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332U - 낚시대용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대용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332U
KR20210002332U KR2020200001256U KR20200001256U KR20210002332U KR 20210002332 U KR20210002332 U KR 20210002332U KR 2020200001256 U KR2020200001256 U KR 2020200001256U KR 20200001256 U KR20200001256 U KR 20200001256U KR 20210002332 U KR20210002332 U KR 202100023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otatably installed
rotation
rotation shaf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435Y1 (ko
Inventor
장현길
Original Assignee
장현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길 filed Critical 장현길
Priority to KR2020200001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3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대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물에 견고하게 고정된 받침대에 낚시대가 탈착가능하게 구성시켜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낚시대가 끌려나가 바다로 유실됨을 방지하고, 더불어 받침대에서 해체된 낚시대를 챔질하여 물고기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캐스팅한 후 낚시대를 받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낚시대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가변시켜 미끼가 살아움직이는 연출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초릿대를 상방향으로 크게 들어올려 챔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벽면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는 본체와, 상기 바닥면 하부와 본체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와, 상기 벽면 전방부분과 받침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는 낚시대를 거치되도록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된 받침프레임와, 상기 벽면 중간부분과 스토퍼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가 설치판에서 일정각도로 선회 및 고정하는 선회각도수단와, 상기 벽면 후방부분에 설치되는 탈착회전축에 탈착되는 낚시대탈착수단와, 상기 낚시대탈착수단 상부와 손잡이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낚시대 손잡이가 수용 고정되는 손잡이홀더와, 상기 설치판 하면에 구비되어 설치물에 본체를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판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시대용 받침장치{Proping apparatus for the fishing alternative}
본 고안은 낚시대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를 즐기는 선상 또는 좌대와 같은 장소에 마련된 설치물에 고정하여 캐스팅한 낚시대를 거치하되 설치물과 고정된 받침대와 낚시대를 회전 및 탈착 가능하게 구성시켜 받침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낚시대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선회시켜 미끼가 살아있는 듯 움직여 입질을 유도하고, 더불어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챔질하는 동시에 설치물에 고정된 받침대에서 낚시대를 이탈시켜 물고기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일이나 공부 등을 하면서 생긴 피로를 풀어주기 위해서 낚시, 등산, 레포츠 등 다양한 야외 여가활동을 즐기고 있다.
상기 여가활동 중 낚시는 온가족이 안전하게 함께 즐길 수 있으면서도 물고기를 잡는 어종에 따라 달리 준비하는 채비와 그 채비로 미끼가 움직이듯 낚시대를 흔들어 입질하면 챔질로 낚아채서 끌어올리는 일련의 짜릿한 손맛을 느낄 수 있어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다.
이러한 낚시는 바다낚시와 민물낚시로 구부되고, 바다와 하구에서 하는 낚시를 바다낚시라고 하며 그 종류로 방파제낚시, 하구낚시, 갯바위낚시, 트롤링낚시, 루어낚시가 있고, 호수와 강 등에서 하는 낚시를 민물낚시라고 하며 그 종류로 호소낚시, 계류낚시가 있으며, 각각 낚고자 하는 어종과 낚시 방법에 차이를 갖는다.
