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22A -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 Google Patents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22A
KR20210000822A KR1020190076020A KR20190076020A KR20210000822A KR 20210000822 A KR20210000822 A KR 20210000822A KR 1020190076020 A KR1020190076020 A KR 1020190076020A KR 20190076020 A KR20190076020 A KR 20190076020A KR 20210000822 A KR20210000822 A KR 20210000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cartridge
raw material
uni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715B1 (ko
Inventor
김형완
Original Assignee
김형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완 filed Critical 김형완
Priority to KR1020190076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7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 B67C3/22Details
    • B67C3/225Means for filling simultaneously, e.g. in a rotary filling apparatus or multiple rows of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5Constructional details
    • B67D2001/0096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 B67D2001/0097Means for pressurizing liquid using a pump

Landscapes

  • Fuel Cell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는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Ingredient Container)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걸쇠부(Latch Part)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료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펌프(Pump)에 대응되는 출구부(Exit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CARTRIDGE DEVICE FOR 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ID STATE PRODUCT}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원료 재질을 제품 용기에 주입하여 화장품, 약품 등의 액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향수, 약품 등의 액상 제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료 재질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의 경우 오일, 보습제 등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액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347호[문헌 1]에서는 화장품 조성물(원료)을 저장하고 있는 카트리지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동시킨 카트리지에 저장된 화장품 조성물을 출력 용기에 분배(주입)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1에 따른 기술에서는 화장품 조성물의 보충 등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화장품 조성물의 종류가 다수인 경우에 작업 속도가 느리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액상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에 대한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4549호[문헌 2]에서는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은 저장부를 각각 갖는 적어도 2개의 카트리지들을 수용하는 디스펜서를 갖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문헌 2에 따른 기술에서는 원료의 보충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0347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14549호
본 발명은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 장치에 수용된 원료 용기에 담긴 원료 재질을 제품 용기에 주입하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는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Ingredient Container)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걸쇠부(Latch Part)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료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펌프(Pump)에 대응되는 출구부(Exit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 공간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홀(First Cartridge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 홀은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트리지 홀(Second Cartridge Hole)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홀에 삽입되는 칸막이부(Partitioning Par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카트리지 홀은 상기 제 1 카트리지 홀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제 2 카트리지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출구부는 상기 출구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 홈부(Rail Hollow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홈부는 상기 펌프의 배출구에 대응되고, 상기 펌프의 펌핑(Pumping) 동작 시 상기 펌프의 배출구는 상기 레일 홈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홈부를 가로지르는 블레이드부(Bla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줄(String) 타입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쇠부는 다른 구조물과의 연결을 위한 후크부(Hook Par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장치를 트레이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원료 재질의 보충 등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트레이에 복수의 카트리지 장치를 동심원 형태로 배치하고, 트레이를 회전시켜 원하는 카트리지 장치를 정해진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액상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에 대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3은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품 제조 장치의 구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품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과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하고,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제 1 방향(DR1), 제 2 방향(DR2) 및 제 3 방향(DR3)은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은 서로 직교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직교하는 것으로 게시되어 있으나,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이 반드시 직교하거나 제 2 방향(DR2)과 제 3 방향(DR3)이 반드시 직교하지 않아도 관계없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에 대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전, 후, 상, 하는 이해를 돕기 위해 임의로 설정한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장치(10A)는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Ingredient Container, IC)를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10A)는 금속 재질, 나무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원료 용기(IC)에 담기는 액상의 원료 재질은 화장품, 약품 등의 액상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원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 재질은 오일, 에센스, 향수 등 액체 상태의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 장치(10A)는 베이스부(Base Part, 10), 수용 공간(11), 걸쇠부(Latch Part, 12) 및 출구부(Exit Part, 13)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수용 공간(1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베이스부(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은 원료 용기(IC)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수용 공간(11)은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 용기(IC)는 후방 입구(11a)를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걸쇠부(12)는 카트리지 장치(10A)를 다른 구조물, 예컨대 서브 트레이(미도시)에 안정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걸쇠부(12)는 베이스부(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걸쇠부(12)는 다른 구조물과 연결하기 위한 제 1 후크부(First Hook Part, HK1)를 포함할 수 있다.
