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88U -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 Google Patents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188U
KR20210001188U KR2020190004705U KR20190004705U KR20210001188U KR 20210001188 U KR20210001188 U KR 20210001188U KR 2020190004705 U KR2020190004705 U KR 2020190004705U KR 20190004705 U KR20190004705 U KR 20190004705U KR 20210001188 U KR20210001188 U KR 202100011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height
pouring
vertical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70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철
김춘성
Original Assignee
김형철
김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철, 김춘성 filed Critical 김형철
Priority to KR2020190004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188U/en
Publication of KR20210001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188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열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 상기 부착부재가 용융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 상기 바닥판고정부재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레벨봉의 설치 위치가 파악되도록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외면에 결합되는 타설높이용 높이조절부재;를 마련하여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레벨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의 타설 후 레벨봉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레벨봉의 설치를 간편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콘크리트를 터설하고자 하는 높이 조절이 매우 용아히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t relates to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comprising: an attachment member made of a synthetic resin melted by heat so as to be attached to a concrete floor surface, and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 floor plate fixing member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attaching member to maintain a stably bonded state of the attaching member, which is melted by heat so that the attach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surface by melting; A vertical member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and protruding higher than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rod is grasped after pouring the concrete; By providing a height adjustment member for the pouring height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it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level bar can be easily installed,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level bar after concrete is plac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level bar is simple. It can be installed simply, and the effect is obtained that the height adjustment for laying concrete can be made very easily.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타설 위치를 간편하게 파악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that allows easy identification and confirmation of the placement position of concrete during concrete placement.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물의 기본이 되는 옹벽 콘크리트를 구축하고, 구축된 옹벽 콘크리트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철근을 소정 형태로 배근하고 레미콘을 주입하여 콘크리트 슬래브를 구축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irst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concrete, which is the basis of the building, and install a form between the built retaining wall concrete, then reinforce the reinforcement in a predetermined shape on it, and then inject ready-mixed concrete to construct a concrete slab. do.

이때,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 면이 전 부위에서 평탄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 슬래브가 평탄하지 못하면 완공된 건축물이 기울어지게 되어 매우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슬래브의 평탄도 확보는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At this time, for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the concrete slab to be flat in all areas.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if the slab is not flat, the completed building is inclined and becomes very unstable. In construction, securing the flatness of the slab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must be maintained very precisely.

한편, 이와 같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 시 그 평탄도를 형성하기 위해 방법으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전체적인 수평 정도와 두께를 맞추거나, 표시눈금이 새겨진 막대 등의 높이표시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orm the flatness of the concrete slab when pouring such a concrete slab, it is generally practiced to adjust the overall level of horizontality and thickness according to the skill level of the worker, or use a height indicator such as a bar with a marking scale. .

그러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지하는 방법은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고, 단순한 막대 등의 높이표시구는 설치도 불편하지만 레미콘의 주입압력으로 인해 쓰러지거나 이탈되는 경우가 빈발하여 원활한 시공이 어려웠다.However, the method relying on the worker's skill level cannot guarantee reliability, and although it is inconvenient to install a height indicator such as a simple bar, it was difficult to construct smoothly due to frequent collapse or separation due to the injection pressure of ready-mixed concret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용 레벨봉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level rod for concrete is disclosed.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콘크리트용 레벨봉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되며, 몸체 상부 일측으로는 철근(70)을 안착시키는 철근고임턱(11)이 구비되고, 상기 철근고임턱(11)의 타측으로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내측으로는 끼움부(12)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베이스부재(10)의 끼움부(12) 내측에 설치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몸체의 외측으로는 나사산(21)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구(20)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level bar for concrete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floor on which the concrete is placed, and a reinforcing bar anchoring jaw 11 for seating a reinforcing bar 70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body, and the reinforcing bar anchoring jaw The other side of (11)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base member (10) in which the fitting portion (12) is formed on the inside, and the fitting portion (12) of the base member (10) is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ly high It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er 20 is formed with a thread 21 to the outside of the body to enable adjustment.

