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615A -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 Google Patents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615A
KR20210000615A KR1020190075980A KR20190075980A KR20210000615A KR 20210000615 A KR20210000615 A KR 20210000615A KR 1020190075980 A KR1020190075980 A KR 1020190075980A KR 20190075980 A KR20190075980 A KR 20190075980A KR 20210000615 A KR20210000615 A KR 20210000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mp
measurer
marking
exposed
tape mea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백승환
진연준
이재현
한은진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5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615A/ko
Publication of KR2021000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01B3/1046Details of external structure thereof, e.g. shapes for ensuring firmer hold
    • G01B3/1048Integrated means for affixing or ho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71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01B3/1089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for marking, drawing or cut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71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 G01B2003/1074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associated with the ca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킹수단이 줄자 자체에 구비되어 한손으로도 치수 측정 및 마킹작업이 가능한 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또는 양면에 눈금이 형성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를 권취 수용하며, 일측에는 권취 수용된 측정자가 인출되는 슬릿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슬릿을 통해 몸체 바깥으로 노출된 측정자 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측정자 면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측정자 수용 시에는 측정자의 외측 단부가 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슬릿에 걸리고, 길이 측정 시에는 측정대상물에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상기 측정자의 몸체 내부에 수용된 단부에 결합되며, 측정자가 몸체 내부에 수용되도록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몸체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측정자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지면에 현재 줄자의 위치를 표기하도록 하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Tape Measure with Marking Tool}
본 발명은, 대상물의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줄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측정 대상물에 대한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는 기능 외에도, 측정 위치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마킹이 가능한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자는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물체의 길이를 측정하는 측정 기구이다. 줄자는 쉽게 구부러지는 소재로 테이프 형태로 만들고 그 일면에 눈금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상 편의를 위해 테이프가 하우징의 슬롯을 통해 인출되도록 하되, 사용자가 테이프를 당겼다가 놓으면 자동으로 감겨 들어가도록 이루어진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이 경우, 하우징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이 내장된 보빈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보빈의 일측에 테이프의 일측이 고정되어 감기도록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테이프를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테이프가 하우징의 슬롯을 통해 하우징 내부의 보빈에 감겨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줄자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일측 단부에 테이프의 고정부를 걸어 고정한 다음, 하우징을 당겨서 테이프가 물체의 타측 단부를 지나도록 테이프를 인출하고서 그 물체의 타측 단부가 위치하는 눈금을 읽어 물체의 길이를 측정한다.
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기능으로 인하여 각종 작업현장에서는 측정 대상물의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줄자를 널리 채택하고 있다. 줄자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크게는 탄성 보빈에 측정자가 권취된 탄성 보빈식 줄자와, 십자 형태의 지지가 내부에 50 ~ 100m 이상의 측정자가 권취된 일반 권취형 줄자로 분류될 수 있다. 그 중 탄성 보빈식 줄자는 조작이 용이하고 보관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져 일반 가정 또는 작업현장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탄성 보빈식 줄자를 이용하여 길이, 너비 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길이를 측정하여, 원하는 지점에 표시해야 하는 상황에서 한손으로는 줄자를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마킹수단(각종 필기도구 등)으로 측정한 위치로부터 흔들림이 발생하여 오차가 발생하거나, 마킹수단을 꺼내거나 마킹하는 동안에 후크 부분이 이탈하여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어서,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한다.