출구부(13)는 베이스부(1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게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13)는 원료 용기(IC)의 출구측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출구부(13)는 원료 용기(IC)의 상부에 배치되는 펌프(Pump, PP)에 대응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10A)에 원료 용기(IC)가 배치된 상태에서, 도 3에 게시된 바와 같이, 원료 용기(IC)의 펌프(PP)의 적어도 일부는 출구부(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료 용기(IC)의 펌프(PP)의 상면(머리)이 출구부(1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출구부(13)는 전방을 향해 제 3 방향(DR3)으로의 폭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료 용기(IC)의 펌프(PP)의 펌핑(Pumping)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베이스부(10)가 하나의 구조물인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게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는 제 1 서브 베이스부(First Sub Base Part, 100)와 제 2 서브 베이스부(Second Sub Base Part, 1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부(100)와 제 2 서브 베이스부(101) 중 적어도 하나는 수용 공간(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베이스부(100)와 제 2 서브 베이스부(101)는 제 1 방향(DR1)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료 용기(IC)를 베이스부(10)내에 배치하기 위해, 제 1 서브 베이스부(100)와 제 2 서브 베이스부(101)의 사이에 원료 용기(IC)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서브 베이스부(100)와 제 2 서브 베이스부(101)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살펴보면,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제 1 카트리지 홀(First Cartridge Hole, 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카트리지 홀(14)은 제 1 방향(DR1)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를 A1-A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5의 (B)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트리지 홀(14)은 수용 공간(11)과 연결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치(10A)의 수용 공간(11)에 원료 용기(IC)가 배치된 상태에서, 원료 용기(IC)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카트리지 홀(1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 1 카트리지 홀(14)을 통해 원료 용기(IC)의 원료 재질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1 카트리지 홀(14)을 관찰홀(Observation Hole)이라고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베이스부(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트리지 홀(Second Cartridge Hole, 1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부(10)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 2 카트리지 홀(15, 150, 151, 152)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트리지 홀(15, 150, 151, 152)은 제 1 카트리지 홀(14)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1 카트리지 홀(150)은 제 1 카트리지 홀(14)과 연결되지 않고, 제 2-2 카트리지 홀(151) 및 제 2-3 카트리지 홀(152)은 제 1 카트리지 홀(14)과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트리지 홀(15)에는 칸막이부(Partitioning Part, 16)가 삽입될 수 있다.
칸막이부(16)는, 카트리지 장치(10A)에 원료 용기(IC)가 배치된 상태에서, 원료 용기(IC)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칸막이부(16)는 수용 공간(11)의 적어도 일부를 막아서 원료 용기(IC)의 밑바닥(하부)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충분히 긴 길이의 원료 용기(I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칸막이부(16)를 카트리지 장치(10A)의 후방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 2 카트리지 홀(15)에 삽입할 수 있다.
반면에, 도 7의 (B)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원료 용기(IC)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칸막이부(16)를 카트리지 장치(10A)의 전방에 인접하게 위치한 제 2 카트리지 홀(15)에 삽입할 수 있다.
이처럼, 원료 용기(IC)의 길이에 따라 칸막이부(16)의 삽입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출구부(13)는 출구부(13)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 홈부(Rail Hollow Par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홈부(130)는 펌프(PP)의 배출구(OT)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홈부(130)는 펌프(PP)가 분출한 원료 재질이 지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B)와 같이,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펌프(PP)의 펌핑 동작 시 펌프(PP)의 배출구(OT)는 레일 홈부(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레일 홈부(130)는 펌프(PP)의 배출구(OT)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살펴보면, 카트리지 장치(10A)의 출구부(13)는 블레이드부(Blade Part, 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131)는 레일 홈부(130)를 가로지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블레이드부(131)는 펌프(PP)의 배출구(OT)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펌프(PP)의 펌핑 동작 시에 배출구(OT)에 잔존하는 원료 재질을 블레이드부(131)가 긁어낼 수 있어서, 원료 재질의 투입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블레이드부(131)는 펌프(PP)의 배출구(OT)에 잔존하는 원료 재질을 긁어내면서도, 배출구(OT)가 손상을 입지 않을 정도로 소프트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부(131)는 플라스틱 재질, 수지 재질, 섬유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블레이드부(131)가 플라스틱 재질, 수지 재질 및/또는 섬유 재질을 포함하는 줄(String)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블레이드부(131)가 줄 형태를 갖는 경우에, 출구부(13)의 양쪽 측면에는 블레이드 연결부(Blade Connecting Part, 132)가 형성되고, 블레이드부(131)는 블레이드 연결부(13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카트리지 장치(10A)를 이용하여 액상 제품 제조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23은 액상 제품 제조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 설명하는 카트리지부는 이상에서 설명한 카트리지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카트리지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는 카트리지부(Cartridge Part, 10A), 트레이부(Tray Part, 20A), 회전부(Rotating Part, 30A) 및 주입부(Injecting Part, 40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는 다른 부품들을 수용하는 프레임(Frame, FR) 및 제품 용기(Product Container, 미도시)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품 용기 고정부(P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부(2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부(10A)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트레이부(20A)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부(10A)를 지지할 수 있다.
