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730B1 -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 Google Patents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730B1
KR102289730B1 KR1020190123981A KR20190123981A KR102289730B1 KR 102289730 B1 KR102289730 B1 KR 102289730B1 KR 1020190123981 A KR1020190123981 A KR 1020190123981A KR 20190123981 A KR20190123981 A KR 20190123981A KR 102289730 B1 KR102289730 B1 KR 102289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oncrete
pouring
reinforcing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9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1369A (en
Inventor
김양택
Original Assignee
김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택 filed Critical 김양택
Priority to KR102019012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730B1/en
Publication of KR2021004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3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배치된 제1 철근과 상기 제1 철근의 상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철근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레벨 표시부를 포함하는 레벨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이 교차하는 부위에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철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철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provided to level the concrete to be poured, a first reinforcing bar dispos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 support member that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support member and marked with a scal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eveling member provided on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level display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can be grasped from the outside; A base portion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on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first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to surround a portion of an upp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to form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comprising a second fixing part surrounding and a horizontal holding part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base part may be provided.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을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물의 기본이 되는 기초, 기둥, 옹벽 콘크리트를 구축하고, 구축된 골조 콘크리트 사이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위에 철근을 소정형태로 배근하고 콘크리트를을 주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래브를 구축하게 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the foundation, columns, and retaining wall concrete, which are the basics of the building, are first built, and the formwork is installed between the constructed framed concrete. Concrete slabs will be built.

이때, 건축물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 면이 전 부위에서 평탄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MAT 기초의 경우 건물 전체를 떠 받치고 있는 구조물로서 건물 전체에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위이다. 따라서 건축물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 피복두께 확보, 및 구조설계에 맞는 내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At this time, for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ruct the concrete slab so that the pouring surface is flat in all area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MAT foundation, it is a structure supporting the entire building, and it is a part that greatly affects the safety of the whole build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covering thickness that affects the lifespan of the building, and to secure the strength suitable for the structural design.

콘크리트 슬래브가 평탄하지 못하면 후속 공정인 마감공사에서 정밀시공이 어려우며, 경우에 따라서 콘크리트를 치핑(chipping)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완공된 건축물의 오랜 수명을 유지 하기 위해서는 시공시 콘크리트 슬래브의 평탄도 확보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If the concrete slab is not flat, precision construction is difficult in the finishing construction,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and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chip the concrete.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long life of the completed building,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flatness of the concrete slab very precisely during construction.

이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 시 그 평탄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표시눈금이 새겨진 레벨봉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벨봉은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에 위치한 바닥에 고정될 수 있으며, 레벨봉에 새겨진 눈금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높낮이를 감지하여 콘크리트의 수평레벨을 맞출 수 있다. In this way, in order to secure the flatness when pouring concrete, a level bar engraved with a mark scale may be used. This level bar can be fixed to the floor located below the concrete slab, and the level of concrete can be adjusted by detecting the height of the concrete being poured through the scale engraved on the level bar.

그러나 종래의 레벨봉의 경우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에 위치한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잘못 설치한 경우 이동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한번 설치한 후에는 높이 조절이 어렵고, 슬래브 하부 바닥의 종류(예를 들어, 합판거푸집, 알루미늄폼, 버림콘크리트, 철판데크)에 따라 각각 다른 종류의 레벨봉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evel bar, since it is fixed to the floor located below the concrete slab,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and install it if installed incorrectly. In addition, once installe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and different types of level rod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bottom of the slab (for example, plywood formwork, aluminum foam, discarded concrete, iron plate deck), so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There is a problem that rises and the work efficiency decreases.

한국등록특허 제20-0448246호 (2010.03.29. 공고)Korean Patent No. 20-0448246 (2010.03.29. Announc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상호 교차하는 철근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이동 설치가 용이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원하는 만큼 증감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detachably between reinforcing bars that cross each other, so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move, and the heigh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height of concrete pouring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desired.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배치된 제1 철근과 상기 제1 철근의 상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철근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레벨 표시부를 포함하는 레벨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이 교차하는 부위에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철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철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provided to level the concrete to be poured, a first reinforcing bar dispos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 support member that may be provided therebetween;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support member and marked with a scal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eveling member provided on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level display part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can be grasped from the outside; A base portion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on a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first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to surround a portion of an upp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ortion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comprising a second fixing part surrounding and a horizontal holding part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base par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수평 유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철근의 반지름 보다 크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is formed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수평 유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철근의 반지름과 상기 제2 철근의 반지름 길이를 합한 길이로 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provided as the length of the sum of the radiu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llow cylinder is bis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1 철근 및 제2 철근에 탈착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elastically deformed, a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detachable from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두께는 0.3mm ~ 1.0mm의 크기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thickness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formed in a size of 0.3mm ~ 1.0mm.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삼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late.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passes.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한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height adjustment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through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including a nut portion coupl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passing through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관통 홀의 지름은 상기 높이 조절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바디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art.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관통 홀 내부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art, and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lower side of the body part may be provided. there is.

