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100A -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00A
KR20210000100A KR1020190074943A KR20190074943A KR20210000100A KR 20210000100 A KR20210000100 A KR 20210000100A KR 1020190074943 A KR1020190074943 A KR 1020190074943A KR 20190074943 A KR20190074943 A KR 20190074943A KR 20210000100 A KR20210000100 A KR 2021000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ressure
pressure sensor
hea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8039B1 (ko
Inventor
임혜민
Original Assignee
임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혜민 filed Critical 임혜민
Priority to KR102019007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1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pressure control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light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527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쉬모가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모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바디부를 포함하여, 교체가능한 브러쉬를 수 개 휴대하여 다양한 메이크업 화장품 색상에 맞추어 화장을 할 수 있음으로서 휴대성과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절감이 되고, 또한, 대상자의 피부에 따라 가압되는 압력을 시각화함으로서 대상자가 선호하는 압력 세기로 메이크업을 할 수 있어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브러쉬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Brush for A Cosmetic and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화장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상자에 따른 브러쉬 사용 정보에 대하여 설정이 가능한 화장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 또는 남성들이 얼굴 화장을 할 경우에, 화장 부위에 따라 그에 적당한 화장용 브러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얼굴 화장에 사용되어지는 화장용 브러쉬의 종류로는 볼과 이마를 화장하는 훼이셜 화장용 브러쉬, 눈두덩에 사용하는 아이메이크업 브러쉬, 입술을 화장하는 립브러쉬 등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브러쉬가 있다. 한편, 이러한 브러쉬와 함께 사용되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상도 다양하다.
이에 따라, 각 브러쉬 마다 다양한 메이크업 화장품 색상에 맞추어 여러 개의 화장용 브러쉬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에 따라서 즉, 대상장의 피부 또는 선호하는 압력 세기에 따라, 브러쉬의 가압 정도는 차이가 있다. 또, 이러한 가압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메이크업을 할때마다 매번 테스트를 하여 가압 강도를 조절 해야하고, 이러한 가압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러 가지의 화장용 브러쉬를 각각 소지할 필요 없고, 대상자가 선호하는 압력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는, 브러쉬모가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모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바디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가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상기 브러쉬모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브러쉬모와 결합되어, 상기 브러쉬모에서 받는 압력을 상기 압력센서로 전달하도록 접촉돌기가 형성된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과 미리 저장된 압력값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소정의 임계치를 감지했을 때 사용자에게 지각 신호를 전달하는 시각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돌기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브러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장용 브러쉬는, 교체가능한 브러쉬를 수 개 휴대하여 다양한 메이크업 화장품 색상에 맞추어 화장을 할 수 있음으로서 휴대성과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절감의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장용 브러쉬는, 대상자의 피부에 따라 가압되는 압력을 시각화함으로서 대상자가 선호하는 압력 세기로 메이크업을 할 수 있어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대상자의 피부 또는 선호하는 압력 세기에 따라, 브러쉬의 압력 세기는 차이가 있다. 또, 이러한 압력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메이크업을 할때마다 매번 테스트를 하여 압력 세기를 조절 해야하고, 이러한 압력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첨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작동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은 기술적으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전반에 걸쳐,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포함(comprise, comprises, comprising)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및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임의의 어떤 다른 물건, 단계 또는 일군의 물건 또는 일군의 단계를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화장용 브러쉬(1)는 헤드부(10)와 바디부(20), 충전케이블(30)을 포함한다.
헤드부(10)는 브러쉬모(12)가 일측에 구비되는 홀더(14)을 포함한다. 브러쉬모(12)는 수 개의 모들을 적층하여 마련하되, 브러쉬모(12)에서 받는 압력을 압력센서(24)로 전달하도록 돌출된 접촉돌기(1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촉돌기(16)는 브러쉬모(12)가 대상물을 가압하면, 압력센서(24)에 접촉한다. 홀더(14)는 내부가 관통되어 일측에서 브러쉬모(12)가 결합되되, 접촉돌기(16)가 홀더(14)의 결합 방향을 향하여 마련된다.
바디부(20)는 헤드부(10)와 결합부(24) 사이에 배치된 압력센서(26), 압력센서(26)에서 측정된 압력을 발현하는 시각표시부(21)와, 헤드부(10)가 삽입되는 결합부(24)를 포함한다. 결합부(24)에는 헤드부(10)가 삽입고정되도록 외주면에 돌기부(24a)가 마련된다.
도 3은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바디부(20)는 헤드부(10)가 결합되고, 브러쉬모(12)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6)를 포함한다.