회전부(30A)는 트레이부(2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30A)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부(40A)는 원료 용기(IC)에 담긴 액상의 원료 재질을 제품 용기(미도시)에 주입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살펴보면, 트레이부(20A)는 베이스 트레이(Base Tray, 20) 및 복수의 서브 트레이(Sub Tray, 2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트레이(20)는 회전부(30A)와 연결되고, 회전부(30A)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트레이(20)는 회전부(30A)의 회전축(Rotating Axis, 300)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트레이(21)는 베이스 트레이(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베이스 트레이(20)에 4개의 서브 트레이(21)가 배치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서브 트레이(21)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 트레이(21)는 제 1 함몰부(210) 및 제 1 트레이 홀(First Tray Hole, 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함몰부(210)는 서브 트레이(21)의 테두리가 트레이부(20A)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함몰부(210)는 카트리지부(10A)의 출구부(13)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트레이 홀(211)은 카트리지부(10A)를 배치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카트리지부(10A)의 걸쇠부(12)가 서브 트레이(21)의 제 1 트레이 홀(211)에 끼워질 수 있다.
제 1 트레이 홀(211)의 형태는 걸쇠부(12)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트레이 홀(211)의 형태는 4각형 형태일 수 있다.
제 1 트레이 홀(211)은, 도 13의 (A)와 같이, 카트리지부(10A)와 연결하기 위한 제 2 후크부(second Hook Part, HK2)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후크부(HK2)는 제 1 트레이 홀(21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카트리지부(10A)와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후크부(HK2)는, 도 13의 (B)와 같이, 제 1 후크부(HK1)와 맞물릴 수 있다.
베이스 트레이(20)는 제 1 함몰부(210)에 대응되는 제 2 함몰부(200) 및 제 1 트레이 홀(211)에 대응되는 제 2 트레이 홀(Second Tray Hole, 2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함몰부(200)는 제 1 함몰부(210)와 유사하게 베이스 트레이(20)의 테두리가 트레이부(20A)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함몰부(200)는 카트리지부(10A)의 출구부(13)에 대응될 수 있다.
제 1 함몰부(210) 및 제 2 함몰부(200)와 출구부(13)의 관계의 일례가 도 14에 게시되어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카트리지부(10A)의 출구부(13)가 제 1 함몰부(210) 및 제 2 함몰부(200)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이에 따라 원료 용기(IC)의 펌프(PP)를 누르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제 2 트레이 홀(201)은 제 1 트레이 홀(211)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제 3 방향(DR3)으로 제 2 트레이 홀(201)은 제 1 트레이 홀(211)과 적어도 일부 중첩(Partially Overlap)할 수 있다.
제 2 트레이 홀(201)은 제 1 트레이 홀(211)을 통해 카트리지부(10A)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제 2 트레이 홀(201)은 그 크기가 작아도 관계없으며, 제 2 트레이 홀(201)의 사이즈는 제 1 트레이 홀(211)의 사이즈보다 더 작은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트레이(20)의 상부에 서브 트레이(21)가 배치된 상태의 일례가 도 12에 게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하지 식별부호 202는 베이스 트레이(20)에 형성되는 제 3 트레이 홀(Third Tray Hole)이고, 식별부호 203은 베이스 트레이(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 1 정렬부(First Align Part)이고, 식별부호 212는 서브 트레이(21)에 형성되는 식별 마크(Identifying Mark)이고, 식별부호 213은 서브 트레이(21)에 형성되는 제 2 정렬부(Second Align Part)이다.
