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591A - 과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과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591A
KR20210003591A KR1020190079580A KR20190079580A KR20210003591A KR 20210003591 A KR20210003591 A KR 20210003591A KR 1020190079580 A KR1020190079580 A KR 1020190079580A KR 20190079580 A KR20190079580 A KR 20190079580A KR 20210003591 A KR20210003591 A KR 20210003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rain
mold
actuator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409B1 (ko
Inventor
김용준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김용준
김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준, 김준식 filed Critical 김용준
Priority to KR1020190079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4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F16H21/22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 F16H21/2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with one connecting-rod and one guided slide to each crank or eccentric with cams or additional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6Cam-fol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자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복수로 이루어진 작동체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곡물 투입은 물론 금형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뻥튀기 과자를 만들 때 작동부에 의한 오류를 개선하고, 항상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뻥튀기 과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른 부품의 분해없이 상부 및 하부 금형과 가공판이 순차적으로 간편하게 분리시키면서 금형들과 가공판에 대한 교체 또는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과자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crakers}
본 발명은 곡물을 가열 및 가압하여 뻥튀기와 같은 과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과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뻥튀기와 같은 과자 제조장치는 공급되는 여러 종류의 곡물을 일정온도로 가열하거나 압축시키는 것으로, 이는 밀폐된 금형 안에 일정량의 곡물을 넣어 가열하면, 가열된 곡물 내부에서 수증기가 팽창하게 되어 금형 내부에 압력이 급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밀폐된 금형을 순간적으로 개방하면 압력이 낮아지면서 곡물이 수배 이상으로 급팽창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이는 등록특허공보 제10-0774998호와 등록특허공보 제10-123375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들은 승강부재의 승,하강을 위해 구동하는 작동부, 그리고 곡물 투입을 위해 구동하는 작동부의 작동 메커니즘이 복합하고, 특히 작동로드를 이용하여 승강부재의 승,하강, 그리고 곡물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관계로, 승강부재의 승,하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류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은 물론, 곡물 투입시에도 그 투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많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들은 상,하 금형의 교체 또는 세정이 필요로 할 때, 연계된 무수히 많은 부품들을 우선적으로 분리해야만 분리되는 구조적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74998호(공고일 2007.11.08.) 등록특허공보 제10-1233759호(공고일 2013.02.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복수로 이루어진 작동체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곡물 투입은 물론 금형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뻥튀기 과자를 만들 때 작동부에 의한 오류를 개선하고, 항상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뻥튀기 과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과자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른 부품의 분해없이 상부 및 하부 금형과 가공판이 순차적으로 간편하게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금형들과 가공판에 대한 교체 또는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과자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과자 제조장치는,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이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투입시 이를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서 승,하강을 반복하는 상,하부 금형으로 팝핑하는 과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제 1 작동체;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작동체에 의해 회전 이송되는 곡물 이송로드; 상기 곡물 이송로드와 제 1 힌지를 축으로 X자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작동체에 의해 회전 이송되면서 상기 수용구내 곡물이 상기 가공 금형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수용구의 저부를 개폐시키도록 회전하는 곡물 받침로드; 상기 곡물 받침로드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곡물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고 상기 제 1 작동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을 승,하강시키는 제 2 작동체; 및, 상기 곡물 받침로드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곡물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작동체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 하부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의 승,하강과 연동되도록 상기 하부 금형을 승,하강시키는 제 3 작동체;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작동체는, V자형의 작동 영역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회전축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회전체; 상기 곡물 이송로드와 제 1 링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상기 작동 영역으로 제 1 접촉부가 진입시 상기 곡물 이송로드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 1 작동 