상기 높이조절구(20)의 하측에 위치되어 높이조절구(20)의 높이조절 및 셋팅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제어구(30)와, 상기 높이조절구(20)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고 직립되게 위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작업시 콘크리트 공급호스와의 접촉 시에도 원위치로 복원 가능한 탄성부재(40)와, 이 탄성부재(40)의 상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캡연결나사(42)에 나사 결합되며, 몸체 상부로는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점의 높이를 파악할 수 있는 확인점(51)이 위치되고, 상기 확인점(51)의 하부로는 콘크리트 타설높이를 측정하기 위한 마감점(52)이 구비되는 캡부재(50)로 구성된다.A position control unit 30 positioned below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 to control the height adjustment and setting posi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20 It is positioned upright and is screwed to an elastic member 40 tha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even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a concrete supply hose during concrete pouring, and a cap connection screw 42 installed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40. ,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a check point 51 that can determine the height of the level point when placing concrete is located, and a closing point 52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concrete placement is provided below the check point 51. It is composed of a cap member 50.

이러한 종래기술은 높이조절구(2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필요한 높이를 일정하게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캡부재(50)를 이용하여 미세조절을 하는 것으로, 필요한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높이조절구(20)의 하부에 결합된 위치제어구(30)를 회동시켜 조절한 후 미세한 높이를 캡부재(50)를 회동시켜 조절하게 된다.This prior art is to form a constant height required for concrete pouring using the height adjustment tool 20, and fine adjustment using the cap member 50 if necessary, and to adjust the height to the required height After adjusting by rotating the position control device 30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20, the fine height is adjusted by rotating the cap member 50.

도 2에서와 같이 마감점(52)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로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된 후에는 캡부재(50)의 상부를 부러뜨려 제거하여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돌출물을 제거하여야 한다.As shown in FIG. 2, after the pouring of concrete to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finishing point 52 is completed, the upper part of the cap member 50 must be broken and removed to remove the protrusion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crete.

그런데 이렇게 캡부재(50)의 상부를 제거한 다음에도 마감점(52)의 상측면이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면으로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이물질로 작용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캡부재(50)의 상부만을 부러뜨려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However, even after removing the upper part of the cap member 50 in this way, the upper side of the finishing point 52 is exposed as it i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oured concrete, thereby acting as a foreign material, which is not good in terms of aesthetics, and only the upper part of the cap member 50 is broken. It is not easy to knit and remove, so it takes a lot of time.

이로 인하여 콘크리트 타설 시간이 증대되어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늘어나므로,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since the time for concrete placement is increased and the overall working time is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manpower and cost are required.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a "level spacer for pouring concrete" is disclosed.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는 철근이 수용되도록 수용부가 구비되고, 바닥면에 직립되도록 다수개의 직립부재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받침대와, 상기 이동공간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이동공간과 연통되도록 받침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과 대향된 위치에 수평한 높이로 관통형성되는 통공을 형성한다.The level space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art to accommodate reinforcing bars, a plurality of upright members are provided so as to be upright on the floor surface, a support on which a moving space is formed, and an inner wall of the moving spac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and is formed through the pedestal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moving spac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a horizontal height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ixing groove.

상기 이동공간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렉기어가 구비되는 하부브라켓과, 이 하부브라켓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에는 안착부가 구비되는 상부브라켓이 포함되는 길이조절봉과, 하부가 상기 안착부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는 기어봉(420):과, 상기 기어봉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다.A lower bracket that is inserted into the moving space and elevates and has a rack gear along the length direction, a length adjustment rod including an upper bracket having a seating part at the upper end, and a lower part of the lower bracket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racket. A spring supported by the seating portion, a handle installed on the pedestal, and a handle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at one end thereof, and a gear rod 420 having one side continuously formed with the handle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It i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gear bar.

