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361A -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 Google Patents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361A
KR20210001361A KR1020190077355A KR20190077355A KR20210001361A KR 20210001361 A KR20210001361 A KR 20210001361A KR 1020190077355 A KR1020190077355 A KR 1020190077355A KR 20190077355 A KR20190077355 A KR 20190077355A KR 20210001361 A KR20210001361 A KR 2021000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water
soluble
solution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영
김세진
장시펑
Original Assignee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원에코사이언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361A/ko
Publication of KR2021000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3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에 관한 것으로서, 포도당 용액 또는 자당이 혼합된 포도당 용액으로 이루어진 주성분 용액; 수목의 종류와 수목의 건강상태 및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상기 주성분 용액에 질소 전량, 수용성인산, 수용성 가리 중에서 2종 이상 희석 혼합되는 무기질 비료;로 구성되며 수용성 고토, 수용성 망간, 수용성 붕소, 수용성 철, 수용성 아연, 수용성 구리, 수용성 몰리브덴, 수용성 칼슘 중에서 2종 이상 혼합되는 미량요소 비료 및 클로렐라 여액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자당 0 내지 13%(w/w)와 포도당 1 내지 13%(w/w)로 된 1000ml의 주성분 용액에 무기질 비료로서 질소 전량으로 0.001 내지 6%(w/w), 수용성 인산 0.002 내지 12%(w/w), 수용성 가리 0.001 내지 6%(w/w)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제1용액과; 미량요소 비료로 수용성 고토 0.01 내지 0.5%(w/w), 수용성 망간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붕소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철 0.01 내지 0.5%(w/w), 수용성 아연 0.001 내지 0.05%(w/w), 수용성 구리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몰리브덴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칼슘 0.001 내지 0.05%(w/w)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제2용액; 및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에 클로렐라 여액 0.01 내지 80%(w/w)를 혼합한 제3용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Tree nutrient composition and tree nutrient for tree tree injec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성분인 자당ㆍ포도당에 무기질 비료가 믹싱된 혼합용액에 미량요소 비료와 클로렐라 배양 여액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함유하여 기존의 포도당 수액에 비료성분을 추가한 것보다 수목의 생장촉진 및 수목의 이식, 고온, 가뭄 등의 환경 스트레스로 인한 생육장애 문제 해결에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는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비료가 개발되기 전 농업은 양분 부족으로 농작물의 대량생산에 어려움을 겪었으나 18~19세기 화학비료 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은 폭발적인 농산물 생산량 증가를 이루었고 이는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기존의 관행적인 비료 사용 방법은 토양에 직접 뿌리거나 관주, 경운 작업을 통해 공급하거나 또는 엽면 시비를 통해 공급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식물체는 공급된 화학비료를 즉각 전량 흡수하지 못하고 토양의 산성화 등처럼 경우에 따라서는 토양에 흡착되어 식물체가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은 식물체가 필요로 하는 양보다 많은 양의 화학비료를 사용해왔으며 이러한 화학비료의 과다 사용은 토양의 산성화와 염류 집적, 수중 생태계로의 유출로 인한 부영양화 및 이로 인한 적조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문제는 수목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반복되고 있으며, 특히 보도블럭과 보호판으로 덮인 가로수에 뿌려진 입상의 비료들은 더욱 쉽게 유출된다.
한편, 가로수나 공원에 식재되는 수목들은 인공적으로 조성된 토양에 뿌리가 절단된 상태로 식재되어 양분의 흡수가 부실하여 길게는 수년에 걸쳐 생육부진 현상이 나타나고 심지어는 1~2년 사이에 고사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농업용 비료를 공급하기도 하나 뿌리가 절단된 상태에서 효율적인 흡수가 불가능하며, 가로수 및 공원의 특성상 교통통제 및 보행자 등의 통제가 필요해 토양 또는 엽면 살포를 통한 양분 공급도 어렵다.
이런 비료 공급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의료용 포도당 수액에 비료성분을 넣어 수간주사 방식으로 공급하는 경우도 있으나 적당량의 비료를 투여하지 못할 경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거나 오히려 비료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수목의 고사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의료용 포도당은 엄연한 전문의약품으로서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 및 사용하는 것은 현행법에 저촉된다.