줄자는 현재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가장 보편적인 줄자는 일본공개특허 제2017-522578호에서 개시한 형태이다. 일부 제조사에서는 마킹수단(연필 등)을 줄자의 일측에 탈부착할 수 있는 판매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품 또한 마킹수단을 줄자를 파지하지 않은 손으로 탈거하여 마킹하는 동안 오차가 발생하거나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또한, 마킹수단 탈부착형 줄자의 경우, 기본으로 구비된 사이즈의 마킹수단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아 불편을 야기하고 있다. 한편, 줄자 자체에 마킹수단을 부착한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의도치 않게 마킹수단과 지면이 접촉하여, 원하지 않은 곳에 마킹이 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킹수단이 줄자 자체에 구비되어 한손으로도 치수 측정 및 마킹작업이 가능한 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줄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면 또는 양면에 눈금이 형성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를 권취 수용하며, 일측에는 권취 수용된 측정자가 인출되는 슬릿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슬릿을 통해 몸체 바깥으로 노출된 측정자 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측정자 면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측정자 수용 시에는 측정자의 외측 단부가 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슬릿에 걸리고, 길이 측정 시에는 측정대상물에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상기 측정자의 몸체 내부에 수용된 단부에 결합되며, 측정자가 몸체 내부에 수용되도록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몸체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측정자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지면에 현재 줄자의 위치를 표기하도록 하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킹수단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누름쇠; 상기 누름쇠와 연결되어, 누름쇠의 조작에 따라 노출 또는 삽입되는 스탬프 및; 상기 누름쇠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탬프가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고, 누름쇠가 눌린 상태에서는 스탬프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탬프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쇠의 일측에는 걸쇠가 형성되고, 스탬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누름쇠에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걸쇠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누름쇠가 상사점 상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쇠를 차단하는 상단멈치 및; 상기 상단멈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단멈치가 구비되어; 상기 스탬프의 노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누름쇠를 누른 상태에서 걸쇠를 하단멈치에 걸거나, 스탬프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누름쇠를 하단멈치로부터 탈거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쇠가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탬프는 고무 재질의 슬라브로 구성되어, 슬라브에 잉크를 흡수시킨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스탬프가 노출되는 스탬프슬릿의 위치는 몸체에 구비된 슬릿의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구비되어, 슬릿 외부로 노출된 측정자의 눈금 위치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탬프는, 마킹을 위해 스탬프케이스 외부로 노출 및 내부로 삽입되는 마킹부와,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잉크저장부로 구성되어, 스탬프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스탬프케이스의 일측에는 탈착 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탈거 또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잉크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줄자를 파지한 손으로 마킹작업이 가능하여, 마킹 시 오차를 감소시키고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른 한손으로 다른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줄자 자체에 마킹수단이 구비되어, 탈부착으로 인한 마킹수단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마킹수단의 삽탈(노출 및 비노출 상태의 변경)이 가능하여, 의도치 않은 마킹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마킹부에 비해 큰 부피(또는 넓은 면적)를 가지는 잉크저장부를 가지므로, 만년스탬프의 기술적 한계인 공기중에 노출 시 수명 단축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스탬프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로 잉크의 충전이 가능하여, 잉크 충전 시간을 크게 단축하면서도 많은 양의 잉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몸체의 단면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스탬프케이스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 (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또는 양면에 눈금이 형성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를 권취 수용하며, 일측에는 권취 수용된 측정자가 인출되는 슬릿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슬릿을 통해 몸체 바깥으로 노출된 측정자 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측정자 면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측정자 수용 시에는 측정자의 외측 단부가 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슬릿에 걸리고, 길이 측정 시에는 측정대상물에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상기 측정자의 몸체 내부에 수용된 단부에 결합되며, 측정자가 몸체 내부에 수용되도록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몸체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측정자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지면에 현재 줄자의 위치를 표기하도록 하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를 제공한다.
마킹수단으로는, 연필, 샤프, 펜, 보드마커, 도장, 스탬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순 접촉만으로도 치수를 표기할 수 있도록, 수성/유성 마커, 도장, 스탬프 등이 권장된다.
또한, 상기 마킹수단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누름쇠; 상기 누름쇠와 연결되어, 누름쇠의 조작에 따라 노출 또는 삽입되는 스탬프 및; 상기 누름쇠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탬프가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고, 누름쇠가 눌린 상태에서는 스탬프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탬프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누름쇠가 눌리지 않은 상태, 도 3은 누름쇠가 눌려져서 스탬프(마킹부)가 스탬프슬릿 바깥으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통상 만년 스탬프(또는 만년 도장 등)라고 불리는 기구는, 특성상 사용 후 뚜껑을 닫아야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다. 뚜껑이 닫히지 않아 슬라브가 공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장기간 보관되면, 슬라브에 있던 잉크가 모두 말라버려 잉크를 재충전해야 하며, 슬라브의 수명 또한 단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스탬프의 사용 시에만 스탬프를 노출시키고, 그외의 상황에서는 스프링에 의하여 자동으로 스탬프케이스 내부로 수용되기 때문에, 작업 이후 뚜껑을 닫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스탬프 손상의 우려가 적다.