바디부(20)는 사용자가 지각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각표시부(21)와, 부가로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6)를 갖는 케이스(22)와, 케이스(22a,22b)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23), 헤드부(10)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26), 휴대기기 등에 측정된 압력값을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갖는 인쇄회로기판(28)을 포함한다.
케이스(22)는 일측이 개구된 하측 케이스(22a), 하측 케이스(22a)에 개구된 일측으로 결합되는 상측 케이스(22b)를 포함하고, 하측 케이스(22a)에 상측 케이스(22b)를 결합하면 케이스(22)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케이스(22)는 화장용 브러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와, 외부 전원과 배터리(23)를 연결시키는 유선충전잭(미도시), 시각표시부(21), 배터리(23)와 유선충전잭(미도시)과 연결된 인쇄회로기판(28)이 마련된다.
하측 케이스(22a)는 일측이 개구되고, 브러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와, 배터리(23)와 외부 전력을 연결시키는 유선충전잭이 마련된다.
배터리(23)는 케이스(22)의 내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에(28)에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케이스(22)의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저장한다. 여기서 유선충전케이블(4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휴대폰에서 충전이 가능한 8pin 또는 5pin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 외에 다른 충전가능한 충전잭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3)는 본 발명에서 헤드부(10)가 배치되는 위치로부터 반대편에 배터리(23)가 배치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배터리(23)는 무선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3)는 수신 코일에서 수신되는 무선전력에 기초하여 배터리(23)를 충전하는 무선전력 충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케이스(22b)는 헤드부(10)가 결합되는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24)와, 헤드부(10)와 근접하여 배치된 인쇄회로기판(28)과, 인쇄회로기판(28)에 연결되어 외부로 색을 발현하는 시각표시부(20)를 포함한다.
상측 케이스(22b)는 하측 케이스(22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개구되고, 헤드부(10)가 결합되는 일측에 하측 케이스(22a)를 향하여 직각으로 절곡되어 결합부(24)가 형성된다.
결합부(24)는 헤드부(1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돌출된 돌부기(24a)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24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부(10)의 홀더(14) 내주면에는 돌기부(24a)가 삽입되도록 돌기부(24a)와 대응되게 돌기홈(14a)이 형성되어 헤드부(10)와 바디부(20)를 견고하게 고정지지한다.
시각표시부(21)은 압력센서(26)가 감지했을 때 사용자가 지각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바디부(20)의 외부로 지각 신호를 즉, 광원을 발산하도록 설치된다. 시각표시부(21)은 부가로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압력을 압력센서(26)가 감지했을 때 사용자가 지각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압력센서(2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시각표시부(21)는 압력센서(26)에서 소정의 임계치를 감지했을 때 사용자에게 지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압력센서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시각표시부(21)은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둔 소정의 임계치에 해당 및/또는 초과하는 힘으로 브러쉬를 가압할 때 시각표시부(21)에 소정의 임계치에 해당하는 지각 신호를 발산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소정의 임계치에 따라, 단계를 나누어 황색, 녹색, 청색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각표시부(21)은 광원으로 설명하나, 모든 실시예에서 광원이 시각표시부(21)로 제한되지 않으며, 시각표시부(21)은 사용자에게 상태를 알릴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장용 브러쉬는 사용자가 시각표시부(21)에 나타나는 색상에 따라 힘의 세기가 강, 중, 약 등으로 조절할 수 있어, 메이크업(Makeup)을 할 때 안정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시각표시부(21)은 오디오 소스 또는 스피커, 진동 요소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아래에서 기술되는 일부 설명이 "광원()"으로 기재되었더라도, 이것은 다른 타입의 시각표시부(21)이 광원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시각표시부(21)은 광원이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전구(bulb) 또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다른 발광 장치일 수 있다.
시각표시부(21)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광원은 인쇄회로기판(28)의 일면에 부착된다. 인쇄회로기판(28)는 광원에 대한 기초적인 기판으로 작용하며, 전력이 배터리(23) 또는 추가적인 다른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전력이 인쇄회로기판(28)에 공급될 때 광원을 점등하는데 필요한 필수 전기회로 및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인쇄회로기판(28)는 전기부품이 전력을 전기부품에 제공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 경성 재료로 형성되는 단일 구조체이다.