또한, 낚시용구로는 낚시대, 낚시줄, 낚시줄을 낚시대에 감는 릴, 미끼를 꽂는 바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준비된 낚시대는 바다에 띄어진 배위에서 하는 선상이나 좌판에 앉아서 물고기를 잡는 좌대낚시를 할 때 대체로 설치물 예컨대 선체 또는 파이프에 고정된 받침대에 거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히, 배를 이용해서 먼 바다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갈치 및 오징어와 같은 비교적 큰 물고기를 잡는 경우 낚시대를 당기는 힘이 약하여 바다로 유실됨을 방지하도록 받침대가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받침대의 종래 선행기술로 특허등록 제1051830호(명칭: 낚시대 거치대)가 개시되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프레임과, 개방된 프레임의 전단부 사이에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을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와, 프레임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와, 프레임의 전단부 측면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프레임의 전단부 저면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 및 프레임의 전단부 전면에 결합되며 제1고정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에도 낚시대의 거치상태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와, 거치된 낚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거치대는 낚시대 손잡이를 제1고정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후단을 제2고정부에 걸어서 사용함으로써, 챔질은 용이하나 온전한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상어종이 갈치와 같이 대물인 경우에는 낚시대가 거치대에서 강제로 이탈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선행기슬 거치대는 최초 설치물에 고정한 상태에서 낚시대는 캐스팅한 위치 외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선회를 할 수 없어 물고기를 유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즉, 낚시대를 거치대에 안착 한 이 후에는 낚시대를 상하좌우로 가변시킬 수 없어 미끼가 살아있는 움직이는 눈속임을 연출할 수 없어 물고기를 유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설치물에 견고하게 고정된 받침대에 낚시대가 탈착가능하게 구성시켜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낚시대가 끌려나가 바다로 유실됨을 방지하고, 더불어 받침대에서 해체된 낚시대를 챔질하여 물고기를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캐스팅한 후 낚시대를 받침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낚시대를 상하좌우로 용이하게 가변시켜 미끼가 살아움직이는 연출로 유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을 때 초릿대를 상방향으로 크게 들어올려 챔질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바닥면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벽면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는 본체와, 상기 바닥면 하부와 본체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와, 상기 벽면 전방부분과 받침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는 낚시대를 거치되도록 "∪"형상의 받침부가 형성된 받침프레임과, 상기 벽면 중간부분과 스토퍼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가 설치판에서 일정각도로 선회 및 고정하는 선회각도수단과, 상기 벽면 후방부분에 설치되는 탈착회전축에 탈착되는 낚시대탈착수단과, 상기 낚시대탈착수단 상부와 손잡이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낚시대 손잡이가 수용 고정되는 손잡이홀더와, 상기 설치판 하면에 구비되어 설치물에 본체를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판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회각도수단은 벽면 중앙부분에 스토퍼회전축과 지렛대원리로 회전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방 하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후방 상면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누름손잡이가 형성된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회전축에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권선되고, 일단은 누름손잡이 하면과 접촉되고 타단은 바닥면과 접촉되는 스토퍼스프링과, 본체에 형성된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통과하거나 이탈되는 가이드구멍과, 설치판에서 상기 가이드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부채꼴 형태를 이루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관통되어 가이드구멍을 통과한 고정돌기가 어느 한 위치에 끼워져 고정되는 선회각도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낚시대탈착수단은 과 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고, 양측면에 각각 탈착회전축이 하방향에서 삽입 고정되는 상부축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손잡이홀더가 손잡이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브라켓과, 상기 상부회전브라켓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양측면 후방에 회전연결축으로 상부회전브라켓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단은 "ㄴ"형상을 이루도록 상부로 절곡시켜 탈착회전축의 전방과 하부가 걸려 받쳐지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후단은 상부회전브라켓의 후면을 벗어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레버가 형성된 하부회전브라켓과, 상기 탈착회전축에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권선되고, 일단은 상부회전브라켓 내면과 접촉되고, 타단은 레버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를 당기면 하부회전브라켓이 회전과 동시에 압축되면서 탈착회전축에서 걸린 걸림부가 벗어나 해체되도록 하는 레버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 후면에 내측으로 절개시켜 상부회전브라켓과 하부회전브라켓이 탈착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시 레버가 후면에 걸리지 않고 절개된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되도록 레버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손잡이홀더는 반원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고정된 손잡이회전축으로 낚시대탈착수단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단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1회전홈이 형성된 하부홀더몸체와, 상기 하부홀더몸체의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단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1걸림홈이 형성된 상부홀더몸체와, 상기 제1회전홈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나선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회전 시 제1걸림홈의 외면을 조여 고정하는 제1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홀더몸체의 일측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형상으로 유턴시켜 휠에 구비된 스플에 권취되는 낚시줄을 걸어 팽팽한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집어등을 걸어 사용하는 걸이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설치판고정수단은설치판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방향으로 