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863U - 잡초 제거기 - Google Patents

잡초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863U
KR20210001863U KR2020200000469U KR20200000469U KR20210001863U KR 20210001863 U KR20210001863 U KR 20210001863U KR 2020200000469 U KR2020200000469 U KR 2020200000469U KR 20200000469 U KR20200000469 U KR 20200000469U KR 20210001863 U KR20210001863 U KR 202100018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
remover
connecting rod
head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구
Original Assignee
이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구 filed Critical 이병구
Priority to KR2020200000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863U/ko
Publication of KR202100018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8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06Hoes; Hand cultivators
    • A01B1/10Hoes; Hand cultivators with two or mor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 A01B1/16Tools for uprooting wee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이 건 고안은 잡초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고안은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여 제거되도록 구비된 잡초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잡초 제거기는 손잡이를 갖는 다각 연결대의 단부에 숫나사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다각 연결대의 단부가 잡초 절단 블레이드를 갖는 제거기 헤드에 끼워져 너트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거기 헤드는 관통 결합부가 구비된 제거 헤드 몸체의 하부에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고안은 잡초 뿌리 주변 흙을 파서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잡초 뿌리를 직접 절단시킨 상태에서 뽑혀지도록 하여 잡초 제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잡초 제거기{WEED REMOVER}
이 건 고안은 잡초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잡초 뿌리 주변의 흙을 파서 잡초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잡초 뿌리를 직접 절단시킨 상태에서 뽑혀지도록 하여 잡초 제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미는 밭에 농작물을 파종하거나, 감자와 같은 농작물을 캐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끝은 뾰족하고, 위로 가며 점차 넓어지는 형상의 날부와, 날부 일단에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비된 손잡이로 구비되어 농작물 주변에서 자라는 잡초를 제거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다.
호미는 뾰족한 선단에서 점차 넓어지는 면을 갖도록 구비되어 잡초를 제거하기 위해 호미질을 할 경우, 뾰족한 부분을 이용하여 잡초를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잡초 뿌리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잡초 뿌리채 걷어 내는 것으로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점차 넓어지는 호미의 특성상 옆에 있는 농장물의 뿌리를 같이 훼손하게 되어 농작물이 자랄 수 없는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0394호(2019.09.30)의 잡초 제거기가 제안 되었고, 제안된 잡초 제거기는 농작물 주변에 자라는 잡초가 성장하지 않도록 잡초 뿌리를 절단할 시 농작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 세밀한 절단 작업이 가능하고, 절단된 잡초의 뿌리 또는 줄기를 걸어 당김으로써, 잡초 제거작업을 작은 힘으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폭이 좁음에 따라 잡초 뿌리를 절단하기 위해서는 잡초 뿌리의 외측으로 위치된 땅을 수회에 걸쳐 찔러 넣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잡초 뿌리를 당기는 과정에서 중간 부분이 끊어지게 됨에 따라 이 역시 수회에 걸쳐 동일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작업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 과정에서 잡초제거 칼날부가 변형, 파손되었을 경우,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부분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없음에 따라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10394호(2019.09.30)
이 건 고안은 잡초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과정에서 부분적인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었을 경우,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에 의하여 계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작업 이후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고안은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여 제거되도록 구비된 잡초 제거기(A)에 있어서, 상기 잡초 제거기(A)는 손잡이(10)를 갖는 다각 연결대(20)의 단부에 숫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다각 연결대(20)의 단부가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를 갖는 제거기 헤드(30)에 끼워져 너트(N)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관통 결합부(302)가 구비된 제거 헤드 몸체(301)의 하부에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거기 헤드(30)의 관통 결합부(302)는 손잡이(10)의 다각 연결대(20)가 끼워지도록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각 연결대 삽입홈(302-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다각 연결대 삽입홈(302-1) 내부에 원통형태를 갖는 숫나사 관통홀(30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 결합부(302)의 숫나사 관통홀(302-2)은 숫나사부(210)가 관통되어 노출되는 부분에 너트 안착홈(302-3)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너트 안착홈(302-3)은 너트(N) 두께의 1/2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의 상부가 매립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금속,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사출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레이드 몸체(311)의 하부에 전방 하측을 항하여 경사진 블레이드 나이프편(312)이 일체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블레이드 나이프편(312)은 전방의 경사면부와 하부의 경사면부에 칼날편(31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고안은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에 의하여 잡초의 뿌리 주변이 1회에 걸쳐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잡초 제거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잡초 제거 과정에서 잡초 절단 블레이드가 변형, 파손될 경우, 남아있는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에 의하여 계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잡초제거 