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26U - 젤리 키캡 - Google Patents
젤리 키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126U KR20210001126U KR2020200000696U KR20200000696U KR20210001126U KR 20210001126 U KR20210001126 U KR 20210001126U KR 2020200000696 U KR2020200000696 U KR 2020200000696U KR 20200000696 U KR20200000696 U KR 20200000696U KR 20210001126 U KR20210001126 U KR 2021000112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cap
- jelly
- keycap
- transparent c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젤리 키캡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젤리 키캡은 젤리 키캡에 있어서, 투명캡과 차광캡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캡 상면에 문자 투과공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캡은 개구된 수납 캐비티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캡 상단 벽 내부 표면이 개구를 향해 연장되어 도광체를 형성하고, 상기 차광캡이 수납 캐비티 몸체 내에 감입되어 문자 투과공을 도광체 표면에 인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키보드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젤리 키캡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는 컴퓨터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입력장치로서, 종래의 키보드는 광선이 부족한 환경에서 문자 식별자를 잘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발광 키캡이 출현하게 되었으나, 발광 키캡이 빛을 차폐하여 대부분의 광선을 소모하므로 키보드의 밝기가 부족했다. 광 투과 문자 또는 부호를 갖추지 않은 키보드의 경우, 광선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이러한 누름키 상의 문자 또는 부호를 잘 알아보기가 어렵다. 각 누름키 표면마다 광 투과 문자 또는 부호를 설치하는 방식을 채택하더라도, 광 투과 문자 또는 부호가 일반적으로 모두 비교적 작기 때문에, 광선이 부족한 상황에서 역시 선명하게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누름키 표면에 광 투과 문자 또는 부호를 설치하려면 모두 이중 색상 사출 공정 등과 같은 특수한 가공 공정이 있어야만 구현 가능하므로 가공 공정이 복잡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빛을 투사할 수 있으면서 문자 식별자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 젤리 키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이하 기술방안을 채택하였다: 젤리 키캡은 투명캡과 차광캡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캡 상면에 문자 투과공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캡은 개구된 수납 캐비티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캡 상단 벽 내부 표면이 개구를 향해 연장되어 도광체를 형성하고, 상기 차광캡이 수납 캐비티 몸체 내에 감입되어 문자 투과공을 도광체 표면에 인접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캡은 투광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캡의 상면은 경사진 오목 원호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캡은 불투광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캡 저부에 키축이 설치되고, 키축 중앙부에 십자형 오목홈이 개설된다.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문자 투과공은 자모, 숫자, 부호, 기능문자 등의 문자일 수 있으며, 문자 투과공마다 각기 다른 키 캡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문자 투과공은 광 투과 기능을 구비하여, 키보드의 누름키가 방출하는 광선을 발산시켜, 키보드의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투명캡 상면은 광선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선이 투명캡의 상면으로부터 직접 발사되므로 더욱 밝은 광선효과를 형성하여, 키보드가 더욱 양호한 발광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투명캡과 차광캡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투명캡 상단 벽이 차광캡 상부 표면을 향해 무장애 도광체를 형성함으로써, 광 소모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투명캡 상단 벽은 더욱 큰 광선흡수각과 집광 효과를 형성하여, 키보드 누름키가 방출하는 광선을 투명캡 내부로 도입시킨다. 투명캡이 전체적으로 광을 투과하고, 게다가 광의 굴절 원리가 더해져, 광선이 동시에 투명캡의 기타 3개의 측면을 통해 사출됨으로써, 키캡에 젤리 느낌을 형성하며, 시각 효과가 더욱 눈부시고, 화려하게 한다. 상기 차광캡의 상면은 경사진 오목 원호면이며, 이에 따라 투명캡의 문자에 인접한 측벽에 렌즈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에 고휘도면을 형성하여 더욱 선명한 누름키 간극을 형성하며, 인접한 누름키가 더욱 분명하게 구분되어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캡 상부 벽의 두께는 투명캡 측벽보다 두꺼우며, 이에 따라 투명캡 상부 표면과 문자 투과공 사이에 소정의 높이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투명캡 측면을 통해 문자를 보기에 유리하고, 문자 식별자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젤리 촉감 키 캡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캡(1)과 차광캡(2)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캡(2) 상면에 문자 투과공(21)이 설치된다. 상기 투명캡(1)은 차광캡(2) 외측에 덮이고, 상기 투명캡은 개구된 수납 캐비티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투명캡 상단 벽 내부 표면은 개구를 향해 연장되어 도광체를 형성하며, 상기 차광캡이 수납 캐비티 몸체 내에 감입되어 문자 투과공을 도광체 표면에 인접시킴으로써, 상기 투명캡(1) 상단 벽의 두께가 투명캡(1) 측벽의 두께보다 두꺼워지도록 하며, 두 배의 두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캡(1) 측벽의 두께는 차광캡(2) 측벽의 두께와 같다. 따라서 문자가 투명캡(1) 측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명캡(1)은 투광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캡(2)의 상면은 경사진 오목 원호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캡(2)은 불투광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광캡(2) 저부에 키축(3)이 설치되며, 키축(3) 중앙부에 십자형 오목홈이 개설된다.
