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3326A -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3326A
KR20210003326A KR1020190078565A KR20190078565A KR20210003326A KR 20210003326 A KR20210003326 A KR 20210003326A KR 1020190078565 A KR1020190078565 A KR 1020190078565A KR 20190078565 A KR20190078565 A KR 20190078565A KR 20210003326 A KR20210003326 A KR 2021000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user terminal
korean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362B1 (ko
Inventor
권현숙
민남준
Original Assignee
권현숙
민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숙, 민남준 filed Critical 권현숙
Priority to KR1020190078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3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포함된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과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호(Call) 발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음성 또는 화상으로 말하기 학습을 진행하는 교수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의 교수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매칭부에서 매칭된 교수자 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할당하는 할당부,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말하기 시간에 사용자 단말과 교수자 단말 간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채널형성부,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시간에 동기화되어 출력하도록 하는 커리큘럼 관리부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LANGUAGE STUDY SERVICE FOR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본 발명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화소통능력 및 말하기 능력을 높이기 위한 커리큘럼, 매체 및 채널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한국어 교육이란, 외국어 혹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려고 하는 외국인과 해외교포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교육하여 유창하고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도록 하는 것인데, 주로 그 교육의 대상은 외국인과 해외교포이다. 먼저 외국인의 범위는 일반 외국인, 외국인 유학생, 결혼 이민자, 외국인 근로자들처럼 외국인 국적을 가진 사람이 한국어와 문화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습자를 뜻한다. 이때, 결혼 이민자는, 한국 배우자와 결혼하여 국내 거주중인 결혼 이민자를 포함할 수 있지만, 법률로 규정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이민자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해외교포는 외국인일 수도 있고 한국인일 수도 있다. 그런데 외국인의 경우 보통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 국적의 학습자를 뜻하지만 해외교포는 국적과 무관하게 부모 중 한 구성원이 한국인인 경우, 한국어를 제2언어로 배우는 학습자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제2언어라 함은 공용어로서의 한국어나 또는 계승어로서의 한국어를 말하지만, 대개의 국가가 한국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계승어 차원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재외동포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를 배우는 대상으로 한정된다. 결혼 이민자나 그 자녀들, 그리고 한국 국적을 가졌지만 한국어를 학습하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 이와 같은 분류 방법으로는 교육의 범위에 포함되지 못하여 교육과정에서 배제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때, 외국인이 한국어능력시험을 볼 때 교육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8-0107908호(2018년10월04일 공개)에는, 사용자의 한국어 교육수준정보가 저장되는 전자기록단말기, 전자기록단말기와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카테고리별로 학습관리메뉴를 형성하여 웹사이트를 유무선 네트워크에 게시하는 학습메뉴생성부, 한국어 교육수준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한국어 구사능력의 문제점을 수준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제 1 분류데이터와, 문제점을 과목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제 2 분류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어능력시험의 공개기출문제를 다운로드하여 제 1 분류데이터와 제 2 분류데이터를 공개기출문제와 비교분석을 하는 기출분석부, 기출분석부에서 비교분석을 한 결과를 기반으로 중복어휘의 빈도수를 측정하여 빈도측정데이터를 생성하고, 빈도측정데이터를 기반으로 중복어휘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제 3 분류데이터를 생성하는 어휘분석부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방법은 한국어능력시험을 위한 문제은행을 제공하는 것에 그칠 뿐, 외국인 또는 제2언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재외동포 또는 결혼 이민자의 2세가 실제적으로 한국에서 살아가면서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여 한국사회에 적응(Fit-in)하는 과정을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유창하고 정확한 한국어를 구사하고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평상시의 말씨로 말과 글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하고, 발음, 어휘, 문장 등의 문법에 맞게 정확하게 구사해야 하고, 말과 글을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의사소통능력을 가져야 하는데, 이 점이 국어과 교육 목적과는 다른 관점이다. 