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663U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63U
KR20210001663U KR2020200000127U KR20200000127U KR20210001663U KR 20210001663 U KR20210001663 U KR 20210001663U KR 2020200000127 U KR2020200000127 U KR 2020200000127U KR 20200000127 U KR20200000127 U KR 20200000127U KR 20210001663 U KR20210001663 U KR 20210001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ontents
container
movement path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강윤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선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선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2020200000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663U/ko
Publication of KR20210001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6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3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둘레를 따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단차와 맞물리는 돌출림을 구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고안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와 노즐의 구조가 개선될 수 있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는, 배출수단으로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펌프는 압력의 조절을 통해 내용물을 흡입하였다가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펌프는, 용기에서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린더 내에서 승강하는 피스톤을 통해 음압 또는 양압을 발생시켜서 내용물의 흡입 및 배출을 구현한다.
또한 용기의 바닥으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실린더에는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흡입관이 마련될 수 있으며, 흡입관을 둠에 따라 용기에는 내용물의 잔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근래에는 세정제 등에 대한 사용성의 편리를 위해, 사용자가 세정제를 직접 비벼 거품을 형성하지 않고 펌핑 작동으로 배출 시 거품이 형성되는 구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사용의 편의성 등을 위한 구조 개선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부와 노즐의 구조가 개선될 수 있고, 내용물이 배출 시 내용물의 형상이 심미감을 부여하는 형태로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둘레를 따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단차와 맞물리는 돌출림을 구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상기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링부재가 끼움되도록 상기 돌출림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복수의 토출구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중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물방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상에서 4개 내지 6개의 홀이 동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에 복수의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두께가 증가되어 내용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통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노즐이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부 아래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재; 및 상기 노즐을 지지하도록 상기 누름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노즐과 대향되게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부재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이 맞닿는 내주면이 상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헤드부와 노즐의 구조가 개선되고, 더불어 내용물이 배출 시 내용물의 형상이 심미감을 부여하는 형태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등의 사용자에게 손 씻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가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보기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로부터 토출된 거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가 절단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헤드부와 노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다른 보기 방향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로부터 토출된 거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는, 용기부(110), 헤드부(120), 노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10)는,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 배출을 위해 상단이 개구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상단에는 내용물 배출과 더불어 상단을 폐쇄하도록 펌프부(11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부(110)의 형상이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내용물은 세제, 샴프, 치약, 화장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종류 또한 한정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기부(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펌프부(111)는, 펌핑 작동에 의하여 용기부(110)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를 위해 펌프부(111)는 캡(111A), 샤프트(부호 도시하지 않음),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피스톤(도시하지 않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캡(111A)은, 용기부(110)의 개방된 상단이 출구인 주둥이를 형성할 경우, 주둥이에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실린더 등의 결합을 위해 중앙이 