상기 손잡이의 전후진에 의해 상기 고정홈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기어봉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렉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봉이 승하강되도록 외주면에 톱니기어가 구비되는 길이조절부와, 하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한다.A coupling protrus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by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andl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ear rod, and meshed with the rack gear so that the length adjustment rod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and a toothed gear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length adjusting part provided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pring are provided at a lower part, a coupling groove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and an exposed par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concrete is plac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가 개시되어 있다.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2, a'building concrete placement height indicator' is disclosed.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는 건축용 콘크리트 타설 높이 표시구에 있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안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에는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돌부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제1 결합홈에 하단부가 끼움 결합됨과 아울러 상단부에는 상부만이 개구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된 상호 다른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지지축으로 이루어진다.In the construction concrete placement height indicato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below, in the construction concrete placement height indicator, a seating portion that can be mounted and fixed on a floor surface on which concrete is placed, and a seat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to the top, and at the top A base member consisting of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first coupling groove opening only in the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being fitted into the first coupling groove of the base member, and having a second coupling groove opening only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member have different lengths.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상기 지지축의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길이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설정부재 및 상기 높이설정부재의 지지축에 구비되는 제2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돌부와 상기 끼움돌부의 상단에서 형성된 환 형상의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둘레에서 외측 상부로 펼쳐지게 형성된 레벨 표시편들로 이루어진다.A height settin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according to a selected length of the support shaft, and a fitt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downward so as to be fitted into a second coupling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shaft of the height setting member, and the fitting It consists of an annular flat plat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and a level display piece formed to be spread outwardly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flat plate.

상기 레벨 표시편들의 펼쳐지는 각도를 조절함에 의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레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벨부재와 높이설정부재 및 베이스부재의 끼움 결합 부위인 상기 제1, 제2 결합홈과 결합돌부 및 끼움돌부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다.Including a level member capable of finely adjusting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by adjusting the spreading angle of the level indicator pieces,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s that are fitting portions of the level member, the height setting member, and the base member It is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formed respectively in the groove, the engaging projection and the fitting projection.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의 외주면에 각각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서 돌출 혹은 요입되게 형성된 제1 고정구와, 상기 제1 고정구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제2 결합홈의 내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반원 형상의 단면으로 요입 혹은 돌출되게 형성된 제2 고정구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ans includes a first fastener formed to protrude or concav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fitting protru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fastener. It consists of a second fixture formed to be concave or protruded in a semicircular cross-sectio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 제1 고정구가 돌출되게 형성되면 상기 제2 고정구는 요입되게 형성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제1 고정구가 요입되게 형성되면 상기 제2 고정구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 및 상기 끼움돌부가 상기 제1, 제2 결합홈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제2 고정구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제2 고정구는 반구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부 및 그 돌부에 대응하는 반원 형상의 홈부로 이루어진다.When the first fastener is formed to protrude, the second fastener is formed to be concave. On the contrary, when the first fastener is formed to be concave, the second fastener is formed to protrude. 1, When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it is fixed in a one-touch manner by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ers consist of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hemispherical shape and a semicircular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10807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108077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0048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80048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728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7288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that enables easy adjustment of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during concrete pour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타설 후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위치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that can easily check the position of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fter pouring the concre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열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10); 상기 부착부재(10)가 용융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10)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레벨봉의 설치 위치가 파악되도록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30); 상기 수직부재(30)의 외면에 결합되는 타설높이용 높이조절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level bar for concrete 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is melted by heat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and the attachment member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 bottom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10 so that the attachment member 10, which is melted by heat, is stably adhered to the attachment member 10 so that the attachment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surface by melting A fixing member 20; A vertical member 30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and protruding higher than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rod can be grasped after pouring the concret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height adjustment member 40 for pouring height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30).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ttachment member 10 is made of a soft rubber or a soft synthetic resin so as to be melted by a heat source, and the attachment member 10 is gradually melted by applying heat to temporarily maintain the molten state, thereby forming a concrete floor surfac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ttached to.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자유로이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높이조절판(41); 상기 제1 높이조절판(4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높이조절판(42); 상기 제2 높이조절판(4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3 높이조절판(43); 상기 제3 높이조절판(4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4 높이조절판(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ncludes a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freely display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A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2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A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3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2;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ourth height adjustment plate 44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3.