국어 교육의 목적은 국어 능력을 신장시켜 한국인의 정체성과 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한국어 교육과정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 궁극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구사하는 학습자에 맞는 교육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국어 혹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려고 하는 학습자에게 전화 및 화상교육을 통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침으로써,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결혼이민으로 정착한 2세에게 한국어 뿐만 아니라 이민 1세대의 언어까지 함께 배울 수 있도록 하며, 말하기 평가가 추가된 한국어능력시험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국문화 및 이에 관련된 어휘나 배경들을 함께 익힐 수 있도록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포함된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과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단말로 호(Call) 발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음성 또는 화상으로 말하기 학습을 진행하는 교수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의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등록하는 등록부,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의 교수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매칭부에서 매칭된 교수자 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할당하는 할당부,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말하기 시간에 사용자 단말과 교수자 단말 간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채널형성부,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시간에 동기화되어 출력하도록 하는 커리큘럼 관리부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외국어 혹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려고 하는 학습자에게 전화 및 화상교육을 통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가르침으로써,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결혼이민으로 정착한 이민 1세대의 자녀들인 2세에게 한국어 뿐만 아니라 이민 1세대의 언어까지 함께 배울 수 있도록 하며, 말하기 평가가 추가된 한국어능력시험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하고, 사회적 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국문화 및 이에 관련된 어휘나 배경들을 함께 익힐 수 있도록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교수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을 하고 레벨 테스트를 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레벨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커리큘럼의 콘텐츠를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스케줄에 따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교수자 단말(400)과 음성 또는 화상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어휘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교수자 단말(400)과 진행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등록을 위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 제 1 언어에 기반하여 레벨 테스트를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레벨을 결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커리큘럼을 진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을 등록받고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할당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커리큘럼에 대응하여 음성 또는 화상으로 말하기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 및 교수자 단말(400) 간의 채널을 형성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말하기 수업이 진행된 후 사용자 단말(100) 및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한국어 말뭉치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빈도 등에 기반하여 고빈도 어휘를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언어에 대응하도록 각 말뭉치 및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하여 제 1 언어에 따라 어려워하는 어휘나 문장 또는 특성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고, 한국어능력시험에 포함된 문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또는 통합으로 구축하여 한국어능력시험의 어휘를 반영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교수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학습자를 할당받고 스케줄을 생성하여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피드백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스케줄에 따라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채널을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과 음성 또는 화상으로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학습자의 평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등록부(310), 매칭부(320), 할당부(330), 채널형성부(340), 커리큘럼 관리부(350), 채팅부(360), 어휘추출부(370), 추가부(380), 평가부(390), 및 교재제공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로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록부(31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등록할 수 있다. 최초 습득한 언어가 무엇인지에 따라 한국어를 배우기 어려운 파트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일본어가 제 1 언어인 경우에는 한국어와 문법이나 배열이 유사하기 때문에 문장 구성하는데는 타 언어 학생보다는 수월하지만, 일본어 발음에 없는 한국 발음이 존재하므로 이 부분이 어려울 수 있고, 말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아랍어가 제 1 언어인 경우에는 한국어와 문법부터가 배열이 다르기 때문에 문법부터 난관에 부딪힐 수 있다. 이렇게 최초 배운 언어가 무엇이었는지에 따라 서로 취약한 부분이 다르고 집중해서 커리큘럼을 짜야 할 부분도 달라진다. 즉, 국어과 교육과정의 대상자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그 집단의 동질성으로 학년별로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교과목의 영역을 비교적 쉽게 정할 수 있지만, 한국어교육과정은 균질한 집단이 아니어서, 국가 수준의 한국어교육과정을 만든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변인들을 포괄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제 1 언어가 무엇인지와, 학습 목표, 즉 취업을 위함인지, 대학과정을 마치기 위함인지, 이민 2세대로 정착하기 위함인지 등의 사용자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커리큘럼을 결정할 수 있는 입력 질의(Query)로 설정할 수 있다.