한편, 모든 식물체는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햇빛 에너지를 이용해 광합성이라 불리는 과정을 통해 포도당과 산소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포도당은 호흡과정을 통해 생명 유지를 위한 에너지를 얻게 되거나 전분으로 전환되어 뿌리 등에 저장되거나, 혹은 포도당 6-인산이나 과당 6-인산을 거쳐 자당으로 전환되어 수액의 형태로 줄기와 가지의 정단분열조직으로 또는 내수피를 통해 뿌리의 정단분열조직이나 줄기, 가지, 뿌리의 형성층으로 운반되어 다시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된 후 잎, 목재, 수피 등을 만드는 원료로 이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포도당 수액을 수목에 공급하는 것은 광합성이 원활하지 못한 수목에 에너지 및 생장을 위한 양분 및 재료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0328272호(2002.03.16.공고) '쇠약목 수세회복용 영양제 수간 주사액'(이하 '선행기술 1'이라 칭함)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포도당 5%용액 1000cc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부성분으로서 질산칼슘 4∼1g, 질산칼륨 1∼025g, 황산마그네슘 1∼025g, 제일인산칼륨 1∼025g, 염화제2철 01∼0025g, 아토닉 05∼02cc, 티아민 0001∼00002g, 피리독신 00025∼0001g 및 니아신 0002∼00005g을 희석, 혼합하여 된 것이 특징이다.
아래 특허문헌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0355047호(2002.10.05.공고) '수목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칭함)도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질산칼륨, 황산마그네슘, 질산칼슘, 제1인산칼륨 및 염화제2철 물질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필수원소공급물질과, 키네틴, 피리독신, 티아민, 니아신, IBA 및 IAA 물질군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장조절물질로 구성된 수목 영양제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성물을 1 내지 15% 포도당수액, 증류수액 및 통상의 물 중 선택된 용매에 희석시킨 후, 수간주사, 엽면시비, 토양관주 및 토양관수 중 선택된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 1, 2는 5~15% 포도당 용액을 용매로 하여 각종 부성분을 포함한 수목영양제 수간주사액이나 조성물을 특징으로 하여 특허 등록되었다.
그러나 포도당은 단당류로 더 이상 가수분해 할 수 없는 최소 단위의 당으로 단기간에 즉각적인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좀 더 장기간에 걸친 에너지 공급에는 어려움이 있다.
반면 자당은 단당류들에 비해 안정성이 높아 상당기간 동안 식물체 내에 존재하면서 필요에 따라 서서히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되어 식물체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개발된 농작물용 또는 수목용 영양제 혹은 비료 중 지베렐린, 사이토키닌, 6-BA(benzyl aminopurine), 아토닉, 인돌아세트산(IAA; indole-acetic acid)), 인돌부티르산(IBA;indole-butyric acid) 등의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Agent)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여 식물의 생육촉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나(상기 선행기술 1, 2의 등록특허 10-0328272호와 등록특허 10-0355047호 및 등록특허 10-0524116호), 이들 물질은 농약관리법상 농약성분에 해당하는 것으로 비료관리법상 비료에 포함되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다.
그리고 클로렐라 배양액에는 사이토키닌을 포함한 천연 식물생장호르몬과 각종 아미노산, 비타민, 미네랄이 들어 있으며 농촌진흥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양한 작물에서 처리 농도에 따라 생육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약 107개 세포수로 배양된 배양액을 250 내지 500배로 희석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생장촉진을, 200배 이하로 희석하여 처리할 경우에는 생장억제 효과를 보이고 있다.
