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857U -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 Google Patents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857U
KR20210002857U KR2020200002057U KR20200002057U KR20210002857U KR 20210002857 U KR20210002857 U KR 20210002857U KR 2020200002057 U KR2020200002057 U KR 2020200002057U KR 20200002057 U KR20200002057 U KR 20200002057U KR 20210002857 U KR20210002857 U KR 20210002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ing
slider
front fram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0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6246Y1 (ko
Inventor
이기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아이엔씨
이기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아이엔씨, 이기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아이엔씨
Priority to KR20202000020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46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857U/ko
Priority to KR2020220002687U priority patent/KR200497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84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protection for the eyes, e.g. using shield or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45Eye-shades or visors; Shields beside, between or below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받이부재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의 탈부착 결합 및 코지지부의 교체를 원활하게 하는 한편, 보호필름이 전면프레임의 엔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리부재의 회동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부재를 접어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엔드피스가 구비되는 전면프레임과,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코받이부재와, 엔드피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부재 및 엔드피스를 기준으로 다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SHIELD FRAME FOR FACIAL SHIELDING AND FACE SHIELD MASK INCLUDING THIS}
본 고안은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받이부재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의 탈부착 결합 및 코지지부의 교체를 원활하게 하는 한편, 보호필름이 전면프레임의 엔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리부재의 회동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부재를 접어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에서는 각종 병원균이나 유해물질들이 시술자인 의사나 간호사들에게 튀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술시 마스크를 착용한다. 또한, 총이나 칼 등의 날카로운 물건을 가지고 놀이를 하는 어린이들이나 화학약품 등을 이용한 실험실습을 하는 학생들, 연구원들의 경우, 또한 음식을 조리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안면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천이나 종이 재질로 제조된 것으로,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습기가 서리게 되고, 안경착용자의 경우에는, 그 습기가 안경에도 영향을 주어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마스크는 착용시 안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답답함과 호흡곤란 및 오랜시간 착용시 습기에 의해 축축해진 마스크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천이나 종이 재질로 된 마스크는 재질의 조직 구성이 엉성하므로, 호흡 시 유해 바이러스가 침투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등록실용 제0240801호에 의해 공개된 안면보호용 실드에 따르면, 실드는 실드고정부재에 의해 다리에 결합됨에 따라 다리를 접기 위해서는 실드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0801호 (고안의 명칭 :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2001. 10. 10. 공고)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317호 (고안의 명칭 : 안면보호 및 자외선차단용 마스크, 및 마스크필름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안경프레임, 2011. 12. 13.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받이부재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의 탈부착 결합 및 코지지부의 교체를 원활하게 하는 한편, 보호필름이 전면프레임의 엔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리부재의 회동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부재를 접어 보관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엔드피스가 구비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코받이부재; 상기 엔드피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부재; 및 상기 엔드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다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받이부재는, 사용자의 코에 지지 가능한 코지지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과 상기 코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날개; 상기 결합날개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과 상기 코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슬라이더; 및 상기 결합날개와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전면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코지지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코받이결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연장부; 및 상기 결합연장부에서 돌출되어 마주보는 두 개의 결합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돌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코받이결합부는, 상기 결합날개에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결합슬라이더에서 상기 결합날개와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홈부; 및 상기 결합날개와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탈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날개에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결합슬라이더에서 상기 결합날개와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두 개의 결합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슬라이더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날개연장부와 마주보는 결합연장부;가 포함되며, 상기 날개연장부에는, 상기 탈착홈부와 상기 탈착돌부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연장부에는, 상기 탈착홈부와 상기 탈착돌부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결합부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다리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포크; 상기 연결포크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엔드피스에 함몰 형성되는 포크삽입홈; 및 상기 포크삽입홈에서 한 쌍의 연결포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크삽입홈은 상기 전면프레임의 후방으로 개구됨은 물론 마주보는 엔드피스를 향해 개구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연결포크에서 상기 포크삽입홈과 마주보는 면과 상기 포크삽입홈에서 상기 연결포크와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돌부; 및 상기 연결포크와 상기 포크삽입홈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회전돌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포크에서 상기 포크삽입홈과 마주보는 면과 상기 포크삽입홈에서 상기 연결포크와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회전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받이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브리지와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날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테 상단부가 걸림 지지 또는 안착 지지되는 렌즈탈착부;가 포함된다.