매칭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의 교수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할 수 있다. 이때, 교수자 정보와 학생인 사용자의 정보를 비교할 때, 교수자에게 할당된 학생이 몇 명인지 등의 스케줄이나 부하(Load) 정보를 우선 고려하고, 그 다음에 나이, 성별, 선호도 등을 이용하여 매칭할 수 있으나, 상술한 변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수를 적용하여 매칭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할당부(330)는, 매칭부(320)에서 매칭된 교수자 단말(400)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100)은,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채널형성부(340)는,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말하기 시간에 사용자 단말(100)과 교수자 단말(400) 간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포함된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교수자 단말(400)은, 사용자 단말(100)과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0)로 호(Call) 발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음성 또는 화상으로 말하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채널은 기 설정된 시간 내에만 유효하고 그 뒤로는 활성화되지 않는 채널일 수 있다. 이때,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 적용될 수 있는데, 플립러닝은 학생들이 교과 내용을 교수자와 연결되기 이전에 온라인을 통해 미리 학습하고, 실제 교수자와 채널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학습자 중심의 심화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이다. 이는 기존 전통적인 수업 방식에서 제한된 시간 동안 다량의 지식을 학습하기 위해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강의를 하고 학습자들은 수동적으로 지식을 수용하게 되어 학생들의 연습 활동이나 심화된 학습에 할애되는 시간이 적다는 단점을 보완해 준다.
플립러닝 수업은 수업 전(Pre-class), 수업 중(In-class), 수업 후(After-class)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수업 전 단계는 커리큘럼에서 제공된 수업 자료를 통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사전 학습을 하는 단계이다. 주로 교과 내용의 강의가 담긴 비디오나 프레젠테이션, 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학습하게 된다. 이때 학습자는 자기 주도적으로 요약 노트를 작성하거나 학습 내용과 관련하여 필요한 질문들을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자신들의 학습에 필요한 구체적인 질문들을 지닐 수 있고, 교수자는 해당 교과를 학습할 때 학습자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요구가 무엇인지 예상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채널이 형성되어 교수자와 학습자가 온라인 공간에서 만나 운영되는 학습 단계이다. 교수자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고,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가이드에 따라 또는 독립적으로 그들이 배울 것 으로 기대되는 기술을 실행해 볼 수 있는 연습 활동, 과제, 프로젝트, 실험 등을 하게 된다. 이때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피드백이나 미니 강의(mini-lectures)를 제공함으로써 과정을 안내해줄 수 있고, 수업 중 단계에는 활동 준비(Warm-up activity)와 사전에 시청한 강의 내용에 대한 질의응답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업 후 단계는 학습자들이 수업 중 받은 명확한 설명과 피드백을 받은 후에 꾸준히 자신의 지식 기술을 심화·적용해 나가는 단계이다. 