관통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샤프트는 헤드부(120)의 하부에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샤프트의 하단에는 피스톤이 결합될 수 있어, 헤드부(120), 샤프트, 피스톤이 상하 방향으로 순서대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는, 캡(111A)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고, 용기부(110)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린더의 하측은 흡입관(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린더 내에 피스톤이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샤프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부(111)는, 볼, 스프링 등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 내용물이 토출 시 거품이 형성되도록 메쉬망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외에 다양한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작동 관계 및 거품 형성은 공지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헤드부(120)는, 펌프부(111)의 샤프트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헤드부(120)는 샤프트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20)는, 펌프부(111)의 작동을 위해 용기부(110)에서 펌프부(111)의 샤프트와 일체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부(110) 내의 내용물이 흡입관을 통해 흡상되면, 헤드부(12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내용물의 이동경로(122A)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헤드부(120)는, 판 구조로 이루어지는 노즐(130)의 결합 및 내용물 배출이 개선되도록, 결합부재(121), 통로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헤드부(120)의 결합부재(121)는, 노즐(13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의해 가압이 이루어져 하강이 수행될 수 있고, 누름부재(121A)와 바닥판(121B)을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121A)는, 사용자의 손이 직접 접촉되어 가압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누름부재(121A)에 맞닿은 손바닥/손가락의 접촉 시 누름부재(121A)의 가압면인 상단에 의한 압박으로 인한 불쾌감이 감소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누름부재(121A)는, 원 기둥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때 원 기둥의 상단은 상부로 무게 중심이 치우치지 않도록 하면서 비용이 증가되지 않도록, 1 ~ 2mm 내외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상단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가압면이 좁아 사용자의 손에 압박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누름부재(121A)의 상단이 확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로서, 링(도넛)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누름부재(121A)는, 노즐(130)이 설치되는 내주면과 외부로 노출되는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어,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내주면과 외주면이 각각 연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누름부재(121A)는, 상단이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면서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마련되어 단순히 원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에 대비하여 가압면이 확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바닥에 맞닿는 가압면이 확장되어 가압력이 분산될 수 있어 사용자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누름부재(121A)의 상단은 평평한 면을 이룰 수도 있으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루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또한, 누름부재(121A)는, 노즐(130)이 누름부재(121A)의 상단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이격되어 중심부 또는 중심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치우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결합부재(121)의 내주면이 상부에서 노즐(130)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질 수 있어 노즐(130)로부터 상부를 향해 공간이 점차 확장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어 내용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결합부재(121)는, 노즐(130)이 착탈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때 노즐(130)의 결합을 위해 돌출림(121AA)을 포함할 수 있으며, 끼움홀(121AB)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림(121AA)은, 결합부재(121)의 내주면에서 돌출형성되어 노즐(130)의 단차(131A)와 맞물릴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닥판(121B)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노즐(130)의 상단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단차(131A)를 따라 폐곡선 구조를 이룰 수 있어, 결합부재(121)가 통 구조의 링(도넛) 형태를 이루는 경우 결합부재(121) 내주면의 둘레 형상에 대응되어 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림(121AA)은, 노즐(130)의 단차(131A)와 맞물리게 이루어져 헤드부(120)로부터 노즐(130)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때 끼움홀(121AB)은 단차(131A)를 형성하는 링부재(131)가 끼움되도록 돌출림(121AA)의 일측면(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어, 돌출림(121AA)의 일측면이 끼움홀(121AB)의 상부 둘레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결합부재(121)에서 끼움홀(121AB)의 하부는, 돌출림(121AA)의 상부에서 결합부재(121)가 하향 경사지는 구조를 이루는 것과 달리, 노즐(130)이 맞닿는 결합부재(121)의 영역은 상하의 폭이 동일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노즐(13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돌출림(121AA)의 림(rim)구조와 끼움홀(121AB)의 오목한 구조는 노즐(130)의 링부재(131)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외에 