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13A -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13A
KR20210000113A KR1020190074980A KR20190074980A KR20210000113A KR 20210000113 A KR20210000113 A KR 20210000113A KR 1020190074980 A KR1020190074980 A KR 1020190074980A KR 20190074980 A KR20190074980 A KR 20190074980A KR 20210000113 A KR20210000113 A KR 2021000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mount
ultrasonic
sensor
chan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승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113A/ko
Publication of KR2021000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 B60R21/01536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using ult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42Passenger detection systems detecting passenger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B60Y2400/3044Vib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거나, 차량의 내부 물체를 감지하거나, 차량 외부의 우적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에서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상하진동만 발생되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통합 제어 유닛 및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한 경우 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REAR OCCUPATN ALERT APPARATUS, VEHICLE INCLUDING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후석에 승객 탑승 알림을 수행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도로나 선로를 주행하면서 사람이나 물건을 목적지까지 운반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주로 차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차륜을 이용하여 여러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량으로는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나, 모터사이클 등의 이륜 자동차나, 건설 기계, 자전거 및 선로 상에 배치된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열차 등이 있을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가장 보편적인 이동 수단으로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에 차량 내에 부주의로 인하여 유아 방치를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릴 때, 후석의 승객, 특히 영유가 차량 실내에 남아 있는지 여부를 감지해서 안내하는 후석 승객 알림장치(ROA: Rear Occupant Alert)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후석 승객 알림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릴 때, 후석의 승객이 감지되면, 운전석 클러스터 경고 및 경고음을 발생한다. 만약, 운전자가 후석의 영유아를 인지하지 못하고 완전히 하차한 후 도어를 잠그면,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차량 천장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를 가동해서 차량 실내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후,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후석 승객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경적음을 발생하고, 비상등을 점멸하며, 문자메시지를 발송해서 영유아 방치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1378호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후석 승객 알림 장치는, 초음파 센서만을 이용하여 후석 승객을 감지함에 따라, 비나 우박과 같이 차량 루프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오경보 알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후석 승객 감지 시 오작동을 막아, 오경보 발생을 막고, 감지 성능을 만족시키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거나, 차량 내부 물체를 감지하거나, 상기 차량 외부의 우적량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상하진동만 발생되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통합 제어 유닛; 및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한 경우 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부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우적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G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고,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큰 제 2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G 센서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이와 비례하여 가변된 상기 초음파 변화량의 임계변화량보다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없어도,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상기 제 1 임계변화량보다 작은 제 3 임계변화량보다 크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작으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상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작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크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하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상향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G센서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거나, 초음파 센서가 차량 내부 물체를 감지하거나, 레인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우적량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상하진동만 발생되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한 경우 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우적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고,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큰 제 2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G 센서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이와 비례하여 가변된 상기 초음파 변화량의 임계변화량보다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없어도,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상기 제 1 임계변화량보다 작은 제 3 임계변화량보다 크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작으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상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작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크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하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상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석 승객을 감지 시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감지를 막아 오경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후석 승객 감지를 위하여 초음파 센서 이외의 다양한 센서를 적용함에 따라, 후석 승객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후석 승객 감지 성능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 센서의 민감도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시간에 따른, G센서의 각축 및 초음파 신호의 세기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및 도 7은 차량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에에 따른 차량 블록도이고,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후석 승객 알림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내부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감지부(100), 통합 제어 유닛(200), 및 출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감지부(100)라 함은, 차량(1)의 실내 또는 실외에 있어서, 차량 주행이나 승객을 위하여 차량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후석에 승객이 탑승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100)는 레인 센서(101), G 센서(102), 및 초음파 센서(10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레인 센서(101)란, 와이퍼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설치한 센서로 차량의 앞 유리창 상단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레인 센서(101)는 적외선을 발사한 뒤 이 적외선이 유리창에 부딪쳐 다시 센서로 돌아오는 사이의 파장을 감지하여, 빗물의 양(우적량)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차량(1)은 G 센서(102)를 포함한다. G 센서란 가속도 센서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기울기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G센서의 센서값을 기초로, 차량의 주행방향인 x축, x축과 수직이고, 지평과 수직인y축, 및 y축과 수직인 z축 방향으로의 차량 진동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초음파 센서(103)는 초음파를 일정시간 발생시킨 뒤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검출한다. 따라서, 초음파 센서는 근거리 범위 내에서 보행자 등의 장애물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차량 후석에 승객이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의 루프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일 RV 차량인 경우라면, 차량의 2열과 3열 시트 사이의 루프에 장착되어 2열과 3열 공간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센서(103)는 송신부와 수신부를 포함하여, 송신된 신호의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승객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감지부(1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만, 차량(1)은 도 1에 도시된 감지부(100)의 센서 이외에 더욱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300)는 후술하는 통합 제어 유닛(200)에서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들려주거나, 무선통신에 기초하여 문자를 남기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301)는 차량 내부 대시 보드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되는 차량용 단말기를 통하여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음향부(302)는 차량 클락션(혼)을 포함하여, 통합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경고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클락션을 울려 사용자에게 경고를 줄 수 있다.