교수자는 꾸준히 학습자들에게 추가 설명이나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어, 그를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더 수준 높은 대화를 완성하고 그에 대한 평가를 받는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교수론을 이용하여 커리큘럼 관리부(35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시간에 동기화되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커리큘럼은, 발음, 어휘, 문장, 및 담화 차원을 포함하는 문법 영역과, 말하기, 듣기, 읽기, 및 쓰기를 포함하는 기술 영역(Skill)을 포함하고, 기 설정된 커리큘럼은, 문법 영역 및 기술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학습 과정에 대응하도록 시간에 동기화되고, 시간에 동기화된 콘텐츠는 기 설정된 시간에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시간에 동기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온라인으로 수업을 하면서 스케줄이 늘어지거나 슬럼프에 빠져 임의로 강의를 스킵하거나 듣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채팅부(360)는, 인공지능 대화 에이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채팅부(36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제 1 언어를 기반으로 학습된 데이터 셋(DataSet)에 기반하여 대화 에이전트가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외국인이 가장 흔히 하는 실수가 유사한 단어를 문맥이 엉뚱한 문장에 넣어 작문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조오련 선수는 생선처럼 수영을 잘한다라는 문장이 있으면, 한국인들은 무엇인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느낌적으로 알지만, 외국인은 어떠한 부분이 잘못되었는지를 잘 모른다. 즉, 생선은 죽은 물고기에 적용하고, 살아있는 사람에게 비유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물고기라는 말을 사용한다는 문맥이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무작정 유사한 단어만 외운 결과인 것이다. 이처럼, 외국인의 한국어 작문 오류는 접속사 및 조사 오류, 문장 성분 누락, 부적절한 어절 간 호응, 음운 차이로 인한 오류 등을 주로 포함하여 한국인들의 일반적인 작문 오류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기존의 한국어 맞춤법 검사 또는 교정 시스템들은 명백히 호응 관계가 잘못된 문장도 단일 어절 내에서의 맞춤법이 정확하다면 잡아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외국인의 작문 교정에 다소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연어 처리 기반의 대화 에이전트(챗봇)을 제공하되, 대화 에이전트에서 작문 오류까지 설명해줌으로써, 한국인 친구가 없더라도 한국인과 대화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모국어를 배울 때 어머니의 역할, 즉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가르쳐주고 오류를 즉시 고쳐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대화 에이전트를 제공할 수 있다.
채팅부(360)의 대화 에이전트는, 미리 구축한 어절 바이그램(bigram) 집합에서 사용자 입력과 가장 유사한 표현을 검색하여 입력 문장에 대한 추천 교정 후보 집합을 얻을 수 있고, 편집거리 계산 방법을 적용하여 외국인 작문의 특성을 반영하여 순위화된 추천 교정을 얻고, 어떤 작문 환경에서도 추천 교정을 편리하게 얻을 수 있도록 키보드 후킹 기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교정 시스템을 구축하는 동시에, 어절 바이그램과 음절 단위 역색인, 빠른 속도의 유사도 계산 방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교정을 해줄 수 있도록 한다.
어절 바이그램 집합 구성에서는 잘 작문된 한국어 말뭉치로부터 어절 바이그램 집합을 추출하고, 유사 어절의 빠른 검색을 위해 역색인을 음절 단위로 구성할 수 있다. 유사도 기반 어절 교정에서는 추출된 바이그램 집합 중에서 입력된 어절과 가장 유사한 어절을 추천하기 위해 집합 기반 검색과 개선된 편집거리를 사용한다. 이때, 어절 바이그램 집합은 말뭉치 전처리와 어절 바이그램 추출, 음절 역색인 구성의 단계로 추출된다. 숫자와 고유명사는 불필요하게 추출 자료의 용량을 키우고 자료 희소성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말뭉치 전처리 단계에서는 숫자와 고유명사를 미리 정의된 특수문자로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음 단계인 어절 바이그램 추출에서는 전처리된 말뭉치 문장으로부터 어절 바이그램을 얻는다. 음절 역색인 구성에서는 사용자 입력 어절에 대한 추천 교정 후보 집합을 빠르게 얻기 위해 역색인을 만들 수 있고, 추출된 각 어절 바이그램에 어절 ID를 부여하고, 어절 바이그램의 각 음절을 기준으로 역색인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다음 단계의 유사도 기반 어절 교정에서 빠른 탐색을 지원한다.