노즐(13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결합부재(121)가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통 구조의 상단은 폐곡선 구조를 이루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절단 또는 홈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결합부재(121)의 바닥판(121B)은, 통로부재(122)로부터 이동된 내용물이 토출되어 머금어질 수 있으며, 노즐(130)이 결합되는 경우 노즐(130)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판(121B)은, 중심부가 관통되는 누름부재(121A)의 중심을 가로질러 노즐(130)과 대향되게 마련될 수 있고, 누름부재(121A)에서 중심보다 아래 마련될 수 있어 하부 방향으로 치우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121)는, 바닥판(121B)의 상부에 누름부재(121A)로 둘러진 공간이 형성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어, 내용물이 토출된 후 결합부재(121) 상에 내용물이 머금어질 수 있고,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누름부재(121A)를 가압하더라도 손바닥과의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어 배출된 내용물의 형태가 결합부재(121) 내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바닥판(121B)과 누름부재(121A)는 일체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판(121B)은, 통로부재(122)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직접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내용물의 토출을 위해 바닥판(121B)의 중심부가 관통되고 이러한 관통 구조가 통로부재(122)의 이동경로(122A)와 연통될 수 있으므로, 바닥판(121B)이 직접 노출되는 경우 이동경로(122A)가 외부로 직접 노출되어 이물질, 물 튐으로 인한 이동경로(122A)의 오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면서도, 내용물의 토출 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바닥판(121B)의 상부에 노즐(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닥판(121B)은, 노즐(130)을 통해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평평한 판의 구조로 이루어져 노즐(13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중심이 관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통로부재(122)의 이동경로(122A)와 연통될 수 있고, 이때 관통된 중심의 직경은 이동경로(122A)의 내경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동경로(122A)의 내경보다 크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헤드부(120)의 통로부재(122)는, 펌프부(111)의 샤프트와 연통되면서 내용물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이동경로(122A)가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의 배출을 위해 노즐(130)과 연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로부재(1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 구조를 이루어 샤프트와 결합할 수 있으며, 헤드부(120)가 사용자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리면 통로부재(122)와 결합된 샤프트가 작동되어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헤드부(120)의 하강에 의해 내용물은 최종적으로 노즐(130)의 토출구(130A)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결합은, 헤드부(120)와 샤프트가 일체로 승강할 수 있도록 통로부재(122)와 샤프트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일정 영역이 서로 겹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통로부재(122)의 내부에 샤프트의 일부가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는 경우, 통로부재(122)의 내경과 샤프트의 외경이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로부재(122)의 내주면과 샤프트의 외주면이 링돌기(도시하지 않음)와 링홈(부호 도시하지 않음)의 구조로 맞물려 강제로 끼워지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불어 통로부재(122)와 샤프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외부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통로부재(122)와 샤프트의 외면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통로부재(122)와 샤프트는 외부에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통로부재(122)의 외측에는 2겹의 관(123)이 더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관(123)은, 통로부재(122)의 외면에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묻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으며, 결합부재(121)의 하부를 보강할 수도 있다.
노즐(130)은, 헤드부(120)의 통로부재(122)를 경로한 내용물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토출구(130A)가 형성될 수 있고, 내용물이 배출된 후 머무를 수 있는 받침 기능을 이루도록 상단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노즐(130)은,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하면은 내용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좌우 둘레면에는 링부재(131)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130)은, 토출구(130A)가 상하로 관통되게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어, 헤드부(120)의 이동경로(122A)와 연통된 토출구(130A)를 통해 내용물 토출할 수 있는데, 펌핑 과정에서 거품으로 형성되는 내용물이 꽃잎, 캐릭터 등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토출구(130A)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노즐 상에서 4개 내지 6개의 홀이 동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토출구(130A)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중심점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마련되면서 중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물방울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이 노즐(130)의 상면으로 토출되면, 기포로 인해 내용물의 부피가 확장되면서 거품을 발생시킬 경우, 복수의 토출구(130A)의 형상을 따라 상부로 토출된 내용물이 확장되면서 서로 이격된 공간을 채우게 되어 입체적인 꽃잎 형태를 이룰 수 있다(도 5 참조).