로드; 상기 제 1 작동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접촉부가 상기 작동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제 1 작동 로드를 잡아 당기는 제 1 스프링; 상기 곡물 받침로드와 제 2 링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상기 작동 영역으로 제 2 접촉부가 진입시 상기 곡물 받침로드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 2 작동 로드; 및, 상기 제 2 작동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작동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제 2 작동 로드를 잡아 당기는 제 2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작동체는,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1 기어 스프로켓이 설치되는 상기 제 1 회전축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승 구간의 제 1 캠 영역과 하강 구간의 제 2 캠 영역을 가지는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회전 캠이 회전시 상기 제 1 캠 영역과 상기 제 2 캠 영역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가지는 제 1 로드; 상기 상부 금형과 제 3 링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로드와 제 3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캠 영역을 따라 회전시 상기 상부 금형을 하강시키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 캠 영역을 따라 회전시에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승시키도록 제 2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 2 로드; 및, 상기 제 1 회전축부에 형성되는 제 2 기어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3 기어 스프로켓을 가지는 제 3 회전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캠 영역에서 상기 제 2 캠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롤러를 밀어주는 제 2 회전 캠; 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작동체는, 상기 제 1 회전축부에 형성되는 제 4 기어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5 기어 스프로켓을 가지는 제 4 회전축부에 설치되고,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으로 구분되는 가이드 유로를 가지는 제 2 회전체; 및, 상기 가이드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유로의 상승 구간을 따라 이동시 상기 하부 금형을 승강시키고,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유로의 하강 구간을 따라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금형을 하강시키는 승하강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회전축부에는 상기 가이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회전체에 인접하는 가이드 캠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부의 제 1 수평 프레임과 하부의 제 2 수평 프레임을 체결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는 한 쌍의 완충 봉을 관통시키고, 상기 완충 봉에는 상기 상부 금형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스프링을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중심측에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고정판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나선부를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조절 봉을 결합하며, 상기 조절 봉에는 상기 조절 봉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상기 상부 금형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완충패드를 가지는 스톱퍼 봉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는 상기 승하강 로드를 관통시키되,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는 한 쌍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체결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가공 금형을 체결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구동부를 통해 복수로 이루어진 작동체가 순차적으로 작동하여 곡물 투입은 물론 금형의 승,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뻥튀기 과자를 만들 때 작동부에 의한 오류를 개선하고, 항상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뻥튀기 과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다른 부품의 분해없이 상부 및 하부 금형과 가공판이 순차적으로 간편하게 분리시키면서 금형들과 가공판에 대한 교체 또는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배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동부와 회전축부들 및 기어 스프로켓을 체인을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이송로드와 곡물 받침 로드를 이용하여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곡물을 공급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측면 개략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공급된 곡물을 팝핑하여 배출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측면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각 프레임에 대한 분해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배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과자 제조장치의 구조를 보인 측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동부와 회전축부들 및 기어 스프로켓을 체인을 이용하여 연결한 상태를 보인 평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자 제조장치는, 호퍼(1)로부터 배출되는 곡물(K)이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에 투입시 이를 본체 프레임(3)의 전방에서 승,하강을 반복하는 상,하부 금형(4, 5)으로 팝핑하는 것으로, 제 1 작동체(10), 곡물 이송로드(20), 곡물 받침로드(30), 제 2 작동체(40), 제 3 작동체(5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작동체(10)는 구동부(M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와 상기 곡물 받침로드(30)를 작동하는 것으로, 제 1 회전체(11), 제 1 작동로드(12), 제 1 스프링(13), 제 2 작동로드(14), 제 2 스프링(15)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회전체(11)는 V자형의 작동 영역(11a)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M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회전축부(P1)의 일단에 결합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제 1 회전축부(P1)에 