unit 30 and the folding auxiliary unit 40 interlocked therewith. You can do it.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시된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improved and modifi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said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고정브래킷
20 회동브래킷
30 폴딩조작부
31 조작몸체
32 폴딩레버
33 조작케이블
331 제1 케이블, 332 제2 케이블
34 레버연동수단
341 분배기케이스
342 꺾쇠판
342a 힌지축, 342b 걸림턱
343 케이블홀더
343a 걸림단
344 가이드유닛
344a 가이드핀, 344b 가이드홈
345 제1 복귀스프링
346 제2 복귀스프링
40 폴딩보조부
41 탄성회전수단
42 회전구속수단
421 걸쇠, 422 제1 걸림판, 423 제2 걸림판, 424 걸쇠푸시스프링
10 Fixing bracket
20 rotation bracket
30 Folding control unit
31 Operating body
32 folding lever
33 Control cable
331 first cable, 332 second cable
34 lever interlocking means
341 distributor case
342 bracket
342a hinge shaft, 342b locking jaw
343 cable holder
343a stop
344 Guide unit
344a guide pin, 344b guide groove
345 first return spring
346 2nd return spring
40 Folding Aid
41 Elastic rotation means
42 Rotation restraints
421 clasp, 422 first locking plate, 423 second locking plate, 424 clasp push spring

Claims (6)

자동차 시트백의 폴딩을 보조할 수 있는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후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과; 상기 시트백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브래킷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 가능한 폴딩조작부와; 상기 폴딩조작부와 연동되며 상기 시트백을 상기 시트쿠션 방향으로 접고 그 반대 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보조하는 폴딩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폴딩조작부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제1 케이블과, 상기 폴딩보조부에 타단이 연결된 제2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일단을 상호 연결 및 연결 해제할 수 있는 레버연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연동수단은, 상기 제1 케이블이 당겨지는 경우 초기위치에서 정해진 락킹해제지점까지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을 연결하고, 상기 락킹해제지점 이후에는 상기 제1 케이블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A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apable of assisting in folding a seatback of an automobile,
A pair of fixing brackets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A pair of rotation brackets each rotatably connected to the pair of fixing brackets while the seatback is supported; A folding operation unit operable by a user; A folding auxiliary unit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folding operation unit and assists in folding the seat back in the direction of the seat cushion and sta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Include,
The folding operation unit may interconnect and disconnect a first cable pull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a second cable having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olding auxiliary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and one end of the second cab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ver interlocking means,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when the first cable is pulled, connects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predetermined unlocking point, and after the unlocking point,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lease the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연동수단은, 분배기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블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케이스에 상기 힌지축이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되 타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꺾쇠판과, 상기 제2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분배기케이스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되 상기 꺾쇠판이 하강되는 경우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형상의 걸림단이 형성되어 상기 꺾쇠판과 일체로 하강될 수 있는 케이블홀더와, 상기 꺾쇠판이 상기 락킹해제지점을 지나치는 경우 상기 꺾쇠판을 상기 힌지축을 회전중심으로 내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이 상기 케이블홀더의 걸림단에서 이탈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distributor case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ble by a hinge shaft, and the hinge shaft is suppor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distributor case, but the other end has a locking jaw protruding outwardly. The bracket plate and one end of the second cable are connected and support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distributor case, but when the bracket plate is lowered, a locking end of the bracket plate is formed so that the bracket plate A cable holder that can be lowered integrally with the clamping plate, and when the clamping plate passes the locking release point, the clamping plate is rotated inward with the hinge axis as a rotational center so that the clamping jaws of the clamping plate become the engaging end of the cable holder.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unit for guiding to be separated fro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꺾쇠판에 구비된 가이드핀와, 상기 분배기케이스에 상기 꺾쇠판의 상하 이동 및 회동을 유도하는 상기 가이드핀의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가이드핀이 삽입 지지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guide unit includes a guide pin provided on the bracket plate, and a guide groove formed so that the guide pin is inserted and supported along a movement path of the guide pin for inducing vertical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bracket plate in the distributor cas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연동수단은, 상기 제1 케이블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꺾쇠판을 상승시켜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제1 복귀스프링과, 초기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꺾쇠판을 외측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꺾쇠판의 걸림턱이 상기 케이블홀더의 걸림단에 걸리도록 하는 제2 복귀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lever interlocking means includes a first return spring that raises the bracket plate by an elastic force when external force is removed from the first cable to return to an initial position, and rotates the bracket plate outward by an elastic force at the initial position.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return spring for engaging the locking step of the bracket plate to the locking end of the cable hol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보조부는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 좌우측 각각에 구비되고,
상기 폴딩조작부는 상기 제2 케이블이 2개로 이루어져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브래킷 좌우측 각각에 구비된 폴딩보조부에 연결되며,
상기 꺾쇠판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홀더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2개의 제2 케이블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folding auxiliary part is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The folding operation unit consists of two second cables and each other end is connected to a folding auxiliary unit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ir of rotation brackets
The brackets are composed of two and are arrang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around the hinge axis,
The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wo cable holders a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wo second cables.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보조부는, 상기 제2 케이블이 당겨지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트백이 상기 시트쿠션과 일정한 예각을 형성하는 세팅 위치 방향으로 상기 회동브래킷을 회전시키는 탄성회전수단과, 정해진 위치에서 상기 회전브래킷의 회전을 구속하는 회전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폴딩 어시스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olding auxiliary unit includes an elastic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on bracket in a direction of a setting position in which the seatback forms a constant acute angle with the seat cushion by an elastic force when the second cable is pulled, and the rotation bracke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eat back folding assi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otation restraint means for restraining rotation.
KR1020190079668A 2018-12-18 2019-07-02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KR1022200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68A KR102220040B1 (en) 2019-07-02 2019-07-02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PCT/KR2019/011964 WO2020130294A1 (en) 2018-12-18 2019-09-17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668A KR102220040B1 (en) 2019-07-02 2019-07-02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621A true KR20210003621A (en) 2021-01-12
KR102220040B1 KR102220040B1 (en) 2021-02-25

