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804A -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804A
KR20210000804A KR1020190075877A KR20190075877A KR20210000804A KR 20210000804 A KR20210000804 A KR 20210000804A KR 1020190075877 A KR1020190075877 A KR 1020190075877A KR 20190075877 A KR20190075877 A KR 20190075877A KR 20210000804 A KR20210000804 A KR 2021000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over frame
guide plate
light guid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박지석
권영준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804A/ko
Publication of KR2021000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8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5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radi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관리용 LED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는, 얼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방향으로 면광원의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오목한 광원 수용 홈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프레임과, 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실장되어 상기 광원 수용 홈에 결합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LED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프레임과,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일 측면은 입광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LED의 출광면에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조명모듈로 구성되되, 상기 조명모듈은,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에 상기 LED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입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LED 어셈블리는 가장자리의 반입광부를 향하여 상기 도광판 내부로 빛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Light mask for skin care}
본 발명은 피부 관리용 LED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선요법은 태양광, 레이저, 형광등, 자외선 램프 등의 다양한 광원을 이용하여 광을 피부에 조사함으로써 피부 내에서 생화학적 반응을 촉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피부 조직의 선택적 재생 또는 파괴를 통해 손상된 피부를 치료하는 광 의료 기술이다.
최근 피부질환 치료를 위한 광원 중 LED 광원을 이용한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LED 광원은, 고출력 레이저(laser)로 국소적인 면적에 집중적으로 치료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적절한 광출력으로 넓은 면적의 질환 부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LED 광원은 파장 폭(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UV)이나 불필요한 적외선(IR) 등이 방출되지 않는다. 또한, 에너지가 낮아 조직이나 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미국 FDA는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의 LED 광원을 이용한 치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있다. LED 광원의 물리적인 특징으로는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며, 부피가 작아 공간 활용이 용이한 것이다.
LED 광원을 이용한 광 마스크의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10-1807533호에는 '엘이디 마스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LED 마스크는, 적색, 청색 및 적외선 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피부미용, 살균 및 피부질환 개선 등의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엘이디 마스크는 반입광부 영역에서 많은 양의 빛이 누설되어 광 이용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엘이디 마스크는 눈 부위에서 누설되는 빛에 의하여 눈부심이 심하게 나타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눈보호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의 엘이디 마스크는 도광판의 각 위치에 따라 도광 거리의 편차가 심하므로,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빛을 조사하는데 한계를 갖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얼굴의 전체 영역에 대하여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 누설을 최소로 하여 광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고, 빛에 의한 눈부심을 최소로 하며,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는, 얼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방향으로 면광원의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오목한 광원 수용 홈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프레임과, 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실장되어 상기 광원 수용 홈에 결합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LED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프레임과,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일 측면은 입광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LED의 출광면에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조명모듈로 구성되되, 상기 조명모듈은,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에 상기 LED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입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LED 어셈블리는 가장자리의 반입광부를 향하여 상기 도광판 내부로 빛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되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부에서 상기 반입광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면 또는 하면에 광 확산 유도 패턴 또는 광 진행 유도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유도 패턴은 스팟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광 진행 유도 패턴은 라인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광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스팟 형상의 패턴과 상기 라인 형상의 패턴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하는 상기 LED가 혼합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 1 가압부와, 제 1 가압부와 단차를 이루면서 벤딩되어 상기 LED 어셈블리의 상기 기판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은 열전도성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은 단열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눈 위치에서 외곽을 향하여 빛을 제공함으로써, 반입광부의 광 누설에 따른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얇은 두께를 가져 반입광부에서 광 누설을 최소로 하고, 도광판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2 커버 프레임을 이용하여 광원모듈이 미리 조립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1의 광 마스크를 나타낸 I-I 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광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들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제조 원자재,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전, 후, 내, 외,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면은 서로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그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마스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광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광 마스크를 나타낸 I-I 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광 마스크는 아웃 케이스(100), 아웃 케이스(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명 모듈(300), 조명 모듈(300)의 내측에서 아웃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이너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웃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는 광 마스크의 외측 및 내측을 커버하는 플레이트로서, 그 내부에 조명 모듈(300)을 수용한다. 또한, 아웃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형합하기 위하여 내측이 오목한 곡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아웃 케이스(100)와 이너 케이스(200)에는 사용자의 눈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0a,200a)가 형성될 수 있다.