유사도 기반 어절 교정에서는 맞춤법 검사와 집합 기반 검색으로 추천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집합 기반 검색에서는 추출된 어절 바이그램과 음절 역색인을 이용한 어절 바이그램 유사도 계산을 사용하여, 입력된 어절 바이그램과 유사한 말뭉치의 어절 바이그램 후보들을 찾을 수 있다. 대부분의 한국어 맞춤법 검사는 각 어절의 맞춤법을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밥을 짓는다를 잘못 표기한 밥을 찢는다 등의 표현을 정확하게 교정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말뭉치에서 추출한 어절 바이그램을 사용하므로 문맥 정보에 기반한 추천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말뭉치의 전체 문장을 비교 대상으로 사용하면 시스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으므로, POI 데이터 검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축소된 크기의 후보군에서 두 어절 단위로 추천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을 두 음절씩 묶어 블록(block)으로 구성하고, 구성된 블록 내 연산 과정으로 검색 후보를 1차로 축소시키고, 블록 간 연산으로 블록 간의 상관 관계 및 추가적인 바이그램을 고려하여 최종 유사 어절 후보를 제시할 수 있다. 탐색 속도 향상을 위하여 음절 역색인 테이블은 첫음절 ‘밥’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된 테이블에서 음절별로 역색인된 어절 ID를 불러오고, 시작 음절을 제외한 나머지 음절들을 2음절 단위로 구분하여 ‘을찢’,‘는다’의 블록을 얻는다. 블록 내 연산은 블록의 두 음절 간 공통으로 포함하고 있는 어절을 추출한다. 블록 간 연산 과정에서는 블록 내 연산에서 추출된 후보들에 대해서 블록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추가적인 제약을 적용하여 축소된 갯수의 최종 유사 어절 후보를 추출할 수 있다. 각
마지막 단계에서는 블록 간 연산을 통해 추출된 유사 어절 후보에 대해 편집거리(edit distance)를 사용하여 최종적인 추천 교정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음소 단위의 편집거리를 사용한 개선된 편집거리 방식을 적용하여 외국인의 작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외국인의 작문에서는 ‘찢다’와 ‘짓다’, ‘얘를’과 ‘예를’, ‘외냐하면’과 같이 기존 시스템에서 잘 교정하지 못하는 이중모음과 격음, 경음을 혼동하는 경우가 자주 발견된다. 이에 따라, 채팅부(360)에서는 기존의 편집거리의 삽입/삭제/수정 중 수정 연산에서 혼동되기 쉬운 이중모음과 격음, 경음에 대해 낮은 편집거리를 부여하여 외국인의 작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한국어의 특성상 자주 혼동하는 음소는 초성, 중성, 종성별로 다른데, 이에 기반하여 초성 내에서 자주 혼용하는 음소별 그룹, 중성 내에서 자주 혼용하는 음소별 그룹, 종성 내에서 자주 혼용하는 음소별 그룹을 따로 구성할 수 있다. 편집거리 계산에서는 삽입, 삭제 연산이나 다른 그룹 간의 수정 연산은 연산 발생 시 편집거리에 상수를 더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자주 혼용될 수 있는 그룹 내 수정 연산에 대해서는 그룹 내 인덱스 차이의 절댓값을 그룹 내의 원소 개수로 나누어 편집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왜냐하면’과 ‘외냐하면’에서 모음 ‘ㅙ’와 ‘ㅚ’의 차이는 외국인이 자주 실수하는 이중모음 오류이다. 이에 따라, 후보로 얻어진 유사 어절 바이그램 각각에 대한 편집거리를 계산하여 편집거리가 작은 순서로 추천 교정으로 제시한다. ‘밥을 찢는다’ 예제에 대해서는 ‘밥은 짓는다’가 최종적인 추천 교정으로 선택될 수 있고, 대화 에이전트는 이를 교정하여 사용자에게 텍스트 또는 음성의 결과로 알려줄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화 에이전트나 인공지능 챗봇의 자연어처리(NLP)에 대해서는 공지기술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어휘추출부(370)는, 초빈도 어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한국어 말뭉치(Corpus) 및 적어도 하나의 한국어 말뭉치의 출현빈도, 한국어능력시험으로부터 추출된 말뭉치의 빈도 및 범위를 기계학습으로 학습할 수 있다. 기계학습은, 지도학습, 반지도학습, 비지도학습, 및 강화학습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초빈도 어휘 목록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기초적인 어휘 학습의 목표에 대응하는 2000개 정도의 학습 목록일 수 있다. 빈도 수가 2,000수준의 어휘군의 성격은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과 관련된 어휘들로, 1년이란 기간 안에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어휘 학습의 양이 대략 1,000개의 어휘에 해당하므로 이는 2년 정도의 학습 어휘량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양의 초빈도어는 전공 텍스트나 대화 어휘 중 약 80%의 어휘를 커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학습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말뭉치는, 일반 한국어 말뭉치의 빈도,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 말뭉치의 빈도 및 범위, 한국어 교재 주제 검토, 그리고 전문가 평정에 의해 구축될 수 있다.
