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389A -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389A
KR20210000389A KR1020190075389A KR20190075389A KR20210000389A KR 20210000389 A KR20210000389 A KR 20210000389A KR 1020190075389 A KR1020190075389 A KR 1020190075389A KR 20190075389 A KR20190075389 A KR 20190075389A KR 20210000389 A KR20210000389 A KR 20210000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weight
composition
agent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수
우만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텍
Priority to KR102019007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389A/ko
Publication of KR20210000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3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3/00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 D21C3/003Pulping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with 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1Waste products, e.g. sludg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3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5Polyalkenes, e.g. polystyr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21H17/375Poly(meth)acrylamid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3Polyethers;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71Mixtures of material ; Pulp or paper comprising several different materials not incorporated by special processes
    • D21H17/72Mixtures of material ; Pulp or paper comprising several different materials not incorporated by special processes of organ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06Paper forming aids
    • D21H21/12Defoa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펄프;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성형품 즉 펄프 트레이는 기존의 플라스틱 트레이의 대체품으로 일반 공산품의 완제품 포장 완충용 및 공정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반제품 이송, 보관 또는 포장용 트레이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와 관련한 환경문제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FUNCTIONAL BIO-PULP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NUFACTURED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펄프;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현대 생활은 발달한 과학기술, 생활수준과 문화의 질적 향상 및 편리함 추구 등에 의하여 일회용품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음료용으로 자동판매기의 컵, 음료수를 포장하는 용기, 컵라면 용기, 테이크아웃용 용기, 아이스크림용 용기, 햄버거 포장지, 치킨 포장지 등과 같이 다양한 일회용 용기 포장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회용 용기 포장재는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종이의 경우 흡습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수성 재질로 내부를 코팅한다. 종이 포장재의 코팅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은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가볍고, 녹슬지 않으며 썩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전성, 내수성, 유연성, 절연성, 성형성 등의 장점에 의하여 주변 생활용품에 많이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식품 위생성이 우수하고, 유통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등의 이유에 의하여 다양한 식품 용기의 내부에 방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를 사용한 용기 포장재는 사용 및 폐기과정에서 환경호르몬 방출 가능성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코팅 용기 포장재는 사용 후 재활용을 위해 해리하는 과정에서 물에 해리되지 않는 폴리에틸렌은 선별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재활용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이 용기 포장재 제조에 계속적인 펄프의 수입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자원의 재활용 관점 및 환경파괴에서 그 한계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 시 발생하는 매연은 대기오염을 유발하고, 매립을 하여도 자연 분해가 되기까지 수백 년이 걸리기 때문에 토양 오염의 주범이 된다. 더욱이, 폴리에틸렌 코팅공정은 원천적으로 요구되는 200℃가량의 폴리에틸렌 칩의 용해공정 및 이에 대한 휘발성 유기용제(VOCs)로 인하여 고비용 및 작업환경 저하/대기오염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유발한다.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이미 선진국의 포장재 공급업체들은 소비자의 관심과 재활용 규제가 친환경 포장재 수요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옥수수와 같은 식물을 활용해 만든 여러 형태의 바이오 플라스틱을 출시해 왔으며, 국내 업체들에서도 점차 이에 대한 관심을 높여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8499호
본 발명은 기존의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을 사용한 일회용 용기나 공산품 포장용기가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 다이옥신 그리고 폐기 상의 환경공해 문제를 야기하므로 이를 극복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며, 다음 세대를 위한 새로운 제품인 Fine pulp Mold 제품군을 작업공정 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반제품 이송, 보관 또는 완제품 포장용 플라스틱 트레이(Plastic Tray)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성 친환경 바이오 펄프 트레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펄프;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펄프는 종이 또는 폐지로부터 수득되는 것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70 ~ 99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펄프를 99 중량% 이상 사용시 성형성, 물성, 가공성 및 내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70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자연환경에서 생분해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PLA(Polylactic acid), PHBV(Poly-3-hydroxy phenyl valerate), PCL(Polycaprolactone), PBS(Polybutylene succinate), PHB(Poly-hydrxy butyrate), PHA(Poly-hydroxy alkanoate), PGA(Polyglyco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원료 간의 바인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성물 원료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자연환경에서 생분해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으며, 1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어 물성, 성형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발러레이트(PHBV),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유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 전분 수지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원료 간의 바인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성물 원료 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사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중량% 이상 사용하는 경우 자연환경에서 생분해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으며, 1 중량%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 결합력이 저하되어 물성, 성형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수지는 현재 상업적으로 시판중인 분말(powder) 및/또는 섬유 단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지 분말은 직경 1∼10,000㎛를 포함하며, 수지 섬유 단사는 직경 1∼10,000㎛에 길이 0.1∼50㎜가 강도 측면에서 바람직한데, 상기 직경이 1㎛ 미만이거나 길이가 0.1㎜ 미만이면 원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거나, 제품의 탈수시 물과 함께 빠져나가 손실이 크고, 직경이 10,000㎛를 초과하거나 길이가 50㎜를 초과하면 분산이 잘 안되는 경향이 있다.