상기 수직부재(3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31);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수직프레임(3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단에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rtical member 3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31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second vertical frame (32)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is inserted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rotrusion 33 formed to protrude in a hemispherical shape to be able to.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결합돌기부(3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결합부(34); 상기 결합돌기부(33)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결합돌기부(33)와 동일하게 내부에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공간부(35);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의 상단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표시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vertical frame 32 includes a lower coupling portion 34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A coupling space part 35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side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33 so as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33;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top display portion 36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레벨봉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의 타설 후 레벨봉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레벨봉의 설치를 간편하면서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콘크리트를 터설하고자 하는 높이 조절이 매우 용아히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bar has a simple structur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s well as the position of the level bar after the concrete is placed, and the installation of the level bar is simple. It can be installed simply, and the effect is obtained that the height adjustment for laying concrete can be made very easil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의하면,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수직프레임을 보다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can be freely adjusted, the height of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without a separate tool,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is detachably couple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eparate and remove more easily and quickly is obtained.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용 레벨봉을 도시한 작동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입체도,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level bar for concrete,
Figure 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level bar for concrete,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ottom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levated state of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ed state of the level bar for concrete place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wered state of the level bar for concrete placement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열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10)와, 상기 부착부재(10)가 용융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10)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와,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레벨봉의 설치 위치가 파악되도록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30)와, 상기 수직부재(30)의 외면에 결합되는 타설높이용 높이조절부재(40)를 포함한다.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is melted by heat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and has an attachment member 10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attachment member 10 The base plate fixing member 2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10 so that the attachment member 10 melted by heat to be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surface by melting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10 , A vertical member 30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and protruding higher than the placement height of concret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bar is grasped after concrete placement, the It includes a height adjustment member 40 for pouring height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30).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bottom surface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르트 타설용 레벨봉은 바닥면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착부재(10)와,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와,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부재(30)와, 상기 수직부재(30)에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높이조절부재(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level bar for concrete place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ttachment member 10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and a predetermined top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10.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formed in diameter, the vertical member 30 fixed vertically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and the vertical member 30 are combined to visually visualize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It consists of a height adjustment member 40 that is installed to be confirmed.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된다.The attachment member 10 is made of a soft rubber or a soft synthetic resin so as to be melted by a heat source, and the attachment member 10 is gradually melted by applying heat to temporarily maintain the molten state, thereby forming a concrete floor surface. Is attached to.

상기 부착부재(10)는 바닥판고정부재(20)의 저면에 소정의 두께로 부착되는 것으로, 열을 가해주게 되면 용융되는 연질의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The attachment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fixing member 20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made of a soft rubber or synthetic resin that melts when heat is applied.

즉,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에 의해 용융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를 바닥면에 가압하게 되면, 용융된 합성수지가 바닥면에 고착된다. 이에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가 바닥면에 고정된다.That is, when the attachment member 10 presses the bottom plate fixing member 20 on the bottom surface while it is melted by heat, the molten synthetic resin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ccordingly,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is fixed to the floor surface.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attachment member 10 is made of a soft rubber or a soft synthetic resin so as to be melted by a heat source, and is gradually melted by applying heat to the attachment member 10 to temporarily maintain a molten state.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부착부재(10)에 의해 바닥면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다.The bottom plate fixing member 20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maintain a state firm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by the attachment member 10.

이러한 바닥판고정부재(20)는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strength.

아울러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조절부재(40)가 설치되도록 수직부재(30)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vertical member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so that a height adjusting member 40 indicating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is installed.

상기 수직부재(30)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재(30)는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The vertical member 30 is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vertical member 30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연질의 발포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재(30)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s made of a soft foam plastic, and a hollow is formed in the center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member 30.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Nex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된 바닥판고정부재(20)에 부착부재(1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ures 3 to 5,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attachment member 10 to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이러한 부착부재(10)는 열을 가해줌에 따라 용융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attachment member 10 is made of a soft synthetic resin that melts as heat is applied.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수직부재(30)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수직부재(30)는 콘크리트의 타설 후 커팅 등에 의해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된다.A vertical member 30 formed with a length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The vertical member 30 is formed to protrud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so that it can be removed by cutting or the like after pouring the concrete.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30)의 외측에는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표시하는 높이조절부재(40)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member 30.

다음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ures 3 to 5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레벨봉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설치되는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해 용융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 location where the level bar is to be installed, and heat is applied to the attachment member 10 to melt it.