형성되는 제 1 기어 스프로켓(G1)이 상기 구동부(M1)의 구동기어(G1)와 체인(C1)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M1)의 구동으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축부(P1)가 회전시, 상기 제 1 회전체(11)가 연동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작동로드(12)는 일단이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와 제 1 링크(R1)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2 힌지(h2)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곡물 이송로드(20)를 회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제 1 작동로드(12)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상기 작동 영역(11a)으로 진입하는 제 1 접촉부(12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접촉부(12a)가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작동로드(12)는 첨부된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상기 호퍼(1)의 하단에 위치하는 회전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접촉부(12a)가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작동영역(11a)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 1 방향(도면 기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곡물 이송로드(20)를 가공 금형(2)의 상부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스프링(13)은 일단은 상기 제 1 작동로드(12)에 연결 고정되고 타단은 본체 프레임(3)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접촉부(12a)가 상기 작동 영역(11a)으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상기 제 1 작동 로드(12)를 잡아 당기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2 작동로드(14)는 일단이 상기 곡물 받침로드(30)와 제 2 링크(R2)로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 힌지(h2)를 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곡물 받침로드(30)를 회전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제 2 작동로드(14)의 일면에는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상기 작동 영역(11a)으로 진입하는 제 2 접촉부(14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 2 접촉부(14a)가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작동로드(12)는 첨부된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작동로드(12)와 함께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상기 호퍼(1)의 하단에 위치하는 회전 이송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접촉부(14a)가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작동영역(11a)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제 1 방향(도면 기준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곡물 받침로드(30)를 가공 금형(2)의 상부로 회전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작동로드(14)는 상기 제 1 작동로드(12)가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작동영역(11a)에 진입한 이후에 순차적인 진입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는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에 곡물(K)이 투입되도록 상기 곡물 받침로드(30)가 상기 곡물 이송로드(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제 2 스프링(15)은 일단은 상기 제 2 작동 로드(14)에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 프레임(30)에 연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접촉부(14a)가 상기 작동 영역(11a)으로 진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작동 로드(14)를 잡아 당기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곡물 이송로드(20)는 상기 호퍼(1)로부터 배출되는 곡물(K)을 수용하는 수용구(20a)를 형성하여둔 것으로, 상기 제 1 작동체(10)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작동로드(12)에 의해 회전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곡물 받침로드(30)는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와 제 1 힌지(h1)를 축으로 X자형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작동체(10)에 의해 회전 이송되면서 상기 수용구(20a)내 곡물(K)이 상기 가공 금형(2)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수용구(20a)의 저부를 개폐시키도록 회전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곡물 받침로드(30)가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의 수용구(20a) 저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구(20a)에 호퍼(1)로부터 배출되는 곡물(K)이 수용되고, 이렇게 곡물(K)이 수용되는 상기 수용구(20a)가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상부에 위치할 때, 상기 곡물 받침로드(30)가 회전 이송되어 상기 수용구(20a)의 저부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수용구(20a)에 수용되어 있던 곡물(K)이 상기 가공홀(2a)에 낙하될 수 있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가공홀(2a)의 저부에는 하부 금형(5)이 진입하여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작동체(40)는 상기 곡물 받침로드(30)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에 곡물(K)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구동부(M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여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4)을 승,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작동체(1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며, 이는 제 1 회전 캠(41), 제 1 로드(42), 제 2 로드(43), 제 2 회전 캠(44)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회전 캠(41)은 상승 구간의 제 1 캠 영역(d1)과 하강 구간의 제 2 캠 영역(d2)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M1)의 구동기어(G)와 체인(C1)으로 연결되는 제 1 기어 스프로켓(G1)이 설치되는 상기 제 1 회전축부(P1)의 타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로드(42)는 상기 제 1 회전 캠(41)이 회전시 상기 제 1 캠 영역(d1)과 상기 제 2 캠 