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714A -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714A
KR20190000714A KR1020170080046A KR20170080046A KR20190000714A KR 20190000714 A KR20190000714 A KR 20190000714A KR 1020170080046 A KR1020170080046 A KR 1020170080046A KR 20170080046 A KR20170080046 A KR 20170080046A KR 20190000714 A KR20190000714 A KR 2019000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reinforcing bar
height
indicato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0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17336B1 (en
Inventor
김춘성
심선숙
Original Assignee
김춘성
심선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성, 심선숙 filed Critical 김춘성
Priority to KR102017008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336B1/en
Publication of KR2019000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7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3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dicating height for concrete placement to be able to place mortar to precisely estimate thickness and to be able to include a function of slab anchor when placing concrete as constructing slab while constructing a building. The apparatus for indicating height for concrete placement is installed by us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a lower reinforcing bar to construct a floor slab and includes: a lower ring in the form of a hook engag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an upper ring surround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wrapped around the upper reinforcing bar; an elastic member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ring and the other ring is connected to the upper ring; and a height indicator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upper ring.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indication mechanism for a concrete po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시공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축시공시 슬래브 구축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그의 두께를 정확하게 가늠하여 몰탈을 타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indicator for pouring concrete, which can accurately estimate the thickness of concrete when pouring concrete during construction of a slab, will be.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시 바닥슬래브에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고 양생하여 건물의 층바닥을 구축하게 된다. When the concrete structure is constructed, a mold is installed in the bottom slab, and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After that, concrete mortar is poured and cured to build the floor of the building.

슬래브를 구축시 그의 두께는 건물의 설계기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공장의 경우 그 두께가 두껍게 설계될 것이며, 주거용 아파트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슬래브의 두께가 얇게 설계될 것이다. 시공자는 현장의 설계기준에 따라 슬래브의 두께를 맞추어야 할 것이다. When building a slab, its thickness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gn criteria of the building. The factory will be designed to be thicker and the slab thickness will be designed to be relatively thin for residential apartments. The contractor will have to adjust the thickness of the slab according to the site design criteria.

그리고 그 높이를 세밀하고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고 작업자로 하여금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높이 표시기구가 필요하다. A height indicator is needed to make the height more precise and accurate, and to make it easy for the operator to use.

관련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81394호가 있다. 이는 하측으로 철근이 끼워져서 측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밑면과 측면이 개구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요부의 하측으로는 탄력을 가지는 훅크부가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윗면에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홈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홈에 선단을 꽂을 수 있는 나사축과, 일단이 측방으로 확장된 기준 표시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축에 나사 결합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표시구를 포함하고 있는 표시기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면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타설높이 표시구가 직선 형태의 철근이나 십자형태의 철근 구조물에 상관없이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 As related related art,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81394 is available. A recessed portion hav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surface opened to allow the reinforcing bars to be inserted in the lower side so as to be able to pass sideways is formed, and a hook portion having elasticity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ssed portion, and one or more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body including a main body provided with a groove, a screw shaft capable of receiving a tip at a groove of the main body, and a handle having a reference display portion whose one end is extended laterally, Lt; / RTI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pouring height indicator in order to keep the concrete pouring surface constant due to the concrete pouring irrespective of the straigh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or the crosshole reinforcing structure.

그러나 이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타설 후 제품을 콘크리트 몰탈 속에 매몰시켜야 하므로 일회성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그래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높이 세팅과정시 세팅작업이 쉽지 않아 작업시간이 연장되는 문제도 있다. However, this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 product should be buried in the concrete mortar after pouring, so it should be used only once. So we have to suffer economic losses.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ting time is prolonged because the setting operation is not easy during the height setting process.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5549호는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지시하는 기준기에 관한 것으로, 하측이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철근에 끼워 고정되게 하는 원통형의 철근결합부와, 철근결합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가 자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철근결합부의 상부에 상위철근 밑에 받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방지부를 포함하되, 회동방지부의 선단 상부에 지렛목을 설치하여서 되는 기준기를 제공한다. 본 종래기술은 콘크리트를 타설한 부위를 작업자가 밟고 지나다니거나 수레가 지나간다 하더라도 파손의 염려가 적게 하면서도, 철근에 철근결합부를 끼워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높이차이에 대하여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목적과는 관계가 없다.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5549 discloses a reference device for indicating a height of a concrete pouring structure. The reference device includes a cylindrical reinforcing bar coupling portion having a lower side op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fixed to a reinforcing bar, And a rotation prevent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supported under the upper reinforcing ba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bar coupling portion so as to prevent the reinforcing bar coupling portion from being rotated by the striking member, To provide a reference standard. The present prior art provides a concrete placement height reference device which facilitates the work of fitting a reinforcing bar joint portion into a reinforcing bar while reducing the possibility of breakage even if a worker treads over the portion where the concrete is laid, This is not related to the purpose of making fine adjustments.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81394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81394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5549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55549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시공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 그의 높이를 일정하고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ight indicator for pouring concrete in order to quickly align a height of a concrete mortar when installing concrete slabs in a building construction.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 속에 파묻히더라도 다시금 오뚜기처럼 일어설 수 있음으로써 설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높이 조정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easily ascertain the installation position by being raised like a crosswalk even if it is buried in a concrete mortar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and to provide a height indication mechanism for concrete pouring which facilitates height adjustment work The purpose.

