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142U -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142U
KR20210002142U KR2020200000934U KR20200000934U KR20210002142U KR 20210002142 U KR20210002142 U KR 20210002142U KR 2020200000934 U KR2020200000934 U KR 2020200000934U KR 20200000934 U KR20200000934 U KR 20200000934U KR 20210002142 U KR20210002142 U KR 202100021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ing
ferrite core
unit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명기
이희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2020200000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142U/ko
Publication of KR20210002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8In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온수를 가열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수를 유입시키는 입수부와, 공급수를 가열시켜 승온하도록 유동시키는 온수부와, 인덕션 히터의 워킹코일에 의해 공급수를 가열하는 히팅부와, 온수부와 히팅부 사이에 이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와, 히팅부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페라이트 코어부와, 이 페라이트 코어부의 외부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된 외통부와, 승온된 온수를 배출시키는 출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히팅부의 내부에 온수부를 설치하고 외부에 페라이트 코어부와 외통부를 설치하여 온수부에만 히팅부의 히팅을 집중함으로써, 직수를 히팅부에 의해 직접 가열하여 온수부와 히팅부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켜 소형 구조로 하고 온수부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APPARATUS FOR HEATING WATER USING INDUCTION HEATER HAVING SMALL STRUCTURE}
본 고안은 인덕션 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터에 의해 냉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온수장치는 온수탱크에 저장되는 물은 일정 온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온수탱크 내에 설치된 히터로 가열되어 있고, 온수탱크 내에 설치되어 온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물을 가열하는 히터로는 통상 시즈히터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즈히터에 의해 온수탱크 내에 저장된 물은 일정 온도로 유지되며, 사용자에 의해 고온의 물이 요구되는 경우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고온의 온수를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 가열 장치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온수탱크 내의 온수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시즈히터를 이용하므로, 전기 이용량이 큰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온수탱크의 사이즈가 커져야 하기 때문에 온수 가열 장치가 설치되는 온수기나 냉온정수기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주파를 이용한 인덕션 히팅 모듈을 이용한 온수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온수장치는 전력변환장치와 더블어 가열체와 발열체로 구성되어 있다.
가열체인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의 경우에는 워킹코일(Working Coil)과 페라이트바(Ferrite bar) 또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를 구비한 플레이너(Planar)가 사용되고 있다.
발열체로는 온수탱크인 경우에 강자성체의 재질로 이루어진 SUS 400 계열 또는 SUS 300계열의 소재로 구성이 되며, 종래의 인덕션 히팅(Induction Heating)의 경우에 발열체는 가열체와 동일한 평면 및 에어갭(Air Gap)을 갖는 구조이다.
이러한 인덕션 히팅은 온수의 가열효율을 올리기 위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덕션 히팅은 이를 사용하는 설비로 온수 보일러, 직수 정수기 등에 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전기 온수기는 가열된 물과 열교환관 내부를 순화하는 저온수의 열교환에 의해 온수를 공급하는 간접 가열식 이용하여 전기 온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열효율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부피가 커져 설치 공간이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많은 양의 온수 사용 시 일정한 온수가 흐르지 않게 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종래의 기술은 상용 전원인 220V, 60Hz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온도 조절하는 장치는 쉽지 않으며, 온수 온도 조절시 찬물과 섞어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도 조절시 계속 조절하여 온도를 맞춰 사용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물의 온도를 올리기 위하여 히팅발열체를 사용하고 열교환 방식으로 고주파 방식이 아닌 60Hz의 상용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용 주파수 60Hz를 이용할 경우 온도 조절 및 온도 제어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온수 급수로 사용할 경우 찬물과 더블어 사용해야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의 경우 온수탱크에 물을 저장하고 물탱크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흐르는 물을 물탱크의 온수와 열교환 방식으로 온수를 공급을 한다. 이에 따라 탱크의 크기로 커지고 설치공간이 제약을 받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주파 방식의 인덕션 히팅(Induction Heating)에서는 전력을 제어하기 어려우며, 물 온도 제어는 찬물과 섞어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이나, 고주파 인덕션 히팅은 출력을 제어하여 물온도를 제어하기가 쉬우나 부가적으로 열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2105호 (2016년03월09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12172호 (2018년10월12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0745호 (2019년06월18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히팅부의 내부에 온수부를 설치하고 외부에 페라이트 코어부와 외통부를 설치하여 온수부에만 히팅부의 히팅을 집중함으로써, 직수를 히팅부에 의해 직접 가열하여 온수부와 히팅부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켜 소형 구조로 하고 온수부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덕션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히팅부로 워킹코일을 사용하고 페라이트 코어부로 원통형 및 반달형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페라이트 코어에 의해 히팅을 히팅부의 내부로 유도하여 히팅부의 가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부와 히팅부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덕션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온수부로서 나선형의 온수배관과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온수배관을 나선형으로 권취하도록 배치하여 온수의 유동배관 및 