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은 보호필름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해 상기 엔드피스에 구비되고, 상기 보호필름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름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결합부는, 상기 엔드피스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 상기 엔드피스와 상기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필름결합홀부; 및 상기 필름결합홀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엔드피스와 상기 결합부재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축돌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결합부는, 상기 축돌부와 상기 필름결합홀부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에 상기 보호필름을 고정시키는 필름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름지지부는, 상기 보호필름에서 상기 관통홀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지지홈부; 및 상기 축돌부와 상기 필름결합홀부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필름지지홈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필름지지돌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름결합부는, 상기 축돌부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필름이 회전될 때, 상기 엔드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보호필름을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햅틱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햅틱부는, 상기 축돌부를 기준으로 상기 엔드피스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둘 이상의 햅틱홈부; 및 상기 보호필름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햅틱홈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필름지지돌부에 돌출 형성되는 햅틱돌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는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및 상기 엔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필름에는, 양측 가장자리에 관통홀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실드프레임은, 상기 보호필름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해 상기 엔드피스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름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필름에는, 색상을 나타내는 착색층;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층;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면에서 김서림을 방지하는 안티포그층; 및 외부로 노출된 면에서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필름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눈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시선노출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에 따르면, 코받이부재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의 탈부착 결합 및 코지지부의 교체를 원활하게 하는 한편, 보호필름이 전면프레임의 엔드피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리부재의 회동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부재를 접어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코받이부재의 세부 구성을 통해 코지지부의 탈부착을 원활하게 하고, 사용자의 취향, 사용자의 코 형태 등에 따라 코지지부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슬라이더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날개와 결합슬라이더의 끼움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전면프레임에서 코지지부의 유동을 방지하며, 결합날개와 결합슬라이더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코받이결합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날개와 결합슬라이더의 끼움 결합에 대응하여 전면프레임에서 코지지부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장부의 부가 구성을 통해 결합날개와 결합슬라이더의 탄성한계를 극복하고, 탈착홈부와 탈착돌부의 끼움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리결합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보호필름이 결합되더라도 전면프레임으로부터 다리부재를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다리부재가 외측으로 추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며, 다리부재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날개의 구성 및 결합 관계 그리고 렌즈탈착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도 간편하게 실드프레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에서 실드프레임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드프레임과 안경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름결합부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실드프레임에서 보호필름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고, 보호필름의 탄성 변형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보호필름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름지지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전면프레임에 보호필름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필름지지부를 기준으로 보호필름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햅틱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필름지지부를 기준으로 보호필름의 간헐적 회전을 명확하게 하고, 보호필름이 회전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필름의 착색층을 통해 보호필름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필름의 차단층을 통해 자외선이 보호필름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필름의 안티포그층을 통해 사용자의 입김 또는 온도차에 의해 보호필름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보호필름의 단열층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 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선노출홈부를 통해 구부러진 보호필름에 의해 시야의 굴절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시선에 보호필름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에서 코받이부재를 도시한 정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에서 코받이부재를 도시한 배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에서 다리결합부와 필름결합부를 도시한 배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에서 다리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에서 필름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에서 보호필름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고안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얼굴보호마스크는 실드프레임(100)과, 보호필름(200)을 포함한다.
실드프레임(100)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한다. 실드프레임(100)은 공지의 안경과 흡사한 구조를 나타낸다. 실드프레임(10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엔드피스(11)가 구비되는 전면프레임(10)과, 전면프레임(10)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코받이부재(20)와, 엔드피스(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부재(30)와, 엔드피스(11)를 기준으로 다리부재(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다리결합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프레임(10)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테 상단부가 걸림 지지 또는 안착 지지되는 렌즈탈착부(12)가 포함될 수 있다.