위와 같은 목적은,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The above object is achieved by using an upper reinforcing bar and a lower reinforcing bar to be used for constructing a floor slab;

하부철근에 걸리는 걸고리 형태의 하부고리; 상부철근에 휘감기되 상부철근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고리; 일단은 상기 하부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고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A lower ring in the form of a hook that engages the lower reinforcing bar; An upper ring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wrapped around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surround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ring;

상기 상부고리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높이표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몰탈용 슬래브 앵커에 의해 달성된다. And a height indicator extending upwardly from an end of the upper ring. The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according to claim 1,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높이표시구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indicator includes:

상기 상부고리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레벨봉; 상기 레벨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벨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표시구; 상기 표시구로 하여금 상기 레벨봉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표시구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A straight level ro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upper ring; An indicator that is installed on the level bar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evel bar; And an indicator hol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display means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level ba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may be any one of a rubber band and a coil sprin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레벨봉의 상단은 "C"형 또는 "O"형으로 되어 있는 고리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level bar may be provided with a ring having a "C" shape or an "O" shap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건축시공시 슬래브를 설치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때 그의 높이를 일정하고도 신속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struction, a height indicating mechanism for pouring concrete is provi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concrete mortar can be quickly and constantly adjusted when the concrete mortar is installed to install the slab at the time of construction.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레벨봉과 레벨봉 설치수단은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함으로써 묻히거나 발로 밟아 쓰러지는 경우에도 쉽게 다시 원상태로 일으켜세울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구가 레벨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음으로써 표시구의 높이를 미세하고도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경제적인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가 제공된다. More specifically, at least the leveling rod and the leveling rod mounting means can be easily restored even when the concrete mortar is buried or laid down by stepping on the foot. Also, since the indicator can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level bar, the height of the display can be easily adjusted finely, and a height indication mechanism for concrete pouring can be provided which is simple and economic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설치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indicating mechanism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height indication mechanism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eight indication mechanism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height indicato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먼저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기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설치상태도이며, 도 3은 설치상태의 측면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Firs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rst. Other drawings are to be quoted where necessary.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ight display mechanism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stallation state view,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본 발명에 의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표시구는, 직선 형태로 연장된 구간을 포함하는 레벨봉(30)과, 이 레벨봉(30)을 바닥면(1)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하기 위한 레벨봉 설치수단을 포함한다. 눈에 잘 띄도록 되어 있는 표시구(33)가 레벨봉(30)에 설치된다. 레벨봉(30)은 철사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표시구(33)는 여기에 끼워질 수 있도록 중간에 끼움홈이 마련되어 있다. 작업자는 표시구(33)를 잡고 레벨봉(30)을 따라 상하방향(K)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벨봉(30)은 쉽게 절곡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프링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indicator for concrete casting includes a level bar 30 including a sect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nd a level bar mounting means for installing the level bar 3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 . The indicator bar 33 is provided on the level bar 30 so as to be conspicuous. The level bar 30 is shaped like a wire, and the indicator hole 33 is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fitting groov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level bar 30. The operator can hold the indicator 33 and move the indicator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K along the level bar 30. [ The level bar 30 is preferably made of spring steel so as not to be bent easily.

표시구(33)는 예를 들어 노란색이나 흰색과 같이 콘크리트와 잘 대비되어 눈에 잘 띄도록 되어 있는 원판 형태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다. 표시구(33)는 야간 식별력 향상을 위해 형광페인트로 도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표시구(33)와 바닥면(F) 사이의 높이(H)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준이 된다. The indicator (33) is made of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a disc, for example, in yellow or white, which is well visible and contrasts well with concrete. The indicator 33 may be painted with fluorescent paint to improve nighttime discrimination power. The height H between the indicator 33 and the floor F is a criterion for placing the concrete.

표시구고정수단은 표시구(33)로 하여금 레벨봉(30)의 직선부위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 의할 때 표시구고정수단은 레벨봉(30)을 탄성으로 감쌀 수 있도록 된 스토퍼(34,35)일 수 있다. The indicator fixing means is means for fixing the indicator 33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linear portion of the level ba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unit fixing means can be the stoppers 34 and 35 that can elastically cover the level bar 30.