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잡초 절단 블레이드를 갖는 제거기 헤드가 손잡이를 갖는 다각 연결대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너트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작업 이후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4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5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 건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건 고안에 따른 잡초 제거기(A)는 잡초의 뿌리 주변이 1회에 걸쳐 절단되도록 하는 가운데 부분적인 변형, 파손될 경우에도 계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작업 이후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0), 다각 연결대(20) 및 제거기 헤드(30)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손잡이(10)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정 직경을 갖는 원기둥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손잡이(10)는 목재, 합성수지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 별도의 돌기를 형성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각 연결대(20)는 손잡이(10)의 중심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 길이를 갖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잡은 상태에서 제거기 헤드(30)가 잡초 사이를 헤집고 용이하게 땅속을 파고 들어 가도록 하는 가운데 잡초를 잡아 당겨 뽑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잡초 제거 작업 과정에서 제거기 헤드(30)에 유동이 발생되어 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다각 연결대(20)는 금속으로 구비된 것으로, 단부에 소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숫나사부(21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거기 헤드(30)가 관통된 상태로 끼우져 너트(N)에 의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중앙에 관통 결합부(302)가 구비된 제거 헤드 몸체(301)의 하부에 하부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구비되어 1회에 걸쳐 잡초의 많은 뿌리가 절단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관통 결합부(302)는 손잡이(10)의 다각 연결대(20)가 끼워지도록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각 연결대 삽입홈(302-1)이 구비되어 다각 연결대(20)가 일정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작업 과정에서 다각 연결대(20)를 중심으로 제거기 헤드(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각 연결대 삽입홈(302-1) 내부에는 원통형태를 갖는 숫나사 관통홀(302-2)이 형성되어 다각 연결대(30)에 구비된 숫나사부(210)가 관통된 형태로 끼워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숫나사 관통홀(302-2)은 숫나사부(210)가 관통되어 노출되는 부분인 전방에 형성된 다각연결대 삽입홈(302-1)과 대응되는 너트 안착홈(302-3)이 후방에 구비되어 숫나사부(210)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N)의 일부(내측)가 소정 깊이로 안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너트 안착홈(302-3)은 너트(N) 두께의 1/2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너트(N)가 너트 안착홈(302-3)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잡초 뿌리를 제거 과정에서 외부와 접촉으로 인하여 너트(N)가 회전됨에 따라 헐거워지거나, 이로 인해 제거기 헤드(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너트(N)가 너트 안착홈(30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 길이로 노출되어 있는 것은 너트(N)를 랜치 등을 이용하여 조이게 될 경우, 너트(N)가 너트 안착홈(302-3)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는 조일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의 상부가 매립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각각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항상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이때,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사출성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인서트 된 것으로, 사출성형은 금속,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는 잡초의 주변으로 위치된 땅을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파고 들아가도록 하는 과정에서 잡초의 뿌리가 절단되도록 한 것으로, 잡아 당길때 역시 나머지 뿌리가 절단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레이드 몸체(311)의 하부에 전방 하측을 항하여 경사진 블레이드 나이프편(312)이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잡고 땅을 향하여 제거기 헤드(30)를 내리치거나, 제거기 헤드(30)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의 하단이 땅에 얹혀진 상태에서 누르면서 잡아 당김과 동시에 기울기에 의하여 땅속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잡초 뿌리가 절단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블레이드 나이프편(312)은 전방의 경사면부와 하부의 경사면부에 칼날편(313)이 구비되어 있다.
이 건 고안에서는 블레이드 몸체(311)는 단순한 형태를 갖고 있는 상태에서 제거 헤드 몸체(301)가 사출 성형됨에 따라 그 내부에 매립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2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몸체(311)의 수직인 부분으로 위치된 전,후방에 각각 요철(311-1)이 구비되어지도록 하거나, 블레이드 몸체(311)에 소정 공간을 갖는 매립공간부(311-2)가 구비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출 성형되는 과정에서 사출재의 일부가 요철(311-1)이나 매립공간부(311-2)에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그 만큼의 지지력 내지는 매립력을 높여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그 만큼의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건 고안에서는 제거기 헤드(30)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사출성형되어지는 제거 헤드 몸체(301)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일체로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분리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 몸체에 나사가 관통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하고, 잡초 절단 블레이드 사이에 관통홀을 가지며, 소정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가 교대로 반복되게 나사에 끼워지도록 하고, 이어 나사의 양단에 너트를 조여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 몸체만을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나사의 양측으로 결합된 너트를 풀은 상태에서 파손이나 변형된 부분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 몸체만을 새것으로 교체시킨 후 다시 너트를 조이는 것으로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손잡이 20:다각 연결대
30:제거기 헤드 210:숫나사부
301:제거 헤드 몸체 302-1:다각 연결대 삽입홈
302-2:숫나사 관통홀 310:잡초 절단 블레이드
311:블레이드 몸체 312:블레이드 나이프편
313:칼날편 302:관통 결합부

