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06U -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 Google Patents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06U
KR20210000806U KR2020210001066U KR20210001066U KR20210000806U KR 20210000806 U KR20210000806 U KR 20210000806U KR 2020210001066 U KR2020210001066 U KR 2020210001066U KR 20210001066 U KR20210001066 U KR 20210001066U KR 20210000806 U KR20210000806 U KR 202100008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bedding
weight
blood circul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순
Original Assignee
김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순 filed Critical 김은순
Priority to KR2020210001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06U/ko
Publication of KR202100008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6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out active means, e.g. with openings or heat condu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15Blankets; Duvet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87Ions; Protons

Landscapes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침구류가 강제적인 통풍기능만 발휘하던 단점을 해소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특성으로 사용자의 혈행을 촉진하여 혈액순환기능 탁월하고 특히 체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더운 여름철이나 습기가 많은 장마철에 자연스러운 수면유도 및 숙면을 취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A Cool Mat}
본 고안은 잠을 잘 때 사용하는 침구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침구류가 강제적인 통풍기능만 발휘하던 단점을 해소하고,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특성으로 사용자의 혈행을 촉진하여 혈액순환기능 탁월하고 특히 체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아 더운 여름철이나 습기가 많은 장마철에 자연스러운 수면유도 및 숙면을 취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침구류는 편안한 휴식을 위하여 침실에서 사용하는 용구로서, 이에는 침대, 이불, 담요, 베개, 침낭 등이 있으며, 또한 각종 방석, 매트, 시트 등도 포함된 개념이다.
이러한 침구류는 인간의 휴식과 건강을 위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가 생활하고 있는 주변 환경에는 여러 가지 세균이 서석하고 있으며, 특히 의류나 침구로 사용되는 섬유의 경우에는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노폐물로 인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균 등의 서식이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증식된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악취를 발생시키고 섬유를 손상시킬 뿐 아니라, 천식이나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질환 등과 같은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특히, 침구는 사람이 수면을 취하는 장시간 동안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는 생활용품으로서 침구 등에 세균이 오염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침구를 사용하는 사람은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아주 큰 것이다.
그리고 기존 기능성 원단은 폴리우레탄이나 에폭시 등을 바인더로 사용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방출하고 두통을 유발시키는 접착제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인하여 원적외선이나 음이온을 방출하여 인체의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물질 예를 들어, 활석, 강화석, 옥석, 세라믹, 자성체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체로 이들은 목걸이나 팔찌형태로 사용되고 있으며, 단순히 이들을 침구에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음이온을 방출하는 일반적인 침구류에 있어서는 음이온 방출 재료를 입자 형태로 제작하여 각종침구류에 채용함으로써, 혈액순환 촉진과 정화, 항균 작용 및 습기와 수분을 흡수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침구류의 장기간 사용시 점차 입자 형태의 음이온 재료가 누출되어져 기능성이 저하되어지며, 누출된 입자로 인하여 침구류가 오염 내지는 변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지속적으로 방사되어 체내의 혈행을 촉진함과 동시에 체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빼앗는 기능을 갖는 침구류를 제공함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면서 보다 쾌적한 침실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이온 및 원적외선 방출 및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혈행 촉진 냉각 침구류는 주변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춰주고 음이온을 방출하는 냉각 캡슐을 통기성을 갖는 섬유재로 이루어진 패드와 탄성을 갖는 스펀지로 봉제하여 침구류로 제공한다.
본 고안자들은 혈행 촉진 냉각 침구류에 있어, 음이온 방출 효과를 높이고 침구류의 냉각효율이 뛰어나게 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의 혈행을 촉진하여 동맥을 청결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함을 확인하였고, 체내의 열은 흡수하고 냉각 캡슐의 냉기는 체내로 흡수되어 더운 여름철이나 습기가 많은 장마철에 자연스러운 수면유도 및 숙면을 취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한 침구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침구류는 매트와 같은 형태로 제공하여 이불에 덧까는 형태 또는 베개 안쪽에 덧대는 형태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침구류는 섬유재로 이루어져 인체 무해하고 섬유재 패드를 봉제하여 매트 형태로 제공하고 매트에 소정의 간격을 띠우고 냉각캡슐을 설치하므로 작업이 간편한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의 침구류는 혈액순환 개선에 따른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더욱 건강한 신체를 노릴 수 있으며, 수면방해를 일으키는 요소를 차단하여 더욱 효과적인 수면 유도가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냉각 효과는 체내의 온도를 흡수하고 냉기는 체내에서 흡수하므로 더운 여름철 체내 온도를 낮춰 신체 리듬을 초적의 조건으로 맞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캡슐 외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캡슐이 장착된 상태의 매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개략도.