유동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온수탱크를 사용하지 않고서 유로를 최소화하여 히팅부에 의한 온수부의 히팅효율을 향상시키고 온수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덕션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히팅부로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워킹코일을 구비함으로써, 히팅부의 출력에 따라 정확한 온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모든 직수 적용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하고, 온수의 출수시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을 조절하여 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덕션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통부로서 상부 외통, 하부 외통 및 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히팅부와 페라이트 코어부의 외곽 둘레에 외통을 설치하여 자기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히팅부와 페라이트 코어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설비의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인덕션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온수를 가열하는 인덕션 온수장치로서, 공급수를 유입시키는 입수부(10); 상기 입수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공급수를 가열시켜 승온하도록 유동시키는 온수부(20); 상기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 설치되어, 인덕션 히터의 워킹코일에 의해 공급수를 가열하는 히팅부(30); 상기 온수부(20)와 상기 히팅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30)를 상기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0); 상기 히팅부(30)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30)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페라이트 코어부(50);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가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된 외통부(60); 및 상기 온수부(20)의 하류에 연결되어, 승온된 온수를 배출시키는 출수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온수부(20)는, 공급수가 가열되어 승온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된 온수배관; 상기 온수배관의 상류에 연결되어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배관; 및 상기 온수배관의 하류에 연결되어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히팅부(30)는, 상기 지지부(40)의 외곽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워킹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는, 상기 히팅부(30)의 상부 둘레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상부 페라이트 코어; 상기 히팅부(30)의 하부 둘레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하부 페라이트 코어; 상기 히팅부(30)의 상측부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상측부 페라이트 코어; 및 상기 히팅부(30)의 하측부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하측부 페라이트 코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외통부(60)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의 하부 둘레를 커버링하는 하부 외통;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의 상부 둘레를 커버링하는 상부 외통; 및 상기 상부 외통과 상기 하부 외통을 서로 회전하여 개폐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히팅부의 내부에 온수부를 설치하고 외부에 페라이트 코어부와 외통부를 설치하여 온수부에만 히팅부의 히팅을 집중함으로써, 직수를 히팅부에 의해 직접 가열하여 온수부와 히팅부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켜 소형 구조로 하고 온수부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히팅부로 워킹코일을 사용하고 페라이트 코어부로 원통형 및 반달형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페라이트 코어에 의해 히팅을 히팅부의 내부로 유도하여 히팅부의 가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부와 히팅부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온수부로서 나선형의 온수배관과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온수배관을 나선형으로 권취하도록 배치하여 온수의 유동배관 및 유동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온수탱크를 사용하지 않고서 유로를 최소화하여 히팅부에 의한 온수부의 히팅효율을 향상시키고 온수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히팅부로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워킹코일을 구비함으로써, 히팅부의 출력에 따라 정확한 온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모든 직수 적용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하고, 온수의 출수시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을 조절하여 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통부로서 상부 외통, 하부 외통 및 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히팅부와 페라이트 코어부의 외곽 둘레에 외통을 설치하여 자기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히팅부와 페라이트 코어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설비의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온수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와 외통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의 상부 페라이트 코어 및 하부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의 상부 페라이트 코어 및 하부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의 측부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외통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온수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와 외통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의 상부 페라이트 코어 및 하부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의 상부 페라이트 코어 및 하부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페라이트 코어부의 측부 페라이트 코어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의 외통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는, 입수부(10), 온수부(20), 히팅부(30), 지지부(40), 페라이트 코어부(50), 외통부(60) 및 출수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온수를 가열하는 인덕션 온수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인덕션 온수장치는, 입수부(10), 온수부(20), 히팅부(30), 지지부(40), 페라이트 코어부(50), 외통부(60) 및 출수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온수를 직접 가열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이다.