상기 클로렐라 배양여액을 포함한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아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5454호(2018.09.28.공개)의 '가축분뇨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여액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이하 '선행기술 3' 이라 칭함)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3은 작물 용도로 개발되어 85%의 클로렐라 배양여액을 포함한 조성으로 희석하여 사용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작물 관리에는 유용하지만 뿌리를 통한 양분 흡수 및 광합성이 원활하지 못한 이식목이나 쇠약목과 같은 수목의 에너지 공급에는 적합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0328272호(2002.03.16.공고) '쇠약목 수세회복용 영양제 수간 주사액'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0355047호(2002.10.05.공고) '수목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05454호(2018.09.28.공개) '가축분뇨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여액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들에 의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토대에서 포도당 또는 자당이 혼합된 포도당 을 주성분으로 이용하되 이식 및 환경의 영향으로 쇠약해진 수목에 수간주사를 통해 양분 및 영양소를 직접 공급하여 이식목, 쇠약목의 비료 이용 효율을 높이는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의 유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수간주사 방식으로 공급 가능하며, 수목의 건강상태 및 생리적 주기에 따라 조성물의 중량% 비율을 조정 혼합하여 유실수 과실의 생산량 증가, 당도 향상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도당 용액 또는 자당이 혼합된 포도당 용액으로 이루어진 주성분 용액; 수목의 종류와 수목의 건강상태 및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상기 주성분 용액에 질소 전량, 수용성인산, 수용성 가리 중에서 2종 이상 희석 혼합되는 무기질 비료; 로 구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으며, 수용성 고토, 수용성 망간, 수용성 붕소, 수용성 철, 수용성 아연, 수용성 구리, 수용성 몰리브덴, 수용성 칼슘 중에서 2종 이상 혼합되는 미량요소 비료 및 클로렐라 여액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또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제공은 자당 0 내지 13%(w/w)와 포도당 1 내지 13%(w/w)의 용액 1000ml를 주성분 용액으로 하며, 상기 주성분 용액에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무기질 비료로서 질소 전량으로 0.001 내지 6%(w/w), 수용성 인산 0.002 내지 12%(w/w), 수용성 가리 0.001 내지 6%(w/w)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제1용액과;
미량요소 비료로 수용성 고토 0.01 내지 0.5%(w/w), 수용성 망간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붕소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철 0.01 내지 0.5%(w/w), 수용성 아연 0.001 내지 0.05%(w/w), 수용성 구리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몰리브덴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칼슘 0.001 내지 0.05%(w/w) 중 2종 이상을 혼합한 제2용액; 및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에 클로렐라 여액 0.01 내지 80%(w/w)를 더 혼합한 제3용액으로 구성함으로서 목적 달성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포도당 또는 자당ㆍ포도당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이용한 수목영양제 조성물은 이식 및 환경의 영향으로 쇠약해진 수목에 수간주사를 통해 직접 양분 및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포도당 수액에 비료성분만을 추가한 것에 비해 수목의 생장촉진 및 수목의 이식, 고온, 가뭄 등의 환경 스트레스로 인한 생육장애 문제를 매우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목의 건강을 보다 신속하게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과다 시비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인 비료 활용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일례로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목영양제 조성물은, 포도당 용액 또는 자당이 혼합된 포도당 용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주성분 용액과; 수목의 종류와 수목의 건강상태 및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상기 주성분 용액에 질소 전량, 수용성인산, 수용성 가리 중에서 2종 이상 희석 혼합되는 무기질 비료; 를 포함하여 제1용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수용성 고토, 수용성 망간, 수용성 붕소, 수용성 철, 수용성 아연, 수용성 구리, 수용성 몰리브덴, 수용성 칼슘 중에서 2종 이상 혼합되는 미량요소 비료;를 상기 주성분 용액 및 무기질 비료에 포함하여 제2용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목영양제 조성물은,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에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혼합되는 클로렐라 여액을 포함하여 제3용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목영양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는 자당 0 내지 13%(w/w)와 포도당 1 내지 13%(w/w)의 용액 1000ml를 주성분으로 한다. 