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505U -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505U
KR20210002505U KR2020200003199U KR20200003199U KR20210002505U KR 20210002505 U KR20210002505 U KR 20210002505U KR 2020200003199 U KR2020200003199 U KR 2020200003199U KR 20200003199 U KR20200003199 U KR 20200003199U KR 20210002505 U KR20210002505 U KR 202100025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sterilization
lighting
func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호
서민용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아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아이엘에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아이엘에스
Priority to KR2020200003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505U/ko
Publication of KR202100025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50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동시 제공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조명용 광을 발생하는 조명용 LED; 살균용 광을 발생하는 살균용 LED;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패널;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는 객체 감지 센서; 및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과 사용자 제어값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되, 상기 살균용 LED의 구동 중에 상기 객체 감지 센서가 객체 감지를 통보하면, 상기 살균용 LED의 구동을 즉각 중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용 LED는 광 파장이 상이한 다수의 LED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살균 목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LED 각각을 개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Smart lighting system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고안은 조명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동시 제공할 수 있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실내외에서 어두운 공간을 밝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명등으로 형광등은 형광물질이 도포된 진공의 유리관에 수은과 아르곤을 넣고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 광선으로 전환시켜 조명용도로 사용되는 조명기구이다.
그러나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하면 소비전력은 작지만 수명이 짧아 교체주기가 다소 짧은 문제도 있다. 더욱이 형광등의 초기 방전을 위하여 고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안정기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형광등의 소비전력 및 수명과 대비하여 오랜 수명과 저전력에서의 발광, 그리고 콤팩트한 사이즈와 제조에 따른 친환경성을 강조한 LED (발광다이오드)가 주요 조명등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LED 조명등은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은 있지만 적용 범위의 확대에 따른 양산의 경우에는 낮은 가격으로 설치가 가능할 것이고, 특히 통상 10만 시간의 수명을 자랑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은 다소 높지만 전력절감과 더불어 사용시간에 따른 사용 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한편 LED는 발광 특성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 가시광을 발광하는 가시광 LED, 및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LED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자외선(Ultra Violet Rays, UV) LED는, DNA나 RNA를 가진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을 위한 수단으로서 적용되고 있으며 조명과 연동하여 실내정화의 용도로 사용되는 예도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조명용 LED와 살균용 LED을 동시 구비하여 기존의 조명 기능뿐 아니라 살균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명용 광을 발생하는 조명용 LED; 살균용 광을 발생하는 살균용 LED;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패널;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는 객체 감지 센서; 및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과 사용자 제어값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되, 상기 살균용 LED의 구동 중에 상기 객체 감지 센서가 객체 감지를 통보하면, 상기 살균용 LED의 구동을 즉각 중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용 LED는 광 파장이 상이한 다수의 LED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살균 목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LED 각각을 개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제어값을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우선하여 처리하며, 상기 객체 감지 센서의 객체 감지 결과를 사용자 제어값에 우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용 전력을 수신 및 변환하여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의 동작 활성화 시간을 기 설정 기간 동안 수집 및 평균한 결과를 상기 동작 스케쥴로 자동 업데이트하거나, 가장 마지막의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의 동작 활성화 시간을 상기 동작 스케쥴로 자동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조명 시스템은 상기 조명용 LED와 상기 살균용 LED의 부하 전력을 센싱하는 다수의 전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전력 센서의 전력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용 LED와 상기 살균용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명용 LED와 살균용 LED을 동시 구비하여 기존의 조명 기능뿐 아니라 살균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그리고 살균 목적에 따라 살균용 LED를 통해 발생 가능한 광 파장을 다양화함으로써, 그 적용 범위가 보다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며, 살균용 LED 구동시에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동물이 감지되면 살균용 LED의 구동을 즉각 중지함으로써, 살균용 LED에 의해 인체가 직간접으로 영향 받은 것을 사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연동을 지원함과 동시에 LED의 고장 상태를 사용자 개입없이 자동으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접근성 및 편리성 또한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LED 및 살균용 LED 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의료진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하,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100)은 조명용 LED(110), 살균용 LED(120), 객체 감지부(130), 제어 패널(140), 컨트롤러(150) 및 전원 공급부(160) 등을 포함한다.
조명용 LED(110)는 400~700nm 대역의 광 파장(즉, 가시광선)을 가지는 광을 발광한다.
살균용 LED(120)는 100~280nm 대역의 광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발광한다.
객체 감지부(130)는 거리 센서와 같은 객체 감지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 및 통보한다.