입수부(10)는, 직수나 냉수로 구비된 공급수를 유입시키는 유입수단으로서, 유동에 의해 공급수를 유입시키도록 유입배관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유입배관에는 공급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도록 유입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온수부(20)는, 입수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공급수를 가열시키도록 유동시키는 온수유동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배관(21), 유입배관(22) 및 유출배관(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온수배관(21)은, 입수부(10)에서 공급된 공급수가 가열되어 승온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된 배관부재로서, 히팅부(30)와 지지부(40)의 내부공간에 나선형으로 권취 형성되어 공급수가 유동되는 배관으로 이루어져, 히팅부(30)의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온수배관(21)에서 유동되는 공급수를 가열되어 승온시키게 된다.
유입배관(22)은, 온수배관(21)의 상류에 연결되어 입수부(10)에서 공급된 공급수가 유입되는 배관부재로서, 입수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입수부(10)를 통해서 유입된 공급수를 온수배관(21)에 공급하도록 유동시키게 된다.
유출배관(23)은, 온수배관(21)의 하류에 연결되어 온수배관(21)에서 승온된 온수가 유출되는 배관부재로서, 온수배관(21)에서 유동되면서 히팅부(30)에 의해 승온된 온수를 유출배관(23)을 통해서 배출시키게 된다.
히팅부(30)는,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 설치되어, 인덕션 히터의 워킹코일에 의해 공급수를 직접 가열하는 승온수단으로서, 히팅부(30)의 전원이 AC전압 혹은 DC전압에서도 구성이 가능하며,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워킹코일(31), 제1 접속편(32) 및 제2 접속편(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워킹코일(31)은, 지지부(40)의 외곽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되어 나선형으로 배치되며, 워킹코일(31)의 전원이 AC전압 혹은 DC전압에서도 구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워킹코일(31)은, 나선형의 온수배관으로 이루어진 온수배관(21)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온수배관(21)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온수배관(21)을 유동하는 온수와의 접촉시간도 연장시켜 온수의 히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접속편(32)은 워킹코일(31)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재로서 공간캡이나 인버터에 연결되도록 접속되어 있고, 제2 접속편(33)은 워킹코일(3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부재로서 공간캡이나 인버터에 연결되도록 접속되어 있다.
지지부(40)는, 온수부(20)와 히팅부(30) 사이에 설치되어 히팅부(30)를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41), 지지홀(42) 및 지지홈(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지체(41)는,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하도록 설치된 통형상의 지지부재로서, 이러한 지지체(41)는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사출물인 통부재로 형성되어 내곽둘레에 온수부(20)가 설치되고 외곽둘레에 히팅부(30)가 밀착되어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홀(42)은, 지지체(41)의 측부 중앙부위에 관통 형성된 홀부재로서, 이러한 지지홀(42)에 온수부(20)에서 측방으로 연통된 유출배관(23)이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지지홈(43)은, 지지체(41)의 외곽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함몰 형성된 홈부재로서, 히팅부(30)의 나선형 워킹코일이 접촉되어 밀착되도록 워킹코일의 형상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되 반원형으로 함몰된 접촉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페라이트 코어부(50)는, 히팅부(30)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히팅부(30)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로서, 페라이트 등과 같은 자성체의 코어부재로 제작되며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페라이트 코어(51a), 하부 페라이트 코어(51b), 상측부 페라이트 코어(52a) 및 하측부 페라이트 코어(52b)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 페라이트 코어(51a)는, 히팅부(30)의 상부면 둘레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차단부재로서, 히팅부(30)의 워킹코일의 상부면을 커버링하도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페라이트재의 반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페라이트 코어(51b)는, 히팅부(30)의 하부면 둘레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차단부재로서, 히팅부(30)의 워킹코일의 상부면을 커버링하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페라이트재의 반원통 형상의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상측부 페라이트 코어(52a)는, 히팅부(30)의 상측부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반달형의 차단부재로서, 히팅부(30)의 워킹코일의 측면 상부를 