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98U - 스팀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98U
KR20210002398U KR2020200001344U KR20200001344U KR20210002398U KR 20210002398 U KR20210002398 U KR 20210002398U KR 2020200001344 U KR2020200001344 U KR 2020200001344U KR 20200001344 U KR20200001344 U KR 20200001344U KR 20210002398 U KR20210002398 U KR 202100023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mp
steam
wat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742Y1 (ko
Inventor
조인억
이규희
Original Assignee
조인억
이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억, 이규희 filed Critical 조인억
Priority to KR2020200001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742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3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7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7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02Shoe-cleaning machines, with or without applicators for shoe pol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물탱크(100); 상기 물탱크(100)의 물을 가열배관(20)으로 압송하는 급수펌프(200); 상기 가열배관(20)이 권취되어 형성된 권선부(25)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열배관(20)을 가열시키는 봉 형상의 제1 히터부(300); 상기 권선부(25)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열배관(21)과 교번 권취되는 제2 히터부(400); 상기 가열배관(21)에서 공급된 스팀을 스팀분사부(30)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스팀분배부(500);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 및 상기 전원공급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세척 장치{STEAM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스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을 수분 이내에 급가온시켜 스팀을 생성하여 신발, 의류 등을 세척하는 스팀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신발은 청결하지 않으면 악취와 함께 세균에 의해 쉽게 오염되는 것이 문제이다. 그리하여 항상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오염된 먼지를 털어낸 후 광택을 내는 것이 신발의 사용 수명 연장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허문헌 0001에는 청소 후 세척된 장화를 수용하여 건조,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반투명의 문을 구비하되 센서를 외측 상부에 구비하여 문을 개방하면 램프들의 작동을 멈추게 하였으며, 외측 상부에 각종 기기들의 작동을 컨트롤하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열풍입구를 구비하여 건조장치에서 보내오는 열풍이 유입되도록 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본체로 열풍을 보내 수용된 장화를 건조하는 것으로, 전기를 인가받아 가열되어 열을 발산시키는 히터와 히터의 후방에 구비되어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본체의 열풍입구를 통하여 본체로 보내는 송풍기와 열풍이 이송되는 이송관으로 된 건조장치와; 본체의 상측에 구비되어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장화의 외측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하는 살균램프와; 장화를 본체에 거취하여 건조장치를 통하여 공급되는 열풍이 유입되어 장화의 내측을 건조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장치의 이송관에 연결되되, 장화를 한 짝씩 걸 수 있도록 다수가 이송관에 각각 체결되는 열풍유입관과 장화의 발바닥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송관과 열풍유입관을 통하여 유입된 열풍이 배출되어 장화의 내측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걸이구로 된 거취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화 건조-살균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신발의 세탁 특히 운동화의 경우 그 외부는 손쉽게 닦아낼 수 있었으나 손이 잘 닿지 않는 안쪽 깊숙한 부위는 깨끗이 닦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비좁은 신발 안쪽부위는 손이 미치지 않는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다수의 다양한 신발에 대한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서는, 통상적으로 신발에 묻어 있는 기초적인 이물질 제거 단계, 세제를 푼 온수에 신발을 담가 일정 시간 불리는 불림 단계, 브러시나 솔 또는 고압수로 갑피를 포함한 외피와 내피를 세척하는 세척단계,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신발을 헹구는 헹굼단계, 탈수기 등으로 신발을 탈수하는 탈수단계, 건조기 등으로 신발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 완료 후 신발을 비닐포장하는 포장단계를 거쳐 신발 세탁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처럼 전문 신발 세탁 업체에서는 여러 과정을 거쳐 신발을 세탁하게 되는 바, 각 과정이 거의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뤄짐에 따라, 신발 세탁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의 투입으로 세탁 서비스 제공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상적으로 물을 스팀으로 만들자면 가열하여 끓는 점 이상 온도로 만들어야 하므로 시간과 에너지 소모가 크다. 