제 3 트레이 홀(Third Tray Hole), 제 1 정렬부(First Align Part), 식별 마크(Identifying Mark) 및 제 2 정렬부(Second Align Part)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살펴보면, 트레이부(20A)의 베이스 트레이(20)의 하부에 카트리지 센서부(Cartridge Sensor Part, SR1)가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센서부(SR1)는 제 2 트레이 홀(201)과 제 1 트레이 홀(211)을 통해 카트리지부(10A)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5에서 식별부호 300은 회전축이고, 식별부호 301은 모터 등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회전 동력원이다.
도 16을 살펴보면, 베이스 트레이(20)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트레이 홀(202) 및 적어도 하나의 제 1 정렬부(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트레이 홀(202)은 서브 트레이(21)들을 센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정렬부(203)는 베이스 트레이(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서브 트레이(21)를 정렬(Align)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브 트레이(21)는 제 3 트레이 홀(20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식별 마크(Identifying Mark, 212) 및 제 1 정렬부(203)에 대응되는 제 2 정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렬부(203)와 제 2 정렬부(213)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제 3 트레이 홀(202)과 식별마크(212)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식별마크(212)는 각각의 서브 트레이(21)의 가장자리(혹은 모서리(Corner))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두 개의 서브 트레이(21)의 식별마크(212)들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A), (B), (C), (D)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서브 트레이(21)는 제 1 서브 트레이(21A1), 제 2 서브 트레이(21A2), 제 3 서브 트레이(21A3) 및 제 4 서브 트레이(21A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서브 트레이(21A1)는 제 1-1 식별마크(212a1)와 제 1-2 식별마크(212b1)를 포함하고, 제 2 서브 트레이(21A2)는 제 2-1 식별마크(212a2)와 제 2-2 식별마크(212b2)를 포함하고, 제 3 서브 트레이(21A3)는 제 3-1 식별마크(212a3)와 제 3-2 식별마크(212b3)를 포함하고, 제 4 서브 트레이(21A4)는 제 4-1 식별마크(212a4)와 제 4-2 식별마크(212b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의 (A), (B), (C), (D)에 게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트레이(21A1)의 제 1-2 식별마크(212b1)는 제 2 서브 트레이(21A2)의 제 2-1 식별마크(212a2)와 인접하고, 제 1 서브 트레이(21A1)의 제 1-1 식별마크(212a1)는 제 4 서브 트레이(21A4)의 제 4-2 식별마크(212b4)와 인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2 식별마크(212b2)는 제 3-1 식별마크(212a3)와 인접하고, 제 3-2 식별마크(212b3)는 제 4-1 식별마크(212a4)와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하는 두 개의 식별마크(212)의 조합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다른 인접하는 두 개의 식별마크(212)의 조합의 크기 및/또는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A)의 제 1-2 식별마크(212b1)와 제 2-1 식별마크(212a2)의 조합의 크기 및/또는 형태는 도 18의 (B)의 제 2-2 식별마크(212b2)와 제 3-1 식별마크(212a3)의 조합의 크기 및/또는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서브 트레이(21)들의 식별마크(212)는 하나의 제 3 트레이 홀(202)과 공통 중첩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트레이(21)에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마크(212)는 생략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식별마크(212)가 없다는 것을 이용하여 서브 트레이(21)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에 게시된 바와 같이, 식별마크(212)를 센싱하기 위한 트레이 센서부(Tray Sensor Part, SR2)가 베이스 트레이(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트레이 센서부(SR2)는 제 3 트레이 홀(202)을 통해 식별마크(212)를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3 트레이 홀(202)은 식별마크(212)와 중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트레이 센서부(SR2)는 인접하는 서브 트레이들(21)의 식별마크들(212)의 조합으로 서브 트레이(21)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센서부(SR2)가 도 18의 (A)와 같은 식별마크(212)의 조합을 센싱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Driver)의 제어부(Controller)는 센싱된 위치에서 왼쪽이 제 1 서브 트레이(21A1)이고 오른쪽이 제 2 서브 트레이(21A2)인 것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인접하는 서브 트레이(21)들의 식별마크(212)들의 조합으로 서브 트레이(21)를 판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서브 트레이(21)에 서로 다른 고유한 식별마크가 형성되고, 트레이 센서부(SR2)는 고유한 식별마크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정렬부(203)와 제 2 정렬부(213)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을 살펴보면, 서브 트레이(21)는 제 2 정렬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서브 트레이(21A1)에는 제 2-1 정렬부(213a)가 형성되고, 제 2 서브 트레이(21A2)에는 제 2-2 정렬부(213b)가 형성되고, 제 1 서브 트레이(21A3)에는 제 2-3 정렬부(213c)가 형성되고, 제 4 서브 트레이(21A4)에는 제 2-4 정렬부(213d)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서브 트레이(21)에서 제 2 정렬부(213)의 위치는 다를 수 있다.