직립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관통 형성된 볼트구멍과, 상기 볼트구멍을 통과한 후, 설치물과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치판고정수단은 링형상에서 1/3로 각각 분할 형성되어 설치판 하면과 상측 외면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2결림홈이 형성된 고정홀더몸체와, 상기 고정홀더몸체 일측과 제2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홀더몸체와, 상기 연결홀더몸체의 일측과 제3힌지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걸림홈과 대응하는 제2회전홈이 형성된 회전홀더몸체와, 상기 제2회전홈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선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더몸체와 연결홀더몸체 및 회전홀더몸체를 오므려 내부로 설치물이 통과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제2걸림홈을 조여 고정시키는 제2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바닥면의 전방부분에는 내주연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 헤드와 받침프레임의 하면이 접촉되어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볼트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표면은 거치된 낚시대가 임의로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우레탄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판을 설치판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물에 견고히 고정한 상태에서 본체를 선회각도수단으로 좌,우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하고, 낚시대탈착수단으로 손잡이가 고정된 낚시대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물고기의 유인하기 위한 낚시대를 위치를 가변 및 챔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선회각도수단은 설치판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본체를 선회시킨 후, 스토퍼로 고정함으로써, 캐스팅 한 방향으로 사용자가 신속하게 본체를 선회시켜 정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낚시대탈착수단을 이용하여 낚시대를 본체에서 설치 또는 해체할 수 있음으로써, 낚시대를 탈거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챔질 이후 낚시대를 상,하로 들어올리면서 낚시줄을 감는 일명 파이팅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부회전브라켓에 걸이구를 고정함으로써, 릴을 구성하는 스플에 느슨한 상태의 낚시줄을 감게되면 엉키게되는데 걸이구에 낚시줄을 걸어서 스플에 연결하면 이격된 거리에 의해 낚시줄을 손으로 당기는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낚시줄이 엉키지 않고 올바르게 권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야간낚시에서 집어등을 걸이구에 걸어 사용하면 어종이 낚시를 하는 사용자 주위로 몰려들게 하는 효과도 있다.
더불어, 받침프레임을 본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길이가 비교적 길게 형성된 받침프레임을 폴딩하고, 손잡이홀더를 낚시대탈착수단으로 분해시켜 받침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받침프레임을 각도조절볼트의 돌출되는 높이에 맞닿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받침부를 우레탄으로 코팅함으로써, 낚시대가 임의로 미끄러지는 슬립현상을 억제하여 유실방지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설치물에 설치된 받침대가 낚시대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용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용 받침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새대용 받침대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프레임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받침구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선회각도수단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선회각도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탈착수단이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탈착수단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탈착수단이 본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탈착수단이 본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탈착수단을 이용하여 낚시대를 챔질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에서 낚시대를 더 챔질하여 약 90°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에서 낚시대를 더 챔질하여 약 100°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홀더를 발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에 낚시줄이 걸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걸이구에 집어등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 본 고안에 따른 설치물 상면에 고정되는 설치판고정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물 파이프에 고정되는 설치판고정수단을 발췌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물 파이프에 설치판고정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각도조절볼트가 승강되어 받침프레임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챔질 시 상방향으로 회전동작과 다음 측방향으로 선회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삿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낚시대용 받침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그 본체(100)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200)과, 본체(100) 전방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프레임(300)과, 본체(100) 중간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회각도수단(400)과, 본체(100) 후방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낚시대탈착수단(500)과, 그 낚시대탈착수단(500)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홀더(600)와, 설치판(200) 하면에 구비되어 설치물(20)에 고정되는 설치판고정수단(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낚시대(10)를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형상을 이루도록 바닥면(110) 양측에 수직으로 벽면(120)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벽면(120)에는 후술할 받침회전축(320)과 스토퍼회전축(460) 및 탈착회전축(540)이 관통 설치되도록 각각 정위치에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판(200)은 본체(100)를 좌,우방향으로 선회되도록 본체(100)를 구성하는 바닥면(110) 하부와 본체회전축(21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설치판(200)은 후술할 설치판고정수단(700)이 설치되어 설치물(20) 예컨대 선체 난간면(21) 또는 선체에 설치된 파이프(22)과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프레임(300)은 첨부된 도면 도 5 및 도 6과 같이, 안착된 낚시대(10)를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받침프레임(300)의 후방과 벽면(120)의 전방부분이 받침회전축(32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프레임(300)은 받침회전축(32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비사용시에는 받침프레임(300)을 본체(100)측으로 접어 부피를 최소화시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300)의 