또한 분사기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섭씨 100도 이상 넘어가면 신발 등의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순간 스팀 형성이 어렵고 취급상 어려움이 있으며 위험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6162호(고안의 명칭 : 장화 건조-살균기) 한국등록특허 제10-1318030호(고안의 명칭 : 신발 세척기)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의 신발 세척 과정이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시간, 인력, 서비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과, 세척 대상물의 표면에 손상을 주는 문제점과, 순간 스팀 형성이 어렵고 취급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을 수분 이내에 급가온시켜 스팀을 생성하여 신발, 의류 등을 세척하는 스팀 세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을 꺼는 경우에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자동으로 꺼지게 하는 스위치를 구현함에 따라 히터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세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물탱크(100); 상기 물탱크(100)의 물을 가열배관(20)으로 압송하는 급수펌프(200); 상기 가열배관(20)이 권취되어 형성된 권선부(25)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열배관(20)을 가열시키는 봉 형상의 제1 히터부(300); 상기 권선부(25)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열배관(21)과 교번 권취되는 제2 히터부(400); 상기 가열배관(21)에서 공급된 스팀을 스팀분사부(30)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스팀분배부(500);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 및 상기 전원공급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70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에 있어, 상기 스위치부(700)는 상기 급수펌프(2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펌프스위치(710); 상기 제1 히터부(3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1 스위치(720); 및 상기 제2 히터부(4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2 스위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에 있어, 상기 펌프스위치(710)는 상기 전원공급부(600) 및 상기 급수펌프(2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스위치(710)을 끄게 되면 일정시간 후에 상기 급수펌프(200)가 꺼지도록 하는 펌프제어부(7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는 약 10 Kg 정도의 가볍고 소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약 1-2 분이면 강한 스팀이 바로 발생 가능하여 신속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스팀 토출시 온도는 섭씨 80~90도 정도 되므로 세척 대상물의 세척 효과가 높고 살균력이 있으며, 신발 등의 세척 대상물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세탁 대상인 신발, 의류에 고압의 스팀이 분사되게 하여, 찌든 때를 불려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특히 가죽 재질의 신발 외피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을 끄더라도 바로 꺼지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켜진 상태로 있다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꺼지도록 하여 히터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에 포함되는 제1,제2 히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제1,제2 히터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부의 구성 중 펌프스위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에 있어서, 펌프스위치 및 펌프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에 포함되는 제1,제2 히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의 제1,제2 히터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물탱크(100); 상기 물탱크(100)의 물을 가열배관(20)으로 압송하는 급수펌프(200); 상기 가열배관(20)이 권취되어 형성된 권선부(25)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열배관(20)을 가열시키는 봉 형상의 제1 히터부(300); 상기 권선부(25)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열배관(21)과 교번 권취되는 제2 히터부(400); 상기 가열배관(21)에서 공급된 스팀을 스팀분사부(30)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스팀분배부(500);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 상기 전원공급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내부공간에 상술한 물탱크(100), 급수펌프(200), 제1 히터부(300), 제2 히터부(400), 스팀분배부(500), 전원공급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측부에는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는 히팅팬(미도시)이 설치되는데, 히팅팬의 역할은 내부 기온이 영하로 내려갈때 자동으로 작동되어 가열된 공기를 내부에 공급하여, 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호스가 겨울철에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히팅팬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스위치부(700)가 설치된다. 이들 역할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구성들과 함께 설명한다. 상기한 구성(또는 부품)들의 위치적인 배열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떠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물탱크(100)는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며, 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탱크(100)의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내부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00) 내로 물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상기 물탱크(100)의 일측에 주입관(1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입관(110)은 주입호스(111)를 통해 외부 물공급원(미도시)과 연통되며, 상기 물탱크(100)는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100)는 그 상단에 물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수위조절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위조절기(120)는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넘치지 않도록 상기 주입관(11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200)는 상기 물탱크(100)와 연통되며 상기 물탱크(100)의 물을 가열배관(20)으로 압송한다.