도 20의 (A)와 같이 제 1 서브 트레이(21A1)에서 일측 끝단(왼쪽 끝단)과 제 2-1 정렬부(213a) 사이의 간격(d1)을 제 1 간격(d1)이라 하고, 제 2 서브 트레이(21A2)에서 일측 끝단(왼쪽 끝단)과 제 2-2 정렬부(213b) 사이의 간격(d2)을 제 1 간격(d2)이라 하고, 제 3 서브 트레이(21A3)에서 일측 끝단(왼쪽 끝단)과 제 2-3 정렬부(213c) 사이의 간격(d3)을 제 3 간격(d3)이라 하고, 제 4 서브 트레이(21A4)에서 일측 끝단(왼쪽 끝단)과 제 2-4 정렬부(213d) 사이의 간격(d4)을 제 4 간격(d4)이라 가정하자.
여기서, 제 1 간격(d1)은 제 2 간격(d2), 제 3 간격(d3) 및 제 4 간격(d4)과 다르고, 제 2 간격(d2)은 제 3 간격(d3) 및 제 4 간격(d4)과 다르고, 제 3 간격(d3)과 제 4 간격(d4)은 다를 수 있다.
도 21을 살펴보면, 베이스 트레이(20)에는 제 2 정렬부(213)에 대응되는 제 1 정렬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정렬부(203)는 베이스 트레이(2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서브 트레이(21)를 정렬(Align)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 1 정렬부(203)와 제 2 정렬부(213)는 서로 맞물리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정렬부(203)가 돌출된 형태인 경우에는 제 2 정렬부(213)는 함몰된 형태인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 트레이(20)에서 제 1 정렬부(203)의 위치는 제 2 정렬부(213)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정렬부(203)는 제 2-1 정렬부(213a)에 대응되는 제 1-1 정렬부(203a), 제 2-2 정렬부(213b)에 대응되는 제 1-2 정렬부(203b), 제 2-3 정렬부(213b)에 대응되는 제 1-3 정렬부(203c), 제 2-4 정렬부(213d)에 대응되는 제 1-4 정렬부(20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정렬부(203)의 위치를 베이스 트레이(20)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베이스 트레이(20) 상에서 제 1 서브 트레이(21A1)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 1 영역(First Area, AR1)이라 하고, 제 2 서브 트레이(21A2)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 2 영역(Second Area, AR2)이라 하고, 제 3 서브 트레이(21A3)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 3 영역(Third Area, AR3)이라 하고, 제 4 서브 트레이(21A4)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 4 영역(Fourth Area, AR4)이라 가장하자.
여기서, 제 1 영역(AR1)에서 제 1-1 정렬부(203a)의 위치는 제 2 영역(AR2)에서 제 1-2 정렬부(203b)의 위치, 제 3 영역(AR3)에서 제 1-3 정렬부(203c)의 위치 및 제 4 영역(AR4)에서 제 1-4 정렬부(203d)의 위치와 다를 수 있다.
이를 제 3 트레이 홀(202)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제 4 영역(AR4)과 제 1 영역(AR1)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제 3 트레이 홀(202)과 제 1-1 정렬부(203a) 사이의 간격(d10)을 제 10 간격(d10)이라 하고, 제 1 영역(AR1)과 제 2 영역(AR2)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제 3 트레이 홀(202)과 제 1-2 정렬부(203b) 사이의 간격(d11)을 제 11 간격(d11)이라 하고, 제 2 영역(AR2)과 제 3 영역(AR3)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제 3 트레이 홀(202)과 제 1-3 정렬부(203c) 사이의 간격(d12)을 제 12 간격(d12)이라 하고, 제 3 영역(AR3)과 제 4 영역(AR4)의 경계부분에 위치한 제 3 트레이 홀(202)과 제 1-4 정렬부(203d) 사이의 간격(d13)을 제 13 간격(d13)이라 가정하자.
