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46U - 반구 모형 전기채 - Google Patents
반구 모형 전기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146U KR20210001146U KR2020190004629U KR20190004629U KR20210001146U KR 20210001146 U KR20210001146 U KR 20210001146U KR 2020190004629 U KR2020190004629 U KR 2020190004629U KR 20190004629 U KR20190004629 U KR 20190004629U KR 20210001146 U KR20210001146 U KR 2021000114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cts
- mesh
- hemisphere
- present
- cei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채에서 벌레가 접촉되는 그물망 디자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평평한 디자인이 벽에 닿았을 때 여유 공간이 부족하여 벌레가 터지고, 기존의 거리가 짧아 벌레 공포증이 심한 사람은 모기나 파리 보다 큰 벌레를 잡기에 용이하지 않다. 벌레가 터지는 것을 막고자 그물망을 반구로 변경하여 벽에 부착 시킬 경우 여유 공간을 두고, 레버를 통해 상황에 맞는 각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기채
Description
본 고안은 반구 모형을 갖춘 전기채로, 상세하게는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반구를 통해 벌레(해충)를 가두고서, 반구 전체에 전기를 보내 접촉되는 벌레(해충)를 기절 또는 박멸하는 전기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기나 파리와 같은 퇴치 방법은 모기향, 스프레이 형 살충제 ,밝은 빛이나 해충들이 좋아하는 물질을 유인하는 등을 이용하여 잡거나 손으로 잡는 예시가 많았다.
전기채의 경우 야외 실내 모두 사용될 수 있고 매우 간편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 가능하다. 해충 퇴치 시 기존의 파리채 사용과는 달리 전기를 사용하기에 위생상 안전하고 약품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전혀 해가 없는 강점이 있다.
전기채 가동을 위한 조건으로는 3V가 필요하며, AA 건전지 2개로 충당한다. 전원 입력단에서 승압을 위해 직류를 교류로 전환시켜 트랜스에서 전압이 증폭될 수 있도록 한다. 승압 트랜스에서 만들어진 고전압은 마지막 콘덴서에 저장이 되고, 접촉망에 순간적으로 고전압이 방전되면서 벌레가 기절 또는 박멸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에 존재하는 평평한 전기채 디자인으로 인해 생기는 불편함(벽면에 닿았을 때 공간이 부족하여 벽에 붙은 벌레가 눌려서 터짐)을 반구로 변경하여 그리마, 바퀴벌레와 같은 벌레가 벽면이나 천장에 있을 경우 더 쉽게 잡기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물망에 벌레가 기절되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망치지 못하게 가둘 수 있고, 천장에 접촉이 되었을 때 벌레의 터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자인 된 반구 그물망
40~50cm 길이로 벌레와의 거리를 둘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서 전류에 대한 방류로 사용자가 피해 입는 것을 최소화 하는 손잡이;
전기채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천장에 휘둘렀을 때 충격을 전기채에게 오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망 테두리;
도면2와 같이 그물망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레버;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형태의 전기채 디자인으로 파리와 모기에 그치지 않고, 전창이나 벽에 붙어 있는 바퀴벌레와 여치 같은 벌레들을 박멸할 수 있다.
천장에 붙어있는 벌레만 잡는 것이 아니라, 날라가는 벌레 또한 박멸이 가능하고 이는 교실이나 집안으로 들어온 벌레를 살충제를 사용하여 공기의 오염시키는 과정 없이도 안전하게 박멸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 본 고안에서 45도로 레버를 사용하여 기울어진 예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
도 2 도 1의 변형을 이해를 돕기 위한 좌측면도
도 2 도 1의 변형을 이해를 돕기 위한 좌측면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1은 반구 모양의 디자인을 적용하여 천장과 벽에 붙어 있는 벌레를 잡기에 편리하도록 한 디자인을 나타낸 것으로, 그물망(210), 그물망 테두리(200), 레버(310), 손잡이(320), 스위치(33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반구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제품에 의도를 가진 사용자가 스위치(330)를 작동하면 그물망(210)에 접촉된 벌레가 박멸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사용 환경에 따라 벽이나 천장에 존재하는 벌레를 박멸해야 할 경우 레버(310)를 통해 각도를 조절한 후 사용자는 손잡이(320)를 잡고서 그물망 테두리(200)안에 벌레를 우선적으로 가둬야 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하의 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 져야 할 것이다.
200 : 그물망 테두리
210 : 그물망
310 : 레버
320 : 손잡이
330 : 스위치
210 : 그물망
310 : 레버
320 : 손잡이
330 : 스위치
Claims (1)
-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면1에서 도면2의 형태로 그물망의 각도를 변형 가능하도록 하는 레버(310);
전압을 증폭시켜 벌레나 해충들에게 타격을 가해 그들을 죽이는 전기채에 있어서 그물망에 벌레가 기절되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망치지 못하게 가둘 수 있고, 천장에 접촉이 되었을 때 벌레의 터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디자인 된 반구 그물망(210);
전기채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천장에 휘둘렀을 때 전기채에게 오는 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부드럽고 탄력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망 테두리(2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 모형 전기채 (Hemisphere model electric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629U KR20210001146U (ko) | 2019-11-18 | 2019-11-18 | 반구 모형 전기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629U KR20210001146U (ko) | 2019-11-18 | 2019-11-18 | 반구 모형 전기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146U true KR20210001146U (ko) | 2021-05-26 |
Family
ID=76145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4629U KR20210001146U (ko) | 2019-11-18 | 2019-11-18 | 반구 모형 전기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1146U (ko) |
-
2019
- 2019-11-18 KR KR2020190004629U patent/KR20210001146U/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0653Y1 (ko) | 다기능 해충퇴치기 | |
US20120180379A1 (en) | Flytrap | |
KR20140086266A (ko) | 전기 해충 퇴치기 | |
KR101621958B1 (ko) | 농업용 해충 포획장치 | |
KR101852714B1 (ko) | 해충포획기 | |
WO2010015884A1 (en) | Portable insect swatter | |
KR20210001146U (ko) | 반구 모형 전기채 | |
KR101247786B1 (ko) | 벌레 잡이 장치 | |
KR200467175Y1 (ko) | 선풍기를 이용한 해충 퇴치기 | |
KR101794210B1 (ko) | 전기 해충 퇴치기 | |
JP2002281882A (ja) | 感電式虫撃退器 | |
KR200478938Y1 (ko) | 해충 포획기 | |
Diclaro et al. | Integration of fly baits, traps, and cords to kill house flies (Diptera: Muscidae) and reduce annoyance | |
CN205390076U (zh) | 一种枣食芽象甲成虫诱杀装置 | |
US20220132823A1 (en) | Combined Personal Comfort Device and Pest Control Device for Flying Insects | |
KR20190063011A (ko) | 큐브형 포충기 | |
KR20140051647A (ko) | 모기 유인과 살충 기능을 갖는 모기채 | |
KR20170108346A (ko) | 휴대용 엘이디 유인 전격 해충 살충기 | |
KR200387267Y1 (ko) | 파리잡이 통 | |
KR20160002732U (ko) | 날벌레 잡는 장갑 | |
KR102688506B1 (ko) | 벌레잡이 도구 | |
KR200425857Y1 (ko) | 태양전지 구동식 해충 포획 및 살충용 장치 | |
KR20170060993A (ko) | 벌레를 안전하게 잡는 전기 파리채 | |
CN211153452U (zh) | 一种防逃逸害虫诱捕器 | |
CN213369518U (zh) | 一种林业工程用除虫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