영역(d2)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42a)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제 2 로드(43)는 상기 상부 금형(3)과 제 3 링크(R3)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로드(42)와 제 3 힌지(h3)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42a)가 상기 제 1 캠 영역(d1)을 따라 회전시 상기 상부 금형(4)을 하강시키고, 상기 롤러(42a)가 상기 제 2 캠 영역(d2)을 따라 회전시에는 상기 상부 금형(4)을 상승시키도록 제 2 회전축부(P2)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회전 캠(44)은 상기 제 1 회전축부(P1)에 형성되는 제 2 기어 스프로켓(G2)과 체인(C1)으로 연결되는 제 3 기어 스프로켓(G3)을 가지는 제 3 회전축부(P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42a)가 상기 제 1 캠 영역(d1)에서 상기 제 2 캠 영역(d2)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롤러(42a)를 밀어주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상기 제 3 작동체(50)는 상기 곡물 받침로드(30)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에 곡물(K)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작동체(40)로부터 상기 구동부(M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하부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4)의 승,하강과 연동되도록 상기 하부 금형(5)을 승,하강시키는 것이며, 이는 제 2 회전체(51)와 승하강 로드(5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회전체(51)는 상기 제 1 회전축부(P1)에 형성되는 제 4 기어 스프로켓(G4)과 체인(C1)으로 연결되는 제 5 기어 스프로켓(G5)을 가지는 제 4 회전축부(P4)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으로 구분되는 가이드 유로(51a)를 형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4 회전축부(P4)에는 상기 가이드 유로(51a)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회전체(51)에 인접하는 가이드 캠(51b)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 로드(52)는 상기 가이드 유로(51a)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52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금형(5)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돌기(52a)가 상기 가이드 유로(51a)의 상승 구간을 따라 이동시 상기 하부 금형(5)을 승강시키고, 가이드 돌기(52a)가 상기 가이드 유로(51a)의 하강 구간을 따라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금형(5)을 하강시키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 프레임(3)에는 상부의 제 1 수평 프레임(3a)과 하부의 제 2 수평 프레임(3b)이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10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3a)의 양측에는 한 쌍의 완충 봉(61)을 관통시키고, 상기 완충 봉(61)에는 상기 상부 금형(4)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스프링(62)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3a)의 중심측에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100)를 이용하여 고정판(63)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63)에는 나선부(64a)를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조절 봉(64)이 결합되는 한편, 상기 조절 봉(64)에는 상기 조절 봉(64)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상기 상부 금형(4)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완충패드(65a)를 가지는 스톱퍼 봉(65)이 연장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3b)에는 상기 승하강 로드(52)가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3b)에는 한 쌍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3c)의 하단을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10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3c)의 상단에는 상기 가공 금형(2)을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100)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여둔 것이다.
이에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13에서와 같이, 다른 부품의 분해없이 가공 금형(2)과 상부 및 하부 금형(4, 5)이 순차적으로 간편하게 분리시키면서, 과자(K1)에 대한 팝핑 이후에 금형들에 대한 교체 또는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자 제조장치는, 우선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호퍼(1)로부터 배출되는 곡물(K)이 곡물 받침로드(30)에 의해 하단부가 밀폐된 곡물 이송로드(20)의 수용구(20a)에 투입되는 경우, 구동부(M1)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구동부(M1)의 구동력은 구동기어(G1)와 체인(C1)을 통해 제 1 기어 스프로켓(G1)에 전달되면서, 상기 제 1 기어 스프로켓(G1)을 형성하여둔 제 1 회전축부(P1)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회전축부(P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 1 작동체(10)에 포함되는 제 1 회전체(1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따라 제 1 및 제 2 작동로드(12, 14)의 제 1 및 제 2 접촉부(12a, 14a)는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후,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체(11)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작동영역(11a)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부(12a, 14a)가 순차적으로 진입하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로드(12, 14)는 제 2 힌지(h2)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로드(12, 14)의 회전에 따라 수용구(20a)가 곡물(K)이 수용되는 곡물 이송로드(20)와 곡물 받침로드(30)는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상부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체(1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V자형을 이루는 상기 작동영역(11a)의 경계부위가 상기 제 2 작동로드(14)의 제 2 접촉부(14a)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 2 작동로드(14)는 수직하게 세워지면서, 제 1 힌지(h1)를 축으로 하여 하여 상기 제 1 작동로드(12)와 X자형 구조를 이루고, 이에따라 상기 곡물 받침로드(30)는 곡물 이송로드(20)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의 수용구(20a) 하단이 개방된다.