아웃 케이스(100)는 광 마스크의 외관을 장식함과 동시에 조명 모듈(30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방열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아웃 케이스(100)는 열전도선 및 방열성이 우수한 소재의 금속 또는 수지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일 예로 알루미늄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200)는 조명 모듈(300)이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명 모듈(300)의 빛이 손실 없이 사용자 얼굴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이너 케이스(200)는 높은 광 투과율을 갖는 투명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조명 모듈(300)은 다수의 LED 광원을 이용하여 얼굴의 전체 면에 균일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한 조명 모듈(300)은 기판(311) 상에 다수의 LED(312)가 실장되는 LED 어셈블리(310)와, LED 어셈블리(310)의 외측을 커버하는 제 1 커버 프레임(320)과, LED 어셈블리(310)의 내측을 커버하는 제 2 커버 프레임(330)과, LED 어셈블리(310)에서 출사되는 점광원의 빛을 면광원으로 전환하는 도광판(340)과, 도광판(340)의 빛을 내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350)를 포함한다.
LED 어셈블리(310)는 광 마스크의 광원으로 기판(311) 상에 다수의 LED(312)기 소정 간격으로 실장되는 어레이를 구성한다. 기판(311)은 곡면 형상의 광 마스크에 대응될 수 있는 플렉시블 소재의 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312)는 특정 파장대의 빛을 출사하는 소자로 구성되며, LED 어셈블리(310)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빛을 발하는 LED(312)가 혼합되어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적외선을 출사하는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ED(312)는 기판(311) 또는 도광판(340)과의 결합 구조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 또는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의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각 LED(312)에서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340) 내부로 입사된다.
제 1 커버 프레임(320)은 LED 어셈블리(310)의 후면 즉, 외측에서 LED 어셈블리(310)를 지지하면서 결합시키는 지지부재로 기능한다. 이를 위한 제 1 커버 프레임(320)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의 프레임으로, 곡면 방향을 따라 내면이 오목한 홈 형상을 이루면서 LED 어셈블리(310)의 기판(311)이 수용되는 광원 수용 홈(321)을 형성한다. LED 어셈블리(310)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제 1 커버 프레임(320)의 광원 수용 홈(3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버 프레임(320)은 LED 어셈블리(310)에서 발생되는 빛이 누설되지 않도록 차광 기능을 함과 동시에 LED 어셈블리(3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는 방열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제 1 커버 프레임(320)은 차광성과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수지 소재로 구성되며, 일 예로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커버 프레임(330)은 제 1 커버 프레임(320)의 전면에서 제 1 커버 프레임(320)에 결합되면서, LED 어셈블리(310)와 도광판(340)을 고정한다. 이를 위한 제 2 커버 프레임(330)은 도광판(340)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 1 가압부(331)와, 제 1 가압부(331)와 단차를 이루면서 벤딩되어 LED 어셈블리(310)의 기판(311)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332)와, 제 2 가압부(332)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제 1 커버 프레임(32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333)를 포함한다. 제 1 가압부(331)와 제 2 가압부(332)의 단차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LED(312)가 위치하는 광원부(334)를 제공한다. 제 1 커버 프레임(320)가 제 2 커버 프레임(330)은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수단이나 스크류 또는 후크 등과 같은 체결 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 프레임(330)은 LED 어셈블리(310)에서 발생되는 빛이 누설되지 않도록 차광 기능을 함과 동시에 LED 어셈블리에서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얼굴로 전달되지 안도록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한 제 2 커버 프레임(330)은 차광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수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LED 어셈블리(310)는 제 1, 2 커버 프레임(320,330)에 미리 결합되어 LED 어셈블리(310), 제 1 커버 프레임(320) 및 제 2 커버 프레임(330)은 하나의 광원모듈을 구성한다. 상기 광원모듈에 추가적으로 도광판(340)과 반사부재(350)가 조립됨으로써, 조립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광판(340)은 LED 어셈블리(310)로부터 다수의 점광원의 빛을 흡수하여 면광원으로 전환시킨다. 이를 위한 도광판(340)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판 형상을 이루며, 일 측면의 입광면(341)이 LED(312)의 출광면(313)에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LED 어셈블리(310)가 위치하는 도광판(340)의 어느 일 측부는 입광부를 형성하고, LED 어셈블리(310)가 위치하지 아니하는 타 측면은 반입광부를 형성한다.
도광판(340)은 소정의 굴절율을 갖는 투명 아크릴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며, 일 예로 PMMA, PS, MS 또는 PC 등의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340) 내부로 입사되는 빛은 굴절률 차이에 의하여 표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반입광부 영역으로 진행하고 이 과정에서 일부의 빛이 표면으로 출사되어 전체 영역에서 면광원 형태로 출사된다.