여기서 자당을 0% 내지 13%로 한 것은 자당 없이 포도당만을 주성분으로 할 수도 있고 또는 자당이 13%까지 혼합된 포도당 용액을 주성분으로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주성분 용액에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무기질 비료로서 질소 전량으로 0.001 내지 6%(w/w), 수용성 인산 0.002 내지 12%(w/w), 수용성 가리 0.001 내지 6%(w/w) 중 2종 이상을 희석 혼합하여 포도당과 무기질 비료가 함유되거나 자당, 포도당, 무기질 비료가 모두 함유된 제1용액의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가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제1용액에 미량요소 비료로 수용성 고토 0.01 내지 0.5%(w/w), 수용성 망간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붕소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철 0.01 내지 0.5%(w/w), 수용성 아연 0.001 내지 0.05%(w/w), 수용성 구리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몰리브덴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칼슘 0.001 내지 0.05%(w/w) 중 2종 이상을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혼합하면 제2용액의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에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클로렐라 여액 0.01 내지 80%(w/w)를 혼합하면 제3용액의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용액, 제2용액, 제3용액의 수목영양제를 수목의 종류 및 수목의 건강상태에 따라 또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뿌리를 통한 양분 흡수 및 광합성이 원활하지 못한 이식목, 쇠약목에 선택하여 수간주사하면 수목을 상당히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성 대조구로서 시판중인 의료용 포도당 수액을 가정한 포도당 5% 용액 또는 10% 용액 1000ml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성분 용액; 질소 전량 0.05%(w/w), 수용성 인산 0.01%(w/w), 수용성 가리 0.05%(w/w)의 무기질 비료; 수용성 고토 0.03%(w/w), 수용성 망간 0.005%(w/w), 수용성 붕소 0.01%(w/w), 수용성 철 0.02%(w/w), 수용성 아연 0.005%(w/w), 수용성 구리 0.005%(w/w), 수용성 몰리브덴 0.01%(w/w), 수용성 칼슘0.01%(w/w)의 미량요소 비료; 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이식한지 8~12개월 지난 메타세콰이어와 대왕참나무에 수간주사한 결과 무처리구 나무에 비해 갈변하는 잎의 수가 적었다. 포도당의 농도 사이에는 뚜렷한 효과 차이를 인식할 수 없었다.
<실시예 2>
자당5%, 포도당 5%가 혼합된 용액 1000ml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성분 용액에 무기질 비료와 미량요소 비료의 중량비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이식한지 8~12개월 지난 메타세콰이어와 대왕참나무에 수간주사한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갈변하는 잎의 수가 적었으며, 포도당만 포함된 <실시예 1>의 처리구보다 효과가 오래 지속되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서 만들어진 수목영양제 1000ml에 클로렐라 여액 0.5%(w/w)를 혼합하여 제조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이식한지 8~12개월 지난 메타세콰이어와 대왕참나무에 수간주사한 결과 갈변하는 잎의 수를 줄이는 효과는 <실시예 2>와 동일하였으나, 신초의 발생 또는 수목의 생장과 관련하여 뚜렷한 증진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클로렐라 여액이 포함된 수목영양제의 식물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콩나물 콩을 수경재배한 결과 클로렐라 배양 여액이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2>의 수목영양제 및 무처리구(일반 수돗물)에 비해 발아율은 향상되고 부패율은 감소하였으며, 콩나물의 굵기 및 길이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주변 환경 조건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이식목이나 쇠약목의 종류 및 그 수목의 건강상태에 따라 또는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제1용액 또는 제2용액 또는 제3용액을 선택하여 수간주사하면 수목을 상당히 건강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수목영양제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포도당 용액 또는 자당이 혼합된 포도당 용액으로 이루어진 주성분 용액;
    수목의 종류와 수목의 건강상태 및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상기 주성분 용액에 질소 전량, 수용성인산, 수용성 가리 중에서 2종 이상 희석 혼합되는 무기질 비료;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영양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수용성 고토, 수용성 망간, 수용성 붕소, 수용성 철, 수용성 아연, 수용성 구리, 수용성 몰리브덴, 수용성 칼슘 중에서 2종 이상 혼합되는 미량요소 비료;와
    클로렐라 여액;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상기 주성분 용액 및 무기질 비료에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영양제 조성물.