또한, 출력부(300)는 무선 통신부(303)를 포함하여, 통합 제어 유닛(200)으로부터 무선 통신에 기초하여 문자(SMS) 서비스 제공하라는 신호가 입력되면, 무선 통신부(303)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문자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때, 무선 통신부(303)는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 (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100)는 다양한 센서를 포함하여, 센서가 감지한 센서 정보를 통합 제어 유닛(200)에 전송하고, 통합 제어 유닛(200)은 감지부(100)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출력부(300)에 송신하여, 출력부가 제어 신호에 맞는 동작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차량(1) 내부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내부 통신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초음파 센서(103)가 센싱한 초음파 신호나, G 센서(102)가 센싱한 가속도값을 기초로 변화가 감지된 경우, 해당 감지 정보를 통합 제어 유닛(200)으로 LIN 네트워크를 기초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통합 제어 유닛(200)은 해당 감지 정보를 기초로 경보 출력이 필요한 경우, 출력부(300)의 표시부(301)나, 클락션(302) 및 무선 통신부(303)로 경보 출력은 CAN 네트워크를 기초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지부(100)와 출력부(300)의 각종 장착 위치는 도 2의 차량 내부도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조 장치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라디오 장치 및 오디오 장치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를 포함한다.
클러스터(123)는 차량의 주행 정보 및 고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정보는 연비 정보, 주행 가능 거리 정보, 총 주행 거리 정보, 주행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고장 정보는 타이어 공기압 이상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123)는 표시부(301)의 하나로써, 후석 승객 알림 정보를 메시지 팝업을 띄워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센터 페시아(124)에는 라디오 장치, 오디오 장치,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125)과, 멀티단자(126)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단자(126)는 헤드 유닛(125)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단자(126)는 USB 포트를 통해 사용자용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용 단말기는 이동 및 통신이 가능한 디바이스로,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7)는 헤드 유닛(125) 및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한다.
입력부(127)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일체로 마련된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7)는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버튼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27)는 차량용 단말기(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130)는 전후좌우 방향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내비게이션 모드와 연동하여 지도 정도 및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용 단말기(130)는 대시 보드 상에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센터 페시아 상에 매립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단말기(130)의 표시부는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따라서, 단말기(130)는 표시부(301)의 하나로써, 후석 승객 알림 정보를 메시지 팝업을 띄워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백미러의 상단, 및 앞 유리창 상단 중앙에 레인 센서(10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제 1열과 제 2열 중간 루프에 초음파센서(103)를 포함하여, 후석의 승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에 포함된 감지부(100)와 출력부(3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초로 출력부(30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동작되는 통합 제어 유닛(20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통합 제어 유닛(200)은 ICU(Integrated Central Control Unit)을 포함하는 것으로, 다른 제어기로부터의 요청을 Logic 신호나 CAN 신호르 통해 입력받아 ICU의 제어 로직을 통하여 필요한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출력을 공급하는 유닛을 의미한다.
특히, 이러한 통합 제어 유닛(200)은 차량의 바디 장치들의 기능들 각각의 ECU(전자 제어 유닛: Electronic Control Unit)을 통합한 하나의 중앙 제어 장치인 바디 제어 유닛(BCM: Body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합 제어 유닛(200)은 내부적으로, 바디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어부(201)아 이러한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2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201)은 CPU 또는 MCU일 수 있고,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저장부(202)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202)는 제어부(201)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통합 제어 유닛(2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통합 제어 유닛(200)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통합 제어 유닛(200)의 동작이 제어부(201)가 주체가 되어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간략하게, 제어부(201)는 감지부(100)가 감지한 각종 센싱값을 수신하여, 센싱값을 기초로 차량 후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하여 차량 후석에 탑승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후석의 탑승자에 의해 일반적인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 G센서(102)의 진동값과 초음파 센서(103)의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움직임이 실제 발생된 경우, G센세의 x,y 및 z축 진동이 없고, 음영된 A 영역과 같이, 초음파 변화만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는 차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G센서(102)와 초음파 센서(103)의 신호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G 센서(102)의 z축 진동이 매우 크게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차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진 상태인 바, G 센서(102)의 x, 및 y 축 변화가 발생되어 충격으로 판단하여 음영된 B 영역과 같이, 초음파 변화가 발생하여도 이를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 5는 우박이나 비가 내리는 상황을 가정한 