여기서, 제 10 간격(d10)은 제 11 간격(d11), 제 12 간격(d12) 및 제 13 간격(d13)과 다르고, 제 11 간격(d11)은 제 12 간격(d12) 및 제 13 간격(d13)과 다르고, 제 12 간격(d12)은 제 13 간격(d13)과 다를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 트레이(20)에 제 1 정렬부(203)를 형성하고 서브 트레이(21)에는 제 1 정렬부(203)에 대응되는 제 2 정렬부(213)를 형성하게 되면, 서브 트레이(21)를 정해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잘못된 원료 재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을 살펴보면, 주입부(40A)는 원료 용기(IC)의 펌프(PP)를 눌러 원료 용기(IC)에 담긴 액상의 원료 재질을 제품 용기(PC)에 주입하는 헤드부(Head Part,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주입부(40A)는 도 22의 (B)와 같이 헤드부(400)를 화살표 방향(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운동부(5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운동부(50A)는 구동축(51), 구동축(51)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수평 구동원(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과 같이, 주입부(40A)가 헤드부(400)를 카트리지부(10A)에 장착된 원료 용기(IC)의 펌프(PP)를 향해 이동시키면, 원료 용기(IC)에 담긴 원료 재질이 주입부(40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품 용기(PC)에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가 활성화 상태(동작 상태)에서는 주입부(40A)의 헤드부(400))는 원료 재질을 투입하기 위한 스탠바이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헤드부(400)는 소정 길이만큼 트레이부(20A)를 향해 이동하여 펌프(PP)를 누를 준비를 할 수 있다.
이후, 헤드부(400)는 원하는 카트리지부(10A)가 정해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펌프(PP)를 향해 이동하여 펌프를 누르는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펌핑이 완료되면 다시 스탠바이 상태로 되돌아가고, 다음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헤드부(400)를 스탠바이 상태에서 펌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면, 액상 제품의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후,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가 비활성화 상태(대기 상태)에서는 헤드부(400)는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를 이용하여 액상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과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의 구동부에 대해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품 제조 장치의 구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품 제조 장치의 구동부(60A)는 제어부(600), 통신부(610), 디스플레이부(620), 입력부(630), 메모리부(640), 인터페이스부(650), 통계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600)는 트레이 센서부(SR2)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송받아 베이스 트레이(20) 상부에 배치되는 서브 트레이(21)들을 판별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600)는 서브 트레이(21)들의 타입, 서브 트레이(21)에 배치되는 원료 용기(IC)의 타입, 원료 용기(IC)의 위치, 원료 재질의 종류 등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카트리지 센터부(SR1)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전송받아 정해진 위치에 카트리지부(10A)가 배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품 종류 정보에 대응하여 원료 재질의 종류, 용량 등의 정보를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품 종류 정보에 대응하여 트레이부(20A)의 회전 방향, 각도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회전부(30A)를 제어하여 트레이부(20A)의 회전 방향, 각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600)는 수평 운동부(50A)를 제어하여 주입부(40A)의 헤드부(40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제품 정보부(601), 서브 트레이 정보부(602) 및 경로 연산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구동부(60A) 및/또는 제어부(600)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품 정보부(601)는 액상 제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 액상 제품의 원료 재질의 종류 및 용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서브 트레이 정보부(602)는 베이스 트레이(20)에 장착할 수 있는 서브 트레이(21)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트레이 정보부(602)는 서브 트레이(21)의 식별마크(212)에 대한 정보, 서브 트레이(21)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부(10A)에 수용되는 원료 용기(IC)의 종류, 용량 등의 용기 정보, 원료 용기(IC)에 담긴 원료 재질의 종류 등의 재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트레이 정보부(602)는 서브 트레이(21) 중 제 1 서브 트레이(21A1)에 장착되는 카트리지부(10A)의 개수에 대한 정보, 각각의 카트리지부(10A)에 수용되는 원료 용기(IC)에 담긴 원료 재질의 종류에 대한 정보, 원료 용기(IC)의 용량에 대한 정보, 각각의 원료 재질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경로 연상부(603)는 제품 종류 정보에 대응하여 트레이부(20A)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등의 경로를 연산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외부와 유선 및/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2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상 제품에 대한 정보, 제조 상황에 대한 정보, 통계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63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630)는 제조하고자 하는 액상 제품의 종류 및 수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64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액상 제품 제조 장치(60A)의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640)는 액상 제품의 종류에 대한 정보, 액상 제품에 대한 원료 재질의 조성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메모리부(640)는 액상 제품의 종류에 대한 펌프(PP)의 펌핑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65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부(60A)를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다른 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통계부(66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소정 기간에 따른 액상 제품의 생산량, 종류별 액상 제품의 생산량, 원료 재질의 소모량 등의 통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제품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제조 방법은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먼저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의 전원이 턴-온(Turn-On)되면(S100),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트레이부(20A)를 회전시킬 수 있다(S101).
