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65A -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65A
KR20210000165A KR1020190075125A KR20190075125A KR20210000165A KR 20210000165 A KR20210000165 A KR 20210000165A KR 1020190075125 A KR1020190075125 A KR 1020190075125A KR 20190075125 A KR20190075125 A KR 20190075125A KR 20210000165 A KR20210000165 A KR 20210000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power
amount
charging power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유진
Original Assignee
심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유진 filed Critical 심유진
Priority to KR102019007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65A/ko
Publication of KR2021000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4Optimising energy costs, e.g. responding to electricity 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3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차량으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고, 상기 여유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충전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
본 개시는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탑재된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등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한 차량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차량을 위한 충전 장치의 설치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차량의 충전은 충전 장치가 설치된 장소로 공급되는 공급 전력을 이용하여 차량 내 탑재된 고전압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충전 장치가 설치된 수용가의 전력 용량을 감안하여 충전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과도한 전력으로 충전을 진행할 경우, 해당 수용가의 전략 차단기가 작동하거나, 전력선의 발열, 화재 등 안전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위한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해당 수용가에 대해 계약된 전력 용량 내에서 적절한 용량을 충전 전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그런 사항을 사용자가 충분히 숙지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설치 시에 충전 전력을 수용 가능하도록 공급 전력을 증설하거나, 충전 장치의 충전 전력을 미리 낮추어 설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들은 충전 장치가 미리 설정된 충전 전력으로만 동작하여, 전력이 부족해지거나 여유 전력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른 전기 부하로 인해 전력 소모량이 늘어날 경우 전력 차단기가 작동되거나 전력선의 과부하를 초래할 수도 있고, 전력이 여유 있는 상황에서도 낮은 충전 전력으로 충전을 지속하여 충전 효율을 높이는데도 한계가 있다.
실시 예를 통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 내 고전압 배터리의 충전 시 충전 장치가 설치된 수용가의 전력 소비 상태에 맞춰 충전이 이루어지는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차량으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고, 상기 여유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충전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수용가의 계약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시간대 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정의하는 충전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획득하고,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시간대 별로 차등 적용되는 충전 요금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여유 전력량 및 상기 충전부의 현재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 조절량을 획득하고,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현재 충전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고,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현재 충전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누적한 충전 전력 누적량을 획득하고, 상기 충전 전력 누적량을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전력량은 상기 수용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은, 차량에 대한 충전이 개시되면,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유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가의 계약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시간대 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정의하는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시간대 별로 차등 적용되는 충전 요금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방법은,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여유 전력량 및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 조절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충전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충전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방법은,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누적한 충전 전력 누적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누적량을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가의 계약 전력 범위 내에서 효율적으로 차량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가 내 사용 전력과 충전 장치에 의한 사용 전력을 분리하여 과금할 수 있어, 충전기를 위한 별도의 전력 계량기를 추가 설치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최대 충전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누진제에 따른 전력 과금 문제를 해소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충전 프로파일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모드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충전 프로파일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장치(10)는 충전부(100), 충전 전력 제어부(200), 및 통신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00)는 전력계통으로부터 수용가(30)로 공급되는 공급 전력 중 일부를 차량(20) 내 고전압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전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100)는 충전 전력 검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전력 검출부(110)는 차량(20)으로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충전경로 상에 배치되어, 차량(20)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전력 검출부(110)는 전류 센서(미도시), 전압 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전력 제어부(200)는 시간대 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정의한 충전 프로파일, 수용가(30)가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받도록 계약된 최대 전력량(이하, '계약 전력량'이라 칭함),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 등에 기초하여, 충전부(100)의 충전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충전 전력 제어부(200)는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210),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 누적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 조절량 획득부(240), 충전 전력 조절부(250), 리얼타임클럭(RTC: real-time clock)(260), 및 데이터 처리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210)는 충전 장치(10)에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정의한 충전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프로파일은, 시간대별로 차등 적용되는 충전 요금에 기초하여, 충전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충전 요금을 효율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시간대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프로파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직접 정의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대 별로 충전 전력 저감값을 정의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시간대 별 최대 충전 전력량은, 수용가(30)의 계약 전력량에서,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획득된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충전 전력 저감값을 뺀 값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충전 프로파일은, 통신부(300)를 통해 충전 서비스 서버(40)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저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충전 프로파일은 시간대 별 충전 요금과 충전 시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전력 사용 패턴이 반영될 수 있다.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는 충전 전력 검출부(110)로부터 충전 전력 검출 결과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충전 장치(10)가 차량(20)으로 현재 공급 중인 충전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충전 전력 누적량 획득부(230)는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로부터 충전 전력량을 수신하고, 이를 누적하여 충전 전력 누적량, 즉, 차량(20)에 공급된 총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충전 전력 누적량 획득부(230)는 차량(20)이 충전 장치(10)에 연결되어 충전을 개시하면 충전 전력의 누적을 개시하고, 충전이 종료되면 누적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다음 충전이 개시되면, 이전 충전에서 누적된 충전 전력 누적량을 리셋하고, 새로 충전 전력의 누적을 개시할 수 있다.