커버링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페라이트재의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측부 페라이트 코어(52a)는 상부 페라이트 코어(51a)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 페라이트 코어(51a)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로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하측부 페라이트 코어(52b)는, 히팅부(30)의 하측부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반달형의 차단부재로서, 히팅부(30)의 워킹코일의 측면 하부를 커버링하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페라이트재의 페라이트 코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측부 페라이트 코어(52b)는 하부 페라이트 코어(51b)의 양쪽 측면에 설치되어 하부 페라이트 코어(51b)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로 구비되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외통부(60)는, 페라이트 코어부(50)가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페라이트 코어부(50)의 외부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된 통부재로서, 도 6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외통(61), 상부 외통(62) 및 연결편(6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외통(61)은, 페라이트 코어부(50)의 하부면 둘레를 커버링하는 외통부재로서, 페라이트 코어부(50)의 하부 페라이트 코어(51b)의 하부면 둘레를 커버링하도록 하방으로 만곡 형성된 반원통의 통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하부 외통(61)의 내부공간에는 페라이트 코어부(50)의 하부 페라이트 코어(51b)와 하측부 페라이트 코어(52b)가 설치되어 하부 외통(61)과 함께 회전되어 히팅부(30)의 둘레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부 외통(62)은, 페라이트 코어부(50)의 상부면 둘레를 커버링하는 외통부재로서, 페라이트 코어부(50)의 상부 페라이트 코어(51a)의 상부면 둘레를 커버링하도록 상방으로 만곡 형성된 반원통의 통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부 외통(62)의 내부공간에는 페라이트 코어부(50)의 상부 페라이트 코어(51a)와 상측부 페라이트 코어(52a)가 설치되어 상부 외통(62)과 함께 회전되어 히팅부(30) 둘레를 개폐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편(63)은, 하부 외통(61)과 상부 외통(62)을 서로 회전하여 개폐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서, 하부 외통(61)과 상부 외통(62) 사이의 접촉부위에 설치되어 서로 회전지지되어 개폐하는 힌지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출수부(70)는, 온수부(20)의 하류에 연결되어 온수부(20)에서 히팅부(30)에 의해 승온된 온수를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으로서, 온수부(20)에서 히팅부(30)의 내향 부위에 의해 승온된 온수가 배출되도록 온수부(20)의 측부 일방에 연통된 출수배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히팅부의 내부에 온수부를 설치하고 외부에 페라이트 코어부와 외통부를 설치하여 온수부에만 히팅부의 히팅을 집중함으로써, 직수를 히팅부에 의해 직접 가열하여 온수부와 히팅부의 크기와 부피를 감소시켜 소형 구조로 하고 온수부의 가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히팅부로 워킹코일을 사용하고 페라이트 코어부로 원통형 및 반달형의 페라이트 코어를 사용함으로써, 페라이트 코어에 의해 히팅을 히팅부의 내부로 유도하여 히팅부의 가열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온수부와 히팅부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하여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온수부로서 나선형의 온수배관과 유입배관 및 유출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온수배관을 나선형으로 권취하도록 배치하여 온수의 유동배관 및 유동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온수탱크를 사용하지 않고서 유로를 최소화하여 히팅부에 의한 온수부의 히팅효율을 향상시키고 온수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히팅부로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워킹코일을 구비함으로써, 히팅부의 출력에 따라 정확한 온수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여 모든 직수 적용 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하고, 온수의 출수시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을 조절하여 물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외통부로서 상부 외통, 하부 외통 및 연결편을 구비함으로써, 히팅부와 페라이트 코어부의 외곽 둘레에 외통을 설치하여 자기누설을 방지하는 동시에 히팅부와 페라이트 코어부의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설비의 조립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입수부 20: 온수부
30: 히팅부 40: 지지부
50: 페라이트 코어부 60: 외통부
70: 출수부

Claims (5)

  1. 인덕션 히터에 의해 온수를 가열하는 인덕션 온수장치로서,
    공급수를 유입시키는 입수부(10);
    상기 입수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공급수를 가열시켜 승온하도록 유동시키는 온수부(20);
    상기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 설치되어, 인덕션 히터의 워킹코일에 의해 공급수를 가열하는 히팅부(30);