또한, 상기 바디부의 상측 내주면에는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레벨링 부재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a fourth screw thread coupled to the third screw thread is provid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ing member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또한, 상기 레벨 표시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의 직경은 상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vel indicator is provided in plurality, the diameter of the level indicator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vel indicator located at the upper level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또한, 상기 레벨 표시부의 외주면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 indicator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rod for concrete pouring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maller diameter in th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은 상호 교차하는 철근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어 잘못 설치 하였을 경우 이동 설치가 용이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원하는 만큼 증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detachably between reinforcing bars that intersect each other, so if it is installed incorrectly, it is easy to move and install,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so that the height of concrete pouring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desire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1 철근 및 제2 철근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of FIG. 1 is connect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Figure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of Figure 1.
5 is an exploded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is as follow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이 제1 철근 및 제2 철근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설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of FIG. 1 .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of FIG. 1 is connected to the first re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level bar for pouring the concrete of FIG. 1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10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철근(10, 20)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지지부재(110)와, 바디부(120), 및 레벨링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4, the level rod 100 for pouring concrete is provided to the reinforcing bars 10 and 20 to level the concrete (C) to be poured, the support member 110 and the body part ( 120 , and a leveling member 130 .

지지부재(110)는 후술되는 바디부(120)를 지면으로부터 수직되는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배치된 제1 철근(10)과 제1 철근(10)의 상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철근(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10 is for supporting the body part 120 to be described lat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disposed in one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reinforcing bars 20.

지지부재(110)가 안착되는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은 동일한 지름 또는 서로 다른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구비되어 서로 교차된 상태에서 철사 등과 같은 이음 부재(W)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은 서로 교차된 "井"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내부에는 "口"자 형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on which the support member 110 is seated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or different diameters, and a plurality of joint members such as wires are provided in a crossed state ( W) can be interconnected. Accordingly,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may be arranged in a “井” shape that crosses each other, and an opening having a “口” shape may be formed therein.

이와 같이,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 사이에 개구가 형성됨에 따라, 지지부재(110)의 일부가 개구에 위치하여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지지부재(110)를 통해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의 교차 부위를 연결 할 수 있게 되고, 이는 이음 부재(W)로만 연결되어 있던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As such, as the opening is formed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110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can be connected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hrough one support member 110, which is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connected only with the joint member (W).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inding forc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바디부(120)는 지지부재(110)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20)는 내부에 중공(120a)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20 may be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support member 110 , and a scale may be display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example, the body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hollow 120a therein,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ilicone, rubber, or urethane.

바디부(120)에 형성된 눈금은 콘크리트(C)가 타설된 높이를 수치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눈금을 통해 작업자는 콘크리트(C) 표면의 높낮이를 감지하여 높이가 높은 곳은 깎아 내리고 높이가 낮은 곳은 콘크리트(C)를 보충시킴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수평레벨을 맞출 수 있다. The scale formed on the body part 120 is for numerically indicating the height at which the concrete (C) is poured. Through this scale, the operator senses the height of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 and cuts off the high place and the height is lowered. By replenishing concrete (C) in the lower place, it is possible to match the horizontal level of the concrete (C) to be poured.

레벨링 부재(130)는 바디부(120)의 상부에 제공되고,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레벨 표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벨링 부재(130)는 바디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중공(120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링 부재(130)와 바디부(120)는 억지 끼움, 나사 결합, 본딩 결합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e leveling member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and may include a level indicator 131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C can be grasped from the outside. The leveling member 130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llow 120a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 For example, the leveling member 130 and the body portion 1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interference fitting, screw coupling, bonding coupling, and the like.