압력센서(26)는 헤드부(10)와 결합부(24) 사이에 구비되어, 결합부(24)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브러쉬모(12)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압력 센서(26)는 인쇄회로기판(2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인쇄회로기판(28)에 부착된 전기적 접촉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센서(28)는 예를 들어 압전 재료를 사용하여 전기 에너지로 기계적 압력을 변환하는 변환기 타입의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센서(26)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인가된 압력으로 인한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결합된 또는 형성된 변형 게이지의 피에조 저항 효과를 사용하는 피에조 저항 변형 게이지 또는 인가된 압력으로 인한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가변 캐패시터를 생성하는데 진동판 및 압력 공동을 사용하는 캐패시터 타입 압력 센서 또는 인덕턴스(자기 저항)의 변화, LVDT, 홀 효과, 또는 와전류 원리에 의해서 진동판의 변위를 측정하는 전자기 압력 센서이거나, 인가된 압력으로 인한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광섬유의 물리적 변화의 사용을 이용하는 광학 압력 센서 또는 인가된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검출하기 위해 저항 메커니즘에 따른 와이퍼 동작을 사용하는 전위차압력 센서와, 인가된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 또는 가스 밀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감지 메커니즘에서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사용하는 공진 압력 센서, (예를 들어, 피라니(Pirani) 게이지) 측정 압력에 대한 밀도 변화로 인한 가스의 열전도도의 변화를 사용하는 열 압력 센서, 측정 압력에 대한 밀도 변화로 인해 변하는 충전된 가스 입자(이온)의 흐름을 측정하는 이온화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8)은 상측 케이스(22b)의 결합부(24)와 근접하여 돌출 형성된 고정핀(29)에 의해 상측 케이스(22b)에 고정지지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8)은 압력센서(26)로부터 측정된 압력값에 따른 색상으로 시각표시부(21)에서 발현되도록 제어한다. 인쇄회로기판(28)은 압력센서(26)로부터 측정된 압력값과 미리 저장된 압력값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미도시)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통신모듈은 압력센서(26) 및 시각표시부(21)에 대한 제어신호가 수신되고, 압력센서(26)와 시각표시부(21)의 작동상태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모듈은 압력센서(26)와 시각표시부(21)을 제어하기 위한 휴대기기와 무선 통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Z-웨이브(Wave)을 통해 휴대기기와 무선 통신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휴대기기의 어플이나 웹서버 등을 통해 무선 통신부를 거쳐 사용자 ID,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러쉬 압력값 등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그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러쉬 압력값 범위내인 경우, 그 범위 미만인 경우, 그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등 각각을 시각표시부를 통해 달리 표시하여 브러쉬 압력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압력값으로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작동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따른 화장용 브러쉬의 작동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배터리에 의한 내부 전원 또는 외부 전원 중 어느하나를 이용하여 화장용 브러쉬에 전원을 공급(23)하면, 사용자의 휴대기기와 무선 연결되고, 이 후 사용자는 휴대기기에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고객명, 브러쉬, 압력 세기 등의 고객정보를 입력한다. 이 후, 화장용 브러쉬를 고객에게 접촉하면 감압되는 세기에 따라 감지부(26)에서 압력값을 측정한다.
감지부(26)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제어부(23)에서 미리 저장된 소정의 임계치 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임계치값에 해당하는 강도를 출력부(21)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3)는 브러쉬별로 소정의 임계치를 미리 저장하고, 선택한 브러쉬와 미리 저장한 소정의 임계치를 비교했을 때, 미리 저장한 소정의 임계치값보다 낮으면, 출력부(21)에서 황색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휴대기기에 새로운 압력값으로 연동하여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고객이 더 쎈 수준의 압력을 요구하면 새로운 압력값을 휴대기기와 연동 공유하고, 새로운 압력값으로 해당 고객의 임계치값을 수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출력부(21)를 확인하면서 현재의 감압정도를 유지하면서 메이크업을 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 값과 비교했을 때 같다면, 출력부(21)에서 녹색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 측정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 값에 비해 높은 압력이라면, 출력부(21)에서 파란색으로 시각화하여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가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은 출력부(21)를 제어함과 동시에, 측정된 압력값을 휴대기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브러쉬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브러쉬의 동작에 대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따른 화장용 브러쉬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헤드부(110)는, 홀더(114)에 돌기부(114a)가 형성된다. 바디부(120)에 결합부(124)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헤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114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4)는 돌기부(114)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돌기부(114a)와 대응하게 형성된 돌기홈(124a)에 결합된다. 이러한 헤드부(110)와 바디부(120) 간의 슬라이딩에 의한 결합방법은 가압방향에 따른 결합을 견고하게 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장용 브러쉬는, 교체가능한 브러쉬를 수 개 휴대하여 다양한 메이크업 화장품 색상에 맞추어 화장을 할 수 있음으로서 휴대성과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절감이 되고, 또한, 대상자의 피부에 따라 가압되는 압력을 시각화함으로서 대상자가 선호하는 압력 세기로 메이크업을 할 수 있어 안정성과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헤드부
12: 브러쉬모
14: 홀더
20: 바디부
21: 시각표시부
22: 케이스
23: 배터리
26: 압력센서
28: 인쇄회로기판

Claims (7)

  1. 브러쉬모가 구비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모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바디부를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측에 상기 헤드부가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24)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상기 브러쉬모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는 화장용 브러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값과 미리 저장된 압력값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소정의 임계치를 감지했을 때 사용자에게 지각 신호를 전달하는 시각표시부을 포함하는 화장용 브러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바디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크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114a)를 포함하는 화자용 브러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돌기부와 대응하는 돌기홈이 형성된 화장용 브러쉬.