코받이부재(20)는 사용자의 코에 지지 가능한 코지지부(21)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전면프레임(10)의 중앙 부분과 코지지부(21)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날개(22)와, 결합날개(22)와 끼움 결합되도록 전면프레임(10)의 중앙 부분과 코지지부(21)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슬라이더(23)와,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끼움 결합에 따라 전면프레임(10)을 기준으로 코지지부(21)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코받이결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코지지부(21)는 연결부(211)와, 연결부(211)의 양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날개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날개부(212)는 사용자의 코 부분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면, 코받이결합부(24)는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받이결합부(24)는 결합날개(22)에서 결합슬라이더(23)와 마주보는 면과 결합슬라이더(23)에서 결합날개(22)와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홈부(241)와,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끼움 결합에 따라 탈착홈부(241)에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날개(22)에서 결합슬라이더(23)와 마주보는 면과 결합슬라이더(23)에서 결합날개(22)와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결합슬라이더(23)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연장부(231)와, 결합연장부(231)에서 돌출되어 마주보는 두 개의 결합날개(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돌부(232)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결합슬라이더(23)가 두 개의 결합날개(22) 사이로 삽입될 때, 가이드돌부(232)가 결합날개(22)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다른 예로, 두 개의 결합날개(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연장부(22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슬라이더(23)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날개연장부(221)와 마주보는 결합연장부(23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코받이결합부(24)는 날개연장부(221)와 결합연장부(231)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코받이결합부(24)는 날개연장부(221)에서 결합연장부(231)와 마주보는 면과 결합연장부(231)에서 날개연장부(221)와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홈부(241)와,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끼움 결합에 따라 탈착홈부(241)에 끼움 결합되도록 날개연장부(221)에서 결합연장부(231)와 마주보는 면과 결합연장부(231)에서 날개연장부(221)와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날개연장부(221)에는 탈착홈부(241)와 탈착돌부(242)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결합연장부(231)에는 탈착홈부(241)와 탈착돌부(242)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변형된 예에 따르면, 코받이부재(20)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브리지와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전면프레임(10)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날개(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결합날개(22)에 의해 형성된 홈에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브리지가 끼움 결합되므로, 사용자의 안경에 실드프레임(1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다리결합부(31)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다리부재(30)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포크(311)와, 연결포크(311)가 끼움 결합되도록 엔드피스(11)에 함몰 형성되는 포크삽입홈(312)과, 포크삽입홈(312)에서 한 쌍의 연결포크(311)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전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결합부(313)는 연결포크(311)에서 포크삽입홈(312)과 마주보는 면과 포크삽입홈(312)에서 연결포크(311)와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회전돌부(314)와, 연결포크(311)와 포크삽입홈(312)의 끼움 결합에 따라 회전돌부(31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포크(311)에서 포크삽입홈(312)과 마주보는 면과 포크삽입홈(312)에서 연결포크(311)와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회전홈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포크삽입홈(312)은 전면프레임(10)의 후방으로 개구됨은 물론 마주보는 엔드피스(11)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그러면, 전면프레임(10)을 기준으로 다리부재(30)가 접히는 경우, 포크삽입홈(312)의 개구를 통해 다리부재(30)의 회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전면프레임(10)을 기준으로 다리부재(30)가 펼쳐지는 경우, 다리부재(30)는 엔드피스(11)에 지지되므로, 다리부재(30)가 외측으로 추가 회전되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은 보호필름(200)과의 탈부착 결합을 위해 엔드피스(11)에 구비되고, 