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279U - 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279U
KR20210002279U KR2020200001170U KR20200001170U KR20210002279U KR 20210002279 U KR20210002279 U KR 20210002279U KR 2020200001170 U KR2020200001170 U KR 2020200001170U KR 20200001170 U KR20200001170 U KR 20200001170U KR 20210002279 U KR20210002279 U KR 20210002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cable tray
portions
cable
ru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450Y1 (ko
Inventor
정명학
원경희
Original Assignee
대동트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트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트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1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45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4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플레이트부의 상,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케이블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사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지지되는 렁(lung)(140);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절곡부(120, 12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절곡부(130, 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등의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 및 미관을 위하여 천정 슬래브 하부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되도록 하여 보호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된 상부개방형과, 양쪽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측판을 구비하고 측판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렁(lung)으로 이루어져 렁에 의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하부 개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 수용되는 케이블 트레이가 플레이트를 “ㄷ”자 형태로 절곡하여 구비되므로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확장성이 없으며, 무게가 무거우므로 수용되는 케이블 또한 용량에 제한이 있으므로, 소형인 경우에 적용하고 있다.
상하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에는 측판과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측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렁(lung)으로 이루어지므로, 렁(lung)의 길이변화에 따라 확장할 수 있으며, 상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수용되는 케이블 또한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형인 경우에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기기가 많아지고, 통신을 위한 케이블 또한 대형화됨에 따라 상하부개방형케이블 트레이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상하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는 측판과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측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렁(lung)으로 이루어지는데, 측판에 렁을 고정설치하여 렁에 의해 측판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기존에는 측판에 렁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측판에 렁을 용접하거나 측판에 렁을 나사로 체결하는 식으로 결합을 하였다.
한편, 측판에 렁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열을 가하여 용접하게 되므로 측판이 휘는 등 측판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며, 용접결함이 있는 경우 이들의 고정강도가 저하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트레이에 수용되는 케이블의 낙하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을 하게 되므로 용접을 위한 용접설비를 구비하여야 하며, 용접후 처리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판을 “ㄷ”자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케이블을 측판 사이에 수용하는 경우에는 케이블 이동 중 케이블이 상, 하부의 절곡부위에 닿아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2050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플레이트부의 상,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케이블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측면플레이트부에 엠보부를 형성하여 측면플레이트부와 렁 간 용접방식 아닌 끼움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측면플레이트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고정강도가 향상되며, 생산성 효율이 증가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서로 마주보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사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지지되는 렁(lung)(140);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절곡부(120, 12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절곡부(130, 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 및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직각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이 삽입되도록 엠보부(111, 111`)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제1 곡면구간(121, 121`)과, 상기 제1 곡면구간(121, 12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구간(122, 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제2 곡면구간(131, 131`)과, 상기 제2 곡면구간(131, 1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구간(132, 1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은 상기 제1 곡면구간(131, 131`) 상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측면플레이트부의 상, 하부를 외측방향으로 절곡함으로써, 케이블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면플레이트부에 엠보부를 형성하여 측면플레이트부와 렁 간 용접방식 아닌 끼움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측면플레이트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고정강도가 향상되며, 생산성 효율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정면 모습을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100)은 크게 측면플레이트(110, 110`) 및 렁(lung)(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측면플레이트(110, 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10, 11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형상의 구성요소로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그 사이에 후술할 렁(lung)(14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측면플레이트(110, 110`)의 상부에는 상부절곡부(120, 12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에는 하부절곡부(130, 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와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110, 110`) 사이로 케이블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케이블이 별도의 장애를 받지 않고 상기 렁(lung)(140) 상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내측면에는 엠보부(111, 111`)가 각각 함몰형성되고, 상기 엠보부(111, 111`)에는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이 각각 삽입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와 상기 렁(lung)(140)이 끼움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별도의 용접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와 상기 렁(lung)(140)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볼트(B)를 통한 체결을 더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와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의 다른 실시예로는 절곡부위에 곡면절곡을 더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제1 곡면구간(121, 121`)과 상기 제1 곡면구간(121, 12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구간(122, 1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제2 곡면구간(131, 131`)과 상기 제2 곡면구간(131, 1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구간(132, 132`)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2 곡면구간(131, 131`)의 구성으로 인하여 케이블 트레이(100)의 자중 및 상기 렁(lung)(140)에 지지되는 케이블의 중량에 대응하는 응력이 직각으로 절곡하였을 때 보다 크게 되어 안정적이고, 케이블 또한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은 상기 제1 곡면구간(131, 131`) 상에 각각 지지됨으로써, 상기 렁(lung)(140)이 상기 측면플레이트(110, 110`)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와 상기 렁(lung)(140)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볼트(B)를 통한 체결을 더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와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로 형성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내측면에도 엠보부(111, 111`)를 더 형성하여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보다 긴밀하고 체결성이 높은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렁(lung)(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렁(lung)(14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사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트레이
110, 110`: 측면플레이트부 111, 111`: 엠보부
120, 120`: 상부절곡부 121, 121: 제1 곡면구간
122, 122`: 제1 곡면구간
130, 130`: 하부절곡부 131, 131: 제2 곡면구간
132, 132`: 제2 곡면구간
140: 렁(Lung)