    상기 온수부(20)와 상기 히팅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30)를 상기 온수부(20)의 외곽둘레에 이격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0);
    상기 히팅부(30)의 외곽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히팅부(30)의 전자파를 차단하는 페라이트 코어부(50);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가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를 커버링하도록 설치된 외통부(60); 및
    상기 온수부(20)의 하류에 연결되어, 승온된 온수를 배출시키는 출수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부(20)는,
    공급수가 가열되어 승온되도록 나선형으로 권취된 온수배관;
    상기 온수배관의 상류에 연결되어 공급수가 유입되는 유입배관; 및
    상기 온수배관의 하류에 연결되어 온수가 유출되는 유출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30)는, 상기 지지부(40)의 외곽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배치된 나선형 워킹코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는,
    상기 히팅부(30)의 상부 둘레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상부 페라이트 코어;
    상기 히팅부(30)의 하부 둘레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하부 페라이트 코어;
    상기 히팅부(30)의 상측부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상측부 페라이트 코어; 및
    상기 히팅부(30)의 하측부를 차단하도록 커버링하는 하측부 페라이트 코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60)는,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의 하부 둘레를 커버링하는 하부 외통;
    상기 페라이트 코어부(50)의 상부 둘레를 커버링하는 상부 외통; 및
    상기 상부 외통과 상기 하부 외통을 서로 회전하여 개폐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KR2020200000934U 2020-03-18 2020-03-18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KR202100021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34U KR20210002142U (ko) 2020-03-18 2020-03-18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934U KR20210002142U (ko) 2020-03-18 2020-03-18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42U true KR20210002142U (ko) 2021-09-28

Family

ID=77915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934U KR20210002142U (ko) 2020-03-18 2020-03-18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142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05B1 (ko) 2014-10-15 2016-03-09 정일두 난방 온수 겸용 인덕션 보일러
KR20180112172A (ko) 2017-03-31 2018-10-12 주식회사 지티알 저전력 순간 온수장치
KR101990745B1 (ko) 2018-09-10 2019-06-18 김미영 원터치식 순간 온수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05B1 (ko) 2014-10-15 2016-03-09 정일두 난방 온수 겸용 인덕션 보일러
KR20180112172A (ko) 2017-03-31 2018-10-12 주식회사 지티알 저전력 순간 온수장치
KR101990745B1 (ko) 2018-09-10 2019-06-18 김미영 원터치식 순간 온수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20659A9 (en)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instantaneous tankless water heaters
KR20070081242A (ko)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KR102381086B1 (ko) 냉각수 히터
KR200414996Y1 (ko) 전기 온풍기용의 유도가열 발열체와 이를 이용한 온풍기
KR20210002142U (ko) 소형 구조의 인덕션 온수장치
CN100460774C (zh) 流体加热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洗涤装置
US8687951B2 (en) Halogen water heater
CN201628366U (zh) 一种内置循环泵燃气热水器
CN211115023U (zh) 一种电磁感应加热的恒温移动泳池
KR20210002141U (ko) 페라이트 코어가 없는 인덕션 온수장치
JP2003106662A (ja) ヒーティングフォーセット
KR102169526B1 (ko) 권텀스팀 기능성 보일러
RU117587U1 (ru) Индукцион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жидкой среды
CN201569330U (zh) 一种节能螺旋式加热水管
KR20180036168A (ko) 자기유도열을 이용한 유체 보일러
CN2656876Y (zh) 一种电磁热水器
CN208417624U (zh) 一种语音控温出水的水龙头
ATE391271T1 (de) Elektrischer durchlauferhitzer
CN106455179A (zh) 一种电磁线圈绕组及具有其的热水器、液体加热装置
KR200225353Y1 (ko) 전기히터를이용한온수용매트
JP4002195B2 (ja) 流体加熱用ヒータ
CN201062876Y (zh) 电热水器
CN211738206U (zh) 即热式水龙头
US20230184459A1 (en) Water heater and a method of heating water utilizing microwave energy
CN107702331A (zh) 智能燃气热水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