전단에는 낚시대(10)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형상으로 형성된 받침부(310)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받침부(310)는 낚시대(10)가 강풍 등의 외력이나 미끼를 낚아챈 물고기가 잡아당기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임의로 슬립되어 이탈하지 않는 재질이 코팅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목적의 재질로는 마찰력이 우수한 우레탄(311)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회각도수단(400)은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과 같이, 설치판(200)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본체(100)를 사용자가 좌,우방향으로 선회시킨 후, 낚시대(10)가 캐스팅된 각도에 맞춰 설치판(20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스토퍼(410)와 스토퍼스프링(420)과 가이드구멍(430)과 선회각도구멍(4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4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전방 하면에는 돌출된 고정돌기(411)가 형성되며, 후방 상면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때 편리하도록 누름손잡이(412)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스토퍼(410)의 중앙부분과 벽면(120) 중앙부분이 스토퍼회전축(45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지렛대원리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스토퍼스프링(420)은 스토퍼회전축(450)에 코일형태로 권선되어 자체탄성력을 갖춘상태에서 일단은 누름손잡이(412) 하면과 접촉되고, 타단은 바닥면(110)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누름손잡이(412)를 눌러 하강하면 스토퍼스프링(420)은 압축되는 동시에 전방 고정돌기(411)는 상승하고, 역으로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스토퍼스프링(420)의 복원되는 반발력으로 누름손잡이(412)가 상승되고, 고정돌기(411)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구멍(430)은 하강한 고정돌기(411)가 관통되는 바닥면(110)의 대응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선회가이드구멍(440)은 가이드구멍(430)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형성되되, 부채꼴형태를 이루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가 배열 관통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손잡이(412)를 눌러 고정돌기(411)가 상승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본체(100)를 회전시켜 가이드구멍(430)이 다수로 배열된 선회가이드구멍(440) 중 어느 한 선회가이드구멍(440)과 일치하면 누름손잡이(412)의 힘을 제거하여 스토퍼스프링(420)의 반발력으로 하강하는 고정돌기(411)가 가이드구멍(430) 및 선회가이드구멍(440)을 동시에 통과하여 고정되면 결과적으로 고정된 설치판(200)에서 본체(100)가 본체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선회된 후, 미끼를 캐스팅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되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상기 낚시대탈착수단(500)은 첨부된 도면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본체(100) 후방부분에 설치된 탈착회전축(540)과 탈착시켜 낚시대(10)를 본체(100)에 설치 및 해체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입질이 느껴진 낚시대(1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챔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상부회전브라켓(510)과, 하부회전브라켓(520)과, 레버스프링(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회전브라켓(510)은 하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는 측단면상 양측면이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하단에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도록 오목하게 절개된 상부축홈(511)이 형성되어, 상기 탈착회전축(540)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회전브라켓(510)의 상면에는 후술할 손잡이홀더(600)가 손잡이회전축(65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회전브라켓(520)은 상부회전브라켓(510)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고, 양측에는 상부회전브라켓(510)과 회전연결축(521)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된 "ㄴ"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착회전축(540)의 전방과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걸림부(522)가 형성되며, 후단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부회전브라켓(510)의 후단에서 벗어나도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레버(523)가 형성된다.
상기 레버스프링(530)은 탈착회전축(540)에 코일형태로 권선되어 자체탄성력을 갖추고, 일단은 상부회전브라켓(510) 내면과 접촉되며, 타단은 레버(523) 내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낚시대탈착수단(500) 설치시에는 상기 레버(523)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면 상부회전브라켓(510)에서 회전연결축(511)을 중심으로 하부회전브라켓(520)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레버스프링(530)을 압축하는 동시에 상부축홈(511)과 걸림부(522)가 상호 벌어지면서 상부축홈(511)의 하단이 개방되어 탈착회전축(540)이 진입되며, 이후 레버(523)를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회전연결축(521)을 중심으로 하부회전브라켓(520)이 회전되어 벌어졌던 걸림부(522)가 탈착회전축(540)의 전방과 하부를 받쳐 지지하고, 해체시에는 설치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이루어지며, 이렇게 상,하부회전브라켓(510)(520)을 탈착하면 상부회전브라켓(510)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홀더(600)에 고정된 낚시대(10)를 본체(100)에 설치하거나 또는 해체시키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상기 상,하부회전브라켓(510)(520)이 탈착회전축(54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낚시대(10)를 상,하방향으로 들어올려 물고기를 유인하더라도 상부축홈(511)과 걸림부(522)에 탈착회전축(540)이 걸려져 있어 임의로 해체되지 않게 되고, 입질한 물고기를 파이팅시 낚시대(10)를 본체(100)에서 해체시켜 역동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작용효과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낚시대(1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523)가 바닥면(110) 후단에 걸리는 간섭을 해소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 후단은 내측으로 절개된 레버수용홈(111)을 형성시켜 낚시대(1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523)가 레버수용홈(111)으로 진입 수용되어 낚시대(10)가 90°이상으로 회전시켜 챔질 작용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첨부된 도면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레버(523)가 회전하여 레버수용홈(111)에 수용되어 내면에 걸린 상태에서 낚시대(10)를 더 잡압당기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상부회전브라켓(510)이 레버스프링(530)을 압축되는 정도까지 탈착회전축(54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낚시대(10)는 100°~ 120°더 큰 각도로 챔질할 수 있는 작용효과도 갖는다.