트레이부(20A)를 회전시키면서, 트레이 센서부(SR2)를 이용하여 서브 트레이(21)의 식별마크(212)를 센싱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브 트레이(21)와 그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02).
예를 들면, 베이스 트레이(20)에 배치되어 있는 서브 트레이(21)의 개수, 타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서브 트레이(23)에 장착되어 있는 원료 용기(IC)의 종류, 용량 등의 용기 정보 및 원료 용기(IC)에 담긴 원료 재질의 종료 등의 원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품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3).
판단결과, 제품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 1)을 수행할 수 있다(S104). 예를 들면, 제품 선택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반면에, 제품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S105). 예를 들면, A 화장품이 제품으로서 선택되는 경우에는, A 화장품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 재질의 종류와 각각의 원료 재질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원료 재질의 용량은 펌프(PP)의 펌핑 횟수와 대응될 수 있다.
이후, 선택된 제품에 대해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S106). 예를 들면, A 화장품에 대해 트레이부(20A)의 회전 방향, 회전 각도 등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펌핑 위치(Pump Location)에 타깃 원료(Target Ingredient)를 담고 있는 원료 용기(IC)가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7). 여기서는, 트레이 센서부(SR2)를 통해 센싱한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판별한 서브 트레이(21)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판단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펌핑 위치라는 것은 주입부(40A)의 헤드부(400)가 왕복운동을 통해 원료 용기(IC)의 펌프(PP)를 펌핑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타깃 원료는 선택된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원료 재질을 의미할 수 있다.
판단결과, 펌핑 위치에 타깃 원료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에는 트레이부(20A)를 회전시켜 타깃 원료를 펌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S111).
반면에, 펌핑 위치에 타깃 원료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펌핑 위치에 카트리지부(10A)가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8).
판단결과, 펌핑 위치에 카트리지부(10A)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트리지부(10A)의 부재를 알리는 정보(알람)를 출력하고, 액상 제품 제조 장치(100A)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S109).
반면에, 펌핑 위치에 카트리지부(10A)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펌핑 동작을 수행하여 원료 재질을 제품 용기(PC)에 주입할 수 있다(S110).
이후, 선택된 제품에 대해 다른 타깃 원료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12).
판단결과, 다른 타깃 원료가 있는 경우에는 트레이부(20A)를 회전시켜 다른 타깃 원료를 펌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S111).
반면에, 다른 타깃 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원료 주입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S113).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원료 재질을 제품 용기(PC)에 주입하여 액상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액상의 원료 재질을 담는 원료 용기(Ingredient Container)가 배치되는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베이스부(Base Part);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걸쇠부(Latch Part);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료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펌프(Pump)에 대응되는 출구부(Exit Part);
    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 1 카트리지 홀(First Cartridge Ho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트리지 홀은 상기 수용 공간과 연결되는 카트리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카트리지 홀(Second Cartridge Hole); 및
    상기 제 2 카트리지 홀에 삽입되는 칸막이부(Partitioning Part);
    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 2 카트리지 홀은 상기 제 1 카트리지 홀과 연결되는 카트리지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부는, 상기 제 2 카트리지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카트리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상기 출구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레일 홈부(Rail Hollow Part)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홈부는 상기 펌프의 배출구에 대응되고,
    상기 펌프의 펌핑(Pumping) 동작 시 상기 펌프의 배출구는 상기 레일 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리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부를 가로지르는 블레이드부(Blade Par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줄(String) 타입을 갖는 카트리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부는 다른 구조물과의 연결을 위한 후크부(Hook Part)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장치.