  7. 사용자가 휴대기기에서 고객정보를 입력하고, 대상물에 브러쉬가 접촉하면 압력값을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측정된 압력값과 미리 저장된 소정의 임계치 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임계치값에 해당하는 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표시부를 제어함과 동시에, 측정된 압력값을 휴대기기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송하여, 새로운 고객정보와 변화된 소정의 임계치 등을 저장하는 화장용 브러쉬의 작동 시스템.
KR1020190074943A 2019-06-24 2019-06-24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KR102278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43A KR102278039B1 (ko) 2019-06-24 2019-06-24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4943A KR102278039B1 (ko) 2019-06-24 2019-06-24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00A true KR20210000100A (ko) 2021-01-04
KR102278039B1 KR102278039B1 (ko) 2021-07-15

Family

ID=7412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4943A KR102278039B1 (ko) 2019-06-24 2019-06-24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832A (ja) * 1998-06-08 1999-12-21 Ikemoto Brush Kogyo Kk ヘアーブラシ
KR200416404Y1 (ko) * 2006-01-06 2006-05-16 반재훈 조립빗자루
US20160324306A1 (en) * 2011-04-14 2016-11-10 Worth Beauty, Llc Cosmetic applicator systems
KR20190020522A (ko) * 2017-08-21 201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뷰티 펜슬 및 이를 포함하는 뷰티 시스템
KR20190056598A (ko) * 2017-11-17 2019-05-27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브러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6832A (ja) * 1998-06-08 1999-12-21 Ikemoto Brush Kogyo Kk ヘアーブラシ
KR200416404Y1 (ko) * 2006-01-06 2006-05-16 반재훈 조립빗자루
US20160324306A1 (en) * 2011-04-14 2016-11-10 Worth Beauty, Llc Cosmetic applicator systems
KR20190020522A (ko) * 2017-08-21 201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뷰티 펜슬 및 이를 포함하는 뷰티 시스템
KR20190056598A (ko) * 2017-11-17 2019-05-27 가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브러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039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3590B2 (en) Ring-type wearable device
KR102313220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0459542Y1 (ko) 휴대용 피부 관리기
JP2021509070A (ja) 皮膚パラメータの測定のための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3513873A (ja) 美容機器および美容機器システム
CN110114741A (zh) 穿戴式终端及其操作方法
KR101792232B1 (ko) 체온측정장치
KR20210121547A (ko) 원격 입력 장치의 거리에 기초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200237307A1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system
KR20200055313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생체정보 추정 방법
KR20170108542A (ko)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하여 유선방식으로 피부를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피부진단기(Skin diagnotor)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화장품
TW201918218A (zh) 穿戴式血壓測量裝置
KR20200101159A (ko) 명상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447875A (zh) 毛发状况检测装置和用于提供毛发状况信息的方法
KR102278039B1 (ko) 화장용 브러쉬 및 그의 작동시스템
CN105769158A (zh) 心率检测方法、检测系统、终端设备及耳机
KR20120019940A (ko) 바이오센서 측정기기
CN104202932A (zh) 可携式电子设备与其外壳智能变色方法
CN112107296B (zh) 皮肤信息检测系统及检测方法
KR102437294B1 (ko) 피부 상태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660868A (zh) 智能梳子
JP2003169787A (ja) 肌水分量測定装置
KR101843261B1 (ko) 휴대기기를 이용한 피부상태 측정장치
KR101834693B1 (ko) 색채 심리치료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20200000215A1 (en) Measuring health parameter using tissue recovery ti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