그리고, 상기 누름쇠의 일측에는 걸쇠가 형성되고, 스탬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누름쇠에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걸쇠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누름쇠가 상사점 상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쇠를 차단하는 상단멈치 및; 상기 상단멈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단멈치가 구비되어; 상기 스탬프의 노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누름쇠를 누른 상태에서 걸쇠를 하단멈치에 걸거나, 스탬프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누름쇠를 하단멈치로부터 탈거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쇠가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누름쇠를 노출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줄자 몸체를 지면에 접촉시키는 것 만으로도 마킹이 가능하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누름쇠를 회전시켜 걸쇠가 상단멈치 또는 하단멈치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마킹할 부분에서만 누름쇠를 눌러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누름쇠를 노출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3의 상태에서 누름쇠를 회전시켜, 하단멈치 아래쪽에 걸쇠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마킹이 전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실수로 누름쇠를 누르지 않도록 걸쇠를 상단멈치 및 하단멈치 사이에 걸어서 의도하지 않은 마킹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탬프는 고무 재질의 슬라브로 구성되어, 슬라브에 잉크를 흡수시킨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스탬프가 노출되는 스탬프슬릿의 위치는 몸체에 구비된 슬릿의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구비되어, 슬릿 외부로 노출된 측정자의 눈금 위치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하여 측정자 및 몸체 슬릿 등을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다 정확하고 직관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와 같이 마킹부와 슬릿이 도면상 수직 방향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4에서는, 몸체 슬릿보다 마킹부가 조금 뒤쪽으로 이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탬프는, 마킹을 위해 스탬프케이스 외부로 노출 및 내부로 삽입되는 마킹부와,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잉크저장부로 구성되어, 스탬프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스탬프케이스의 일측에는 탈착 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탈거 또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잉크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탬프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상의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누름쇠에 접촉하도록 도시된 넙적하고 넓은 면적이 잉크저장부, 스탬프케이스의 슬릿을 통해 노출될 수 있는 부분을 마킹부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잉크 충전 시 잉크의 흡수 속도를 최대한 빠르게 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양의 잉크를 저장하여 잉크의 재충전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통상 슬라브에 잉크 충전 시에는 잉크를 슬라브에 도포한 후 수분 내지 수십분동안 기다려야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잉크저장부의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을 빠르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스탬프(마킹부)가 삽입된 상태에서도, 스탬프케이스 슬릿의 작은 구멍을 통해 스탬프와 공기가 접촉하여 일부 증발이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형상의 스탬프 구조를 통하여, 잉크 증발로 인한 스탬프 수명감소 및 재충전 소요를 개선할 수 있다. 잉크저장부에 저장된 잉크가 마킹부 방향으로 자중 및 농도차이 등에 의하여 천천히 이동하므로, 통상적인 가정/건축현장 등의 환경에서는 마킹부가 지속적으로 촉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스탬프케이스가 줄자 몸체의 크기에 대하여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마킹수단의 구조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스탬프케이스를 과장하여 도시한 것으로, 실제 제품 제조 시에는 줄자 몸체의 크기에 대하여 스탬프케이스의 두께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스탬프 및 스탬프케이스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설계하여(몸체의 크기(또는 높이)>>스탬프케이스의 두께), 몸체의 밑면 안쪽에 내장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줄자 몸체 밑면과 측정자 사이의 거리를 최소로 하여, 줄자의 길이 측정 시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몸체
101 : 상단멈치
102 : 하단멈치
2 : 누름쇠
20 : 걸쇠
21 : 스프링
3 : 스탬프케이스
30 : 힌지
31 : 스탬프
32 : 뚜껑

Claims (5)

  1. 전면 또는 양면에 눈금이 형성된 측정자;
    상기 측정자를 권취 수용하며, 일측에는 권취 수용된 측정자가 인출되는 슬릿이 형성된 몸체;
    상기 슬릿을 통해 몸체 바깥으로 노출된 측정자 단부에 고정결합되며, 측정자 면으로부터 수직 아래 방향으로 꺾이도록 형성되어, 측정자 수용 시에는 측정자의 외측 단부가 몸체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슬릿에 걸리고, 길이 측정 시에는 측정대상물에 걸수 있도록 구비되는 후크;