스토퍼(34,35)는 링형상의 탄성소재로 되어 있으며 표시구(3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여 표시구(33)가 스토퍼(34,35)를 넘어서까지 유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물론 스토퍼(34,35)는 레벨봉(30)을 따라 화살표(K) 방향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만 스토퍼(34,35)는 소재 특성에 따른 마찰력에 의해 스스로 또는 작은 힘에 의해서는 흘러내리거나 유동하지 못한다. 스토퍼(34,35)를 표시구(33) 상하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표시구(33)는 그 자리에 고정되게 된다. The stoppers 34 and 35 are made of a ring-shaped elastic material and are respectively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33 so that the display 33 can not flow beyond the stoppers 34 and 35. Of course, the stoppers 34 and 35 can easily move along the level bar 3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However, the stoppers 34 and 35 do not flow down or flow by themselves or by a small force due to the frictional force depending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When the stoppers 34 and 35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display 33, the display 33 is fixed in place.

한편 레벨봉(30)의 상단은 "C"형 또는 "O"형으로 되어 있는 고리(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것은 레벨봉(3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마치고 빼낼 때 손이나 도구를 끼워 걸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뾰족한 것이 바닥에 거꾸로 세워져 있으면 부상을 입을 우려도 있는데 고리(36)는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도 한다. 작업자는 손가락이나 철근 등을 고리에 끼워 몰탈에 묻힌 레벨봉(30)을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높이표시기구를 슬래브 앵커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level bar 30 may be provided with a ring 36 having a "C" shape or an "O" shape. This is to make it easy to insert the level bar 30 by inserting a hand or a tool when the concrete rod is poured out as shown in FIG. There is also a risk of injury if the pointed object is upside down on the floor, but the collar (36) also prevents this danger. The operator can easily insert the level bar 30 embedded in the mortar by inserting a finger or a reinforcing bar into the ring, and in some cases, the height indica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lab anch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벨봉 설치수단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벨봉 설치수단은 상부고리(32), 하부고리(10) 및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after, the level rod 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level rod mount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upper ring 32, a lower ring 10, and an elastic member 20 connecting them.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벨봉(30')은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3)과 하부철근(2)을 이용하여 설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l bar 30 'is installed us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3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2 which are laid to construct the floor slab.

하단이 걸고리(12) 형태로 된 하부고리(10)가 하부철근(2)에 걸린다. 하부고리의 하단은 철근을 감쌀 수 있도록 "C"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단(41b)은 탄성부재(42)을 끼울 수 있는 링형태로 되어 있다. A lower ring 10 in the form of a hook 12 at the lower end is caught by the lower reinforcing bar 2. The lower end of the lower ring is bent in a "C" form so as to cover the reinforcing bar, and the upper end 41b is in the form of a ring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42 can be inserted.

상부고리(31)가 상부철근(3)에 휘감기되 상부철근(3)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벨봉(30')은 상부고리(31)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레벨봉(30)은 이 상부고리(3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 제작후 용접 등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An upper ring 31 is wound around the upper reinforcing bar 3 and is rotatably installed while the upper reinforcing bar 3 is wrapped. The level rod 30 'is provide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end of the upper ring 31. The level bar 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per ring 31, or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ring 31 by welding or the like.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20)가 일단은 하부고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부고리(31)에 연결된다 이 탄성부재(20)는 상부고리(31)의 하단(32)을 수직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레벨봉(30)이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부고리(31)는 상부철근(3)을 1 ~ 2회 휘감은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부철근(3)의 외주면을 압박하지 않아 그의 주변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n elastic member 20 made of rubber or coil spring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lower ring 10 and at the other end to the upper ring 31. The elastic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32 of the upper ring 31 So that the leveling rod 30 is maintained in the upright state by pulling it in the vertical downward direction. The upper ring 31 is formed by wind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3 once or twice and is configured so as not to 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reinforcing bar 3 and to rotate around the upper reinforcing bar 3.