이와 달리, 토출구(130A)가 복수 개의 원, 또는 원과 타원형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토출구(130A)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이 곰, 토끼 등의 형상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그리고 노즐(130)의 토출구(130A)를 통해 내용물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노즐(130)의 하면은 복수의 토출구(130A) 주변에서 두께가 증가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통로부재(122)의 상부에 대향하는 노즐(130)의 중심으로부터 토출구(130A)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내용물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토출구(130A) 양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재(132)가 노즐(1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32)는, 토출구(130A)의 하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헤드부(120)의 결합부재(121)와 맞닿게 마련됨으로써, 통로부재(122)를 통해 배출된 내용물이 토출구(130A)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32)는, 서로 이웃한 토출구(130A)와의 사이에 공간이 분리되도록, 즉 내용물이 노즐(130)의 하면 전체에서 퍼지지 않고 토출구(130A)를 향해 이동되도록, 헤드부(120)의 결합부재(121)의 상면에 맞닿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30)의 가이드부재(132)는, 예를 들어 두께가 3T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노즐(130)의 하면은 중심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홈 구조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노즐(130)의 링부재(131)는, 노즐(130)의 좌우 둘레면에서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부 둘레면을 따라 단차(131A)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30)은, 링부재(131)가 결합부재(121)의 끼움홀(121AB)에 끼움되어 결합 시, 링부재(131)가 돌출림(121AA)의 하면에 맞닿게 되고, 노즐(130)의 상면은 돌출림(121AA)의 상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이루어 돌출림(121AA)과 노즐(130)의 외면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헤드부(120)와 노즐(130)의 구조가 개선되고, 더불어 내용물이 배출 시 내용물의 형상이 심미감을 부여하는 형태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흥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등의 사용자에게 손 씻는 습관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내용물 용기 110: 용기부
111: 펌프부 111A: 캡
120: 헤드부 122A: 이동경로
121: 결합부재 121A: 누름부재
121AA: 돌출림 121AB: 끼움홀
121B: 바닥판 122: 통로부재
130: 노즐 130A: 토출구
131: 링부재 131A: 단차
132: 가이드부재

Claims (9)

  1. 내용물의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기 이동경로와 연통되어 내용물을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가 상하로 관통되게 마련되는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둘레를 따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는,
    내주면에 상기 단차와 맞물리는 돌출림을 구비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노즐의 둘레면을 따라 돌출되는 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링부재가 끼움되도록 상기 돌출림의 일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복수의 토출구가 방사형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며, 수평 방향에 대하여 관통되는 폭이 변화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중심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는 물방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상에서 4개 내지 6개의 홀이 동일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면이 평평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하면에 복수의 상기 토출구 주변에서 두께가 증가되어 내용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노즐과 연통되며 상기 이동경로가 형성되는 통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노즐이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중심부 아래 마련되고, 중공이 형성되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는 누름부재; 및
    상기 노즐을 지지하도록 상기 누름부재를 가로질러 상기 노즐과 대향되게 마련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이 맞닿는 내주면이 상부에서 상기 노즐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KR2020200000127U 2020-01-09 2020-01-09 내용물 용기 KR20210001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27U KR20210001663U (ko) 2020-01-09 2020-01-09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27U KR20210001663U (ko) 2020-01-09 2020-01-09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63U true KR20210001663U (ko) 2021-07-19

Family

ID=7712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27U KR20210001663U (ko) 2020-01-09 2020-01-09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6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0322B2 (ja) 回転吐出式化粧品容器
KR200475351Y1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20090059320A (ko) 화장품용기
KR200453458Y1 (ko) 이중 펌프구조를 가진 디스펜서
JP2014091062A (ja) 噴出ヘッド及び、それを備える容器
KR200338799Y1 (ko) 리퀴드 타입의 화장품 도포용기
KR20210001663U (ko) 내용물 용기
KR200442431Y1 (ko) 분사식 화장품용기
KR200428943Y1 (ko) 디스펜서
KR102597316B1 (ko) 폼 펌프 용기
KR20140005612U (ko) 다양한 문양으로 화장품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는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JP4877913B2 (ja) 噴射装置、および噴射器
KR102403988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1770553B1 (ko) 듀얼 펌프가 구비된 디스펜서 용기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KR101923389B1 (ko) 유체 디스펜서
JP5229812B2 (ja) マッサージ機能付スパウト
KR20130089227A (ko) 펌프디스펜서의 푸시헤드유닛
JP6983081B2 (ja) ポンプ容器
KR102643135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KR102383616B1 (ko) 액체 분사를 위한 용기
JP6267998B2 (ja) 泡吐出器
JPS6238766Y2 (ko)
CN214085703U (zh) 一种单手按压的液体分配器
KR102573274B1 (ko) 튜브리스 토출 용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