이에 작업자는 부착부재(10)가 용융된 상태에서 바닥판고정부재(20)를 바닥면에 가압하게 된다. 이에 용융된 부착부재(10)가 바닥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가 바닥면에 고정된다.Accordingly, the operator presses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on the floor while the attachment member 10 is melted. Accordingly, as the melted attachment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the bottom plate fixing member 2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이와 같이 바닥판고정부재(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타설하고자 하는 높이로 형성된 높이조절부재(40)를 수직부재(30)에 끼워 결합한다.In this way, while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is fixed, the operator inserts and couples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formed to a height to be poured into the vertical member 30.

이와 같이 높이조절부재(40)에 의해 높이조절부재(40)가 바닥면에 설치하게 된다.In this way,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by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한편 상기 레벨봉의 높이 조절은 바닥판고정부재(20)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전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높이조절부재(40)를 적절한 길이로 커팅하여 상기 수직부재(30)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Meanwhile,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level bar may be performed before fixing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to the floor surface. That is, the operator cuts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to an appropriate length and fits it into the vertical member 3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제2 실시 예><Second Example>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rod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levated state of the level rod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bar for concrete placement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같이 부착부재(10), 바닥판고정부재(20), 수직부재(30) 및 높이조절부재(5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6 and 8,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attachment member 10,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the vertical member ( 30)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50.

이와 같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name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시공 높이에 따라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높이조절판(41, 42, 43, 44)로 이루어진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plates 41, 42, 43, so that the height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44).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자유로이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1 높이조절판(41)와, 상기 제1 높이조절판(41)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높이조절판(42)와, 상기 제2 높이조절판(4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3 높이조절판(43)와, 상기 제3 높이조절판(4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4 높이조절판(44)를 포함한다.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ncludes a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freely display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and a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2 The height adjustment plate 42, a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3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2, and a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3 formed to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3 Includes 4 height adjustment plate (44).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높이조절판(41)은 제2 높이조절판(4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높이조절판(41)은 다른 조절판(42, 43, 44)들에 비하여 가장 높은 높이로 형성된다.6 to 8,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is formed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2. That is,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is formed to have the highest height compared to other adjustment plates 42, 43, 44.

상기 제2 높이조절판(42)은 제1 높이조절판(4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높이조절판(43)은 제2 높이조절판(4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4 높이조절판(44)은 제3 높이조절판(4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2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the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3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2, and the fourth height The adjusting plate 44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third height adjusting plate 43.

예시적으로 상기 제1 높이조절판(41)은 5㎝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높이조절판(42)은 3㎝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높이조절판(43)은 1㎝의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4 높이조절판(44)은 0.5㎝의 높이로 형성된다.Exemplarily, the first height control plate 41 is formed to a height of 5 cm, the second height control plate 42 is formed to a height of 3 cm, and the third height control plate 43 is formed to a height of 1 cm It is formed as,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plate 44 is formed to a height of 0.5cm.

한편 상기 제1 높이조절판(41) 내지 제4 높이조절판(44) 각각의 높이는 달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of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to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plate 44 may have different heights.

이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부재(40)는 제1 높이조절판(41) 내지 제4 높이조절판(44)을 타설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높이에 맞추어 적절한 높이로 수직부재(30)에 끼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can adjust the height by inserting the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1 to the fourth height adjustment plate 44 into the vertical member 30 at an appropriate heigh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ncrete to be poured. .

<제3 실시 예><Third Example>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9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name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상기 수직부재(3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31)와,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수직프레임(3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단에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33)를 포함한다.9 and 11,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3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30 is formed, and the first It includes a second vertical frame 32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31, and a hemisphere so that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It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33 protruding into a shape.

상기 수직부재(3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31)과 제2 수직프레임(32)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member 3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31 and a second vertical frame 32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단에는 제2 수직프레임(32)이 분리 및 결합되도록 결합돌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부(33)는 제2 수직프레임(32)의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A coupling protrusion 33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to separate and couple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33 separates and combines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It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o facilitate this.