Family

ID=7412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668A KR102220040B1 (en) 2018-12-18 2019-07-02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0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66B1 (en) * 2014-08-18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of folding a seat for vehicle
KR101784483B1 (en) * 2016-04-29 2017-10-12 주식회사다스 Folding Device Of Vehicle Seat
KR20180112296A (en)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966B1 (en) * 2014-08-18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evice of folding a seat for vehicle
KR101784483B1 (en) * 2016-04-29 2017-10-12 주식회사다스 Folding Device Of Vehicle Seat
KR20180112296A (en) * 2017-04-03 2018-10-12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040B1 (en)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5927B1 (en) Folding travel stroller latch and wheel positioning mechanism
US7537260B2 (en) Layout for an automobile seat retractable into a well of the floor of the said automobile and automobile including such a seat
EP1612099A2 (en) Vehicle-seat retracting apparatus
CN107031689A (en) Doll carriage with expansible support body
JP4434075B2 (en) Vehicle seat moving device
KR101583966B1 (en) Device of folding a seat for vehicle
KR101575499B1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 fording for vehicle
CN110667681B (en) Baby stroller and baby stroller folding method
CN110525293A (en) Support base for child safety seat
US9381837B2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KR102220040B1 (en) One-touch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KR101404478B1 (en) Seat linkage typed folding headrest device
KR102220039B1 (en)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WO2020130294A1 (en) One-touch seatback folding assist device
CN110997548A (en) Support leg device
JP4661706B2 (en) Projection storage mechanism for vehicle seat
CN110395155B (en) Foldable automobile seat and folding method thereof
JP2008037237A (en) Automobile
CN204845601U (en) Folding inflatable vehicle security seat chair
KR101669761B1 (en) Walk-in restoration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JP6273790B2 (en) Vehicle seat device
JP5550990B2 (en) Slope device
KR102068496B1 (en)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for vehicle
JP2002166779A (en) Retractable step device
JPH0322336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