레벨 표시부(131)의 상부는 콘크리트(C)의 타설 후 외부로 노출되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100)이 설치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C)가 레벨 표시부(13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밀대를 통해 콘크리트(C)를 쓸어 레벨 표시부(131)의 높이까지 위치시키고, 콘크리트(C)의 양이 많아 레벨 표시부(131)가 콘크리트(C)에 묻힐 경우에는 레벨 표시부(131)의 높이까지 밀대로 콘크리트(C)를 긁어내려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level display unit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after the concrete (C) is poured to indicate the location where the level rod 100 for concrete pouring is installed. Accordingly, when the concrete (C) to be poured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level display unit 131, sweep the concrete (C) through the pusher and position it up to the height of the level display unit 131, and the level of the concrete (C) is large because the amount of concrete (C) is large. When the display unit 131 is buried in the concrete (C), it is possible to keep the level by scraping the concrete (C) with a pusher up to the height of the level display unit 131 .

이렇게 콘크리트(C)의 수평이 유지되면 미장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미장 작업 중 미장 칼날에 의해 레벨링 부재(130)가 간섭받게 되므로, 미장 작업 전에 레벨링 부재(130)를 제거할 수 있다. 일례로 레벨링 부재(130)를 바디부(1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하여 분리시키거나, 콘크리트(C)의 상부로 노출된 레벨링 부재(130)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만약, 레벨링 부재(130)를 바디부(12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한 경우에는 콘크리트(C)는 레벨 표시부(131)의 높이까지 위치하게 되고, 레벨링 부재(130)가 분리되면서 주위에 타설되어 있던 콘크리트(C)가 바디부(120)의 상부를 메우게 된다. If the level of the concrete C is maintained in this way, a plastering operation is performed. Since the leveling member 130 is interfered with by the plastering blade during the plastering operation, the leveling member 130 can be removed before the plaster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leveling member 130 may be detachably formed from the body 120 to be separated, or the leveling member 130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C may be cut and removed. If the leveling member 130 is detachably formed from the body portion 120, the concrete C is positioned up to the height of the level indicator 131, and the leveling member 130 is poured around as the separation is made. The existing concrete C fills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0 .

레벨링 부재(130)에 형성된 레벨 표시부(1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레벨 표시부(131)가 복수로 구비됨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C)의 높이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131)의 직경은 상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레벨 표시부(131)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레벨링 부재(130)가 절단하도록 형성된 경우 절단기의 날이 상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131)에 간섭되지 않기 위함이다. A plurality of level display units 131 formed on the leveling member 130 may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as a plurality of level display units 131 are provided, it may be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ncrete C to be poured.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level indicator 131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vel indicator 131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That is, the plurality of level display units 131 may be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is is to prevent the blade of the cutter from interfering with the level display unit 131 located thereon when the leveling member 130 is formed to cut.

한편, 레벨 표시부(131)의 외주면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벨 표시부(131)의 외주면은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벨 표시부(131)의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밀대질을 할 때, 밀대가 경사면을 타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 display unit 131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whose diameter de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other word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 indicator 131 may be formed in a tapered shape. As such,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 display unit 131 is formed to be inclined, when pushing to level the level, the pushing bar can move smoothly along th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재(110)는 베이스부(111)와,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3), 및 수평 유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110 may include a base part 111 , a first fixing part 112 , a second fixing part 113 , and a horizontal holding part 114 .

베이스부(111)는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이 교차하는 부위에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중앙에는 바디부(120)의 하측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 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1)는 삼각의 판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각삼각형 구조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빗변을 제외한 제1 변(A1) 및 제2 변(A2)은 각각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유지부(114)에 연결될 수 있다. The base portion 111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ntersect, and in the center, a through hole 111a through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20 passes. ) can be formed. For example, the base part 111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plate shape, more specifically, a plate shape having a right-angled triangular structure, and the first side A1 and the second side A2 excluding the hypotenuse are each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maintaining part 114 extending from one side.