  3. 수목영양제 조성물을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당 0 내지 13%(w/w)와 포도당 1 내지 13%(w/w)의 용액 1000ml를 주성분 용액으로 하며,
    상기 주성분 용액에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무기질 비료로서 질소 전량으로 0.001 내지 6%(w/w), 수용성 인산 0.002 내지 12%(w/w), 수용성 가리 0.001 내지 6%(w/w) 중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포도당과 무기질 비료가 함유되거나 자당, 포도당, 무기질 비료가 모두 함유된 제1용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영양제 조성물을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용액에
    미량요소 비료로 수용성 고토 0.01 내지 0.5%(w/w), 수용성 망간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붕소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철 0.01 내지 0.5%(w/w), 수용성 아연 0.001 내지 0.05%(w/w), 수용성 구리 0.001 내지 0.05%(w/w), 수용성 몰리브덴 0.001 내지 0.05%(w/w), 수용성 칼슘 0.001 내지 0.05%(w/w) 중 2종 이상을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혼합하여
    제2용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영양제 조성물을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에
    수목의 종류, 수목의 건강상태, 수목의 생리적 주기에 따라 클로렐라 여액 0.01 내지 80%(w/w)를 더 혼합하여
    제3용액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영양제 조성물을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KR1020190077355A 2019-06-27 2019-06-27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KR20210001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55A KR20210001361A (ko) 2019-06-27 2019-06-27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355A KR20210001361A (ko) 2019-06-27 2019-06-27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361A true KR20210001361A (ko) 2021-01-06

Family

ID=74128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355A KR20210001361A (ko) 2019-06-27 2019-06-27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36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272B1 (ko) 2000-03-02 2002-03-16 강전유 쇠약목 수세회복용 영양제 수간 주사액
KR100355047B1 (ko) 2000-10-04 2002-10-05 이희봉 수목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20180105454A (ko) 2017-03-15 2018-09-2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분뇨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여액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272B1 (ko) 2000-03-02 2002-03-16 강전유 쇠약목 수세회복용 영양제 수간 주사액
KR100355047B1 (ko) 2000-10-04 2002-10-05 이희봉 수목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사용 방법
KR20180105454A (ko) 2017-03-15 2018-09-28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축분뇨액비를 배지로 이용한 클로렐라 배양여액 및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량요소복합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war et al. Impact of integrated nutrient management on yield and nutrient uptake by maize under rain-fed conditions
CN105248213A (zh) 一种观赏槭树高效栽培技术
CN106472218A (zh) 杂交构树非试管快速育苗的方法
CN108863568A (zh) 一种有机水溶肥料组合物及其应用
CN103467152A (zh) 一种西红柿的无土栽培基质
CN103430819A (zh) 一种草莓的无土栽培基质
CN108651212A (zh) 一种提高植物抗性缩短缓苗的移栽方法
CN115024147B (zh) 一种提高红香酥梨优质果率的施肥方法
CN107324872A (zh) 番石榴专用肥、其制备方法及番石榴的施肥方法
Sarkar et al. Effect of nitrogen, sulphur and foliar spray of nitrate salts on performance ofspring sunflower (Helianthus annuus)
Bhatt et al. Soil Management Vis-à-Vis Carbon Sequestration in Relation to Land Use Cover/Change in Terrestrial Ecosystem—A Review
CN104876755A (zh) 一种苗木专用水溶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348916A (zh) 一种带抗旱保水功效的毛竹专用生物肥及其生产方法
CN106069560A (zh) 提早葡萄成熟期的种植方法
CN105254429A (zh) 一种枧木专用肥及其制备方法
KR20210001361A (ko) 수목영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간주사용 수목영양제
Salkić et al. The ecophysiological needs of plums and their impact on ecological production of plum in Bosnia and Herzegovina
Williams et al. Effect of nitrogen, sodium, and potassium on nitrate and oxalate concentration in kikuyugrass
Chamurliev et al. Tomato fertigation in an open ground
RU2239618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ультиминераль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корневой подкормки садово-огородных, декоративных и газонных культур
CN110800544B (zh) 一种黑沙蒿的扦插建植方法
US20210352902A1 (en) Composition for growth stimulation and resistance to stress factors for plants of the cannabaceae family
CN108668586B (zh) 一种7年以上成龄枸杞树周年施肥方法
Ibrahim Reducing Mineral N in Ewais Mango Orchards Using different Organic Fertilization Sources
Dzhuvinov et al. Fertilization of apple trees with organic fertilizers “Keratin” and “Lumbreco” in Bulgaria-preliminary res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