제어 패널(140)는 각종 버튼 및 스위치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이들을 통해 전원 온/오프, 조명 활성화, 살균 활성화 등과 같은 각종 사용자 제어값을 수동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 및 조작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을 수도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조명 시스템(100)과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한 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의 사용자 제어값 획득 및 전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스템 구동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거나, 시스템 구동 현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한 후, 차후에 검색 및 열람할 수도 있도록 한다.
컨트롤러(150)는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을 구비하고, 이에 기반하여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동작 스케쥴을 통해 사람들이 해당 공간을 점유 및 이용하는 저녁 시간대와 해당 공간에 사람들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심야 시간대로 구분하고, 저녁 시간대에는 조명용 LED(110)을 구동시키고, 심야 시간대에는 살균용 LED(120)을 구동시킨다.
다만, 제어 패널(140)을 통해 사용자 제어값이 입력하면, 컨트롤러(150)는 사용자 제어값을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우선 처리하여 LED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수시 변화될 수 있는 현재 상황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 및 처리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살균용 LED(120)의 구동 중에 객체 감지부(130)가 객체 감지를 확인 및 통보하면, 살균용 LED(120)의 구동을 즉각 중지하도록 한다. 이는 살균용 LED가 인체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의 컨트롤러(150)는 사용자 제어값을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우선하여 처리하며, 객체 감지 센서의 객체 감지 결과를 사용자 제어값에 우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LED 구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고안의 컨트롤러(150)는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의 동작 활성화 시간을 기 설정 기간 동안 수집 및 평균한 결과를 동작 스케쥴로 자동 업데이트하거나, 가장 마지막의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의 동작 활성화 시간을 동작 스케쥴로 자동 업데이트함으로써, 동작 스케쥴 설정을 위한 사용자 개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공급부(160)는 조명 시스템이 휴대형 장치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배터리형과, 기존의 시설물에 결합 설치되는 전기 공사형의 두 가지 버전으로 구현 가능하다.
배터리형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60)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며, 전기 공사형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시설물에 기 설치된 상용 전력 라인에 연결되어, 상용 전력 라인의 상용 전력을 수신 및 변환하여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한다. 이때, 시설물은 건물, 등기구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100)은 조명용 LED(110), 살균용 LED(120), 객체 감지부(130), 제어 패널(140), 컨트롤러(150) 및 전원 공급부(160) 이외에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200)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는 무선 통신부(1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통신 단말로, 특히 스마트 조명 시스템과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시스템 원격 제어를 위해 입력하는 제어값을 획득하여 조명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면, 조명 시스템(100)은 컨트롤러(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값에 기반한 LED 제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 단말(200)의 제어값은 제어 패널(140)의 제어값과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시에는 사용자가 이들의 우선 순위를 결정 또는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50)는 자신의 현재 동작 상황을 사용자 단말(200)에 실시간 통보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은 이를 로드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시청각화하여 사용자 안내하도록 한다. 이때, 로드 데이터는 차후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LED 및 살균용 LED 구현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은 조명용 LED를 도시한 도면으로, 조명용 LED(110)는 하나 또는 다수의 LED를 구비하며, 다수의 LED는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의 (b)는 살균용 LED를 도시한 도면으로, 살균용 LED(120)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LED로 구비하며, 다수의 LED는 어레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LED 각각 기 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살균용 LED는 기 설정된 살균 목적에 대응되는 단일 광만을 생성 및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필요시에는 도 3의 (c)와 같이, 살균용 LED(120)를 서로 광 파장을 발생하는 다수의 LED 어레이(121, 122)로 구현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살균용 LED(120)가 발생 가능한 광 파장을 살균 목적에 따라 보다 세분화하고, 컨트롤러(150)는 이를 참고하여 살균 목적에 따라 다수의 LED 어레이(121, 1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조명 시스템(100)은 조명용 LED(110), 살균용 LED(120), 객체 감지부(130), 제어 패널(140), 컨트롤러(150) 및 전원 공급부(160) 이외에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 각각에 대응되는 전력 센서(181, 182)를 더 포함하고, 이들을 통해 LED 고장 진단 동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전력 센서(181, 182)는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 각각에 연결되는 전원 라인에 결합되는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 각각의 부하 전력을 센싱 및 출력한다.
컨트롤러(150)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사용자 요청하에 고장 체크 이벤트를 발생한다. 그리고 고장 체크 이벤트가 발생하면,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를 교대로 구동시키면서 전력 센서(181, 182)를 통해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 각각의 부하 전력을 센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 각각의 고장 여부를 체크한다.