이와 같이, 베이스부(111)가 삼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각의 판 형상에 비하여 지지부재(110)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 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를 줄여 제조 비용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as the base portion 111 is formed in a triangular plate sha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upport member 110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upport member 110 compared to the rectangular plate shape, and to reduce the waste of unnecessary materials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e able to

제1 고정부(112)는 베이스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 철근(10)의 상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12)는 베이스부(111)의 제1 변(A1)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형상이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art 11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base part 111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art 112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first side A1 of the base part 111, and the extended shape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llow cylinder is bis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제2 고정부(113)는 베이스부(111)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제2 철근(20)의 상측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부(113)는 수평 유지부(114)를 통해 제2 변(A2)에 연결될 수 있고, 연장된 형상이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fixing part 11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111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For example, the second fixing part 11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A2 through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 and the extended shape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llow cylinder is bis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한편, 제1 고정부(112)의 중심선을 O1이라 하고, 제2 고정부(114)의 중심선을 O2라고 가정하면, 제1 고정부(112)의 중심선(O1)은 제1 철근(10)에 결합할 때 제1 철근(10)의 중심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부(114)의 중심선(O2)은 제2 철근(20)에 결합할 때 제2 철근(20)의 중심섬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3)는 위에서 보았을 때, 제1 중심선(O1)과 제2 중심선(O2)이 90도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3) 사이에 90도의 끼인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3)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center line of the first fixing part 112 is O1 and the center line of the second fixing part 114 is O2, the center line O1 of the first fixing part 112 is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 It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isla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when coupled to, and the center line O2 of the second fixing part 114 is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when coupled to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It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ral island of (see FIG. 4). In addition,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are formed such that the first central line O1 and the second central line O2 intersect at 90 degrees when viewed from above, so that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first fixing part 112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It may be formed to have an included angle of 90 degrees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s 113 . That is,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may be arranged in a 'L' shape.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는 탄성 변형되며 각각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에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는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가 높은 금속 소재, 일례로 텅스텐, 알루미늄, 니켈, 구리,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합금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도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의 두께를 0.3mm ~ 1.0mm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respectively. To this end,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are a metal material having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for example, tungsten, aluminum, nickel, copper, or a metal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m. It may be formed of an alloy material.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0.3 mm to 1.0 mm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while having a certain strength.

수평 유지부(114)는 베이스부(111)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고정부(113)와 베이스부(11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제2 철근(20)이 제1 철근(1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가 각각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에 안착되는 경우, 제1 고정부(112)와 제2 고정부(113) 사이에는 단차가 존재하여 베이스부(111)가 기울어질 수 있는데, 베이스부(111)와 제2 고정부(113) 사이에 수평 유지부(114)를 제공함으로써 베이스부(111)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horizontal maintaining part 114 is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ity of the base part 111 , and may connect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113 and the base part 111 . That is, since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located above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ar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10 and 20 ), there is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so that the base part 111 may be inclined. ) by providing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between the base part 111 will be a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구체적으로, 수평 유지부(114)는 베이스부(111)의 제2 변(A2)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고정부(113)와 베이스부(11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horizontal maintaining part 114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second side A2 of the base part 111 to connect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113 and the base part 111 .

도 4를 참조하면, 수평 유지부(114)의 길이(L)는 제1 중심선(O1)과 제2 중심선(O2)의 높이 차이(바디부(120)가 연장되는 방향)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수평 유지부(114)의 길이(L)는 제2 철근(20)의 반지름(R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유지부(114)의 길이(L)는 제1 철근(10)의 반지름(R1)과 제2 철근(20)의 반지름(R2) 길이를 합한 길이(L = R1 + R2)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length L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may be expressed as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center line O1 and the second center line O2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art 120 extends). In addition, the length (L)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adius (R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For example, the length (L) of the horizontal holding unit 114 is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radius (R1)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radius (R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L = R1 + R2) can be provided as

이는 제1 고정부(113)가 반구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평 유지부(114)의 길이가 제2 철근(20)의 반지름보다 작으면, 수평 유지부(114)가 제1 철근(10)과 제2 철근(20) 사이의 단차를 커버하지 못해 제1 고정부(112)가 제1 철근(10)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3)가 반구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평 유지부(114)의 길이가 제1 철근(10)의 반지름(R1)과 제2 철근(20)의 반지름(R2) 길이를 합한 길이(L = R1 + R2)보다 크면, 수평 유지부(114)의 길이는 1 철근(10)과 제2 철근(20) 사이의 단차보다 커지게 되므로 제2 고정부(113)가 제2 철근(20)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제2 고정부(113)가 제2 철근(20)이 위치한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is that when the first fixing part 113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if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is the first reinforcing bar ( This is because the first fixing part 112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located because it cannot cover the step difference between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And, when the first fixing part 113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cross sectio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is the radius R1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radius R2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lengths (L = R1 + R2),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114 becomes greater than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so the second fixing part 113 is lifted from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so that the second fixing part 113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is located.