상기 급수펌프(200)는 상기 물탱크(100) 및 상기 제1 히터부(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200)는 상기 전원공급부(60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스위치부(700)를 통해 전원이 온(ON) 되면 가열배관(20)으로 물을 압송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급수펌프(200)는 상기 스위치부(700)의 펌프스위치(710)와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터부(300)는 상기 가열배관(20)이 권취되어 형성된 권선부(25) 내부로 삽입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급수펌프(200)에서 유입된 물을 1차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열배관(20)을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히터부(300)는 상기 전원공급부(60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스위치부(700)를 통해 전원이 온(ON) 되면 가열배관(20)을 가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히터부(300)는 상기 스위치부(700)의 제1 스위치(720)와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히터부(300)는 봉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권선부(25) 내부로 쉽게 삽입하여 상기 가열배관(20)으로 열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히터부(300)는 카트리지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히터부(400)는 상기 전원공급부(600)에서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스위치부(700)를 통해 전원이 온(ON) 되면 가열배관(21)을 가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히터부(400)는 상기 스위치부(700)의 제2 스위치(730)와 전기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히터부(400)는 상기 제1 히터부(300) 외주에 형성된 권선부(25)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2 히터부(400)는 상기 권선부(25)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열배관(21)과 교번 권취됨으로써, 상기 급수펌프(200)에서 유입된 물을 2차적으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제1 히터부(300) 및 상기 제2 히터부(400)를 구비함으로써 약 1 내지 2 분 내에 물을 신속히 가열시켜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히터부(400)와 권취되는 가열배관(21)은 권선부(25)에 구비된 가열배관(20)보다 그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가열배관(20) 내부의 물의 유속을 감소시켜 제1 히터부(300)로부터 열공급되는 시간을 충분히 하게 하고, 상기 제2 히터부(400)와 권취되는 가열배관(21) 내부의 물의 유속 및 압력을 증가시켜 고온 및 고압의 스팀을 신속히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스팀분배부(500)는 상기 가열배관(21)에서 공급된 스팀을 스팀분사부(30)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팀분배부(500)는 스팀이 공급되는 상기 가열배관(21)과 상기 스팀분사부(30) 사이에서 스팀의 공급을 단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스팀분배부(500) 일측은 스팀이 생성된 상기 가열배관(21)과 연통되며, 타측은 스팀분사부(30)와 연통되는 스팀배출관(5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배출관(51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배출관(510)은 스팀호스와 연결되며, 신발, 의류 등의 용도별로 스팀배출관(510)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팀분배부(500)는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자동으로 개폐되는 압력안전핀(5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압력안전핀(520)은 상기 가열배관(21)과 연통되며, 상기 가열배관(21)의 내부압력이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하면 상기 스팀분배부(500)의 타측으로 형성된 안전핀 설치홈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제1, 제2 히터부(300, 400)의 내부 온도가 과승함으로써 스팀의 압력이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안전한 사용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팀분사부(30)는 신발의 외표면과 마찰되는 브러시모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상술한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600)는 전원이 입력되는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를 통해 전원을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700)는 상기 전원공급부(600)에 연결되어 상술한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위치부(700)의 제어를 통해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으로써, 분사되는 스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스위치부(700)는 상기 급수펌프(2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펌프스위치(710), 상기 제1 히터부(3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1 스위치(720), 상기 제2 히터부(4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2 스위치(7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700)의 구성 중 펌프스위치(71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펌프스위치(710)는 펌프제어부(7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스위치(710)는 펌프제어부(711)를 통해 상기 전원공급부(600) 및 상기 급수펌프(200)와 직렬로 연결되며, 상기 펌프제어부(711)는 상기 펌프스위치(710)을 끄게 되면 일정시간 후에 상기 급수펌프(200)가 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펌프제어부(711)는 상기 펌프스위치(710)의 회로부를 나타내고, 상기 펌프스위치(710)는 전원공급부(600)에서 급수펌프(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켜고 끄는 스위치를 나타낸다.
