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14U - 청음기 - Google Patents

청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14U
KR20210001014U KR2020190004427U KR20190004427U KR20210001014U KR 20210001014 U KR20210001014 U KR 20210001014U KR 2020190004427 U KR2020190004427 U KR 2020190004427U KR 20190004427 U KR20190004427 U KR 20190004427U KR 20210001014 U KR20210001014 U KR 20210001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ening
sound
microphone
uni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무상
한승우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4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14U/ko
Publication of KR20210001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26Stethoscopes comprising more than one sound coll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음기를 제공한다.
상기 청음기는 청음대상물의 소리를 감지하게 마련되는 청음부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청음부와 연결되고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청취가능하게 마련되는 청취부와, 상기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청음기{SOUND DETECTOR}
본 고안은 청음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청음된 소리의 녹음 및 분석이 가능한 청음기에 관한 것이다.
청음봉은 설비의 작동 시에 한 쪽 끝을 설비에 대고 다른 쪽 끝에 구비된 청음볼에 귀를 대고 설비의 마찰 소음 등을 듣고 설비의 이상 상태를 진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청음봉은 진료를 위해 사용하는 청진기와 유사한 구조이다.
일반적으로 청음봉은 금속관의 한 쪽 끝을 예리하게 마감하고 반대 쪽인 다른 쪽 끝에 둥근 금속구 또는 집음관을 설치하여 소리의 증폭을 통해 청음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청음봉은 사용자가 청음봉에 귀를 대고 기계음 등을 듣고 설비의 이상을 판단하는 단순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최근에는 각종 센서와 표시장치가 설치된 청음봉이나 전자식 청음봉이 사용되고 있다. 청진기 또한 감지기 자체에 내장 전자회로를 결합하고 무선통신으로 휴대폰과 연계한 전자식 청진기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기능이 내장된 제품은 비교적 고가이고 전원이 필요하며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청음봉 또는 청진기의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 기능의 확장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제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단순히 사용자의 귀로만 듣는 청음 기능 이외에도, 마이크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청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청음대상물의 소리 신호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및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청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전자식 기능이 내장된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휴대성이 향상된 청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는 청음대상물의 소리를 감지하게 마련되는 청음부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청음부와 연결되고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청취가능하게 마련되는 청취부와, 상기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청음부는 청음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집음판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청음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소리를 외부 기기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서 분기되고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전달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에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T형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는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단순히 사용자의 귀로만 듣는 청음 기능 이외에도, 마이크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면 청음대상물의 소리 신호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및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식 기능이 내장된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은 이점이 있으며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인 청음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고안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10)는 청음부(20)와 청취부(30) 및 마이크부(50)를 포함한다.
청음부(20)는 청음대상물의 소리를 감지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청음대상물은 기계 설비 또는 인체 등 다양한 대상이 적용될 수 있다. 청음부(20)는 청음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집음판(21)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청음봉(23)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음부(2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진동을 감지하고 집음판(21)일 수도 있고,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10)가 인체에 적용되는 경우 청음부(2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의 인체에 접촉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집음판(21)일 수도 있다. 여기서 집음판(21)의 구조는 알려진 청진기에 사용되는 집음판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10)가 기계 설비의 소리를 청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청음부(20)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기계에 접촉되는 청음봉(23)일 수 있다.
청취부(30)는 연결관(40)을 통해 청음부(20)와 연결되고 청음부(20)에서 감지한 소리를 청취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청취부(30)는 사용자의 바깥귀의 구멍에 삽입하는 귀꽂이(3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관(40)은 청음부(20)와 귀꽂이(31)를 연결하여 소리를 사용자의 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Y 자형 튜브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관(40)은 고무 튜브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음부(20)와 청취부(30)의 연결구조는 청진기의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부(50)는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연결관(40)에 연결되고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마이크(5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부(50)는 청음부(20)에서 감지한 소리를 전달하는 연결관(40)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소리를 획득하는 마이크(5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부(50)는 마이크(51)에서 획득한 소리를 외부 기기로 전달하기 위해 마이크(51)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단자(52)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는 청음대상물의 소리 신호를 녹음하고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10)는 청음부(20)에서 감지한 소리를 단순히 사용자의 귀로만 듣는 청음 기능 이외에도, 마이크(51)를 구비하여 녹음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면 청음대상물의 소리 신호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및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마이크(51)를 연결관(40)에 연결하는 방식은 제한이 없고, 마이크(51)로 청음부(20)에서 감지한 소리가 전달된다면 다양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마이크(51)를 연결관(40)에 연결하는 제1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에는 제2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3에는 제3 실시예가 도시되며 도 4에는 제4 실시예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연결관(40)에서 분기되고 청음부(20)에서 감지한 소리를 전달하는 분기관(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51)는 분기관(53)을 통해 연결관(4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분기관(53)은 연결관(40)과 함께 일체로 튜빙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마이크(51)는 분기관(53)에 삽입될 수 있고 오디오단자(52)가 노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연결관(40)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51)는 T형 커넥터(54)에 연결되어 청음부(20)에서 감지한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일체로 튜빙된 형태가 아닌, 별도의 금속 T형 커넥터(54)를 연결관(40)에 연결하고, 마이크(51)는 T형 커넥터(54)에 연결됨으로써 연결관(40)으로 전달되는 소리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연결관(40)에서 분기된 형태로 마이크(51)를 연결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집음판(21) 또는 청음봉(23)에 연결된 연결관(40)의 단부에 마이크(51)를 삽입 및 연결하는 단순 연결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오디오단자(52)와 마이크(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도 1 및 도 2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및 결합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어 녹음 시에 필요한 경우만 오디오단자(52)를 연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마이크부(50)는 연결관(40)에서 분기된 분기관(53) 또는 T형 커넥터(54)를 통해 연결관(40)에 연결되는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제4 실시예와 같이, 마이크(51)는 청음봉(23)을 연결하는 연결소켓(25)의 내부에 내장되어 청음부(20)와 연결관(40)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집음판(21) 또는 청음봉(23)을 인체 또는 기계에 접촉하고, 청취부(30)의 귀꽂이(31)를 사용자의 귀에 꽂고 청음부(20)가 감지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그리고 분기관(53) 또는 T형 커넥터(54)에 연결된 마이크(51)의 오디오단자(52)에 외부기기와 연결된 오디오케이블을 연결하여 스마트 기기 등의 녹음장치를 작동시켜서 소리를 녹음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녹음한 소리를 분석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자식 기능이 내장된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는 이점이 있으며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청음기는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단순히 사용자의 귀로만 듣는 청음 기능 이외에도, 마이크를 구비하여 간편하게 녹음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이용하면 청음대상물의 소리 신호를 저장하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 및 데이터 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식 기능이 내장된 제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하지 않은 이점이 있으며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청음기
20: 청음부
21: 집음판
23: 청음봉
30: 청취부
31: 귀꽂이
40: 연결관
50: 마이크부
51: 마이크
52: 오디오단자
53: 분기관
54: T형 커넥터