Claims (5)

  1. 잡초의 뿌리를 절단하여 제거되도록 구비된 잡초 제거기(A)에 있어서,
    상기 잡초 제거기(A)는 손잡이(10)를 갖는 다각 연결대(20)의 단부에 숫나사부(2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다각 연결대(20)의 단부가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를 갖는 제거기 헤드(30)에 끼워져 너트(N)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관통 결합부(302)가 구비된 제거 헤드 몸체(301)의 하부에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가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도록 하부로 돌출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 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 헤드(30)의 관통 결합부(302)는 손잡이(10)의 다각 연결대(20)가 끼워지도록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각 연결대 삽입홈(302-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다각 연결대 삽입홈(302-1) 내부에 원통형태를 갖는 숫나사 관통홀(30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 제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결합부(302)의 숫나사 관통홀(302-2)은 숫나사부(210)가 관통되어 노출되는 부분에 너트 안착홈(302-3)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너트 안착홈(302-3)은 너트(N) 두께의 1/2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 제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기 헤드(30)는 다수개의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의 상부가 매립되어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금속, 알루미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사출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 제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잡초 절단 블레이드(310)는 수직형태를 갖는 블레이드 몸체(311)의 하부에 전방 하측을 항하여 경사진 블레이드 나이프편(312)이 일체로 구비되어지되, 상기 블레이드 나이프편(312)은 전방의 경사면부와 하부의 경사면부에 칼날편(31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잡초 제거기.
KR2020200000469U 2020-02-10 2020-02-10 잡초 제거기 KR202100018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69U KR20210001863U (ko) 2020-02-10 2020-02-10 잡초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469U KR20210001863U (ko) 2020-02-10 2020-02-10 잡초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863U true KR20210001863U (ko) 2021-08-19

Family

ID=7749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469U KR20210001863U (ko) 2020-02-10 2020-02-10 잡초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863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94A (ko) 2018-03-20 2019-09-30 최동국 잡초제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0394A (ko) 2018-03-20 2019-09-30 최동국 잡초제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254B2 (en) Soil manipulating tool
US1065456A (en) Weed-extracting tool.
US2716538A (en) Soil loosening implement
US6213527B1 (en) Weed-tree remover
WO2007001508A2 (en) Garden tool
US5628370A (en) Lawn and garden tool
KR20210001863U (ko) 잡초 제거기
US2753632A (en) Hand tool for cutting crabgrass and the like
US20090260283A1 (en) Fertilizer spike injection tool
US6330921B1 (en) Lawn aerating and weeding tools
US20120217030A1 (en) Double Headed Hand-Powered Cultivator
US2006672A (en) Garden tool
US10143121B2 (en) Garden tool
US20180184568A1 (en) Gardening Tool
KR200387579Y1 (ko) 다기능성 호미
US1954854A (en) Garden tool
US20140083726A1 (en) Drill Driven Weed Removal Tool
JP3219949U (ja) コテ付き草取り具
US6758459B1 (en) Weed puller
JP4452759B1 (ja) 農具および刃
JP3171581U (ja) 除草用具
US20030159841A1 (en) Weed extraction home gardening tool
US634393A (en) Hoe.
KR200272871Y1 (ko) 칼날을 갖는 호미
US2712782A (en) Garden hoe culti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