상기 펌프스위치(710)를 켜면 즉시 상기 펌프제어부(711)가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기 급수펌프(200)가 켜지게 되고, 상기 펌프스위치(710)를 끄게 되면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면, 1분 내지 2분 정도)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술한 급수펌프(200)를 계속 켜있게 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상기 펌프제어부(711)는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게 되므로 상기 급수펌프(200)는 꺼지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 세척 장치(1000)에 있어서, 상기 펌프스위치(710) 및 상기 펌프제어부(71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전원공급부(600)에서 공급된 전원은 상기 급수펌프(200)을 통해 상기 펌프제어부(711)에 공급되는 데, 이때 전원은 브릿지회로(712)를 통해 정류되어 보호회로(713), 버퍼회로(715) 및 스위치회로(716)에 공급된다.
이하, 상기 펌프스위치(710)가 온(ON) 되어 있는 경우와 오프(OFF) 되어 있는 경우를 구분하여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상기 펌프스위치(710)가 오프(OFF)되어 있으므로 충방전 회로(714)에는 전압이 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압이 0 V가 되어 버퍼 회로(715)를 통해 스위치회로(716)에 인가되지만 구동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 회로(716)는 오프(OFF)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펌프(200)는 꺼지게 된다.
또한 상기 펌프스위치(710)가 온(ON)되는 경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상기 펌프스위치(710)가 온(ON)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보호 회로(713)를 통해 충방전 회로(714)에 전압이 충전된다. 그러면 전압이 상승하기 때문에 이 전압이 상기 버퍼회로(715)를 통해 상기 스위치 회로(716)를 구동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회로(716)는 온(ON) 되므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상기 급수펌프(200)는 켜지게 된다.
이제 상기 급수펌프(200)가 켜져 있는 경우에 상기 펌프스위치(710)가 오프(OFF)되면 상기 충방전 회로(714)에 충전되어있는 전압이 방전을 시작하는데 일정 기간 동안 방전되어 전압이 낮아질 때까지는 계속 상기 스위치 회로(716)를 구동하여 온(ON) 상태로 있게 되어 계속 상기 급수펌프(200)는 켜지게 된다. 그리고 일정 기간 방전되어 전압이 낮아지면 상기 스위치 회로(716)를 구동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 회로(716)는 오프(OFF) 되어 상기 급수펌프(200)는 꺼지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펌프스위치(710)를 오프(OFF) 하더라도 바로 펌프가 꺼지지 않고 일정 기간동안 켜져있다가 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상기 펌프스위치(710) 및 펌프제어부(711)를 포함함에 따라, 전원 오프(OFF)시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가열된 제1, 제2 히터부(300, 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몸체 20, 21 : 가열배관
25 : 권선부 30 : 스팀브러쉬부
100 : 물탱크 110 : 주입관
111 : 주입호스 120 : 수위조절기
200 : 급수펌프 300 : 제1 히터부
400 : 제2 히터부 500 : 스팀분배부
510 : 스팀배출관 520 : 압력안전핀
600 : 전원공급부 700 : 스위치부
710 : 펌프스위치 711 : 펌프제어부
712 : 브릿지회로 713 : 보호 회로
714 : 충방전 회로 715 : 버퍼회로
716 : 스위치 회로 720 : 제1 스위치
730 : 제2 스위치
1000 : 스팀 세척 장치

Claims (3)

  1.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물탱크(100);
    상기 물탱크(100)의 물을 가열배관(20)으로 압송하는 급수펌프(200);
    상기 가열배관(20)이 권취되어 형성된 권선부(25)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가열배관(20)을 가열시키는 봉 형상의 제1 히터부(300);
    상기 권선부(25) 외주를 따라 형성된 가열배관(21)과 교번 권취되는 제2 히터부(400);
    상기 가열배관(21)에서 공급된 스팀을 스팀분사부(30)로 분배하고 공급하는 스팀분배부(500);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600); 및
    상기 전원공급부(600)에 연결되어 상기 급수펌프(200), 제1,제2 히터부(300,400)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부(700);를 포함하는, 스팀 세척 장치(10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700)는
    상기 급수펌프(2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펌프스위치(710);
    상기 제1 히터부(3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1 스위치(720); 및
    상기 제2 히터부(400)에 대한 전원 온/오프를 담당하는 제2 스위치(730);를 포함하는, 스팀 세척 장치(100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스위치(710)는
    상기 전원공급부(600) 및 상기 급수펌프(200)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스위치(710)을 끄게 되면 일정시간 후에 상기 급수펌프(200)가 꺼지도록 하는 펌프제어부(711)를 더 포함하는, 스팀 세척 장치(1000).