전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100)은 지지부재(110)에 구비된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를 통해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 이음 부재(W)로만 연결되어 있던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의 결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설 작업 시 이음 부재(W)가 풀어지거나 끊어지더라도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은 지지부재(110)에 의해 단단히 결속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vel rod 100 for pouring concrete is a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 20), the binding forc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which were only connected by the joint member W,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even if the joint member W is loosened or broken during the pouring operation,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may be firmly bound by the supporting member 110 .

또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100)이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콘크리트(C)의 타설 호스가 레벨봉(100)을 스치고 지나더라도 레벨봉(100)이 철근들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level bar 100 for pouring concrete is stably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 even if the pouring hose of the concrete C rubs the level bar 100 , the level bar (1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inforcing bars, work efficiency can be increased.

또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100)이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 바닥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에 고정되는 것이어서, 콘크리트 슬래브 하부 바닥의 종류와 상관없이 설치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evel bar 100 for pouring concrete is not fixed to the lower floor of the concrete slab as in the prior art, but is fixed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lower floor of the concrete slab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stall.

아울러, 지지부재(110)의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가 각각 제1 철근(10) 및 제2 철근(2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레벨봉(100)을 잘못 설치하였을 때 이동 설치가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of the support member 110 are detachably formed from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20, respectively, the level bar 100 )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ove and install when installed incorrectly.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부(120)는 높이 조절부(121)와, 너트부(122)를 포함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120 may include a height adjustment part 121 and a nut part 122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높이 조절부(121)는 바디부(120)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조절부(121)는 베이스부(111)의 관통 홀(11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관통 홀(111a)의 지름을 높이 조절부(12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하고 바디부(12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하여, 바디부(120)의 하측 단부가 베이스부(111)에 지지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1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of the body part 120 ,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 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1a of the base part 111 .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1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1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art 120 ,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20 is supported by the base part 111 . can be formed as much as possible.

너트부(122)는 베이스부(111)의 하부에서 관통 홀(111a)을 통과한 높이 조절부(121)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 조절부(121) 또는 너트부(122)를 회전시키는 경우 바디부(12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를 원하는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The nut part 122 may be coupled to the thread of the height adjusting part 121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11a in the lower part of the base part 111 . Accordingly, when the height adjusting unit 121 or the nut unit 122 is rotated, the length of the body unit 12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so that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C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desired.

예를 들어, 너트부(122)가 베이스부(111)의 하측면에 고정된 경우 높이 조절부(121)를 회전시켜 바디부(120)의 길이를 증감할 수 있고, 너트부(122)가 베이스부(111)에 고정되지 않은 경우 베이스부(111)와 너트부(122) 사이에 일정 두께를 갖는 높이 조절 판을 개재시킨 후 높이 조절부(121)와 너트부(122)를 상호 결합시킴으로써 바디부(120)의 길이를 증감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nut part 122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111,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2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rotating the height adjustment part 121, and the nut part 122 is When not fixed to the base portion 111, by interposing a height adjustment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between the base portion 111 and the nut portion 122, and then coupling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121 and the nut portion 122 to each other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2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에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5 is an exploded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5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200)에 포함된 베이스부(111)의 관통 홀(111a) 내부에는 제1 나사산(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20)의 하측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 나사산(11a)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2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20)의 하측에 형성된 제2 나사산(21a)은 전술한 높이 조절부(1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으로 제공되어 제1 나사산(11a)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바디부(120)의 하측 외주면에 제공되어 제1 나사산(11a)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first screw thread 11a may be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111a of the base part 111 included in the level rod 200 for pouring concrete. In addition, a second screw thread 21a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11a may b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body 120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screw thread 21a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20 may be provided as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height adjusting part 121 to be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11a. And, although not shown, it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20 and 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11a.

