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28A - 식사도구 - Google Patents

식사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28A
KR20210001028A KR1020190076439A KR20190076439A KR20210001028A KR 20210001028 A KR20210001028 A KR 20210001028A KR 1020190076439 A KR1020190076439 A KR 1020190076439A KR 20190076439 A KR20190076439 A KR 20190076439A KR 20210001028 A KR20210001028 A KR 20210001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lastic support
rear end
meal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850B1 (ko
Inventor
한병구
Original Assignee
한병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병구 filed Critical 한병구
Priority to KR1020190076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사도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을 편 상태로 식사도구를 들어올릴 수 있어 손힘이 없어 손가락을 구부려 식사도구를 쥘 수 없는 환자나 노약자 등이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가능하고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받치는 경우 식사도구가 회전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들어올려 섭취가능하며, 자루의 후단 하측으로 받침대가 구비되어 식사도구를 식탁 등에 올려 놓는 경우 자루의 후단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식사도구를 잡고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간단히 손바닥을 편 상태로 자루의 하측으로 밀어넣어 받칠 수 있어 식사도구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자루의 길이 및 각도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숟가락은 물론, 포크, 푸셔 등 다양한 형태의 식사도구에 폭넓게 적용가능한 식사도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사도구 { meal tool }
본 발명은 식사도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숟가락, 포크, 푸셔 등의 식사도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손힘이 약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더라도 음식을 떠먹거나 찍어 먹을 수 있는 식사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과 포크는 각종 음식을 떠먹거나 찍어먹는 가장 중요한 식사도구이다.
이러한 식사도구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463호(참고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4333호(참고문헌 2)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우선 참고문헌 1은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에 관한 것으로, 헤드와 자루, 그리고 상기 헤드와 자루를 연결하는 목 부분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숟가락과 포크(1a)에 있어서, 숟가락과 포크의 목 부분을 하향 만곡시켜 안착부를 형성하는데, 상기 안착부는 무게중심이 자루쪽에 위치하도록 헤드쪽으로 형성하되, 상 바닥에 안착시켰을 때 헤드의 등 부분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참고문헌 2는 포크에 관한 것으로, 제1 방향으로 길쭉하게 제공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되는 헤드부; 및 음식물을 찍기 위해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길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포크 날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크 날들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상기 복수의 포크 날들 중 적어도 2개의 선단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참고문헌 1,2의 숟가락과 포크는 자루와 손잡이부가 단순히 길게 일자 형상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손힘이 약한 환자가 잡고 음식을 먹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숟가락의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855572호(참고문헌 3)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환자용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곡면 형태의 외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통기홀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 삽입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에 결합하는 숟가락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참고문헌 3의 숟가락은 환자가 손으로 바디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듯이 파지하여야 함에 따라 손힘이 약해 움켜지는 행동이 부자유스러운 환자가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상기 참고문헌 3의 숟가락은 원통 형상의 바디부 일단에 삽입된 제1 헤드부에 숟가락부가 결합되어 있어 바디부를 수직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숟가락으로 음식물을 뜨는 것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원통 형상의 바디부로 인해 강하게 파지하지 않는 경우 음식물을 뜨는 과정에서 숟가락부가 불안정하게 회전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참고문헌 3의 숟가락은 바디부 일단에 삽입된 제1 헤드부에 숟가락부가 결합되어 있지만, 숟가락부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해 환자에 따라 숟가락의 구조를 조절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참고문헌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463호 참고문헌 2: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4333호 참고문헌 3: 등록특허 제10-1855572호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숟가락, 포크, 푸셔 등의 식사도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손힘이 약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손가락을 구부리지 않고서도 음식을 떠먹거나 찍어 먹을 수 있는 식사도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을 뜨거나 찍는 과정에서 식사도구가 회전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음식물을 흘리거나 떨어뜨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먹을 수 있는 식사도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따라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식사도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후단에 구비되는 자루로 이루어진 식사도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의 후단 상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지지하도록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안착부가 형성되는 이탈방지용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는 몸체가 상기 자루의 후단 상측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선형태로 절곡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루의 후단 하측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는 자루의 후단 하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분기되는 제1 및 제2다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루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받쳐지도록 대칭되게 양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판형상의 회전 방지용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루는 전단에는 상기 헤드가 구비되는 전방자루와, 후단 상측에는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가 구비되는 후방자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자루의 후반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자루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자루의 