KR2020200001344U 2020-04-21 2020-04-21 스팀 세척 장치 KR2004947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44U KR200494742Y1 (ko) 2020-04-21 2020-04-21 스팀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344U KR200494742Y1 (ko) 2020-04-21 2020-04-21 스팀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98U true KR20210002398U (ko) 2021-10-29
KR200494742Y1 KR200494742Y1 (ko) 2021-12-10

Family

ID=7826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344U KR200494742Y1 (ko) 2020-04-21 2020-04-21 스팀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74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776Y1 (ko) * 2006-07-20 2006-10-16 이상무 스팀 청소기용 제어장치
KR20100106162A (ko) 2009-03-23 2010-10-01 김종석 장화 건조-살균기
KR200466534Y1 (ko) * 2011-11-22 2013-05-07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스팀발생이 신속하고 스팀분출압력이 향상된 스팀청소기
KR101318030B1 (ko) 2012-10-31 2013-10-14 김광석 신발 세척기
KR20180094563A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유체 급속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776Y1 (ko) * 2006-07-20 2006-10-16 이상무 스팀 청소기용 제어장치
KR20100106162A (ko) 2009-03-23 2010-10-01 김종석 장화 건조-살균기
KR200466534Y1 (ko) * 2011-11-22 2013-05-07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스팀발생이 신속하고 스팀분출압력이 향상된 스팀청소기
KR101318030B1 (ko) 2012-10-31 2013-10-14 김광석 신발 세척기
KR20180094563A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유체 급속 가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742Y1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8487B2 (en) Heating circulation type drying module of dishwasher
US20060101588A1 (en)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072421B2 (en) Dishwasher
US20080289654A1 (en) Dish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EP2703541B1 (en) Laundry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8409361B2 (en) Controlling method of dishwasher
WO2020238201A1 (zh) 洗衣机及洗衣机的控制方法
CN107663734A (zh) 洗涤烘干机
US20210353125A1 (en) Dishwasher
CN104997454A (zh) 一种干脚机及干鞋和干脚联合装置
KR20220044698A (ko) 세제투입부 살균 장치 및 살균 방법
WO2013014871A1 (ja) 食器洗い乾燥機
KR200493940Y1 (ko) 휴대용 스팀 세척 장치
KR200494742Y1 (ko) 스팀 세척 장치
US20090056763A1 (en) Dish washing machine
EP2213779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1601571A (zh) 喷雾洗鞋机
KR101515701B1 (ko) 매트 자동 세척장치
KR101318056B1 (ko) 신발 건조기
JP2013153934A (ja) 衣類乾燥機
KR100945264B1 (ko) 테이블세척기
KR20140046842A (ko) 골프클럽 크리닝 시스템
KR20090050622A (ko) 의류처리장치
WO2014102319A1 (en) A dishwasher comprising a storage tank
US20100043827A1 (en) Dis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