도 4는 음이온 측정 시험성적서.
도 5는 원적외선 측정 시험성적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캡슐 외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캡슐이 장착된 상태의 매트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조방법의 개략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냉각수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기능성 음이온 냉각캡슐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혈행 촉진 냉각 침구류에 사용되는 것인 바, 본 고안의 침구류는 섬유재로 구성되며 통기성을 갖는 외피(2)와, 상기 외피 안쪽에 위치되고 탄성을 보유한 스펀지체(4)와 상기 스펀지체(4)의 바깥쪽에 위치되며 논슬립면을 갖는 마감재(6)를 포함하는 매트(1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매트(10)는 외피(2)와, 마감재(6), 스펀지체(4)를 미싱으로 봉제하여 구성되며 통상 사방 모서리를 봉재하고 그 안쪽에 냉각캡슐(100)이 위치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로 봉제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약 40X30cm 정도의 크기를 갖는 베개의 경우 냉각캡슐(100)이 약 8개 정도 소정간격을 끼우고 내재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로 봉제하여 구성하였으며 이불에 덧까는 매트의 경우 그 크기를 감안하여 봉제하면 된다.
상기한 냉각캡슐(100)은 스펀지체(4)와 마감재(6)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바(bar)타입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특히 내부에 음이온 방출재와 내열재료 및 냉각재료를 충진하기 위한 수용부(102)가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한 냉각캡슐의 내공간 수용부에 충진되는 음이온 방출재는 토르말린과 옥, 황보석인바, 각각의 구성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토르말린은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생시켜 신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세포기능과 면역기능을 활성화시키고, 강력한 열 효과와 높은 침투력으로 혈액순환과 정화에 효과가 있다.
옥(玉)은 미세하고 치밀한 섬유상 결정을 가진 각섬석의 일종인 연옥과 경질의 단사정계를 이루는 알칼리 휘석의 일종인 경옥을 총칭하며, 황보석(黃寶石)은 감람석과 같은 결정구조를 가진 사방정계 광물로서 토파즈(Topaz)라고도 한다.
이 토르말린과, 옥 황보석은 화학 구조상 풍부한 음이온 군을 포함하고 있어 많은 양의 음이온을 발생시킨다.
이들 음이온 발생 성분의 함량은 상기 내열재료와 냉각재료 성분의 총 함량과 각 성분별 음이온 발생 효과의 차이 등을 고려하여 토르말린 5 ~ 10 중량%, 옥, 3 ~ 5 중량%, 황보석 3 ~ 5 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내열재료는 고온 사용에 견디는 재료로서 액상에서 고상으로 변하는 합성고분자 재료로 자기 등의 내열 세라믹과, FRP등 성형성이 좋은 재료로 음이온 발생의 효과 등을 고려하여 20 ~ 30 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냉각재료는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성능을 가진 재료로 니켈, 티타늄 복합재료에 세라믹을 첨가한 재료로 니켈, 티타늄 복합재료 30~35 중량%, 세라믹 20중량%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재료와 냉각재료를 음이온방출재와 혼합하여 교반 후 수용부 안쪽 공간에 충진하여 경과시켜 냉각캡슐를 제조하고 제조된 냉각캡슐은 외피(2)와, 마감재(6), 스펀지체(4)를 미싱으로 격자상으로 봉제할 때 소정 간격을 띠우고 위치되며 음이온 방출재로 인하여 음이온이 방출되며, 냉각재료로 인하여 주변 열기를 흡수하고 방출하며 온도를 낮춰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냉각캡슐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한 결과는 도 4와 같으며 단위체적당 음이온 134/cc를 나타낸다.
보통 도심에서는 음이온이 100/cc를 넘지 않으나 시험 조건에서는 108/cc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 134/cc로 측정되어 숲속이나 자연 속에서 측정되는 음이온수치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음이온이 풍부하기 때문에 따라서 상쾌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냉각캡슐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는 도 5와 같으며 방사율 90%이상, 방사에너지 3.48X102(W/m2,㎛,37°C)를 갖는다고 측정되었다.
원적외선은 일반적인 열보다 80배나 깊이 피부로 침투하게 되는데 이때 초당 2000번 이상 진동을 주게 되는데 세포활동을 활발히 하게 만들어서 몸속에 쌓인 노폐물과 독성물질이 배출되게 도와주므로 그로 인해 혈액을 맑게 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몸의 온도를 건강히 올려주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혈액속에는 나트륨(Na+)과 연소(Cl-)와 같은 양전하와 음전하 이온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 이온들이 동맥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 동맥 부근에 냉각캡슐을 배치할 때 이온들은 자기장내에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이온의 흐름은 로렌츠의 힘을 받아 이온들이 분극되어 음전하를 지닌 이온들은 양전하를 지닌 이온들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동맥의 양측에 재배치된다.
동시에 이 분극은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 전기장은 동맥에 갇혀 있던 이온들을 자유롭게 만든다.
또한 이온의 흐름은 전류로 볼 수 있으므로, 플레밍의 법칙에 의해서 혈류의 흐름 방향으로 자력이 작용하여 혈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매트로 인하여 동맥을 청결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냉각캡슐 102: 수용부