KR1020190076020A 2019-06-26 2019-06-26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KR102255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20A KR102255715B1 (ko) 2019-06-26 2019-06-26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020A KR102255715B1 (ko) 2019-06-26 2019-06-26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22A true KR20210000822A (ko) 2021-01-06
KR102255715B1 KR102255715B1 (ko) 2021-05-24

Family

ID=7412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020A KR102255715B1 (ko) 2019-06-26 2019-06-26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7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528U (ja) * 1996-10-29 1997-07-22 輝陽工業株式会社 造花差し・陳列展示具
JP2003236435A (ja) * 2002-02-18 2003-08-26 Hirata Corp 液体塗布装置
KR200465759Y1 (ko) * 2011-11-21 2013-03-18 (주)아모레퍼시픽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펌프 용기
WO2017103634A1 (en) * 2015-12-15 2017-06-22 Bahabri Abdullah Blending liquids
KR20180080347A (ko) 2015-12-01 2018-07-11 로레알 피부 처리를 위해 블렌딩된 조성물을 분배 및 혼합하는 장치
KR20190014549A (ko) 2016-06-02 2019-02-12 로레알 화장용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528B2 (ja) * 1998-07-27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のモニタ方式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528U (ja) * 1996-10-29 1997-07-22 輝陽工業株式会社 造花差し・陳列展示具
JP2003236435A (ja) * 2002-02-18 2003-08-26 Hirata Corp 液体塗布装置
KR200465759Y1 (ko) * 2011-11-21 2013-03-18 (주)아모레퍼시픽 잔량 확인이 가능한 에어리스 펌프 용기
KR20180080347A (ko) 2015-12-01 2018-07-11 로레알 피부 처리를 위해 블렌딩된 조성물을 분배 및 혼합하는 장치
WO2017103634A1 (en) * 2015-12-15 2017-06-22 Bahabri Abdullah Blending liquids
KR20190014549A (ko) 2016-06-02 2019-02-12 로레알 화장용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715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12904A2 (pt) distribuidor de fluido múltiplo
CN205230190U (zh) 智能售卖机器人出货柔性控制装置
CN105460273A (zh) 一种移液枪枪头自动装盒系统
ES2543182T3 (es) Dispensadores para aparatos de manipulación de monedas
DK1294610T3 (da) Medikamentdispenser
US20060237480A1 (en) Shelving systems and holders for flexible bags for containing fluid for use in fluid dispensing systems
WO2007022256A3 (en) Handheld gaming machines and system therefor
KR102211803B1 (ko)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장치
CN103596699B (zh) 店内样品分配器
KR102192318B1 (ko) 카트리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액상 제품 제조 장치
CA2620486A1 (en) Automatically configurable chemical dosing apparatus for cleaning equipment
CN205240011U (zh) 一种移液枪枪头自动装盒系统
BR0207655A (pt) Máquina móvel de venda automática para vender uma pluralidade de produtos, sistema de distribuição para distribuir uma pluralidade de produtos a partir de uma máquina de venda automática
KR102255715B1 (ko) 액상 제품 제조 장치용 카트리지 장치
CN205833547U (zh) 一种多头高精密点胶装置
US20160256354A1 (en) Uniform-Distribution Filling Mechanism for Medicinal Powder
CN109389751A (zh) 一种全自动现场制作的无人自助售卖面膜机
CN204726906U (zh) 一种药箱
CN206955006U (zh) 立式深井式出药筒和出药装置
CN204066246U (zh) 一种自动售药机出药机构
JP2007209811A5 (ko)
CN104013254A (zh) 叠式商品陈列容器及陈列架
CN104252734A (zh) 组合式自动售货机
ITVR20070136A1 (it) Macchina rotante a gestione intelligente per la distribuzione di oggetti tramite celle modulabili
CN204508105U (zh) 双气吹式螺丝供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