상기 손잡이홀더(600)는 첨부된 도면 도 16과 같이, 상부회전브라켓(510) 상면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낚시대 손잡이(11)를 수용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하부홀더몸체(610)와 상홀더몸체(620)와 제1고정볼트(63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홀더몸체(610)는 반원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상부홀더몸체(620)와 함께 내부에 원형의 수용부가 형성되어 낚시대 손잡이(11)가 관통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홀더몸체(610)의 하면에는 손잡이회전축(650)으로 낚시대탈착수단(500)을 구성하는 상부회전브라켓(510) 상면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하부홀더몸체(610)의 타측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관통형성된 제1회전홈(61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홀더몸체(620)는 전술한 하부홀더몸체(610)와 대칭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하부홀더몸체(610)와 제1힌지(640)로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홀더몸체(620)의 타측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내부로 오목하게 관통형성된 제1걸림홈(6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볼트(630)는 외주연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선기둥과 체결되고, 상기 나선기둥은 제1회전홈(611)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홀더몸체(620)(610) 내부에 낚시대 손잡이(11)를 수용한 상태에서 나선기둥을 회전시켜 제1걸림홈(621)의 상방향에 제1고정볼트(630)를 배치한 후 조여 제1걸림홈(621)의 상면을 가압하면, 결과적으로 상,하부홀더몸체(620)(610)가 낚시대 손잡이(11)를 압착 고정시키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하부홀더몸체(610)의 일측에는 외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낚시줄(12) 또는 집어등(900)을 걸을 수 있는 걸이구(612)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612)는 첨부된 도면 도 17 및 도 18과 같이, 하부홀더몸체(610)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는 하방향으로 "∪"형상으로 유턴된 것으로서, 낚시줄(12)을 걸이구(612)에 걸은 후, 휠을 구성하는 스플(13)에 권선하면 낚시줄(12)은 예각인 ">"형상을 이루면서 사용자 손으로 낚시줄(12)을 잡아당기듯 팽팽한 상태를 이루어 스플(13)에 낚시줄(12)을 감을 때 꼬임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작용효과를 갖고, 더불어 집어등(900)을 장착하면 야간에 물고기들이 선박 또는 낚시대 주변으로 모여들게 하는 작용효과도 갖는다.
상기 설치판고정수단(700)은 설치판(200) 하면에 구성되어 설치물(20) 예컨대 선체 난간(21)에 고정하거나 또는 선체 난간에 설비된 파이프(22)에 설치판(200)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2가지 실시례를 제공한다.