아울러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에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2 수직프레임(32)의 하단에는 하부결합부(3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lower coupling portion 34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31 do.

상기 하부결합부(34)의 내측에는 결합돌기부(33)에 결합되도록 결합공간부(35)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간부(35)는 결합돌기부(33)에 대응되게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A coupling space part 35 is formed inside the lower coupling part 34 so a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 and the coupling space 35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

또한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의 상단에는 레벨봉의 설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상단표시구(36)가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a hemispherical upper display port 36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bar can be more easily identified.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재(1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용융되며,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는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9 to 11, the attachment member 10 is melted on the floor to be poured into concrete, and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is fixed vertically to the floor surface.

한편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에 수직으로 고정된 수직부재(30)에는 높이조절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결합돌기부(33)에는 제2 수직프레임(32)의 하부결합부(34)가 결합된다.Meanwhile, a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member 30 vertically fixed to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and a second vertical frame ( The lower coupling portion 34 of 32) is coupled.

이러한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은 콘크리트의 타설 후 제1 수직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vertical frame 31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oncrete placement height,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vertical frame 31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된 후 제2 수직프레임(32)을 분리시켜 제거함으로써 수직부재(30)의 커팅 작업 등이 불필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콘크리트 타설 후 레벨봉의 제거 작업져 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separating and removing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after the concrete pouring is completed, cutting of the vertical member 30 becomes unnecessary. This makes it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remove the level bar after concrete pouring. You will be able to.

<제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FIG. 1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n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I will omit it.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부착부재(10), 바닥판고정부재(20), 수직부재(30) 및 높이조절부재(40)가 구비된다.12 and 13, the attachment member 10, the bottom plate fixing member 20, a vertical member 30,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40 are provided.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탄성체(37)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37)의 하단은 고정돌기(21)에 끼워져 결합된다.A fixing protrusion 21 capable of fixing the elastic body 37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fixing member 20, and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37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21.

이러한 탄성체(37)는 높이조절부재(40)를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둠으로써, 높이조절부재(4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탄성체(37)의 탄성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The elastic body 37 has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installed elastically, so that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the elastic body 37 maintains a vertically installed state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37.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30)는 탄성체(37)의 상부측에 끼워져 결합되고,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높이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member 3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elastic body 37, and displays the height according to the concrete pouring.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lthough the desig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부착부재
20: 바닥판고정부재 21: 고정돌기
30: 수직부재 31: 제1 수직프레임
32: 제2 수직프레임 33: 결합돌기부
34: 하부결합부 35: 결합공간부
36: 상단표시구 37: 탄성체
40: 높이조절부재 41: 제1 높이조절판
42: 제2 높이조절판 43: 제3 높이조절판
44: 제4 높이조절판
10: attachment member
20: floor plate fixing member 21: fixing protrusion
30: vertical member 31: first vertical frame
32: second vertical frame 33: coupling protrusion
34: lower coupling portion 35: coupling space portion
36: upper display port 37: elastic body
40: height adjustment member 41: first height adjustment plate
42: second height adjustment plate 43: third height adjustment plate
44: fourth height adjustment plate