    상기 측정자의 몸체 내부에 수용된 단부에 결합되며, 측정자가 몸체 내부에 수용되도록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
    상기 몸체에 설치되며, 몸체 외부로 인출된 측정자의 인출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측정자를 고정하는 스토퍼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지면에 현재 줄자의 위치를 표기하도록 하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단은,
    상기 몸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누름쇠;
    상기 누름쇠와 연결되어, 누름쇠의 조작에 따라 노출 또는 삽입되는 스탬프 및;
    상기 누름쇠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탬프가 노출되지 않도록 수용하고, 누름쇠가 눌린 상태에서는 스탬프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스탬프케이스를 포함하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쇠의 일측에는 걸쇠가 형성되고, 스탬프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누름쇠에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걸쇠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프링;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는 누름쇠가 상사점 상단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걸쇠를 차단하는 상단멈치 및;
    상기 상단멈치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하단멈치가 구비되어;
    상기 스탬프의 노출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누름쇠를 누른 상태에서 걸쇠를 하단멈치에 걸거나, 스탬프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시키도록 누름쇠를 하단멈치로부터 탈거시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쇠가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는 고무 재질의 슬라브로 구성되어, 슬라브에 잉크를 흡수시킨 상태로 사용되고,
    상기 스탬프가 노출되는 스탬프슬릿의 위치는 몸체에 구비된 슬릿의 위치와 수직 방향으로 동일한 선상에 구비되어, 슬릿 외부로 노출된 측정자의 눈금 위치에 마킹이 가능한,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탬프는, 마킹을 위해 스탬프케이스 외부로 노출 및 내부로 삽입되는 마킹부와, 잉크를 흡수하여 저장하는 잉크저장부로 구성되어, 스탬프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스탬프케이스의 일측에는 탈착 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탈거 또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잉크를 충전시킬 수 있는,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KR1020190075980A 2019-06-25 2019-06-25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KR20210000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80A KR20210000615A (ko) 2019-06-25 2019-06-25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980A KR20210000615A (ko) 2019-06-25 2019-06-25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615A true KR20210000615A (ko) 2021-01-05

Family

ID=74140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80A KR20210000615A (ko) 2019-06-25 2019-06-25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6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187A (zh) * 2023-08-22 2023-09-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力设施安装的测量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93187A (zh) * 2023-08-22 2023-09-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力设施安装的测量机构
CN116793187B (zh) * 2023-08-22 2024-01-2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力设施安装的测量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2589A (en) Tape measure
JPS62265501A (ja) テ−プ尺測定具
US9851193B2 (en) Tape measure apparatus with a rotating and sliding catch
KR20210000615A (ko) 마킹수단이 구비된 줄자
CA2857462C (en) Improved tape measure apparatus with a rotating and sliding catch
JP3174564U (ja) マーカー付き長さ測定器
US2582488A (en) Beam compass
KR910004712Y1 (ko) 줄자
EP0195529B1 (en) Measuring tape
KR200452794Y1 (ko) 줄자를 갖는 필기구
CN210486879U (zh) 一种测绘工具
KR200490127Y1 (ko) 마커를 구비한 줄자
US9470500B2 (en) Tape measure apparatus with a rotating and sliding catch
CN209350235U (zh) 一种画线器
KR101172425B1 (ko) 눈금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
CN217434295U (zh) 一种房屋设计用便于取拿的工具收纳装置
JP2596298Y2 (ja) 巻尺用マーキング具
JP2007125740A (ja) 定規
GB2582992A (en) Periodontal pocket depth measuring device
WO2013118609A1 (ja) センサケース
KR200412807Y1 (ko) 줄자필기구
JP3159002U (ja) メジャー
KR20100005960U (ko) 필기패널이 구비된 줄자
CN209203275U (zh) 一种血氧仪
WO2023084980A1 (ja) 電気化学的センサ及び測定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