그러면,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수용구(20a)에 수용되어 있던 곡물(K)은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로 낙하되고, 상기 수용구(20a)로부터 곡물(K1)의 낙하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로드(12, 14)는 제 1 회전체(11)의 회전으로부터 상기 제 1 회전체(11)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12a, 14a)에 의해 제 2 힌지(h2)를 축으로 하여 원래 위치, 즉 상기 호퍼(1)로부터 곡물(K)을 받을 수 있는 초기 위치로 리턴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부(M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 1 회전축부(P1)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회전축부(P1)에 형성되는 제 4 기어 스프로켓(G4)에는 체인(C1)을 통해 제 5 기어 스프로켓(G5)이 연결되고, 상기 제 5 기어 스프로켓(G5)은 제 4 회전축부(P4)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4 회전축부(P4)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제 4 회전축부(P4)에 형성되는 제 3 작동체(50)에 포함되는 제 2 회전체(5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 회전체(51)에 형성되는 가이드 유로(51a)에는 승하강 로드(52)의 가이드 돌기(52a)가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2 회전체(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 돌기(52a)가 상기 가이드 유로(51a)의 1차 상승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로드(52)는 하부 금형(5)을 1차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하부 금형(5)은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저부로 진입하여 바닥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의 수용구(20a)에서 낙하되는 곡물(K)은 상기 가공홀(2a) 내부로 투입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 금형(5)이 상기 가공홀(2a)의 저부에 진입하여 바닥면을 이룰 때, 상기 제 1 회전축부(P1)의 회전력은 제 2 작동체(40)에 포함되는 제 1 회전 캠(41)에 전달되고 있다.
첨부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작동체(40)에 포함되는 제 1 로드(42)의 롤러(42a)가 상기 제 1 회전 캠(41)에 형성되는 상승 구간의 제 1 캠 영역(d1)을 따라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제 2 로드(43)는 제 2 회전축부(P2)를 축으로 하여 시소 운동하고, 상기 제 2 로드(43)의 시소운동에 따라 상기 제 2 로드(43)에 제 3 링크(R3)로 연결되는 상부 금형(4)은 하강하게 되면서,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금형(5)에 의해 저부가 밀폐되는 상기 가공홀(2a)에 수용되는 곡물(K)은 고온을 유지하는 상기 상부 금형(4)에 의해 과자(K1)로 팝핑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와 같이 과자(K1) 팝핑이 이루어지면, 상기 상부 금형(4)은 제 1 로드(42)의 롤러(42a)가 상기 제 1 회전 캠(41)의 하강구간인 제 2 캠 영역(d2)을 따라 구름동작할 때 상승하여, 상기 가공홀(2a)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다음으로, 첨부된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 3 작동체(30)에 포함되는 승하강 로드(52)의 가이드 돌기(52a)가 제 2 회전체(51)의 상기 가이드 유로(51a)에서 2차 상승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로드(52)는 하부 금형(5)을 2차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가공 금형(2)의 가공홀(2a) 저부로 1차 진입하여 바닥면을 이룬 상기 하부 금형(5)은 2차 승강을 통해 팜핑된 과자(K1)를 상기 가공홀(2a)의 상부로 밀어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첨부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회전축부(P1)에는 구동부(M1)의 구동력이 계속 전달되면서,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와 곡물 받침 로드(30)는 상하 적층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가공 금형(2)으로 2차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곡물 이송로드(20)와 상기 곡물 받침로드(30)는 상기 가공홀(2a)의 상부로 올려진 팝핑된 상기 과자(K1)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과자 제조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호퍼 2; 가공 금형
2a; 가공홀 3; 본체 프레임
3a; 제 1 수평 프레임 3b; 제 2 수평 프레임
4; 상부 금형 5; 하부 금형
10; 제 1 작동체 11; 제 1 회전체
11a; 작동 영역 12; 제 1 작동로드
12a; 제 1 접촉부 13; 제 1 스프링
12; 제 2 작동로드 14a; 제 2 접촉부
15; 제 2 스프링 20; 곡물 이송로드
20a; 수용구 30; 곡물 받침로드
40; 제 2 작동체 41; 제 1 회전 캠
42; 제 1 로드 42a; 롤러
43; 제 2 로드 44; 제 2 회전 캠
50; 제 3 작동체 51; 제 2 회전체
51a; 가이드 유로 51b; 가이드 캠
52; 승하강 로드 52a; 가이드 돌기
61; 완충 봉 62; 완충 스프링
63; 고정판 64; 조절 봉
64a; 나선부 65; 스톱퍼 봉
65a; 완충패드 100; 체결부
C1; 체인 G; 구동기어
G1,G2,G3,G4,G5; 기어 스프로켓 h1,h2,h3; 힌지
M1; 구동부 P1,P2,P3,P4; 회전 축부
R1,R2,R3; 링크

Claims (8)

  1. 호퍼에서 배출되는 곡물이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투입시 이를 본체 프레임의 전방에서 승,하강을 반복하는 상,하부 금형으로 팝핑하는 과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제 1 작동체;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곡물을 수용하는 수용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작동체에 의해 회전 이송되는 곡물 이송로드;