조절량 획득부(240)는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여유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부(100)에서 차량(20)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의 조절량을 획득할 수 있다.
여유 전력량은 수용가(30)의 계약 전력량 및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여유 전력량 = 수용가 계약 전력량 - 수용가 사용 전력량
위 수학식 1에서, 수용가 계약 전력량은 수용가(30)에서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받기로 계약된 최대 전력량으로, 충전 장치(10)의 설치 시 미리 설정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가 사용 전력량은,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으로, 통신부(300)를 통해 수용가(30)의 사용 전력량 획득부(32)로부터 수신된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수용가(30)의 사용 전력량 획득부(32)는, 전류 센서(미도시), 전압 센서(미도시) 등을 통해 수용가(30)의 계량기(33)로부터 수용가(30) 내 다른 전력 부하(31)로 공급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수용가(30)의 사용 전력량을 실시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여유 전력량은 충전 프로파일 및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2]
여유 전력량 = 현재 시간대 최대 충전 전력량 - 수용가 사용 전력량
위 수학식 2에서, 현재 시간대 최대 충전 전력량은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210)에 저장된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조절량 획득부(240)는 리얼타임클럭(real time clock, RTC)(260)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한 시각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210)에 저장된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획득할 수 있다. 충전 프로파일이 시간대 별로 정의된 충전 전력 저감값을 포함하는 경우, 조절량 획득부(240)는 수용가(30)의 계약 전력량에서,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획득된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충전 전력 저감값을 뺀 값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획득할 수도 있다.
조절량 획득부(2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여유 전력량이 획득되면, 이를 충전 장치(10)의 현재 충전 전력량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 조절량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량 획득부(240)는 여유 전력량이 현재 충전 전력량 보다 큰 경우, 충전 전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전력 조절량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획득될 수 있다.
[수학식 3]
충전 전력 조절량 = 여유 전력량 - 현재 충전 전력량
또한, 예를 들어, 조절량 획득부(240)는 여유 전력량이 현재 충전 전력량보다 작은 경우, 충전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전력 조절량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획득될 수 있다.