추가부(380)는, 제 1 언어를 구사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도 단말(미도시)을 등록받고, 제 1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커리큘럼을 사용자 단말(100)의 커리큘럼에 추가하고, 적어도 하나의 지도 단말의 스케줄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를 지도할 지도자를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할당할 수 있다. 2개 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일 수 있다.
평가부(390)는, 기 설정된 모의고사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모의고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모의고사의 정답으로 입력한 피드백 데이터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사용자 단말(1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평가점수를 분석결과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테스트는,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 외의 다양한 커리큘럼에 따른 테스트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현재 국내의 결혼 이민자, 외국인 근로자 등을 위해 법무부에서는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을 운영하면서 한국어 교육을 하고 있는데, 이 교육은 각 단계마다 평가를 받아 통과하여야 다음 단계 수강이 가능하며 구술시험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는 2022년부터 말하기 시험을 도입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테스트 및 평가 시스템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테스트 이외에도 법률과 절차나 규칙 등이 변경되면서 바뀌는 테스트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말하기 테스트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에서 말하기 테스트 문제 풀(Pool)을 구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학습자가 레벨을 선택하고 결제를 하는 경우, 학습자에게 레벨에 맞는 문제군이 랜덤으로 제공되는 방식일 수 있다. 학습자가 응시할 때에는 학습자가 발화한 음성이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녹음되어 저장될 수 있는데, 음성을 텍스트로 변경하는 STT를 통하여 그 문장을 텍스트화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녹음된 답안을 소속 채점관들이 채점(2인 채점 기준)하고, 점수와 피드백(총평 코멘트)을 전송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에서 웹 페이지 등에 업로드하는 경우, 학습자는 이를 학습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열람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습자군과 교사군을 매칭할 수 있는데, 말하기 수업을 포함한 커리큘럼에서 레벨과 주제에 따라 교사군을 배치하고, 학습자가 교사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랜덤으로 배치되거나 스케줄에 따라 배정되는 등의 방법으로 학습자와 교사를 자동으로 매칭할 수 있다. 읽기나 쓰기 수업보다도 교사와 소통이 많은 말하기 수업은, 학습자의 교사자로의 호감도나 선호도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선호도를 우선순위를 주어 매칭할 때 이용할 수도 있다. 말하기 수업에서는 전화 또는 화상을 이용한 1:1 강의를 매치, 기타 수업에서는 교사들이 올린 동영상 강의를 학습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교재제공부(391)는, 사용자 단말(100)로 레벨 테스트 콘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레벨 테스트에 대응하여 답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답변 콘텐츠를 분석 및 평가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설정하여 커리큘럼을 선정하고, 선정된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교재를 발주처리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 1 언어 및 사용자 정보를 등록받고, (b) 레벨 테스트를 진행한 겨로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지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교수자를 지정하여 교수자 단말(400)로 학생을 할당하고, (c) 기 설정된 커리큘럼에 따라 교수자와 학생이 음성 또는 화상으로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채널을 형성하고, (d) 교수자와 학습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대화 에이전트와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및 도 3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등록을 받고(S4100), 레벨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레벨을 결정한다(S4200, S4300). 그리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정된 레벨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교수자 단말(400)을 선정한 후 학생을 할당하고(S4400), 제 1 언어에 대응하는 고빈도 말뭉치 및 레벨에 따른 말뭉치를 기 구축된 말뭉치 중 추출하고(S4500), 사용자 단말(100)로 어휘를 제공한다(S4600).