지력증강제는 수소결합이 가능한 극성 관능기를 갖는 고분자 전해질(polyelectrolyte)로 펄프에 혼합되어 종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지력증강제는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계 고분자 전해질이 주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아크릴아미드계 고분자 전해질은 아크릴아미드(acrylamide)에 공중합(copolymerization)되는 단량체(monomer)에 따라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cationic polyacrylamide), 음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anionic polycarylamide) 또는 양성 폴리아크릴아미드(amphoteric polacrylamide)로 구성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고분자 전해질 또는 화학 변성 개질을 통해 제조된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cationic polyacrylamide)를 사용하였다. 상기 지력증강제는 상기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혼합한 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1 ~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 성형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소포제는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기포는 성형불량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완제품의 물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옥타데칸올(Octadecanol), 헥사데칸올(Hexadecanol) 에이코산올(Eicosanol)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을 소포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혼합한 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의 함량이 약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소포 효과가 미흡하며, 약 10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 성형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타 첨가물을 추가하여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발수제는 알킬 케텐 이량체(alkyl ketene dimer)(AKD), 정착제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CAS No. 82056-50-6; Adipic acid polymer with N-(2-aminoethyl)-1,2-ethanediamine reaction-products with epichlorohydrin), 소포제는 옥타데칸올(Octadecano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수제의 사용량은 상기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혼합한 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의 함량이 약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발수 효과가 미흡하며, 약 20 중량%를 초과하면 물성, 성형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타 첨가물을 추가하여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정착제는 펄프를 구조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량은 상기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혼합한 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의 함량을 벗어나는 경우 물성, 성형성 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타 첨가물을 추가하여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압출 성형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펄프 트레이는 파지 또는 종이 Scrap을 이용한 Pulp Tray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적은 양의 PLA Fiber나 분말 또는 PVC 분말 등 바이오 플라스틱류와 지력증강제(지증제), 발수제, 소포제 등의 첨가제를 섞어 사용함으로써 기존 펄프 트레이 대비 강도가 월등히 향상된 바이오 펄프 트레이 제작이 가능하였고 기존의 플라스틱 트레이 수준이상으로 기계적 특성이 향상 되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파지나 펄프를 백수에 풀어 해리시키고,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백수도 다시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희석된 용액을 메쉬로 거르고 펄프를 수집하는 단계;및 상기 수집된 펄프 원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메쉬는 펄프와 백수를 분리하기 위한 크기면 족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성형단계에서 사용되는 금형은 1차 상하, 2차 상하, 3차 상하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 하 금형에서 Suction하여 1차 상 금형이 진공으로 빨고 올라가 2차 하 금형에 올려주고 다시 2차 상 금형, 3차 하 금형, 3차 상 금형을 거치게 된다. 1차 하 금형은 히터가 없고 물에 해리된 원료를 석션하고 1차 상, 2차 상하, 3차 상하는 히터가 있어 압착 건조를 한다. 이에 대한 개략적인 그림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온도 및 시간은 최종 제품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온도는 100 ~ 400℃, 사이클 시간(C/T)은 20 ~ 180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성형품 즉 펄프 트레이는 기존의 플라스틱 트레이의 대체품으로 일반 공산품의 완제품 포장 완충용 및 공정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반제품 이송, 보관 또는 포장용 트레이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와 관련한 환경문제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바이오 펄프 트레이 제조 공정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금형에서 제품의 이송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제조된 트레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능성 바이오 펄프 트레이 제조 공정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우선 파쇄기에서 1차로 파지나 펄프를 물(백수)에 풀어 원료를 해리시키는 파쇄공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파쇄된 파지나 펄프를 교반 탱크에 저장하면서 펄프가 양호하게 혼합되도록 계속 교반하고, 기타 첨가제를 첨가한다. 상기 파쇄공정에서 펄프 원료와 물(백수)의 혼합 비율은 계략적으로 약 3:97 부피비이다.