    상기 곡물 이송로드와 제 1 힌지를 축으로 X자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작동체에 의해 회전 이송되면서 상기 수용구내 곡물이 상기 가공 금형으로 투입되도록 상기 수용구의 저부를 개폐시키도록 회전하는 곡물 받침로드;
    상기 곡물 받침로드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곡물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고 상기 제 1 작동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 상부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을 승,하강시키는 제 2 작동체; 및,
    상기 곡물 받침로드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에 곡물이 투입되는 시점에서 상기 제 2 작동체로부터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가공 금형의 가공홀 하부측에서 상기 상부 금형의 승,하강과 연동되도록 상기 하부 금형을 승,하강시키는 제 3 작동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작동체는,
    V자형의 작동 영역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회전축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 1 회전체;
    상기 곡물 이송로드와 제 1 링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 2 힌지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상기 작동 영역으로 제 1 접촉부가 진입시 상기 곡물 이송로드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 1 작동 로드;
    상기 제 1 작동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접촉부가 상기 작동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제 1 작동 로드를 잡아 당기는 제 1 스프링;
    상기 곡물 받침로드와 제 2 링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제 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회전체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상기 작동 영역으로 제 2 접촉부가 진입시 상기 곡물 받침로드를 회전 이송시키는 제 2 작동 로드; 및,
    상기 제 2 작동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접촉부가 상기 작동 영역으로 진입시, 상기 제 2 작동 로드를 잡아 당기는 제 2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체는,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1 기어 스프로켓이 설치되는 상기 제 1 회전축부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승 구간의 제 1 캠 영역과 하강 구간의 제 2 캠 영역을 가지는 제 1 회전 캠;
    상기 제 1 회전 캠이 회전시 상기 제 1 캠 영역과 상기 제 2 캠 영역을 따라 회전하는 롤러를 가지는 제 1 로드;
    상기 상부 금형과 제 3 링크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1 로드와 제 3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캠 영역을 따라 회전시 상기 상부 금형을 하강시키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 2 캠 영역을 따라 회전시에는 상기 상부 금형을 상승시키도록 제 2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하는 제 2 로드; 및,
    상기 제 1 회전축부에 형성되는 제 2 기어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3 기어 스프로켓을 가지는 제 3 회전축부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가 상기 제 1 캠 영역에서 상기 제 2 캠 영역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상기 롤러를 밀어주는 제 2 회전 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작동체는,
    상기 제 1 회전축부에 형성되는 제 4 기어 스프로켓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 5 기어 스프로켓을 가지는 제 4 회전축부에 설치되고, 상승구간과 하강구간으로 구분되는 가이드 유로를 가지는 제 2 회전체; 및,
    상기 가이드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금형과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유로의 상승 구간을 따라 이동시 상기 하부 금형을 승강시키고,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유로의 하강 구간을 따라 이동시에는 상기 하부 금형을 하강시키는 승하강 로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회전축부에는 상기 가이드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 2 회전체에 인접하는 가이드 캠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부의 제 1 수평 프레임과 하부의 제 2 수평 프레임을 체결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양측에는 한 쌍의 완충 봉을 관통시키고,
    상기 완충 봉에는 상기 상부 금형의 승,하강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 스프링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 프레임의 중심측에는 체결부를 이용하여 고정판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나선부를 통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조절 봉을 결합하며,
    상기 조절 봉에는 상기 조절 봉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상기 상부 금형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는 완충패드를 가지는 스톱퍼 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는 상기 승하강 로드를 관통시키되,
    상기 제 2 수평 프레임에는 한 쌍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의 하단을 체결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에는 상기 가공 금형을 체결부를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 제조장치.