먼저, 제1실시례의 설치판고정수단(700)은 첨부된 도면 도 19와 같이, 설치물(20)의 난간(21) 상면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치판(200)의 양단부에서 하방향으로 직립으로 형성되는 수직부(71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711)의 하단부에서 외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부(712)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712)에는 관통된 볼트구멍(713)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구멍(713)을 통과하여 설치물(20)에 고정되는 체결볼트(71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설치판(200)은 설치물(20) 상면에서 수직부(711)의 높이만큼 상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직립상태로 낚시하는 사용자가 크게 구부리지 않고도 본체(100)를 선회시키거나 또는 낚시대(10)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챔질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 제2실시례의 설치판고정수단(700)은 첨부된 도면 도 20 및 도 21과 같이, 설치물(20)의 파이프(22)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크게 링형상을 1/3로 분할하여 각각 고정홀더몸체(720)와 연결홀더몸체(723)와 회전홀더몸체로(725) 구성되어 관통된 내부 원형부분에 파이프(22)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몸체(720)의 상측 외주연은 설치판(200)의 하부와 용접으로 고정되고, 타단은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2회전홈(7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회전홈(7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연에 나산선이 형성된 나선기둥과 체결되는 제2고정볼트(726)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홀더몸체(723)는 고정홀더몸체(720) 일측과 제2힌지(727)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홀더몸체(725)는 연결홀더몸체(723)의 일측과 제3힌지(728)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2걸림홈(7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홀더몸체(720)와 연결홀더몸체(723) 및 회전홀더몸체(725) 내부에 파이프(22)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제2,3힌지(727)(728)를 이용하여 원형으로 오므린 후, 나선기동을 회전시켜 제2고정볼트(726)가 제2걸림홈(724) 외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조여 제2걸림홈(724)을 가압하여 파이프(22)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고, 이러한 설치물(20)은 선체낚시 또는 좌대낚시와 같이 파이프(22) 시설을 갖춘 어느 장소나 부분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나아가, 첨부된 도면 도 22와 같이, 상기 바닥면(110)의 전방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에 각도조절볼트(800)가 체결되어, 상부에 구비된 헤드와 받침프레임(300)의 하면이 접촉되면 하강이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볼트(800)를 조이거나 풀게되면 헤드의 높이가 승강하게 됨으로써, 각도조절볼트(800)의 헤드와 접촉된 받침프레임(300)은 받침회전축(320)을 중심으로 본체(100)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낚시대(10)가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는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23과 같이, 설치판(200)을 설치고정수단(700)을 이용하여 설치물(20)에 고정할 수 있고, 또한, 본체(100)와 설치판(200)을 선회각도수단(400)을 이용하여 캐스팅한 방향과 일치되도록 좌,우로 선회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설치물(20)에 우선 설치판(200)과 본체(100)를 설치하여 준비하고, 낚시대(10)는 손잡이홀더(600)와 고정시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낚시대탈착수단(500)과 준비하여 설치물(20)에 기설치된 여러 개의 본체(100) 중 선택한 본체(100)로 이동하여 낚시대(10)를 탈착할 수 있고, 아울러, 물고기의 입질을 유도하기 위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낚시대탈착수단(500)과 손잡이홀더(600)를 이용하여 낚시대(10)를 상하좌우방향으로 가변시켜 미끼가 살아움직이는 듯 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입질을 받은 상태에서는 낚시대탈착수단(500)을 이용하여 낚시대(10)를 상방향으로 크게 회전시켜 챔질할 수 있고, 이후 낚시대탈착수단(500)을 본체(100)에서 해체하여 낚시대(10)를 사용자가 들고 역동적으로 물고기를 끌어올릴 수 있는 유용한 낚시대용 받침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본체: 100 바닥면: 110
벽면: 120 레버수용홈: 111
설치판: 200 본체회전축: 210
받침프레임: 300 받침부: 310
우레탄: 311 받침회전축: 320
선회각도수단: 400 스토퍼: 410
고정돌기: 411 누름손잡이: 412
스토퍼스프링: 420 가이드구멍: 430
선회각도구멍: 440 스토퍼스프링: 450
낚시대탈착수단: 500 상부회전브라켓: 510
상부축홈: 511 하부회전브라켓: 520
회전연결축: 521 걸림부: 522
레버: 523 레버스프링: 530
탈착회전축: 540 손잡이홀더: 600
하부홀더몸체: 610 제1회전홈: 611
걸이구: 612 상부홀더몸체: 620
제1걸림홈: 621 제1고정볼트: 630
제1힌지: 640 손잡이회전축: 650
설치판고정수단: 700 수직부: 711
안착부: 712 볼트구멍: 713
체결볼트: 714 고정홀더몸체:720
제2회전홈: 721 연결홀더몸체: 723
제2걸림홈: 724 회전홀더몸체: 725
제2고정볼트: 726 제2힌지: 727
제3힌지: 728 각조조절볼트: 800
집어등: 900

Claims (10)

  1. 바닥면(110)의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벽면(120)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는 본체(100);
    상기 바닥면(110) 하부와 본체회전축(21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판(200);
    상기 벽면(120) 전방부분과 받침회전축(32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단에는 낚시대(10)를 거치되도록 "∪"형상의 받침부(310)가 형성된 받침프레임(300);
    상기 벽면(120) 중간부분과 스토퍼회전축(45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00)가 설치판(200)에서 일정각도로 선회 및 고정하는 선회각도수단(400);