이에 따라, 바디부(120)를 회전시키는 경우 바디부(120)는 베이스부(111)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바디부(12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디부(120)를 회전시키면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를 원하는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ody part 120 is rotated, the body part 120 can move upward or downward from the base part 111, and the length of the body part 12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using this structure. do. Therefore, when the body portion 120 is rota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C) as much as desir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에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6 is an exploded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6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300)에 포함된 바디부(120)의 상측 내주면에는 제3 나사산(21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벨링 부재(130)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3 나사산(21b)에 결합되는 제4 나사산(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벨링 부재(130)를 회전시키는 경우 레벨링 부재(130)는 바디부(120)로터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레벨링 부재(130)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레벨링 부재(130)를 회전시키면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를 원하는 만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 third screw thread 21b may be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120 included in the level rod 300 for pouring concrete. In addition, a fourth screw thread 31b coupled to the third screw thread 21b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ing member 130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leveling member 130 is rotated, the leveling member 130 can move upward or downward from the body part 120, and the length of the leveling member 130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by using this structure. do. Therefore, when the leveling member 130 is rotated,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C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desired.

또한, 레벨링 부재(130)가 바디부(12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타설 작업의 완료 후 콘크리트(C) 외부로 노출된 레벨링 부재(130)의 절단 작업 없이 레벨링 부재(130)를 바디부(1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the leveling member 130 is formed detachably from the body portion 120, the leveling member 130 without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leveling member 1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C)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ouring operation to the body Since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unit 120 and remove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의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에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7 is an exploded view of a level rod for pouring concre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difference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7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400)은 제1 고정부(112) 및 제2 고정부(113)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연장부(112A) 및 제2 연장부(113A)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level rod 400 for pouring concrete is a first extension part 112A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13A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112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3 . ) may be included.

제1 연장부(112A)는 제1 변(A1)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1 고정부(112)의 단부로부터 제1 중심선(O1) 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112A)는 제1 철근(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부(112)와는 다른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고정부(112)를 탄성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제공하고, 제1 연장부를 탄성 변형되는 소재로 제공됨함으로써 사용시 제1 연장부(112A)가 탄성 변형되며 제1 철근(10)에 끼워질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art 112A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rst fixing part 112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ide A1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center line O1 .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A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 and may be provided with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fixing portion 112 . For example, by providing the first fixing part 112 with a material that does not elastically deform, and by providing the first extension with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the first extension 112A is elastically deformed during use and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is used. can be inserted into

또한, 다른 예시로써 제1 연장부(112A)는 제1 고정부(112)와 함께 제1 철근(10)을 선택적으로 감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112A)는 제1 고정부(112)에 체결되는 체결부(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체결부를 통해 제1 연장부(112A)를 제1 고정부(112)에 고정시켜 제1 철근(10)을 완전히 감쌀 수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12A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selectively surrounds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together with the first fixing portion 112 .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112A includes a fastening part (not shown) fasten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2 , so that the first extension part 112A is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art 112 through the fastening part. By fixing to the first reinforcing bar 10 can be completely wrapped.

제2 연장부(113A)는 제2 변(A2)의 반대 측에 위치하는 제2 고정부(113)의 단부로부터 제2 중심선(O2) 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장부(113A)는 제1 연장부(112A)와 동일한 소재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econd extension part 113A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113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side A2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center line O2 . The second extension 113A may have the same material and shape as the first extension 112A,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able Accordingly, the tru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제1 철근 20: 제2 철근
110: 지지부재 111: 베이스부
112: 제1 고정부 113: 제2 고정부
114: 수평 유지부 120: 바디부
121: 높이 조절부 122: 너트부
130: 레벨링 부재 131: 레벨 표시부
10: first reinforcing bar 20: second reinforcing bar
110: support member 111: base portion
112: first fixing part 113: second fixing part
114: horizontal maintaining part 120: body part
121: height adjustment unit 122: nut unit
130: leveling member 131: level display unit