본 실시예의 도광판(340)은 입광부 영역과 반입광부 영역의 두께를 달리한다. 즉, 도광판(340)은 입광부에서 반입광부를 향할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 형상을 이룬다. 이는 도광 거리와 무관하게 도광판(340)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광 분포를 갖도록 하여, 균일한 광속의 빛이 얼굴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반입광부에서 두께가 얇아지는 도광판(340)은 반입광부 영역에서 광 누설을 최소로 한다. 도광판 내에서 반입광부 영역으로 진행하는 빛은 반입광부의 측면으로 출사되어 누설된다. 따라서 반입광부 영역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측면으로 누설되는 빛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실험예
본 실험예에서 두께가 동일한 판 형상의 도광판(비교예)과 본 실시예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좁아지는 쐐기 형상의 도광판(실시예)에 대한 광 누설을 실험하였다. 각 실험의 도광판에서 입광면의 두께는 2mm이고, 본 실시예의 도광판에서 반입광면의 두께는 0.4mm이다. 또한, LED에서 출사되는 빛의 총 광속은 294 lm이며, 각 도광판의 반입광면에서 누설되는 광속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실시예

도광판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Simulation Image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유실 광속(lm) 19.1 lm 1.6 lm
유실광 비율 6.5% 0.6%
위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도광판은 반입광면에서 19.1 lm의 빛이 누설되지만, 본 실시예의 도광판은 반입광면에서 1.6 lm의 빛이 누설되어 빛 누설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효과가 확인된다.
또한, 도광판(340)은 반입광면에 광 누설을 차단하기 위한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층은 광 반사물질이 코팅되거나 광 반사필름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340)은 상면 또는 하면에 광 확산을 유도하거나 광 진행을 유도하는 패턴이 형성된다. 광 확산을 위한 패턴으로는 스팟(spot) 패턴이 이용될 수 있으며, 광 진행을 위한 패턴으로는 라인(line) 패턴이 이용될 수 있다. 스팟 패턴은 도광판(340)에서 출사되는 빛을 확산시켜 출사되는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고, 라인 패턴은 입광부 영역에서 입사된 빛이 반입광부 영역으로 진행하도록 유도하여 도광판(340)의 전체 영역에서 빛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한다. 라인 패턴은 빛의 진행 방향 즉, 입광부에서 반입광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스팟 형상의 패턴과 라인 형상의 패턴은 단독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팟 형상의 패턴으로는 도트, 원뿔, 피라미드 등의 패턴이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고, 라인 형상의 패턴으로는 프리즘, 실린더 등의 패턴이 양각 또는 음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재(350)는 도광판(340)의 후면으로 출사되는 빛을 전면 즉,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반사시켜 광 출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반사부재(350)는 광 반사율이 우수한 시트 또는 필름이 도광판(340)과 제 1 커버 프레임(320) 사이에 개입되거나, 도광판 하면(후면) 또는 제 1 커버 프레임(320) 전면에 광 반사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명 모듈(300)은 둘 이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사용자의 눈 즉, 개구부(100a,200a)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명 모듈(300)의 입광부(즉, LED 어셈블리)는 개구부(100a,200a) 측에 위치하고, 반입광부는 개구부(100a,200a)에서 먼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LED 어셈블리(31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면서 사용자 얼굴의 횡 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로 곡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LED 어셈블리(310)의 빛은 사용자의 눈 주위에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의 외곽으로 진행하므로, 눈 주위에는 빛이 도달하지 않고 빛이 누설되더라도 눈과 반대 방향에서 누설되므로 눈 주위에서는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명 모듈(300)은 두 개로 분리되어 광원이 눈의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외곽 방향으로 빛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또한, 조명 모듈(300)은 네 개로 분리되고 광원이 눈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외곽으로 빛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광 모듈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실시예의 조광 모듈은 하나의 구성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340)은 얼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일체형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눈 위치의 중심 영역에는 타원 형상의 개구부(340a)가 형성된다. 개구부(340a)의 측면은 입광면(341)을 하고, 입광면(341)을 따라 LED 어셈블리(310) 및 제 1, 2 커버 프레임(320,330)이 결합되어 입광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조광 모듈(300)의 LED 어셈블리(310)는 눈 위치를 중심으로 외측의 방사상으로 빛을 조사하므로, 눈 주위에서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은 눈 주위를 따라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한 쌍의 눈 주위를 따라 한 쌍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고, 각 개구부의 입광면에 LED 어셈블리(310) 및 제 1, 2 커버 프레임(320,330)이 배치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아웃 케이스
200 : 이너 케이스
300 : 조명 모듈
310 : LED 어셈블리
311 : 기판 312 : LED
320 : 제 1 커버 프레임 330 : 제 2 커버 프레임
340 : 도광판 350 : 반사부재