보호필름(200)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부(20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름결합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결합부(40)는 엔드피스(11)와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결합부재(41)와, 엔드피스(11)와 결합부재(41)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필름결합홀부(42)와, 필름결합홀부(42)와 끼움 결합되도록 엔드피스(11)와 결합부재(41)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축돌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필름결합홀부(42)는 엔드피스(11)에 구비되고, 축돌부(43)는 결합부재(41)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부재(41)는 별도의 이음부재(미도시)를 통해 엔드피스(11) 또는 다리부재(30)와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축돌부(43)는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축돌부(43)가 둘 이상으로 분리되도록 축돌부(43)에는 슬릿부(431)가 구비되므로, 축돌부(43)가 필름결합홀부(42)에 끼움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필름결합부(40)는 축돌부(43)가 필름결합홀부(42)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부재걸림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걸림부(44)는 필름결합홀부(42)의 직경보다 크도록 축돌부(43)의 단부에 구비되는 축걸림돌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걸림부(44)는 엔드피스(11)에 필름결합홀부(42)가 관통 형성됨에 따라 필름결합홀부(42)보다 큰 직경으로 엔드피스(11)에 함몰 형성되는 축걸림홈부(4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축돌부(43)가 필름결합홀부(42)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축걸림돌부(442)는 결합부재(41)의 외측면 또는 엔드피스(11)에 구비된 축걸림홈부(441)에 걸림 지지되고, 축돌부(43)가 필름결합홀부(4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된 상태로써, 축돌부(43)가 필름결합홀부(42)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결합부(40)는 축돌부(43)와 필름결합홀부(42)의 끼움 결합에 따라 결합부재(41)에 보호필름(200)을 고정시키는 필름지지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지지부(45)는 보호필름(200)에서 관통홀부(201)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지지홈부(451)와, 축돌부(43)와 필름결합홀부(42)의 끼움 결합에 따라 필름지지홈부(451)와 끼움 결합되도록 결합부재(41)에 돌출 형성되는 필름지지돌부(4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보호필름(200)은 결합부재(41)에 고정되므로, 보호필름(200)은 축돌부(43)를 기준으로 결합부재(41)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필름결합부(40)는 축돌부(43)를 기준으로 보호필름(200)이 회전될 때, 엔드피스(11)를 기준으로 보호필름(200)을 간헐적으로 정지시키는 햅틱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햅틱부(46)는 축돌부(43)를 기준으로 엔드피스(11)에 원형으로 이격 배열되는 둘 이상의 햅틱홈부(461)와, 보호필름(2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햅틱홈부(461)와 끼움 결합되도록 필름지지돌부(452)에 돌출 형성되는 햅틱돌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햅틱홈부(461)는 필름결합홀부(42)의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되고, 햅틱돌부(462)는 필름지지돌부(452)에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러면, 축돌부(43)를 기준으로 보호필름(200)을 회전시키면, 햅틱돌부(462)는 필름지지돌부(452)의 둘레를 따라 이동하면서 햅틱홈부(461)에 순차적으로 결합과 분리를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축돌부(43)를 기준으로 보호필름(200)의 회전이 정지되면, 보호필름(200)의 정지 위치에 대응하여 햅틱돌부(462)가 햅틱홈부(461)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전면프레임(10)에서 보호필름(200)의 회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보호필름(200)은 엔드피스(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필름(20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필름결합부(40)의 축돌부(43)가 통과하는 관통홀부(201)가 관통 형성된다. 또한, 필름지지부(45)에 대응하여 보호필름(200)에는 필름지지돌부(452)가 끼움 결합되는 필름지지홈부(451)가 관통홀부(201)와 연통되도록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된다.
보호필름(200)의 상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눈이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시선노출홈부(20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호필름(200)에는 색상을 나타내는 착색층과, 자외선을 차단하는 차단층과,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보는 면에서 김서림을 방지하는 안티포그층과, 외부로 노출된 면에서 열을 차단하는 단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착색층과, 차단층과, 안티포크층과, 단열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보호필름(200)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필름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03은 전면프레임(10)을 기준으로 다리부재(30)를 접을 때, 다리부재(30)가 보호필름(20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는 간섭방지홈부이다.