후반부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도록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에는 제1 및 제2지지공이 각각 형성되어 조임볼트가 관통 지지되며, 상기 조임볼트는 조임너트가 조여지면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의 후반부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자루는 전단에는 상기 헤드가 구비되는 전방자루와, 후단 상측에는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가 구비되는 후방자루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자루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자루의 후반부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부가 형성되도록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자루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의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조임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루는 전단에는 상기 헤드가 구비되는 전방자루와, 후단 상측에는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가 구비되는 후방자루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자루의 후반부에는 제1 결합부가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의 중앙에는 양측면 방향으로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자루의 전반부에는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가 이격되어 상기 전방자루의 제1 결합부가 위치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의 중앙에는 양측면 방향으로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지지돌기가 안착되는 밀착홈이 제2체결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공에는 조임볼트가 끼워져 조임너트가 조여지면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의 제1 결합부의 양면을 가압하면서 지지돌기가 밀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헤드는 음식물을 뜰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안착부, 음식물을 찍어먹을 수 있도록 전단부에 포크부, 하단 하부가 평평한 구조의 푸셔부 중에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을 편 상태로 자루의 하측을 손바닥으로 받치고 엄지손가락을 엄지안착부에 넣어서 식사도구를 들어올릴 수 있어 손힘이 없어 손가락을 구부려 식사도구를 쥘 수 없는 환자나 노약자 등이 음식물을 섭취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루 양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판형상의 회전 방지용 날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바닥으로 받치는 경우 식사도구가 회전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들어올려 섭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자루의 후단 하측으로 받침대가 구비되어 식사도구를 식탁 등에 올려 놓는 경우 자루의 후단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식사도구를 잡고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간단히 손바닥을 편 상태로 자루의 하측으로 밀어넣어 받칠 수 있어 식사도구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자루의 길이 및 각도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며, 숟가락은 물론, 포크, 푸셔 등 다양한 형태의 식사도구에 폭넓게 적용 및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식사도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사도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식사도구(1)는 손힘이 약한 환자나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음식을 떠먹거나 찍어 먹을 때 파지하지 않고서도 음식물을 들어올려 먹을 수 있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음식물을 뜨거나 찍어 들어올릴 수 있는 헤드(100)와, 상기 헤드(100)의 후단에 구비되는 자루(2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식사도구(1)는 음식물을 떠먹는 데 사용하는 숟가락, 음식물을 찍어 먹는데 사용하는 포크, 치즈 등의 음식물을 바닥에서 한쪽으로 밀어주는데 사용하는 푸셔 등과 같이 음식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식사용 도구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식사도구(1)는 스테인레스 강 등의 금속재는 물론이고, 합성수지재, 세라믹, 나무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식사도구(1)의 일 예로 숟가락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헤드(100)는 음식물을 뜰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부(110)는 좌우폭은 좁고 전후로는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입안에 삽입이 용이한 구조를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헤드(10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여 식사도구(1)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자루(200)가 일체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자루(200)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작사각형, 정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자루(200)의 후단 상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엄지손가락을 지지하는 이탈방지용 후크(300)가 구비되고, 상기 자루(200)의 후단 하측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400)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300)는 단부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안착부(310)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300)는 몸체(301)가 상기 자루(200)의 후단 상측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선형태로 절곡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안착부(310)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손가락을 구부려 식사도구(1)를 쥘 수 없는 환자나 노약자 등의 사용자가 자루(200)의 하측을 손바닥으로 받치고 엄지손가락을 엄지안착부(310)에 넣어서 손을 편 상태로 식사도구(1)를 들어올려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400)는 상기 자루(200)의 후단 하측에 하향 돌출되는 것으로, 식사도구(1)를 식탁 등에 올려 놓는 경우 자루(200)의 후단이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식사도구(1)를 잡고 들어올리지 않고서도 간단히 손바닥을 편 상태로 자루(200)의 하측으로 밀어넣어 받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식사도구(1)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식사도구(1)는 식탁 등에 올려 놓는 경우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받침대(400)는 자루(200)의 후단 하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의 하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분기되는 제1 및 제2다리(420,4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식사도구(1)를 식탁 등에 올려 놓는 경우 헤드(100)의 중앙과 제1 및 제2다리(420,42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식사도구(1)가 넘어지지 않으면서도 자루(200)는 전방에 비해 후단이 경사지게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자루(200)의 중간에는 양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 받쳐지는 회전 방지용 날개부(20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날개부(202)는 자루(200)의 중간에 대칭되게 양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날개부(202)는 손바닥을 자루(200)의 하측으로 밀어넣어 받치는 경우 자루(200)가 회전하며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자루(2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방자루(210)와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자루(210)의 