Claims (14)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배치된 제1 철근과 상기 제1 철근의 상부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2 철근 사이에 제공될 수 있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수직방향으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외부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레벨 표시부를 포함하는 레벨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철근 및 제2 철근이 교차하는 부위에 평평한 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철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제1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철근의 상측 일부를 감싸는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 표시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하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의 직경은 상부에 위치한 레벨 표시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In the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provided to level the concrete being poured,
a support member that may be provided between a first reinforcing bar disposed in one direc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bar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 body portion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support member and marked with a scal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leveling memb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level display por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determine the pouring height of the concrete from the outside;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base portion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at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s, and a first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to surround a portion of an upper side of the first reinforcing bars; A second fixing part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and a horizontal maintaining part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fixing part and the base part,
The level indicator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diameter of the level indicator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vel indicator located at the upper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2 철근의 반지름 보다 크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is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tha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유지부의 길이는 상기 제1 철근의 반지름과 상기 제2 철근의 반지름 길이를 합한 길이로 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holding part is a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provided as a sum of the radius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radius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중공의 원기둥을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level rods for pouring concret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hollow cylinder is bis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1 철근 및 제2 철근에 탈착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ba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두께는 0.3mm ~ 1.0mm의 크기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fixing part and the second fixing part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the thickness is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formed in a size of 0.3mm ~ 1.0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삼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is a level rod for concrete pouring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 일부가 통과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in whic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passes is formed in the base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는 높이 조절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서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한 상기 높이 조절부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part,
A height adjusting part protruding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body part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Concrete pouring level bar including a nut portion coupl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의 지름은 상기 높이 조절부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고 바디부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ight adjustment part and the level rod for concrete pouring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dy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관통 홀 내부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screw thread is formed inside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art,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formed with a second screw thread coupled to the first screw threa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측 내주면에는 제3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레벨링 부재의 하측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3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4 나사산이 형성된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thread is formed on the upp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level bar for pouring concrete formed with a fourth screw thread coupled to the third screw thread on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ling member to enable height adjus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표시부의 외주면은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봉.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vel display unit is a level bar for concrete pouring which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that decreases in diamet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KR1020190123981A 2019-10-07 2019-10-07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KR1022897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81A KR102289730B1 (en) 2019-10-07 2019-10-07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981A KR102289730B1 (en) 2019-10-07 2019-10-07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69A KR20210041369A (en) 2021-04-15
KR102289730B1 true KR102289730B1 (en) 2021-08-12

Family

ID=7544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981A KR102289730B1 (en) 2019-10-07 2019-10-07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7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2672B (en) * 2021-07-19 2022-07-08 中建八局西南建设工程有限公司 Pouring tool suitable for arc stand
KR102597402B1 (en) * 2023-03-03 2023-11-02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Shear pocket device for manufacturing precast slab deck,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recast slab deck containing leveling control device manufactured thereb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08Y1 (en) * 2001-12-17 2002-03-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Angle Tybe Coupling for Reinforcing Bar joint
JP2019094641A (en) * 2017-11-20 2019-06-20 有限会社わたなべ Top level control too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285B1 (en) * 2001-06-12 2004-04-27 김진술 Building levelling rod
KR200448246Y1 (en) 2009-09-16 2010-03-29 김봉열 Concrete Leveling R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08Y1 (en) * 2001-12-17 2002-03-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Angle Tybe Coupling for Reinforcing Bar joint
JP2019094641A (en) * 2017-11-20 2019-06-20 有限会社わたなべ Top level control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369A (en) 202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730B1 (en) Leveling rod for concrete pouring
JP3850833B2 (en) Leveling rod for building construction
US5595039A (en) Chairs of adjustable height for use in concrete constructions
KR100717766B1 (en) Hollow pipe unit of slab and slab thereof
KR101688192B1 (en) Micropile and Method of Construction Micropile
WO2007108670A1 (en) Device for aligning modular centres in concrete walls, and alignment method
CN106164379B (en) Column support device
CN107735535B (en) Stackable wall spacer for supporting reinforcement in concrete construction
KR910001393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rigid structure upon the bottom of a body of water as well as lost casing fbottom of a body of mater as well as lost casting or performing said method for preforming baid method
KR20130025188A (en) Bar support for mass reinforced concrete member and method of upper bar arrangement using the same
KR20180045441A (en) Possible angle adjustment boundary stone fixed support frame
CN106968268B (en) Installation method of foundation bolt
KR20130113067A (en) Basic-level fixed anchor and it using construction method
KR100867976B1 (en) A pile head reinforcement device of precast concrete pile
CN209907973U (en) A spout structure that is arranged in civil engineering to use and prevents that material from receiving gravity departure
KR101298399B1 (en) 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JP2017036646A (en) Catch basin, and protective frame of catch basin
KR100709272B1 (en) Level spacer for slab
KR20100124577A (en) A joint device for concret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215935Y1 (en) Apparatus for setting a wall mould
JP2019007345A (en) Precast pile
JP4468102B2 (en) Pile head support structure
CN218861576U (en) Highway basic unit construction limit portion supporting device
EP4223930A1 (en) Concrete slab with drainage holes
KR200189886Y1 (en) A horizontal utensil for a wall mould of the cement concret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