    상기 벽면(120) 후방부분에 설치되는 탈착회전축(540)에 탈착되는 낚시대탈착수단(500);
    상기 낚시대탈착수단(500) 상부와 손잡이회전축(65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낚시대 손잡이(11)가 수용 고정되는 손잡이홀더(600);
    상기 설치판(200) 하면에 구비되어 설치물(20)에 본체(100)를 고정되도록 하는 설치판고정수단(7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각도수단(400)은 벽면(120) 중앙부분에 스토퍼회전축(450)과 지렛대원리로 회전가능하도록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방 하면에 고정돌기(411)가 형성되고, 후방 상면은 일측으로 절곡되어 누름손잡이(412)가 형성된 스토퍼(410)와,
    상기 스토퍼회전축(450)에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권선되고, 일단은 누름손잡이(412) 하면과 접촉되고 타단은 바닥면(110)과 접촉되는 스토퍼스프링(420)과,
    본체(100)에 형성된 바닥면(110)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411)가 통과하거나 이탈되는 가이드구멍(430)과,
    설치판(200)에서 상기 가이드구멍(430)과 대응하는 위치에 부채꼴 형태를 이루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관통되어 가이드구멍(430)을 통과한 고정돌기(411)가 어느 한 위치에 끼워져 고정되는 선회각도구멍(4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탈착수단(500)은 하면과 후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공간이 확보되고, 양측면에 각각 탈착회전축(540)이 하방향에서 삽입 고정되는 상부축홈(511)이 형성되며, 상면에 손잡이홀더(600)가 손잡이회전축(650)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회전브라켓(510)과,
    상기 상부회전브라켓(510)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양측면 후방에 회전연결축(521)으로 상부회전브라켓(510)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단은 "ㄴ"형상을 이루도록 상부로 절곡시켜 탈착회전축(540)의 전방과 하부가 걸려 받쳐지는 걸림부(522)가 형성되고, 후단은 상부회전브라켓(510)의 후면을 벗어나도록 하측으로 경사진 레버(523)가 형성된 하부회전브라켓(520)과,
    상기 탈착회전축(540)에 자체탄성력을 갖도록 권선되고, 일단은 상부회전브라켓(510) 내면과 접촉되고, 타단은 레버(523)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523)를 당기면 하부회전브라켓(520)이 회전과 동시에 압축되면서 탈착회전축(540)에 걸린 걸림부(522)가 벗어나 해체되도록 하는 레버스프링(5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본체(100)의 바닥면(110) 후면에 내측으로 절개시켜 상부회전브라켓(510)과 하부회전브라켓(520)이 탈착회전축(540)을 중심으로 회전 시 레버(523)가 후면에 걸리지 않고 절개된 내부로 수용되어 회전되도록 레버수용홈(1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홀더(600)는 반원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 고정된 손잡이회전축(650)으로 낚시대탈착수단(500)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단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1회전홈(611)이 형성된 하부홀더몸체(610)와,
    상기 하부홀더몸체(610)의 대칭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힌지(640)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어 단부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1걸림홈(621)이 형성된 상부홀더몸체(620)와,
    상기 제1회전홈(6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나선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회전 시 제1걸림홈(621)의 외면을 조여 고정하는 제1고정볼트(6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홀더몸체(610)의 일측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단부가 "∪"형상으로 유턴시켜 휠에 구비된 스플(13)에 권취되는 낚시줄(12)을 걸어 팽팽한 상태를 이루거나 또는 집어등(900)을 걸어 사용하는 걸이구(61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고정수단(700)은 설치판(200)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방향으로 직립된 수직부(711)와,
    상기 수직부(711)의 단부에서 외방향으로 돌출된 안착부(712)와,
    상기 안착부(712)에 관통 형성된 볼트구멍(713)과,
    상기 볼트구멍(713)을 통과한 후, 설치물(20)과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7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고정수단(700)은 링형상에서 1/3로 각각 분할 형성되어 설치판(200) 하면과 상측 외면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내측으로 오목하게 관통된 제2회전홈(721)이 형성된 고정홀더몸체(720)와,
    상기 고정홀더몸체(72) 일측과 제2힌지(727)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홀더몸체(723)와,
    상기 연결홀더몸체(723)의 일측과 제3힌지(728)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외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회전홈(721)과 대응하는 제2걸림홈(724)이 형성된 회전홀더몸체(725)와,
    상기 제2회전홈(7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선기둥을 따라 승강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고정홀더몸체(720)와 연결홀더몸체(723) 및 회전홀더몸체(725)를 오므려 내부로 설치물이 통과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제2걸림홈(724)을 조여 고정시키는 제2고정볼트(7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0)의 전방부분에는 내주연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멍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측 헤드와 받침프레임(300)의 하면이 접촉되어 경사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각도조절볼트(80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10)의 표면은 거치된 낚시대(10)가 임의로 미끄러져 이탈되지 않도록 우레탄(311)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용 받침장치.