[수학식 4]
충전 전력 조절량 = 현재 충전 전력량 - 여유 전력량
위 수학식 3 및 4에서, 충전 장치(10)의 현재 충전 전력량은 전술한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충전 전력량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전력 조절부(250)는 조절량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충전부(100)의 충전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충전부(10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충전부(100)는 제어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충전 전력 조절량만큼 충전 전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켜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70)는 충전 장치(10)가 통신부(300)를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들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70)는 수용가(30)의 사용 전력량 획득부(32)로부터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데이터 처리하여 조절량 획득부(24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270)는 수용가(30)로부터 수신되는 현재 사용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를 충전 서비스 서버(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70)는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현재 충전 전력량, 충전 전력 누적량 획득부(230)에 의해 획득된 충전 전력 누적량, 또는 조절량 획득부(240)에 의해 획득된 여유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들을 데이터 처리한 후 통신부(300)를 통해 충전 서비스 서버(4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충전 서비스 서버(40)는 충전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전력량, 충전 전력 누적량 등에 기초하여 차량(20)의 충전에 따른 과금 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는 충전 전력 조절 과정에서 획득되는 충전 전력량, 충전 전력 누적량 등을 충전 서비스 서버(40)로 전달함으로써, 충전 장치(10)에 계량기 또는 원격 검침을 위한 원격 검침형 전력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치 비용 및 설비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70)는 통신부(300)를 통해 충전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시각 동기화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RTC(260)와의 시각 동기화를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270)는 통신부(300)를 통해 충전 서비스 서버(40)로부터 충전 프로파일을 수신하고, 이를 토대로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210)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통신부(300)는 충전 장치(10)와 수용가(30) 사이, 또는 충전 장치(10)와 충전 서비스 서버(40) 사이를 유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하며, 충전 장치(10)와 수용가(30) 사이, 또는 충전 장치(10)와 충전 서비스 서버(4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의 충전 장치(10)에서 충전 전력량 획득부(220), 충전 전력 누적량 획득부(230), 조절량 획득부(240), 충전 전력 조절부(250), 및 데이터 처리부(270)는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나 기타 칩셋,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구현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10)의 충전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10)는 차량(20)에 대한 충전이 개시되면(S10), 충전 장치(10)의 현재 충전 전력량, 및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을 지속적으로 획득한다(S11).
상기 S11 단계에서, 충전 장치(10)의 현재 충전 전력량은 차량(20)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량을 검출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S11 단계에서,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은 수용가(30) 내에 위치하는 사용 전력량 획득부(32)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충전 장치(10)는 S11 단계를 통해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이 획득되면, 이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한다(S12). 그리고, S12 단계를 통해 획득된 여유 전력량과 충전 장치(10)의 현재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의 조절이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13).
상기 S12 단계에서, 여유 전력량은 수용가(30)의 계약 전력량 및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위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여유 전력량은 충전 프로파일 및 수용가(30)의 현재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위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S13 단계에서, 충전 장치(10)는 여유 전력량과 현재 충전 전력량을 비교하고, 현재 충전 전력량이 여유 전력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 충전 전력의 조절이 필요하다 판단할 수 있다.
S13 단계에서, 충전 전력 조절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충전 장치(10)는 S12 단계를 통해 획득된 여유 전력량 및 충전 장치(10)의 현재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 조절량을 획득한다(S14). 그리고, 획득된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충전 장치(10)에서 차량(20)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조절한다(S15).
상기 S14 단계에서, 충전 장치(10)는 여유 전력량이 현재 충전 전력량 보다 큰 경우, 충전 전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충전 전력 조절량을 선출할 수 있다. 또한, 여유 전력량이 현재 충전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충전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할 수 있다.
충전 장치(10)는 충전이 종료될 때까지(S16) 전술한 S11 단계 내지 S15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수용가(30)의 사용 전력량, 시간대 별 충전 요금에 따라 충전 전력량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용가(30)의 계약 전력 범위 내에서 효율적으로 차량(20)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30)의 소비 전력량이 낮고 충전 비용이 저렴한 야간 시간대에는 보다 높은 충전 전력으로 차량(20)을 충전하여 충전 시간을 단축하고, 수용가(30)의 소비 전력량이 높고 충전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간 시간대에는 낮은 충전 전력으로 차량(20)을 충전하여 수용가(30)의 전력 과부하를 방지하고 충전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수용가(30) 내 사용 전력과 충전 장치(10)에 의한 사용 전력을 분리하여 과금할 수 있고, 충전기를 위한 별도의 전력 계량기를 추가 설치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최대 충전 전력량을 조절함으로써, 누진제에 따른 전력 과금 문제를 해소할 수도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_ROM, DVD_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충전 장치
20: 차량
30: 수용가
31: 전력 부하
32: 사용 전력량 획득부
33: 계량기
40: 충전 서비스 서버
100: 충전부
110: 충전 전력 검출부
200: 충전 전력 제어부
210: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
220: 충전 전력량 획득부
230: 전력 누적량 획득부
240: 조절량 획득부
250: 충전 전력 조절부
260: RTC
270: 데이터 처리부
300: 통신부

Claims (15)

  1. 차량으로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 및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고, 상기 여유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충전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수용가의 계약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시간대 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정의하는 충전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충전 프로파일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획득하고,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시간대 별로 차등 적용되는 충전 요금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충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여유 전력량 및 상기 충전부의 현재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 조절량을 획득하고,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부의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현재 충전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고,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현재 충전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누적한 충전 전력 누적량을 획득하고, 상기 충전 전력 누적량을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충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전력량은 상기 수용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장치.