Claims (5)

  1. 서로 마주보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 사이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케이블이 지지되는 렁(lung)(140);으로 구성되되,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절곡부(120, 120`);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절곡부(130, 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 및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각각 직각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이 삽입되도록 엠보부(111, 111`)가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절곡부(120, 12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상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제1 곡면구간(121, 121`)과,
    상기 제1 곡면구간(121, 12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구간(122, 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절곡부(130, 130`)는,
    상기 측면플레이트부(110, 110`)의 하부로부터 연장형성되되, 내측방향으로 반원형상을 이루며 절곡되는 제2 곡면구간(131, 131`)과,
    상기 제2 곡면구간(131, 131`)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구간(132, 13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렁(lung)(140)의 선단 및 말단은 상기 제1 곡면구간(131, 131`) 상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100).

KR2020200001170U 2020-04-06 2020-04-06 케이블 트레이 KR200495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170U KR200495450Y1 (ko) 2020-04-06 2020-04-06 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170U KR200495450Y1 (ko) 2020-04-06 2020-04-06 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279U true KR20210002279U (ko) 2021-10-14
KR200495450Y1 KR200495450Y1 (ko) 2022-05-26

Family

ID=7807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170U KR200495450Y1 (ko) 2020-04-06 2020-04-06 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450Y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2Y1 (ko) * 2002-10-04 2003-01-14 동남정공(주) 케이블 트레이용 측판
KR200406124Y1 (ko) * 2005-11-03 2006-01-20 다모아산업주식회사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0435319Y1 (ko) * 2006-09-19 2007-01-16 (주)동명엔지니어링 배선용 트레이
KR200451493Y1 (ko) * 2010-08-06 2010-12-17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KR101242050B1 (ko) 2012-07-18 2013-03-11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트레이
KR20160000514A (ko) * 2014-06-24 2016-0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101803723B1 (ko) * 2017-04-19 2017-12-04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KR101937374B1 (ko) * 2018-02-26 2019-01-11 이종훈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20190022095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명보 무볼팅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KR20200025259A (ko) * 2018-08-29 2020-03-10 (주)와이엘산업 열경화성 smc 복합섬유 기반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2Y1 (ko) * 2002-10-04 2003-01-14 동남정공(주) 케이블 트레이용 측판
KR200406124Y1 (ko) * 2005-11-03 2006-01-20 다모아산업주식회사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200435319Y1 (ko) * 2006-09-19 2007-01-16 (주)동명엔지니어링 배선용 트레이
KR200451493Y1 (ko) * 2010-08-06 2010-12-17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KR101242050B1 (ko) 2012-07-18 2013-03-11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트레이
KR20160000514A (ko) * 2014-06-24 2016-0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101803723B1 (ko) * 2017-04-19 2017-12-04 합동전기공업(주) 케이블 트레이
KR20190022095A (ko) * 2017-08-25 2019-03-06 주식회사 명보 무볼팅 조립식 케이블트레이
KR101937374B1 (ko) * 2018-02-26 2019-01-11 이종훈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20200025259A (ko) * 2018-08-29 2020-03-10 (주)와이엘산업 열경화성 smc 복합섬유 기반 선박용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450Y1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3333B2 (en) Hanger for mounting multiple cables
US9209609B2 (en)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KR101436333B1 (ko) 내진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RU2321934C1 (ru) Аксессуар для повышения уровня и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проволочных кабель-каналов
US7903924B2 (en) Connector for splicing and hanging cable trays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6460812B1 (en) Flexible cabl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KR101291298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95450Y1 (ko) 케이블 트레이
US9362727B2 (en) Cable tray assembly
KR100816295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200127830A (ko) 무용접 방식으로 트러스를 연결하는 브라켓
CA3014819A1 (en) Splice plate assembly for cable tray
KR101908432B1 (ko) 케이블 트레이
US9190816B2 (en) Cable manager
US20180309275A1 (en) Bendable Tray Section
AU2011100502A4 (en) Adjustable Cable Ladder Element
KR101997081B1 (ko) 케이블의 다층 포설 및 고정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038688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DK2996214T3 (en) CABLE CARRIER SEGMENT CONNECTOR MADE AS ADAPT TO A CABLE CARRIER SYSTEM
KR102013547B1 (ko) 케이블트레이 연결용 내진형 커넥터장치
KR101966590B1 (ko) 절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 제작방법
KR101672765B1 (ko) 케이블 고정용 트레이
KR200451493Y1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