상기 저장된 원료를 희석 탱크로 보내고 사용하기 용이한 농도로 물을 첨가하여 농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원료를 백수를 이용하여 계략적으로 약 99:1의 부피 비율로 희석한다.
성형에 적합한 농도로 희석되면 상기 용해된 펄프는 펄프몰드 성형장치(Pulp Molding Machine)로 보내지고, 초기 성형 탱크에 넣어 제품에 맞추어 설계된 금형으로 흡착 성형하면서 압착탈수 및 1차 건조시킨 후 2차, 3차 압착 건조시켜 완제품이 제조된다. 이후 완성된 제품이 자동으로 취출되면 검사자가 검사를 하여 포장, 출하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금형에서의 제품 이송경로를 개략적으로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금형은 1차 상하, 2차 상하, 3차 상하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1차 하 금형에서 Suction하여 1차 상 금형이 진공으로 빨고 올라가 2차 하 금형에 올려주고 다시 2차 상 금형, 3차 하 금형, 3차 상 금형을 거치게 된다. 1차 하 금형은 히터가 없고 물에 해리된 원료를 석션하고 1차 상, 2차 상하, 3차 상하는 히터가 있어 압착 건조를 한다.
상기 1차 상 금형의 온도는 250 ~ 400℃, 2차 상하 금형의 온도는 200 ~ 400℃, 3차 상하 금형의 온도는 100 ~ 300℃이며,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사이클 시간(C/T)은 20 ~ 180초 이다.
<실시예>
1) 원료 제조
배합조건(중량%)
구분 펄프 기본 원료 첨가제 평가
펄프 PLA PVC 해조
추출
부산물
전분 지력
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소포제
실시예1 50 0 0 40 10 0 5 2.5 0.3 ×
실시예 2 85 0 15 0 0 0 5 2.5 0.3
실시예 3 80 10 10 0 0 5 5 2.5 0.3
실시예 4 85 15 0 0 0 5 5 2.5 0.3
실시예 5 60 0 0 30 10 15 3 1.5 1
파지 또는 종이 스크랩과 물(백수)를 3:97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파쇄한 후, 1~5mm의 PLA 섬유나 분말 또는 PVC 분말 등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지력증강제, 발수제, 증착제, 소포제를 첨가하였다.
구체적인 함량은 [표 1]에 나타나 있다. 상기 [표 1]에 기재된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소포제의 함량은 펄프, PLA, PVC, 해조추출부산물 및 전분으로 이루어진 펄프 기본 원료의 100 중량 대비 함량을 기재한 것이다.
상기 발수제는 알킬 케텐 이량체(alkyl ketene dimer, CAS No. 84989-41-3)(AKD), 정착제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CAS No. 82056-50-6; Adipic acid polymer with N-(2-aminoethyl)-1,2-ethanediamine reaction-products with epichlorohydrin), 소포제는 옥타데칸올(Octadecanol)을 사용하였다. 해조 추출 부산물은 해조류에서 식품의 첨가제, 건강보조식품, 한천 재료 등으로 이용되는 해조류의 내부 젤을 추출하고 남은 해조류 섬유를 의미한다. 지력증강제(Dry strength agent; 지증제)는 양이온성 폴리 아크릴아미드(CAS No. 26590-05-6; cationic polyacrylamide)를 사용하였다.