상술한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에 따르면, 코받이부재(20)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의 탈부착 결합 및 코지지부(21)의 교체를 원활하게 하는 한편, 보호필름(200)이 전면프레임(10)의 엔드피스(1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다리부재(30)의 회동을 자유롭게 하고, 다리부재(30)를 접어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코받이부재(2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코지지부(21)의 탈부착을 원활하게 하고, 사용자의 취향, 사용자의 코 형태 등에 따라 코지지부(21)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결합슬라이더(23)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끼움 결합을 명확하게 하고, 전면프레임(10)에서 코지지부(21)의 유동을 방지하며,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코받이결합부(24)의 세부 구성을 통해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끼움 결합에 대응하여 전면프레임(10)에서 코지지부(21)를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221, 231)의 부가 구성을 통해 결합날개(22)와 결합슬라이더(23)의 탄성한계를 극복하고, 탈착홈부(241)와 탈착돌부(242)의 끼움 결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리결합부(31)의 세부 구성을 통해 보호필름(200)이 결합되더라도 전면프레임(10)으로부터 다리부재를 간편하게 접었다 펼 수 있고, 다리부재(30)가 외측으로 추가 펼쳐지지 않도록 하며, 다리부재(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날개(22)의 구성 및 결합 관계 그리고 렌즈탈착부(12)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도 간편하게 실드프레임(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경에서 실드프레임(1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실드프레임(100)과 안경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결합부(40)의 세부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실드프레임(100)에서 보호필름(200)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하고, 보호필름(200)의 탄성 변형을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보호필름(200)의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필름지지부(45)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전면프레임(10)에 보호필름(200)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고, 필름지지부(45)를 기준으로 보호필름(200)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햅틱부(46)의 구성 및 결합 관계를 통해 필름지지부(45)를 기준으로 보호필름(200)의 간헐적 회전을 명확하게 하고, 보호필름(200)이 회전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200)의 착색층(미도시)을 통해 보호필름(200)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200)의 차단층(미도시)을 통해 자외선이 보호필름(200)을 투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200)의 안티포그층(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의 입김 또는 온도차에 의해 보호필름(200)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200)의 단열층(미도시)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고, 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시선노출홈부(202)를 통해 구부러진 보호필름(200)에 의해 시야가 굴절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시선에 보호필름(200)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실드프레임 200: 보호필름 201: 관통홀부
202: 시선노출홈부 203: 간섭방지홈부
10: 전면프레임 11: 엔드피스 12: 렌즈탈착부
20: 코받이부재 21: 코지지부 211: 연결부
212: 지지날개부 22: 결합날개 221: 날개연장부
23: 결합슬라이더 231: 결합연장부 232: 가이드돌부
24: 코받이결합부 241: 탈착홈부 242: 탈착돌부
30: 다리부재 31: 다리결합부 311: 연결포크
312: 포크삽입홈 313: 회전결합부 314: 회전돌부
315: 회전홈부 40: 필름결합부 41: 결합부재
42: 필름결합홀부 43: 축돌부 431: 슬릿부
44: 부재걸림부 441: 축걸림홈부 442: 축걸림돌부
45: 필름지지부 451: 필름지지홈부 452: 필름지지돌부
46: 햅틱부 461: 햅틱홈부 462: 햅틱돌부

Claims (6)

  1. 양단부에 각각 엔드피스가 구비되는 전면프레임;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는 코받이부재;
    상기 엔드피스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리부재; 및
    상기 엔드피스를 기준으로 상기 다리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다리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부재는,
    사용자의 코에 지지 가능한 코지지부;
    상호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과 상기 코지지부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결합날개;
    상기 결합날개와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과 상기 코지지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결합슬라이더; 및
    상기 결합날개와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전면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코지지부를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코받이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연장부; 및
    상기 결합연장부에서 돌출되어 마주보는 두 개의 결합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돌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결합부는,