본 고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문자 투과공(21)은 자모, 숫자, 부호, 기능문자 등의 문자일 수 있으며, 문자 투과공(21)마다 각기 다른 키 캡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문자 투과공(21)은 광 투과 기능을 구비하여, 키보드의 누름키가 방출하는 광선을 발산시켜, 키보드의 발광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투명캡(1) 상면은 광선이 방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선이 투명캡(1)의 상면으로부터 직접 발사되므로 더욱 밝은 광선효과를 형성하여, 키보드가 더욱 양호한 발광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투명캡(1)과 차광캡(2)이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되어 투명캡(1) 내벽이 무장애 도광체(11)를 형성함으로써, 광 소모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투명캡(1) 상단 벽은 더욱 큰 광선흡수각과 집광 효과를 형성하여, 키보드 누름키가 방출하는 광선을 투명캡(1) 내부로 도입한다. 광의 굴절 원리에 의해, 광선이 동시에 투명캡(1)의 기타 3개의 측면을 통해 사출됨으로써, 키 캡에 젤리 느낌을 형성하며, 시각 효과가 더욱 눈부시고, 화려하게 한다. 상기 차광캡(2)의 상면은 경사진 오목 원호면이며, 이에 따라 투명캡(1)의 문자에 인접한 측벽에 렌즈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측면에 고휘도면을 형성하여 더욱 선명한 누름키 간극을 형성하므로, 인접한 누름키가 더욱 분명하게 구분되어 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캡(1) 상부 벽의 두께는 투명캡(1) 측벽보다 두꺼우며, 이에 따라 투명캡(1) 상부 표면과 문자 투과공(21) 사이에 소정의 높이가 구비되어, 외부에서 투명캡(1) 측면을 통해 문자를 보기에 유리하고, 문자 식별자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본 고안은 구조가 단순하고, 복잡한 공정이 필요 없으며, 키스오프(kiss-off) 사출몰드 구조 공정을 이용하여 문자 투과공을 구비한 차광캡을 형성한 다음, 2차 사출 성형을 통해 투광캡을 형성하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문자의 발광 효과를 즉시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방식은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방식에 대해서만 묘사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설계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본 분야의 보통 기술자가 본 고안의 기술방안에 대해 실시하는 각종 변형과 개선은 모두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결정된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1: 투명 캡
2: 차광 캡
3: 키축 11: 무장애 도광체
21: 문자 투과공
3: 키축 11: 무장애 도광체
21: 문자 투과공
Claims (5)
- 젤리 키캡에 있어서,
투명캡과 차광캡을 포함하며, 상기 차광캡 상면에 문자 투과공이 설치되고, 상기 투명캡은 개구된 수납 캐비티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투명캡 상단 벽 내부 표면이 개구를 향해 연장되어 도광체를 형성하고, 상기 차광캡이 수납 캐비티 몸체 내에 감입되어 문자 투과공을 도광체 표면에 인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캡은 투광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캡의 상면은 경사진 오목 원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키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캡은 불투광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키캡.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캡 저부에 키축이 설치되고, 키축 중앙부에 십자형 오목홈이 개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리 키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921962044.7 | 2019-11-14 | ||
CN201921962044.7U CN210516561U (zh) | 2019-11-14 | 2019-11-14 | 一种果冻感键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126U true KR20210001126U (ko) | 2021-05-25 |
Family
ID=7057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0696U KR20210001126U (ko) | 2019-11-14 | 2020-02-27 | 젤리 키캡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1126U (ko) |
CN (1) | CN210516561U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18234A (zh) * | 2020-10-10 | 2021-03-19 | 宁波劳伦斯汽车内饰件有限公司 | 一种透光金属饰件的加工方法 |
-
2019
- 2019-11-14 CN CN201921962044.7U patent/CN210516561U/zh active Active
-
2020
- 2020-02-27 KR KR2020200000696U patent/KR20210001126U/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210516561U (zh) | 2020-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147528U (zh) | 键、照明结构、键盘以及电子设备 | |
US20140151205A1 (en) | Locally illuminated keycap | |
TWI416565B (zh) | 發光鍵盤 | |
CN102468074B (zh) | 键盘 | |
TWI590280B (zh) | 發光鍵盤 | |
CN105577157B (zh) | 一种分体式双光路按键开关及机械键盘 | |
TWI779292B (zh) | 搖桿模組 | |
KR20210001126U (ko) | 젤리 키캡 | |
US20230108859A1 (en) | Keyboard and keycap thereof | |
TW200945113A (en) | Light-emitting module and keyboard having the same | |
JP2010027273A (ja) | 透光式操作子ユニット | |
TWI501275B (zh) | 發光鍵盤裝置 | |
TWI748895B (zh) | 字符亮度一致的鍵盤按鍵 | |
US9887052B1 (en) | Light guide plate and light emitting keyboard having the same | |
CN201758091U (zh) | 发光键盘 | |
CN215008019U (zh) | 键帽和键盘 | |
CN216435744U (zh) | 发光键盘 | |
CN212725100U (zh) | 一种侧边发光的键盘 | |
CN106210473B (zh) | 终端设备 | |
KR100905232B1 (ko) | 도광키판 및 이를 구비한 발광 키패드 | |
CN211125460U (zh) | 一种具有led灯的发光键盘 | |
US20120171414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 User Input El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 |
TWI494961B (zh) | 透光按鍵、透光鍵帽及透光鍵帽的製造方法 | |
JP4183636B2 (ja) | 高明度表示物及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 |
CN203870569U (zh) | 具指示灯的键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