KR1020190079580A 2019-07-02 2019-07-02 과자 제조장치 KR102313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80A KR102313409B1 (ko) 2019-07-02 2019-07-02 과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580A KR102313409B1 (ko) 2019-07-02 2019-07-02 과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591A true KR20210003591A (ko) 2021-01-12
KR102313409B1 KR102313409B1 (ko) 2021-10-15

Family

ID=7412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580A KR102313409B1 (ko) 2019-07-02 2019-07-02 과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4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98B1 (ko) 2006-05-12 2007-11-08 주식회사델리스 뻥튀기 제조장치
KR100943210B1 (ko) * 2008-12-30 2010-02-22 서종열 뻥튀기 제조장치
KR20110066620A (ko) * 2009-12-11 2011-06-17 (주)한성기업 자동 팝핑머신
KR20110102114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델리스 뻥튀기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98B1 (ko) 2006-05-12 2007-11-08 주식회사델리스 뻥튀기 제조장치
KR100943210B1 (ko) * 2008-12-30 2010-02-22 서종열 뻥튀기 제조장치
KR20110066620A (ko) * 2009-12-11 2011-06-17 (주)한성기업 자동 팝핑머신
KR20110102114A (ko) * 2010-03-08 2011-09-16 주식회사델리스 뻥튀기 제조장치
KR101233759B1 (ko) 2010-03-08 2013-02-20 주식회사델리스 뻥튀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409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bowl-shaped snack food products
KR100774998B1 (ko) 뻥튀기 제조장치
JP2006109839A (ja) 制御されたカーテン状こぼれ部による成形及び調理方法及び装置
KR20210003591A (ko) 과자 제조장치
US10255741B2 (en)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KR101394883B1 (ko) 다양한 곡물을 이용한 뻥튀기 과자의 제조장치
KR102219729B1 (ko) 과자 제조장치
KR200487198Y1 (ko) 뻥튀기 제조장치
EP3412157B1 (en) Changing positional orientations of food products on conveyors during roasting and other operations
KR20110005305A (ko) 식품생지의 절단방법 및 장치
KR100890238B1 (ko) 스낵 팝핑 장치 및 스낵 팝핑 방법
KR20100098198A (ko) 뻥튀기 제조장치
JPH11332540A (ja) 円盤状成形米飯の成形装置
KR102013172B1 (ko) 코일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2384454B1 (ko) 쿠키용 반죽 와이어 컷팅 및 정렬 장치
KR20170002158A (ko) 제면 유니트 자동 연결 장치
CN210226829U (zh) 一种银杏鲜果脱壳机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KR101414687B1 (ko) 감자 선별장치
JP5406695B2 (ja) 食品移載装置
JP5366049B2 (ja) 型焼き菓子の自動製造装置
KR101266841B1 (ko) 소보로빵용 생지 제조장치
JP4009673B2 (ja) 可食性容器の成形方法及びその装置
JP5031484B2 (ja) パン焼成用天板に対するパン生地供給装置
JP6313954B2 (ja) 麺塊用のコンベヤ装置及び麺線の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