    상기 결합날개에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결합슬라이더에서 상기 결합날개와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탈착홈부; 및
    상기 결합날개와 상기 결합슬라이더의 끼움 결합에 따라 상기 탈착홈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날개에서 상기 결합슬라이더와 마주보는 면과 상기 결합슬라이더에서 상기 결합날개와 마주보는 면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는 탈착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두 개의 결합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연장부;가 포함되고,
    상기 결합슬라이더에는,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날개연장부와 마주보는 결합연장부;가 포함되며,
    상기 날개연장부에는, 상기 탈착홈부와 상기 탈착돌부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연장부에는, 상기 탈착홈부와 상기 탈착돌부 중 다른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이부재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브리지와 끼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전면프레임의 중앙 부분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구조를 나타내는 결합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

KR2020200002057U 2020-06-15 2020-06-15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KR200496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057U KR200496246Y1 (ko) 2020-06-15 2020-06-15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KR2020220002687U KR200497010Y1 (ko) 2020-06-15 2022-11-16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057U KR200496246Y1 (ko) 2020-06-15 2020-06-15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687U Division KR200497010Y1 (ko) 2020-06-15 2022-11-16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857U true KR20210002857U (ko) 2021-12-22
KR200496246Y1 KR200496246Y1 (ko) 2022-12-07

Family

ID=791789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057U KR200496246Y1 (ko) 2020-06-15 2020-06-15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KR2020220002687U KR200497010Y1 (ko) 2020-06-15 2022-11-16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687U KR200497010Y1 (ko) 2020-06-15 2022-11-16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62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853A1 (ko) * 2022-02-10 2023-08-17 (주)코리아테크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KR200457317Y1 (ko) 2011-01-31 2011-12-13 (주)로이츠나인 안면보호 및 자외선차단용 마스크, 및 마스크필름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안경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801Y1 (ko) 2001-03-26 2001-10-10 주식회사오토스광학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KR200457317Y1 (ko) 2011-01-31 2011-12-13 (주)로이츠나인 안면보호 및 자외선차단용 마스크, 및 마스크필름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안경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853A1 (ko) * 2022-02-10 2023-08-17 (주)코리아테크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880U (ko) 2022-12-06
KR200496246Y1 (ko) 2022-12-07
KR200497010Y1 (ko) 202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095Y1 (ko) 웨어러블 마스크
AU2014337383B2 (en) Modular eyeglasses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facades
EP2191736B1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KR101444864B1 (ko) 안경형 위생 마스크 및 안경 장착용 위생 마스크
US7314278B2 (en) Children's sunglasses
US6481845B1 (en) Eyewear with detachable lens portion
KR102064561B1 (ko) 문양층을 선택적으로 탈, 부착할 수 있는 안경
KR200497010Y1 (ko) 얼굴보호용 실드프레임과 이것을 포함한 얼굴보호마스크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US20220079267A1 (en) Face mask attachment device
US20100141889A1 (en) Children's sunglasses
KR200240801Y1 (ko) 안면보호용 실드프레임
JP6310881B2 (ja) マスク
JP2022003172A (ja) マスクシート及びマスクシート装着フレーム
US20220079266A1 (en) Face mask attachment device
KR200234825Y1 (ko) 방진 및 방풍 마스크
KR102347421B1 (ko) 안면 보호용 마스크부재
JP3231039U (ja) フェイスシールド
JP3234859U (ja) マスクカバー
KR102279270B1 (ko) 안면보호창이 조립 설치되는 페이스 쉴드 프레임
US20220225704A1 (en) Face mask shield for prolonged use
JP3089554B1 (ja) 全面マスク専用眼鏡
KR20220048201A (ko) 비말 차단용 안면 마스크
JP2022025873A (ja) フェイスシールド
TWM622290U (zh) 眼鏡側遮片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