Claims (3)

  1. 섬유재로 구성되며 통기성을 갖는 외피(2), 상기 외피 안쪽에 위치되고 탄성을 보유한 스펀지체(4), 상기 스펀지체(4)의 바깥쪽에 위치되며 논슬립면을 갖는 마감재(6)를 포함하는 매트(10), 상기한 매트(10)는 외피(2)와, 마감재(6), 스펀지체(4)를 미싱으로 사방 모서리와 안쪽을 격자상으로 봉제하여 냉각캡슐(100)이 소정 간격을 띠우고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캡슐은 스펀지체(4)와 마감재(6)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바(bar)타입 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특히 내부에 음이온 방출재와 내열재료 및 냉각재료를 충진하기 위한 수용부(102)가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냉각캡슐은 토르말린 5 ~ 10 중량%, 옥, 3 ~ 5 중량%, 황보석 3 ~ 5 중량% 음이온방출재와, 내열 세라믹, FRP 20 ~ 30 중량% 내열재료와, 니켈, 티타늄 복합재료 30~35 중량%, 세라믹 20중량% 냉각재료로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KR2020210001066U 2021-04-05 2021-04-05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KR202100008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66U KR20210000806U (ko) 2021-04-05 2021-04-05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066U KR20210000806U (ko) 2021-04-05 2021-04-05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48A Division KR20180112497A (ko) 2017-04-04 2017-04-04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06U true KR20210000806U (ko) 2021-04-13

Family

ID=7546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066U KR20210000806U (ko) 2021-04-05 2021-04-05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0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42223U (zh) 一种石墨烯发热智能理疗床垫
JP7002114B2 (ja) 頭部装着体
KR100655895B1 (ko) 음이온발생 수맥차단 돌침대
KR20210000806U (ko)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KR200442795Y1 (ko) 황토볼 매트 침대
KR20180112497A (ko) 혈행촉진 냉각 침구류
KR20090131559A (ko) 인체용 발열패드
KR200266809Y1 (ko) 이불용 솜
KR100843000B1 (ko) 음이온 발생 침대형 맥반석 소파
JP3083078B2 (ja) 寝具用のシート状素材
JP4422054B2 (ja) 寝具
KR200273055Y1 (ko) 매트
KR20070091816A (ko) 물 침대용 매트리스 원단
KR102256622B1 (ko) 원적외선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210696844U (zh) 一种具有磁疗活血和疏通微循环保健功能的便携式床垫
KR100334490B1 (ko) 고형 및 겔상원적외선 물질 시트가 구비된 매트
KR100621640B1 (ko) 활성탄을 내장한 조합자극기
KR20150002531U (ko) 통기층을 구비한 온열 매트리스
KR100842999B1 (ko) 음이온 발생 침대형 황토 소파
KR101105548B1 (ko) 다기능성 온수 매트
JP6554210B1 (ja) 敷物及び蒲団
KR200291627Y1 (ko) 은사직물을 이용한 전기온열패드
CN217073586U (zh) 一种发热保暖内衣面料
KR200409966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침구
KR101265795B1 (ko) 건강 보조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