Claims (5)

  1. 청음대상물의 소리를 감지하게 마련되는 청음부;
    연결관을 통해 상기 청음부와 연결되고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청취가능하게 마련되는 청취부; 및
    상기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녹음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고 상기 청음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마이크를 구비하는 마이크부를 포함하는 청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음부는 청음대상물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집음판과,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청음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청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부는 상기 마이크에서 획득한 소리를 외부 기기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는 오디오단자를 더 포함하는, 청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서 분기되고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전달하는 분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분기관을 통해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는 청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 사이에 연결되는 T형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는 상기 T형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청음부에서 감지한 소리를 획득하는 청음기.
KR2020190004427U 2019-11-01 2019-11-01 청음기 KR202100010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27U KR20210001014U (ko) 2019-11-01 2019-11-01 청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427U KR20210001014U (ko) 2019-11-01 2019-11-01 청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14U true KR20210001014U (ko) 2021-05-11

Family

ID=7591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427U KR20210001014U (ko) 2019-11-01 2019-11-01 청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4489B2 (en) Portable smart stethoscope formed of smart mobile device and casing assembly
US5832093A (en) Universal stethoscope amplifier with graphic equaliz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orts
US3989895A (en) Stethoscope transducer
US9602917B2 (en) Acoustic collection system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20070178430A1 (en) Arrangement for auscultation training
KR101348331B1 (ko) 스마트폰과 기능적으로 연결된 청진기
WO2018096564A1 (en) A connector configured to allow acoustic transmission or digital transmission for a stethoscope
KR101906299B1 (ko) 심박수 측정 및 체온 측정이 가능한 이어폰
US5548651A (en) Stereophonic stethoscope
US10271815B2 (en) Device for digitizing the sound of a stethoscope and sending it to an electronic instrument
KR20210001014U (ko) 청음기
EP0295318B1 (en) Electronic stethoscopic apparatus
KR10130067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청진기
CN102685285B (zh) 具有听诊器功能的手机
KR200181469Y1 (ko)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청진기
JPH0928702A (ja) 電子式聴診装置
CN104783834A (zh) 一种电子听诊器
CN202841220U (zh) 一种带有听诊头的手机壳
KR20110004428U (ko) 뇌파검출용 전극단자를 갖는 헤드셋
JP2015006232A (ja) 電子聴診器
CN209996345U (zh) 一种电子听诊器
CN112055277B (zh) 一种基于骨传导的无线电子听针及其信号传输方法
CN213129554U (zh) 一种防感染听诊器
CN209203316U (zh) 多功能听诊器
CN202776360U (zh) 检测心率的声学听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