실시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차량 루프에 매우 약한 충격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x축 및 y축은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초음파 변화가 발생되는 것이므로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오감지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z축 방향으로 큰 진동이 발생하여도, x축이나 y축으로 진동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음파 신호가 음영된 C 영역과 같이 변화가 발생한 바, 차량은 이를 탑승자의 움직임으로 오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우박이나 비가 내리는 상황과 같이, G 센서(102)의 z축 방향으로만 진동이 발생하고, x축 및 y축으로 미리 설정한 임계값보다 작은 진동만 발생된 경우에 대하여 초음파 센서(103)의 민감도를 조절하여, 탑승자의 움직임 판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통합 제어 유닛(200)은 레인 센서(101)로 우적량을 감지된 경우와 같이, 비나 우박이 오는 상황에 대하여 G센서(102)의 측정된 진동과 초음파 센서(103)의 센싱값의 변화를 기초로 후석 탑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레인 센서(101)로 감지된 우적량에 기초하여 초음파 센서(103)의 민감도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석 탑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 순서도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03)의 민감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차량(1)은 초음파 신호를 감지한다(610).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후석 탑승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초음파 변화 이벤트가 발생시마다 로직이 수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초음파 변화 이벤트가 발생된 이후,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ex:10ms[sec])마다 후술하는 로직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초음파 변화가 감지되면, 차량(1)은 G 센서의 x축 및 y축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11). 이 때, X축 및 Y축으로의 G 센서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으나(611의 아니오), G 센서의 z축변화가 발생된 경우라면(612의 예), 비나 우박이 내리는 특수한 상황일 수 있으므로, 레인 센서(101) 값에 기초하여 우적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20의 예).
다만, 이와 달리, G 센서의 x축, y축 및 z축으로의 G 센서 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라면(612의 아니오), 일반적인 상황으로, 초음파 변화량이 미리 설정한 제 1 초음파 임계값보다 크면(613의 예), 차량(1)은 차량 내부 탑승자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정한다(614).
이하에서는, 우적이 감지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620) 이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적이 감지된 경우 (620의 예), 차량(1)은 G 센서의 Z축 변화량과, 초음파 신호의 변화량을 감지한다. G 센서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초음파 센서(103)의 감지를 둔감화한다. 이는G 센서(102)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비가 많이 오는 것을 의미하므로, 우적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한 오감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초음파 센서(103)의 신호의 변화량이 커지도록 임계량을 재설정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적이 감지된 경우(620의 예), G센서(102)의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으면(621의 예), 비가 소량 내리는 상황이므로, 초음파 변화량이 비가 오지 않은 상태에서의 초음파 임계량인 제 1 초음파 임계값보다 큰 제 2 초음파 임계값보다 크면(621의 예), 차량 내부의 탑승자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정한다(614).
또한, 우적이 감지된 경우(620의 예), G센서(102)의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크면(621의 아니오), 비가 내리는 상황이므로, 초음파 변화량이 비가 적게 내리는 상태에서의 초음파 임계량인 제 2 초음파 임계값보다 큰 제 3 초음파 임계값보다 크면(631의 예), 차량 내부의 탑승자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정한다(614).
만일, 우적이 감지된 경우(620 의 예), G센서(102)의 변화량이 제 2 변화량보다도 커지면, 초음파 변화량의 임계값 역시 제 3 초음파 임계값보다 큰 값을 가진 경우에 차량 내부의 탑승자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된 것으로 확정한다.
즉, 차량1)은 G 센서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이와 비례하여 가변된 초음파 변화량의 임계변화량보다 초음파 변화량이 클 때,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센서(103)의 민감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센서(103)의 민감도를 결정할 때는, 레인 센서(101)가 감지한 우적량과 G 센서(102)에 따른 z축 변화량을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차량(1)은 우적량을 감지한다(710). 감지된 우적량이 있을 시(710의 예), 우적량을 미리 설정한 임계량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는 하나의 임계값인 제 1 우적량과 비교하였으나, 우적량을 2단계, 3단계, 4단계, 또는 5단계로 단계별 임계값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도 7에서는 감지된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작은 경우(제 1 단계)(711의 예), 및 감지된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큰 경우(제 2 단계)(711의 아니오)의 두 단계로 나눠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작은 경우 (711의 예),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12의 예), z축 변화량이 제1 변화량보다 크고(712의 아니오) ,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20의 예), 및 z 축 변화량이 제 2 변화량보다 큰 경우(720의 아니오)에 따라 초음파 민감도를 변경한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작은 경우 (711의 예), z축 변화량이 제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12의 예)에는 초음파 민감도를 '최상'으로 상향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작은 경우(711의 예),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크고(712의 아니오) ,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20의 예) 초음파 민감도를 '상'으로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작은 경우(711의 예),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크고(712의 아니오) ,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20의 예) 초음파 민감도를 '상'으로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작은 경우(711의 예), z축 변화량이 제 2 변화량보다 크면(720의 아니오), 초음파 민감도를 '중'으로 조정한다.