참고로,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가 정상 구동된다면,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의 부하 전력은 일정 값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중 하나의 고장 상태이면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의 부하 전력이 고장난 부품의 개수에 비례하여 감소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본 고안의 부하 전력 기반으로 조명용 LED(110) 및 살균용 LED(120)의 고장 상태를 감지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LED 종류별로, 부하 전력을 소정 기간에 걸쳐 수집 및 평균하여 전류 평균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새로운 전류값이 입력될 때마다, 새로운 전류값과 전류 평균값간의 편차를 비교하고, 전류 편차가 기 설정치 이상이 되면 해당 LED가 고장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
또 다르게는, 조명용 LED(110)과 살균용 LED(120)의 전류값을 센싱 및 비교하여 전류 편차값을 획득한 후, 전류 편차값이 기 설정치 이상이 되면 조명용 LED(110)과 살균용 LED(120) 중 어느 하나가 고장 상태임을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도 4는 전력 센서 기반으로 한 고장 자동 진단 기능을 추가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관리 편이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조명용 광을 발생하는 조명용 LED;
    살균용 광을 발생하는 살균용 LED;
    사용자 제어값을 입력받는 제어패널;
    기 설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사람 또는 동물을 감지하는 객체 감지 센서; 및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과 사용자 제어값 중 어느 하나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되, 상기 살균용 LED의 구동 중에 상기 객체 감지 센서가 객체 감지를 통보하면, 상기 살균용 LED의 구동을 즉각 중지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용 LED는 광 파장이 상이한 다수의 LED를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살균 목적에 따라 상기 다수의 LED 각각을 개별 제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제어값을 기 설정된 동작 스케쥴에 우선하여 처리하며, 상기 객체 감지 센서의 객체 감지 결과를 사용자 제어값에 우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배터리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전력을 이용하여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용 전력을 수신 및 변환하여 구동 전력을 생성 및 공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의 동작 활성화 시간을 기 설정 기간 동안 수집 및 평균한 결과를 상기 동작 스케쥴로 자동 업데이트하거나, 가장 마지막의 상기 조명용 LED 및 상기 살균용 LED의 동작 활성화 시간을 상기 동작 스케쥴로 자동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상호 연동을 지원하기 위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 및 운영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용 LED와 상기 살균용 LED의 부하 전력을 센싱하는 다수의 전력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다수의 전력 센서의 전력 센싱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조명용 LED와 상기 살균용 LED의 고장 여부를 확인 및 통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2020200003199U 2020-05-06 2020-09-02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202100025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99U KR20210002505U (ko) 2020-05-06 2020-09-02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10 2020-05-06
KR2020200003199U KR20210002505U (ko) 2020-05-06 2020-09-02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10 Division 2020-05-06 2020-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505U true KR20210002505U (ko) 2021-11-16

Family

ID=7871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99U KR20210002505U (ko) 2020-05-06 2020-09-02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5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97B1 (ko) * 2022-05-11 2023-03-28 윤전권 살균 기능을 갖춘 조명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297B1 (ko) * 2022-05-11 2023-03-28 윤전권 살균 기능을 갖춘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3308B2 (en) Light and light sensor
US9049753B1 (en) Lighting device moni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11883546B2 (en) Luminaire with disinfection light exposure and dosage limit control protocol and sensor integration
US10405404B1 (en) Lighting controls data synchronization
US10136493B2 (en) Brightness monitoring for LED failures and daylighting target adjusting
JP2007287671A (ja) 放電灯点灯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管理システム
KR20210002505U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조명 시스템
JP201316500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102934155A (zh) 灯箱照明方法
US9775220B2 (en) Network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ch lighting apparatus to identify itself and communicate its network address
US20220047761A1 (en) Illumination lamp system having automatic switching function for sterilization
NL2016739B1 (en) Street light system
US20220062468A1 (en) Luminaire with disinfection light exposure and dosage limit control protocol and sensor integration with height controller
US10559195B2 (en) Facility management system
KR20150068052A (ko) 무선기반 조명등 그룹설정 및 그룹제어장치와 그 방법
CN206533591U (zh) 智能型紧急照明灯
WO2019192966A1 (en) Luminaire for indoor or outdoor lighting
US20220347329A1 (en) Luminaire emitting two different bands of disinfection light
WO2023238982A1 (ko) 스마트 항균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IT202000006955A1 (it) Dispositivo e metodo di sanificazione di ambienti
JP2004335311A (ja) 無線監視システム
IT202100005876U1 (it) Dispositivo e metodo di sanificazione di ambienti.
KR20170109450A (ko) 엘이디 램프 및 엘이디 조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