KR2020200001256U 2020-04-10 2020-04-10 낚시대용 받침장치 KR200495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56U KR200495435Y1 (ko) 2020-04-10 2020-04-10 낚시대용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256U KR200495435Y1 (ko) 2020-04-10 2020-04-10 낚시대용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332U true KR20210002332U (ko) 2021-10-20
KR200495435Y1 KR200495435Y1 (ko) 2022-05-20

Family

ID=78261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256U KR200495435Y1 (ko) 2020-04-10 2020-04-10 낚시대용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35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4529A (ja) * 2004-01-21 2005-08-04 Sunny Shoji:Kk 釣竿支持装置
KR20090000289U (ko) * 2007-07-06 2009-01-09 박순하 낚시대용 받침틀
KR200447541Y1 (ko) *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1051830B1 (ko) * 2010-12-22 2011-07-25 이해도 낚시대 거치대
KR20120126282A (ko) * 2011-05-11 2012-11-21 유성옥 낚싯대 고정장치
KR101946819B1 (ko) * 2017-04-13 2019-02-12 (주)아피스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KR102060327B1 (ko) * 2018-12-06 2019-12-30 오 범 철 각도 조절이 용이한 선박용 낚시 장대 거치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4529A (ja) * 2004-01-21 2005-08-04 Sunny Shoji:Kk 釣竿支持装置
KR20090000289U (ko) * 2007-07-06 2009-01-09 박순하 낚시대용 받침틀
KR200447541Y1 (ko) * 2009-05-08 2010-02-03 차영란 선상 낚시대 받침대
KR101051830B1 (ko) * 2010-12-22 2011-07-25 이해도 낚시대 거치대
KR20120126282A (ko) * 2011-05-11 2012-11-21 유성옥 낚싯대 고정장치
KR101946819B1 (ko) * 2017-04-13 2019-02-12 (주)아피스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KR102060327B1 (ko) * 2018-12-06 2019-12-30 오 범 철 각도 조절이 용이한 선박용 낚시 장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435Y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3887B2 (en) Collapsible trap
US20100083557A1 (en) Multiple use fishing assembly
KR101415812B1 (ko) 낚싯대 이탈방지용 거치대
KR200495435Y1 (ko) 낚시대용 받침장치
US5921014A (en) Outrigger lowering apparatus
US7162826B1 (en) Fish loss prevention system
KR102160174B1 (ko) 낚싯대용 받침 어셈블리
KR100792228B1 (ko) 낚싯대용 받침대
US20220167604A1 (en) Boat fishing devices
CA2525505A1 (en) Self hooking ice fishing rig
CN108703117B (zh) 一种钓鱼竿
US20220176183A1 (en) Dual Straps Suspension Training System
KR100860492B1 (ko) 낚시용 뜰채 걸이장치
KR101357831B1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JP5475365B2 (ja) 魚釣り用捕獲器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KR102215087B1 (ko) 낚시대 받침장치
KR100959156B1 (ko) 낚싯대 받침 장치
CA3011230C (en) A practice apparatus for equine barrel racing
KR102112196B1 (ko) 낚싯대 거치장치
KR20100007973U (ko) 챔질 기능을 갖는 낚시 받침대
US20050198889A1 (en) Parachute assisted fishing device
KR100866996B1 (ko) 낚싯대용 받침대
JP4401903B2 (ja) 釣竿受具
KR101185440B1 (ko) 수심에 따라 낚시찌가 자동조절되는 낚싯줄 제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