전단에는 헤드(10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후방자루(220)의 후단 상측 및 하측에는 이탈방지용 후크(300)와 받침대(400)가 일체로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홈(2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부(220a)가 형성되도록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절개부(220b)에 의해 구분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에는 조임볼트(223)가 관통 지지되는 제1 및 제2지지공(221a,222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212)은 조임볼트(223)가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전방자루(210)의 후반부를 상기 후방자루(220)의 안내부(220a)로 전후진시 조임볼트(22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조임볼트(223)를 제1 및 제2지지공(221a,222a)에 차례대로 끼우고 조임너트(224)를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를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 연장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 사이의 안내부(220a)로 삽입하여 전후진 하면서 자루(20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조임볼트(223)와 조임너트(224)를 강하게 조이면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210)의 후반부 외주면을 가압하여 길이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이때, 일예로 상기 조임볼트(223)는 나비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임너트(224) 역시 나비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자루(2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방자루(210)와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부(220a)가 형성되도록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구비됨은 제3실시 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의 외주면에는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221b,222b)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자루(210)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의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221b,222b)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225a)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조임구(225)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조임구(225)는 내경이 전단에 비해 후단을 크게 형성하고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225a)을 형상하고,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221b,222b)도 전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조임구(225)를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에 조이는 경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상기 전방자루(210) 후반부의 가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구(225)의 외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를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 연장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 사이의 안내부(220a)로 삽입하여 전후진하면서 자루(200)의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조임구(225)를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에 나사결합시켜 강하게 조이면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210)의 후반부 외주면을 가압하여 길이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상기 자루(200)의 전반부를 상하로 회동시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자루(200)는 전방자루(210)와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에는 제1 결합부(226)가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226)의 중앙에는 양측면 방향으로 제1체결공(226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226)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226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지지돌기(226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반부에는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가 이격되어 상기 전방자루(210)의 제1 결합부(226)가 위치하는 안착홈(2273)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227)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의 중앙에는 양측면 방향으로 제2체결공(2271a,2272a)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226)의 지지돌기(226b)가 안착되는 밀착홈(2273)이 제2체결공(2271a,227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조임볼트(228)를 제1 및 제2체결공(226a,2271a,2272a)에 차례대로 끼우고 조임너트(229)를 헐겁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를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서 상하로 회동시켜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조임볼트(228)와 조임너트(229)를 강하게 조이면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210)의 제1 결합부(226)의 양면을 가압하면서 지지돌기(226b)가 밀착홈(2273)에 안착되어 각도가 조정된 상태를 유지시켜준다.
이때, 일예로 상기 조임볼트(228)는 나비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임너트(229) 역시 나비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의 식사도구(1)는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전방자루(210)와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지는 자루(2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와,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라 자루(200)의 전반부를 상하로 회동시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결합한 것이다. 이러한 식사도구(1)는 자루(200)의 길이 및 각도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식사도구(1)의 일 예로 음식물을 찍어 먹는데 사용하는 포크을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헤드(100)는 음식물을 찍어먹을 수 있도록 전단부에 포크부(120)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 예 따른 식사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식사도구(1)의 일 예로 치즈 등의 음식물을 바닥에서 한쪽으로 밀어주는데 사용하는 푸셔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헤드(100)는 전단 하부가 평평한 구조의 푸셔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식사도구(1)는 2가지를 동시에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왼손으로는 푸셔를 움직여 음식물을 밀어 오른손으로 움직일 수 있는 숟가락으로 떠서 먹을 수 있다.
이상의 다양한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의 식사도구(1)의 특유 구조는 숟가락은 물론, 포크, 푸셔 등 다양한 형태의 식사도구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식사도구 100: 헤드
110: 안착부 120: 포크부
130: 푸셔부 200: 자루
300: 이탈방지용 후크 400: 받침대

Claims (9)