이때,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커리큘럼에 따라 학습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S4700), 이와 동시에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스케줄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를 보고하도록 한다(S4800). 또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과 교수자 단말(400)이 음성 또는 화상으로 연결될 주기를 학생의 커리큘럼 진행결과 및 교수자의 스케줄에 기초하여 설정하고(S4810), 주기가 임박한 경우(S4820) 채널을 형성하고(S4830)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된 경우 채널을 폐쇄한다(S4840, S4900). 또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 및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교수자 및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고(S4910), 커리큘럼을 계속 진행하도록 한다(S4920).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4100~S4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4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등록받고(S5100),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의 교수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한다(S5200).
그리고,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매칭된 교수자 단말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할당하고(S5300),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말하기 시간에 사용자 단말과 교수자 단말 간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채널 형성하고(S5400), 사용자 단말에서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시간에 동기화되어 출력하도록 하는 커리큘럼 관리한다(S5500).
이와 같은 도 5의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지에 엑세스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포함된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말하기 시간에 형성된 채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호(Call) 발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음성 또는 화상으로 말하기 학습을 진행하는 교수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 1 언어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등록하는 등록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정보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의 교수자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하는 매칭부, 상기 매칭부에서 매칭된 교수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를 할당하는 할당부, 상기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 말하기 시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교수자 단말 간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채널형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기 설정된 커리큘럼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시간에 동기화되어 출력하도록 하는 커리큘럼 관리부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커리큘럼은, 발음, 어휘, 문장, 및 담화 차원을 포함하는 문법 영역과, 말하기, 듣기, 읽기, 및 쓰기를 포함하는 기술 영역(Skill)을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커리큘럼은, 상기 문법 영역 및 기술 영역에 대하여 기 설정된 레벨에 대응하는 콘텐츠가 학습 과정에 대응하도록 시간에 동기화되고,
    상기 시간에 동기화된 콘텐츠는 기 설정된 시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인공지능 대화 에이전트를 제공하는 채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채팅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제 1 언어를 기반으로 학습된 데이터 셋(DataSet)에 기반하여 상기 대화 에이전트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초빈도 어휘 목록을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한국어 말뭉치(Corpus)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한국어 말뭉치의 출현빈도, 한국어능력시험으로부터 추출된 말뭉치의 빈도 및 범위를 기계학습으로 학습하는 어휘추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학습은, 지도학습, 반지도학습, 비지도학습, 및 강화학습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 1 언어를 구사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도 단말을 등록받고, 상기 제 1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커리큘럼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커리큘럼에 추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도 단말의 스케줄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를 지도할 지도자를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할당하는 추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기 설정된 모의고사 스케줄에 대응하도록 모의고사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모의고사의 정답으로 입력한 피드백 데이터를 평가하여 평가점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평가점수를 분석결과 데이터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평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레벨 테스트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레벨 테스트에 대응하여 답변 콘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답변 콘텐츠를 분석 및 평가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설정하여 커리큘럼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커리큘럼에 대응하는 교재를 발주처리하는 교재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90078565A 2019-07-01 2019-07-0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77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65A KR102277362B1 (ko) 2019-07-01 2019-07-0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65A KR102277362B1 (ko) 2019-07-01 2019-07-0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326A true KR20210003326A (ko) 2021-01-12
KR102277362B1 KR102277362B1 (ko) 2021-07-14

Family