  9. 차량에 대한 충전이 개시되면, 수용가의 사용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유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수용가의 계약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시간대 별로 최대 충전 전력량을 정의하는 충전 프로파일로부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시간대에 대응하는 최대 충전 전력량, 및 상기 사용 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여유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프로파일은 시간대 별로 차등 적용되는 충전 요금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방법은,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여유 전력량 및 상기 충전 전력량에 기초하여 충전 전력 조절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충전 전력량보다 큰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는 단계, 또는
    상기 여유 전력량이 상기 충전 전력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충전 전력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상기 충전 전력 조절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 공급되는 충전 전력을 누적한 충전 전력 누적량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전력 누적량을 충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의 충전 방법.
KR1020190075125A 2019-06-24 2019-06-24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210000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25A KR20210000165A (ko) 2019-06-24 2019-06-24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125A KR20210000165A (ko) 2019-06-24 2019-06-24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65A true KR20210000165A (ko) 2021-01-04

Family

ID=74127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125A KR20210000165A (ko) 2019-06-24 2019-06-24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203B1 (ko) * 2021-08-13 2022-10-04 김진우 전기차 충전을 위한 가변형 전력제어 시스템
KR20230013315A (ko) * 2021-07-19 2023-01-26 (주)클린일렉스 Ocpp 기반의 스마트 충전 프로파일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전력 분배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3315A (ko) * 2021-07-19 2023-01-26 (주)클린일렉스 Ocpp 기반의 스마트 충전 프로파일을 이용한 전기차 충전전력 분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50203B1 (ko) * 2021-08-13 2022-10-04 김진우 전기차 충전을 위한 가변형 전력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3932B2 (en) Grid regulation servic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based on grid frequency
JP6471766B2 (ja) 電池制御システム
US9343926B2 (en) Power controller
EP2778697B1 (en) Battery-state monitoring system
TWI602381B (zh) 充放電控制裝置及方法
US9293915B2 (en) Electric power control device and electric power control system using same
US20130134940A1 (en) Power control apparatus
US9193276B2 (en) Pow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method, and program
EP2849307B1 (en) Power control device and power control method
EP2590298A1 (en) Charge/discharge control apparatus
JP2013225971A (ja) 充電制御装置及び車両充電システム
KR20210000165A (ko)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20160193931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discharge device
KR20150115063A (ko) 기준 전력을 조절하기 위한 에너지 운영 장치 및 그 방법
CN103003092A (zh) 充电系统
KR20130032493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및 그 충전 방법
CN112009305B (zh) 管理装置、管理方法及存储介质
JP4346881B2 (ja) 電源装置
KR101977959B1 (ko) 차량용 실시간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11384732A (zh) 用于为车辆的蓄电池充电的方法、蓄电池充电装置以及车辆
CN116094012B (zh) 供电系统调度方法及相关设备
JP2024015986A (ja) バッテリーエナジーステーション、および、その充電管理方法
KR20210083716A (ko) 전기차 충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200452A (zh) 居民楼峰谷电力供应管理控制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