  1. 음식물을 들어올릴 수 있는 헤드(100)와, 상기 헤드(100)의 후단에 구비되는 자루(200)로 이루어진 식사도구(1)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의 후단 상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지지하도록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안착부(310)가 형성되는 이탈방지용 후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300)는 몸체(301)가 상기 자루(200)의 후단 상측으로 돌출되며 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곡선형태로 절곡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엄지손가락이 위치하는 엄지안착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의 후단 하측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00)는 자루(200)의 후단 하측으로 돌출되는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의 하단에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분기되는 제1 및 제2다리(420,4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에는 사용자의 손바닥에 받쳐지도록 대칭되게 양측으로 수평 돌출되는 판형상의 회전 방지용 날개부(2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는 전단에는 상기 헤드(100)가 구비되는 전방자루(210)와, 후단 상측에는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300)가 구비되는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에는 상하로 개구된 가이드홈(2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부(220a)가 형성되도록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구비되며;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에는 제1 및 제2지지공(221a,222a)이 각각 형성되어 조임볼트(223)가 관통 지지되며, 상기 조임볼트(223)는 조임너트(224)가 조여지면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210)의 후반부 외주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는 전단에는 상기 헤드(100)가 구비되는 전방자루(210)와, 후단 상측에는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300)가 구비되는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단에는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안내되는 안내부(220a)가 형성되도록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의 외주면에는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221b,222b)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자루(210)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탄성지지부(221,222)의 상측 및 하측 수나사부(221b,222b)에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225a)이 내주면에 형성되는 조임구(225)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200)는 전단에는 상기 헤드(100)가 구비되는 전방자루(210)와, 후단 상측에는 상기 이탈방지용 후크(300)가 구비되는 후방자루(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자루(210)의 후반부에는 제1 결합부(226)가 후방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기 제1 결합부(226)의 중앙에는 양측면 방향으로 제1체결공(226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부(226)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체결공(226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지지돌기(226b)가 형성되며,
    상기 후방자루(220)의 전반부에는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가 이격되어 상기 전방자루(210)의 제1 결합부(226)가 위치하는 안착홈(2273)이 형성되는 제2결합부(227)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의 중앙에는 양측면 방향으로 제2체결공(2271a,2272a)이 형성되고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결합부(226)의 지지돌기(226b)가 안착되는 밀착홈(2273)이 제2체결공(2271a,227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공(226a,2271a,2272a)에는 조임볼트(228)가 끼워져 조임너트(229)가 조여지면 상기 좌측 및 우측 탄성지지부(2271,2272)가 서로 당겨지면서 전방자루(210)의 제1 결합부(226)의 양면을 가압하면서 지지돌기(226b)가 밀착홈(2273)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00)는 음식물을 뜰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안착부(110), 음식물을 찍어먹을 수 있도록 전단부에 포크부(120), 하단 하부가 평평한 구조의 푸셔부(130) 중에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사도구.
KR1020190076439A 2019-06-26 2019-06-26 식사도구 KR10223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39A KR102230850B1 (ko) 2019-06-26 2019-06-26 식사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39A KR102230850B1 (ko) 2019-06-26 2019-06-26 식사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28A true KR20210001028A (ko) 2021-01-06
KR102230850B1 KR102230850B1 (ko) 2021-03-23

Family

ID=74128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439A KR102230850B1 (ko) 2019-06-26 2019-06-26 식사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4074A (ja) * 2009-03-18 2010-09-30 Kaori Nakajima 乳児及び幼児の成長段階に合わせ使用出来るスプーン
CN203000344U (zh) * 2012-11-23 2013-06-19 曾城 饭勺
KR20130122873A (ko) * 2012-05-01 2013-11-11 윤석수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KR20150000463U (ko) 2013-07-18 2015-01-28 정동환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KR20170004333U (ko) 2016-06-14 2017-12-22 전천희 포크
KR101855572B1 (ko) 2016-04-26 2018-05-04 박지수 환자용 숟가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4074A (ja) * 2009-03-18 2010-09-30 Kaori Nakajima 乳児及び幼児の成長段階に合わせ使用出来るスプーン
KR20130122873A (ko) * 2012-05-01 2013-11-11 윤석수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CN203000344U (zh) * 2012-11-23 2013-06-19 曾城 饭勺
KR20150000463U (ko) 2013-07-18 2015-01-28 정동환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KR101855572B1 (ko) 2016-04-26 2018-05-04 박지수 환자용 숟가락
KR20170004333U (ko) 2016-06-14 2017-12-22 전천희 포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50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3816A (en) Cutlery
US4809435A (en) Eating utensil
US20200093304A1 (en) Tableware for Specialized Persons
US8672377B2 (en) Eating utensil
US9392744B2 (en) Fork having tine with retaining feature
GB2441866A (en) Utensil Having Sectional Handle
US6698064B1 (en) Ergonomic handle
US5058279A (en) Wedged handle eating utensil for the physically disabled
KR102230850B1 (ko) 식사도구
US4218167A (en) Feeding apparatus for a manually disabled person
CN104771044B (zh) 弹力可调的筷子
US20070266526A1 (en) Handle device
KR20220053026A (ko) 집게 도구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GB2412082A (en) Dishware carrier
KR101227783B1 (ko)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EP0521931B1 (en) Eating utensil for the manually impaired and general public
CN212117764U (zh) 一种双失臂残疾人自理用餐餐具
GB2122875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utlery
US6068313A (en) Pizza paddle device
CN212815762U (zh) 一种手部抓握餐具
GB2442556A (en) Eating utensil
US20180028006A1 (en) Article manipulation apparatus
CN104856534B (zh) 具有限位功能的一种可快拆式筷子
CN216256529U (zh) 一种新型陶瓷调料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