100a, 200a, 340a : 개구부

Claims (8)

  1. 얼굴에 대응하는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아웃 케이스의 내측에 결합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상기 이너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케이스 방향으로 면광원의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오목한 광원 수용 홈을 형성하는 제 1 커버 프레임과, 기판 상에 다수의 LED가 실장되어 상기 광원 수용 홈에 결합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LED 어셈블리의 전면에서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커버 프레임과, 곡면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일 측면은 입광면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LED의 출광면에 마주하도록 결합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 및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조명모듈;로 구성되되,
    상기 조명모듈은,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에 상기 LED 어셈블리가 배치되는 입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LED 어셈블리는 가장자리의 반입광부를 향하여 상기 도광판 내부로 빛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사용자 얼굴의 눈 주위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되는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되는,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입광부에서 상기 반입광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피부 관리용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면 또는 하면에 광 확산 유도 패턴 또는 광 진행 유도 패턴이 형성되는, 피부 관리용 마스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 유도 패턴은 스팟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광 진행 유도 패턴은 라인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도광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스팟 형상의 패턴과 상기 라인 형상의 패턴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피부 관리용 마스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어레이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발하는 상기 LED가 혼합되어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피부 관리용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은,
    상기 도광판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제 1 가압부와, 제 1 가압부와 단차를 이루면서 벤딩되어 상기 LED 어셈블리의 상기 기판을 가압하는 제 2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피부 관리용 마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프레임은 열전도성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커버 프레임은 단열성 소재로 구성되는, 피부 관리용 마스크.
KR1020190075877A 2019-06-25 2019-06-25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KR20210000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77A KR20210000804A (ko) 2019-06-25 2019-06-25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77A KR20210000804A (ko) 2019-06-25 2019-06-25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804A true KR20210000804A (ko) 2021-01-06

Family

ID=7412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877A KR20210000804A (ko) 2019-06-25 2019-06-25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8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7568A (zh) * 2021-06-16 2021-11-02 洋浦吉商生物科技有限公司 导光膜、具有该导光膜的光疗赋能高效深度美容面膜及智能光疗系统
KR102375681B1 (ko) * 2021-10-01 2022-03-18 주식회사 와이앤제이바이오 피부관리용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7568A (zh) * 2021-06-16 2021-11-02 洋浦吉商生物科技有限公司 导光膜、具有该导光膜的光疗赋能高效深度美容面膜及智能光疗系统
KR102375681B1 (ko) * 2021-10-01 2022-03-18 주식회사 와이앤제이바이오 피부관리용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01938B (zh) 显示装置
JP5134202B2 (ja) Led光源
JP5367850B2 (ja) 照明装置
JP4392441B2 (ja) 発光パネルアセンブリ
JP4331892B2 (ja) 照明アレンジメント
KR102605189B1 (ko) 발광 기구 및 백라이트 모듈
KR101185523B1 (ko) 일체형 도광판이 구비된 led 평판조명장치
JP7244480B2 (ja) 薄型直接式バックライトのための超広配光発光ダイオード(led)レンズ
KR102295253B1 (ko) 광 조사 장치
KR20210000804A (ko) 피부 관리용 광 마스크
TW201341720A (zh) Led螢光照明裝置
CN109061942B (zh) 侧入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1866959B1 (ko)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을 갖는 led 조명장치
TWI472814B (zh) 導光模組
KR102171483B1 (ko) 청색광이 저감된 고효율 조명 장치
KR100383033B1 (ko) 표시 장치용 백라이트 장치
CN117111316A (zh) 一种光源均化组件及其光疗治疗仪
KR20160144783A (ko) 조명 장치
JP2004253354A (ja) 面型照明装置
KR2007007108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02329403A (ja) 表示装置用の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940676B1 (ko) 광 조사 장치
JP3663328B2 (ja) 液晶表示装置
KR102418684B1 (ko) 조명 장치
CN217154072U (zh) 一种用于车内照明灯的透镜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