상기 원료 혼합용액이 잘 혼합되고 안정화되도록 교반하였다.
다음 초지성형작업이 원활하도록 상기 혼합 원료에 물(백수)를 첨가하여 1:99의 부피 비율로 희석하였다.
이후, 희석된 원료 혼합 용액을 메쉬로 거른 다음, 걸러진 펄프를 성형작업이 용이하도록 용해된 펄프를 Pulp Molding Machine의 Suction Tank로 보내어 제품에 맞추어 설계된 금형으로 흡착 성형하면서 압착탈수 및 1차 건조시킨 후 2차 또는 3차 압착 건조시켜 트레이를 생산하였다. 이때 1차 상 금형의 온도는 330℃, 2차 상하 금형의 온도는 310℃, 3차 상하 금형의 온도는 200℃였으며, 사이클 타임은 아래 [표 2]와 같다.
1상1하 교착시간 1상2하 교착시간 2상2하 교착시간 2상3하 교착시간
4초 18초 14초 18초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5의 제품(트레이)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트레이에 동일한 힘을 가하여 쪼개지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은 강도 측정 결과는 [표 1]의 평가란에 기재하였다(◎: 매우우수, ○: 우수, △: 보통, ×: 기존수준).
측정결과 실시예 3 및 4의 경우 강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측정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실시예 4의 조성비율로 제조된 트레이가 가장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즉 원료는 펄프와 PLA를 85:15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에 가장 높은 강도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따라서 본 발명자는 실시예 4의 트레이를 이용하여 표면저항, 압축강도, 내열성 및 유해물질 존재 여부를 검사하였다.
1) 표면 저항
상기 트레이의 표면고유저항은 ASTM D257-14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험 결과 상기 트레이의 포면 저항은 2 x 106 Ω임을 확인하였다.
2) 압축강도
상기 트레이의 압축강도는 10mm/min의 속도로 압축시켜 파손될 때까지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트레이의 압축 하중은 1940N이었으며, 일반 시중의 제품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압축 강도를 측정하였을 때 압축 하중은 771N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제조된 트레이는 일반 시중의 제품에 비하여 2배 이상의 압축 하중을 갖는다.
3) 내열성
내열성은 KS G 5602:2016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250 ± 3℃의 온도에서 5분간 동안 처리한 경우 어떠한 변형 및 변색도 일어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트레이는 내열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4) 유해물질 검출 측정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종이 포장재에 대한 유해물질 검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1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레이에서 인체에 유해한 잔류 PCBs, 용출 납(Pb), 용출 비소(As2O3), 용출 포름알데히드 및 용출 형광증백제 모두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로 제조된 최종 제품은 음식의 용기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펄프;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수지는 PLA(Polylactic acid), PHBV(Poly-3-hydroxy phenyl valerate), PCL(Polycaprolactone), PBS(Polybutylene succinate), PHB(Poly-hydrxy butyrate), PHA(Poly-hydroxy alkanoate) 및 PGA(Polyglycol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고밀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발러레이트(PHBV),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부틸렌석시네이트(PBS), 폴리유산(PLA), 폴리히드록시부티레이트(PHB) 및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PH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력증강제는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cationic polyacrylam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옥타데칸올(Octadecanol), 헥사데칸올(Hexadecanol) 에이코산올(Eicosanol)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제는 알킬 케텐 이량체(alkyl ketene dimer)(AKD), 정착제는 폴리아민-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CAS No. 82056-50-6; Adipic acid polymer with N-(2-aminoethyl)-1,2-ethanediamine reaction-products with epichlorohydrin), 소포제는 옥타데칸올(Octadecan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는 종이 또는 폐지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70 ~ 99 중량%;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1 ~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는, 상기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혼합한 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지력증강제 1 ~ 20 중량%, 발수제 1 ~ 20 중량%; 정착제 1 ~ 20 중량% 및 소포제 0.1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압출 성형품.