ID=7412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65A KR102277362B1 (ko) 2019-07-01 2019-07-01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60B1 (ko) * 2021-04-12 2022-02-08 주식회사 미카 자격조건검증 기반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744A (ko) 2021-10-25 2023-05-03 손영국 아카데미 클래스를 포함한 학습시스템 및 학습방법
KR102577643B1 (ko) * 2023-03-13 2023-09-12 하예원 온라인 일대일 한국어 강의 플랫폼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운영 서버
KR102566127B1 (ko) 2023-03-15 2023-08-14 김요나 웹툰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683A (ko) * 2008-07-01 2010-01-11 나인타임즈(주) 인스턴트메신저를 이용한 외국어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00081666A (ko) * 2009-01-07 2010-07-15 황정일 실시간 원어민 국제전화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8949A (ko) * 2014-07-15 2016-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대화 기반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98773A (ko) * 2017-08-18 2017-08-30 주식회사 튜터링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45304B1 (ko) * 2017-01-06 2018-05-18 박진하 언어 학습 시스템
KR20180107908A (ko) * 2017-03-23 2018-10-04 서미희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3683A (ko) * 2008-07-01 2010-01-11 나인타임즈(주) 인스턴트메신저를 이용한 외국어 훈련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100081666A (ko) * 2009-01-07 2010-07-15 황정일 실시간 원어민 국제전화 교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8949A (ko) * 2014-07-15 2016-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대화 기반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45304B1 (ko) * 2017-01-06 2018-05-18 박진하 언어 학습 시스템
KR20180107908A (ko) * 2017-03-23 2018-10-04 서미희 외국인 한국어능력시험 지원자를 위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8773A (ko) * 2017-08-18 2017-08-30 주식회사 튜터링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960B1 (ko) * 2021-04-12 2022-02-08 주식회사 미카 자격조건검증 기반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362B1 (ko)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bauw et al. Discussing with a computer to practice a foreign language: Research synthesis and conceptual framework of dialogue-based CALL
김혜영 et al. Exploring smartphone ap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assisted language learning
KR102277362B1 (ko)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Ambele et al. Voices of learners in Thai ELT classrooms: A wake up call towards teaching English as a lingua franca
Burri et al. ‘I Feel… Slightly out of Touch’: A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s learning to teach English pronunciation over a six-year period
Arkoudis et al. Tensions between validity and outcomes: Teacher assessment of written work of recently arrived immigrant ESL students
O'Neill The effect of online translators on L2 writing in French
Tribble Writing academic English further along the road. What is happening now in EAP writing instruction?
Bozoglan et al. Effect of mobile-assisted dialect awareness training on the dialect attitudes of prospective English language teachers
Brunfaut et al. International language proficiency standards in the local context: Interpreting the CEFR in standard setting for exam reform in Luxembourg
Ockey et al. Evaluating technology-mediated second language oral communication assessment delivery models
Jia et al. Meeting the challenges of decoding training in English as a foreign/second language listening education: current status and opportunities for technology-assisted decoding training
Saha et al. Initial validation of a measure of decoding difficulty as a unique predictor of miscues and passage reading fluency
Nushi et al. Iranian EFL learners' beliefs towards teaching and learning of pronunciation
Figueiredo The effect of mobile‐assisted learning in real language attainment: A systematic review
Vlugter et al. Dialogue-based CALL: A case study on teaching pronouns
Barbetta Remedial and compensatory writing technolog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ir classmates in inclusive classrooms
Chen Teaching translation theory in English to Chinese students: An example of psycholinguistic understanding of languages
Chou Strategies for interactive listening in modern foreign language learning
Nuraeningsih Assessing receptive skills
Mphahle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s a support mechanism for learners experiencing reading difficulties in Full-Service Schools
Lubis Corpus-driven genre pedagogy of English for research publication purposes: Toward an ELF-referenced critical teaching framework
HUMPHREYS et al. Intercultural education in practice: Evaluating a course on English-speaking cultures
Nero Slicing the onion: Reflections and projections on language education policy in the Caribbean
Vana Countering negative attitudes toward heritage students' Spanish in mixed L2-HL c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4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005

Effective date: 20210330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