Claims (5)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열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부착부재(10);
상기 부착부재(10)가 용융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열에 의해 융융되는 상기 부착부재(10)가 안정되게 접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착부재(10)의 상면에 고정되는 바닥판고정부재(20);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타설 후 레벨봉의 설치 위치가 파악되도록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보다 높게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직부재(30);
상기 수직부재(30)의 외면에 결합되는 타설높이용 높이조절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n attachment member 10 made of a synthetic resin that is melted by heat so that it can be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and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A bottom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10 so that the attachment member 10, which is melted by heat so that the attachment member 10 is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surface by melting, is stably bonded to the top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10 A fixing member 20;
A vertical member 30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and protruding higher than the pouring height of concrete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level rod is grasped after pouring the concrete;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comprising; a height adjusting member 40 for pouring height tha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member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재(10)는 열원에 의해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착부재(10)에 열을 가하여 용융이 서서히 이루어져 일시적으로 용융된 상태를 유지하여 콘크리트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The method of claim 1,
The attachment member 10 is made of a soft rubber or a soft synthetic resin so as to be melted by a heat source,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characterized in that by applying heat to the attachment member (10), melting is gradually made and temporarily maintained in a molten state and attached to the concrete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고정부재(20)의 상면에 상향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21);
상기 높이조절부재(40)를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둠으로써, 높이조절부재(40)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탄성에 의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단은 상기 고정돌기(21)에 끼워져 결합되며, 수직부재(30)는 상부측에 끼워져 결합되어 콘크리트 타설의 높이를 표시하게 되는 탄성체(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The method of claim 1,
A fixing protrusion 21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fixing member 20;
By installing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elastically, the lower end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fixing protrusion 21 so that the vertically installed state is maintained by elasticity even if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40, The vertical member 30 is a level rod for concrete pour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body 37 that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to display the height of the concrete pou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30)는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제1 수직프레임(31);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수직프레임(3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상단에는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반구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member 3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31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t includes a second vertical frame (32)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33 protruding in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은 상기 제1 수직프레임(31)의 결합돌기부(3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결합부(34);
상기 결합돌기부(33)에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결합돌기부(33)와 동일하게 내부에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공간부(35);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의 상단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단표시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includes a lower coupling portion 34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33 of the first vertical frame 31;
A coupling space part 35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nside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33 so as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part 33;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comprising: an upper end display (36)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n an upp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32).
KR2020190004705U 2019-11-21 2019-11-21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KR2021000118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05U KR20210001188U (en) 2019-11-21 2019-11-21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705U KR20210001188U (en) 2019-11-21 2019-11-21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188U true KR20210001188U (en) 2021-05-31

Family

ID=76145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705U KR20210001188U (en) 2019-11-21 2019-11-21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188U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4467A (en) * 2021-09-07 2021-12-24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Cast-in-place concrete wall perpendicularity detection device
CN114856196A (en) * 2022-06-15 2022-08-05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Floor construction method and concrete prefabricated par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88A (en) 2009-04-24 2010-11-03 박창규 Concrete slab leveler
KR20120108077A (en) 2011-03-23 2012-10-05 박시환 Level spacer for concrete pouring
KR200480048Y1 (en) 2015-07-14 2016-04-07 (주)한송씨엔씨 The marker for concrete levell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88A (en) 2009-04-24 2010-11-03 박창규 Concrete slab leveler
KR20120108077A (en) 2011-03-23 2012-10-05 박시환 Level spacer for concrete pouring
KR200480048Y1 (en) 2015-07-14 2016-04-07 (주)한송씨엔씨 The marker for concrete levell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4467A (en) * 2021-09-07 2021-12-24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Cast-in-place concrete wall perpendicularity detection device
CN113834467B (en) * 2021-09-07 2024-06-07 中国建筑第七工程局有限公司 Cast-in-place concrete wall perpendicularity detection device
CN114856196A (en) * 2022-06-15 2022-08-05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Floor construction method and concrete prefabricated p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0833B2 (en) Leve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210001188U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CN111456330A (en) Positioning die for embedded steel bars
KR101789320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ocreate Slab by Making Wall
KR100767645B1 (en) Gang form level and vertical adjust apparatus
KR20190001615U (en)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20210000749U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KR100543426B1 (en) A basis floor setting device for breast wall formwork installation
KR20080018978A (en) The marker for concrete levelling
KR102289730B1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KR200448246Y1 (en) Concrete Leveling Rod
KR200480048Y1 (en) The marker for concrete levelling
KR20100117288A (en) Concrete slab leveler
KR100988270B1 (en) Level spacer device
KR100221038B1 (en) Device for levelling slab concrete
KR20210000937U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KR200349993Y1 (en) Support of a concrete mold form
US20080184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loped shower floors
KR102133723B1 (en) Leveling rod having support spring part for concrete placing
CN210263957U (en) Vibrating tamper for building
TWI281963B (en) Device for forming pre-formed opening in concrete floor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90000714A (en)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200445586Y1 (en) Level spacer for ground concrete work
KR200213257Y1 (en) An appliances for guide of blind rerson
KR100407860B1 (en) A leveling device for carrying out the 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