  11. 파지나 펄프를 백수에 풀어 해리시키고,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혼합 용액에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용액을 백수도 다시 희석시키는 단계;
    상기 희석된 용액을 메쉬로 거르고 펄프를 수집하는 단계;및
    상기 수집된 펄프 원료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펄프 70 ~ 99 중량%;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1 ~ 30 중량%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력증강제, 발수제, 정착제 및 소포제는, 상기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를 혼합한 용액의 전체 중량 대비 지력증강제 1 ~ 20 중량%, 발수제 1 ~ 20 중량%; 정착제 1 ~ 20 중량% 및 소포제 0.1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

KR1020190075389A 2019-06-25 2019-06-25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KR202100003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389A KR20210000389A (ko) 2019-06-25 2019-06-25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389A KR20210000389A (ko) 2019-06-25 2019-06-25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389A true KR20210000389A (ko) 2021-01-05

Family

ID=7414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389A KR20210000389A (ko) 2019-06-25 2019-06-25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38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360B1 (ko) 2022-08-03 2023-02-28 주식회사 포텍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
WO2023031606A1 (en) * 2021-09-02 2023-03-09 Vernacare Limited Cellulosic pulp composition
WO2023033509A1 (ko) * 2021-08-31 2023-03-09 씨제이제일제당(주)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용 조성물
KR20230164428A (ko) *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펄프몰드 패키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99B1 (ko) 2008-05-30 2010-03-19 주식회사 포텍 초미세 탄산칼슘을 이용한 마스타배치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499B1 (ko) 2008-05-30 2010-03-19 주식회사 포텍 초미세 탄산칼슘을 이용한 마스타배치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3509A1 (ko) * 2021-08-31 2023-03-09 씨제이제일제당(주) 펄프 및 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하는 성형품, 이의 제조방법 및 성형용 조성물
WO2023031606A1 (en) * 2021-09-02 2023-03-09 Vernacare Limited Cellulosic pulp composition
KR20230164428A (ko) * 2022-05-25 2023-12-04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펄프몰드 패키징
KR102504360B1 (ko) 2022-08-03 2023-02-28 주식회사 포텍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389A (ko) 기능성 바이오 펄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JP2019506496A (ja) 酸素気密性プラスチック、及び酸素気密性プラスチックから製造された包装材料
KR101885987B1 (ko)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CN1296432C (zh) 乳酸基树脂组合物
US20070259195A1 (en) Polylactic acid composition, transparent heat resistant biodegradable molded article made of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article
KR20120103158A (ko)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
CA2861664A1 (en) Biodegradable beverage carrier
JP2009512765A (ja) 再生可能な資源由来のポリマー複合材料
CN103097445A (zh) 包含用改性层状硅酸盐增强的聚乳酸的聚合物纳米复合物
CN113631657A (zh) 聚羟基烷酸酯系树脂组合物、其成型体及膜或片
CN111777845A (zh) 一种食品级抗菌抗静电pla材料和制备方法
CN109577100A (zh) 一种可光氧降解的聚乙烯淋膜纸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220314515A1 (en) A biodegradable biocomposite and a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101666835B1 (ko)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가지는 다층 코팅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수용성 식품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7926B1 (ko) 내유성, 내수성, 방습성 및 열실링성을 가지는 다층 코팅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수용성 식품 포장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05108B1 (ko) 고강도 일회용 종이 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170022985A (ko) 진드기 기피제 및 이것을 사용한 진드기 기피성 수지 조성물 및 진드기 기피성 가공품
Antony et al. Sustainable green packaging based on nanocellulose composites-present and future
KR102504360B1 (ko) 기능성 바이오 펄프 제조방법
CN108473742A (zh) 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熔融成型品、以及多层结构体
KR101956011B1 (ko) 셀룰로스 미분말을 함유하는 성형체
KR20170067222A (ko) 커피 폐기물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커피 폐기물을 함유한 플라스틱 제품
KR20210061516A (ko) 해조류와 식물성원료를 이용한 친환경 플라스틱 용기의 제조
KR101218525B1 (ko) 친환경적이며 재생가능한 수용성 코팅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8004257A1 (ko) 바이오 플라스틱 필름, 에어캡 및 이를 이용한 에어캡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