다음으로, 차량(1)의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클 때(711의 아니오)에 대하여 초음파 센서(103) 민감도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큰 경우 (711의 아니오),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40의 예)에는 초음파 민감도를 '중'으로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큰 경우(711의 아니오),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고(740의 아니오) ,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750의 예) 초음파 민감도를 '하'로 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1)은 우적량이 제 1 우적량보다 큰 경우(711의 아니오), z축 변화량이 제 1 변화량보다 크고(740의 아니오) 초음파 민감도를 '최하'로 조정한다.
즉, 차량(1)은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킬 수 있다.
다만, 차량(1)은 ,일 예로,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차량의 상하 진동이 작으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상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킬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다른 일 예로, 감지된 우적량이 작고,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크면,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하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상향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 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321: 거리 검출부
322: 영상 획득부310: 위치 수신부
310: 위치 수신부 `

Claims (19)

  1.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거나, 차량 내부 물체를 감지하거나, 상기 차량 외부의 우적량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상하진동만 발생되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통합 제어 유닛; 및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한 경우 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 내부 물체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우적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여부를 식별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G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고,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큰 제 2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G 센서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이와 비례하여 가변된 상기 초음파 변화량의 임계변화량보다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없어도,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상기 제 1 임계변화량보다 작은 제 3 임계변화량보다 크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작으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상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 유닛은,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작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크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하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상향시키는 후석 승객 알림 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9항에 따른 후석 승객 알림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1. G센서가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거나, 초음파 센서가 차량 내부 물체를 감지하거나, 레인 센서가 상기 차량 외부의 우적량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상하진동만 발생되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한 경우 이를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우적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초음파 센서의 초음파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을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작으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고,
    상기 G센서의 z축 변화량이 제 1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제 1 임계변화량보다 큰 제 2 임계변화량보다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G 센서의 z축 변화량이 클수록, 이와 비례하여 가변된 상기 초음파 변화량의 임계변화량보다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클 때,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물체가 있는 경우에, 감지된 차량의 진동이 없어도, 상기 초음파 변화량이 상기 제 1 임계변화량보다 작은 제 3 임계변화량보다 크면, 상기 우적량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된 움직임으로 식별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클수록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크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작으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상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하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우적량이 작고, 상기 차량의 상하 진동이 크면,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최하 단계로 진입시키고, 미리 설정한 임계시간 이후, 동일한 우적량 및 상하 진동을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초음파 센서의 민감도를 상향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90074980A 2019-06-24 2019-06-24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0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80A KR20210000113A (ko) 2019-06-24 2019-06-24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80A KR20210000113A (ko) 2019-06-24 2019-06-24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13A true KR20210000113A (ko) 2021-01-04

Family

ID=7412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980A KR20210000113A (ko) 2019-06-24 2019-06-24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01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49A (ko) 2021-10-07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후석 승객 감지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378B1 (ko) 1988-09-01 1999-05-15 펜티 포토; 세이자 라우릴라 치환된 β-디케톤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378B1 (ko) 1988-09-01 1999-05-15 펜티 포토; 세이자 라우릴라 치환된 β-디케톤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149A (ko) 2021-10-07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후석 승객 감지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6323B2 (en) Predictive human-machine interface using eye gaze technology, blind spot indicators and driver experience
US7532108B2 (en) Vehicle theft detection device
CN107176165B (zh) 车辆的控制装置
JP3087606B2 (ja) 自動車用車間距離計測装置及び方法
US10909853B2 (en) System for identifying driving intention of surrounding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616101B2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KR20180030823A (ko) 능동형 안전 장치의 트리거 조정을 위해 앞차의 제동등 인식
US20140118130A1 (en) Automobile warning method and automobile warning system utilizing the same
CN102582433A (zh) 驾驶员辅助系统、汽车和用于运行驾驶员辅助系统的方法
US20040113799A1 (en) Driving workload estimation
EP3163551B1 (en) System for distinguishing between traffic jam and parked vehicles
US10896338B2 (en) Control system
CN109427215A (zh) 用于对车辆进行错误行驶警告的方法和设备
CN204547919U (zh) 具有安全换道辅助系统的车辆
US11335085B2 (en)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112905139A (zh) 车载显示屏控制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KR101768115B1 (ko) 컨트롤 패드,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0113A (ko) 후석 승객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09878535B (zh) 驾驶辅助系统和方法
KR20190067962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556616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7649A (ko) 차량을 보호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821885B2 (en) Enhanced vehicle safety system
US20230150423A1 (en) Vehicle
EP4064241A1 (en) Vehicle emergency light detecting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