본 실시예는 레벨봉(30)을 바닥면(1)을 의지하지 않고서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의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높이표시기구는 거푸집을 설치할 때 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한 인장선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슬래브 앵커로써 활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embodiment shows that the level bar 30 can be installed without depending on the floor surface 1. [ According to this, the height indic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utilized as a slab anchor for fixing the tension wire for fixing the form when installing the formwork.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레벨봉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레벨봉(30')이 직사각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표시구(33)는 그 중 어느 일측 직선봉(301)에 설치된다 상부고리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하부고리(10)는 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Figure 4 illustrates another form of level ba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vel bar 30 'is bent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indicator 33 is installed on one of the straight rods 301. The upper ring is provided in a pair, And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m.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freely combined and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 하부철근 3 : 상부철근
10 : 하부고리 20 : 탄성부재
30,30' : 레벨봉 31 : 상부고리
33 : 표시구 34,35 : 스토퍼
36 : 고리 F : 바닥면
2: Lower Rebar 3: Upper Rebar
10: lower ring 20: elastic member
30, 30 ': level bar 31: upper ring
33: indicator 34, 35: stopper
36: collar F: bottom surface

Claims (4)

바닥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배근되는 상부철근과 하부철근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철근에 걸리는 걸고리 형태의 하부고리; 상부철근에 휘감기되 상부철근을 감싼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고리; 일단은 상기 하부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고리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상기 상부고리의 단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높이표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Installed by using an upper reinforcing bar and a lower reinforcing steel to which a floor slab is applied;
A lower ring in the form of a hook that engages the lower reinforcing bar; An upper ring rotatably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wrapped around the upper reinforcing bar and surround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ring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ring;
And a height indicator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upper 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표시구는;
상기 상부고리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직선 형태의 레벨봉; 상기 레벨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벨봉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표시구; 상기 표시구로 하여금 상기 레벨봉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표시구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height indicator comprises:
A straight level rod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upper ring; An indicator that is installed on the level bar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level bar; An indicator fixing means for fixing the indicator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level bar;
And a height indicating mechanism for placing the concr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one of a rubber band and a coil sp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봉의 상단은 "C"형 또는 "O"형으로 되어 있는 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level bar is provided with a ring of "C" type or "O" type.
KR1020170080046A 2017-06-23 2017-06-23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1020173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46A KR102017336B1 (en) 2017-06-23 2017-06-23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46A KR102017336B1 (en) 2017-06-23 2017-06-23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714A true KR20190000714A (en) 2019-01-03
KR102017336B1 KR102017336B1 (en) 2019-09-02

Family

ID=6502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046A KR102017336B1 (en) 2017-06-23 2017-06-23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3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289B1 (en) 2020-11-12 2021-05-07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Concrete Level Indicat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934A (en) * 1999-06-01 2000-12-05 Akemasa Kurotani Concrete upper surface indication material
JP3079924U (en) * 2000-10-18 2001-09-07 巧 上田 Concrete top spacer
KR200234940Y1 (en) * 2001-03-23 2001-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evel bar for apartment's ceiling slab construction
KR20060081394A (en) 2006-06-23 2006-07-12 함석훈 Glove-type keyboard
KR20090055549A (en) 2009-01-21 2009-06-02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Configurable electronic controller for capacitance measurement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9924B2 (en) * 1994-11-07 2000-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Grill mounting structure of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6934A (en) * 1999-06-01 2000-12-05 Akemasa Kurotani Concrete upper surface indication material
JP3079924U (en) * 2000-10-18 2001-09-07 巧 上田 Concrete top spacer
KR200234940Y1 (en) * 2001-03-23 2001-10-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Level bar for apartment's ceiling slab construction
KR20060081394A (en) 2006-06-23 2006-07-12 함석훈 Glove-type keyboard
KR20090055549A (en) 2009-01-21 2009-06-02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Configurable electronic controller for capacitance measur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336B1 (en) 201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4115B2 (en) Level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6571526B2 (en) Concrete masonry unit (CMU) vertical reinforcement and anchor bolt positioning device
US8925259B2 (en) Adjustable universal screed guide/control joint clip system
RU2496956C2 (en) Form device and method to form groove during casting of structural element
KR20190000714A (en)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20180116058A (en)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20190001615U (en)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20210001188U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KR102149511B1 (en) Leveling rod installed at upper reinforcing bar for concrete placing
KR102133723B1 (en) Leveling rod having support spring part for concrete placing
KR200489839Y1 (en) Spacing device for cable tie type insulating material vertical aluminum molds
KR20170111850A (en)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adjusting slope and height of manhole, manhole
KR200445586Y1 (en) Level spacer for ground concrete work
KR200246028Y1 (en) Concrete leveling rod
KR200448246Y1 (en) Concrete Leveling Rod
KR20190002305U (en) Apparatus For Slab Anchor For Concrete Mortar
KR101643398B1 (en) Breast wall sleeve
KR20190002319U (en) Concrete placing leveler
KR20210000749U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JP2001020295A (en) Anchor bolt holder
KR100428284B1 (en) Concrete leveling rod
KR20190000694U (en) Level Spacer
KR200331410Y1 (en) The Level Pole Apparatus for Concrete Slab
KR20100009320U (en) Penetration sleeve for piping
KR200408120Y1 (en) Leveler for concrete plac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