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883A -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 Google Patents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883A
KR20200145883A KR1020190072752A KR20190072752A KR20200145883A KR 20200145883 A KR20200145883 A KR 20200145883A KR 1020190072752 A KR1020190072752 A KR 1020190072752A KR 20190072752 A KR20190072752 A KR 20190072752A KR 20200145883 A KR20200145883 A KR 20200145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
inlay
antenna
coil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종
김선근
전경원
Original Assignee
유인종
전경원
김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종, 전경원, 김선근 filed Critical 유인종
Priority to KR1020190072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5883A/ko
Publication of KR2020014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8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6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comprising at least a second communication arrangement in addition to a first non-contact communication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73Antenna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장 최상급의 고객층인 VVIP 고객을 위하여, 카드 바디가 금속이어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RF나 NFC 기능과 같은 비접촉식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이를 위한 미니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에 필요한 소자가 탑재된 미니 콤비 PCB(20a); 메탈면의 외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의 상하 측면에 미세 패턴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테나; 및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의 일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 를 포함하며, 카드 양면의 RF 감도가 공히 기준치를 넘어서 양면으로 모두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A METAL CARD HAVING BOTH CONTACTLESS AND CONTACT CARD FUNCTIONS AND THE MINI-INLAY THEREFOR}
본 발명은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 바디가 금속이어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RF나 NFC 기능과 같은 비접촉식 및 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미니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는, 기록 방식에 따라 마그넷 스트립을 이용한 마그네틱 카드와 IC 칩을 이용한 스마트 카드 및 이들을 겸한 콤비 카드로 분류되고, 스마트 카드는 판독 방식에 따라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분류되며, 다시 비접촉식은 수~십수 cm 이내의 거리에서만 판독가능한 근접식 통신(NFC) 카드와 보다 원거리에서도 판독이 가능한 RF 카드로 분류되는바, 통상적으로 이들 방식이 중복되게 구비되는 경우가 많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근거리용 NFC나 원거리용 RF를 크게 구별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 'RF' 혹은 '비접촉식'으로 통칭하며, 근거리용 NFC칩이나 원거리용 RF칩을 포함한 모든 비접촉식 카드를 위한 칩을 'RFIC'로 통칭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카드(plastic card)는 특정의 회원에게 상품, 서비스 대금의 회수를 일정기간 유예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주로 신용카드(credit card), 현금카드(cash card), 교통카드와 같이 현금을 대신하여 사용하거나 각종 진료카드, 멤버쉽카드 등으로 널리 활용되는 것으로서, 현대에는 고객의 신용등급에 따라 차별화된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카드들이 고객들에 제공되고 있다.
이중에서도 신용등급이 높은 VIP고객을 위하여 제작되는 골드카드(gold card)나 플래티늄카드와 같은 특별카드는 금색(金色)이나 은색(銀色)으로 도장되어 보다 고품위를 느낄 수 있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전술한 특별카드들은 안료에 금분(金粉)이나 은분(銀粉)을 혼합하여 인쇄하는 작업방식에 의하여 금빛 및 은빛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안료에 혼합되는 금분과 은분은 순수한 순금이나 순은을 사용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기타 안료와 접착제 등이 혼합되는 것이므로 순수한 금속에서 발산되는 고광택의 질감을 얻을 수 없었다.
또한, 금분이나 은분은 광택이나 질감이 절대 변하지 않는 순수한 금속과는 달리 습도나 온도조건 등에 의하여 변질되는 등의 성질이 있는 것이므로 플라스틱카드를 장시간 사용하면 도장이 변색 및 변질되어 광택이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으므로 결국 고품질의 카드를 제공할 수 없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가장 최상급의 고객층인 VVIP 고객을 위하여, 실제 두꺼운 금속판으로 플라스틱 카드를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도 1은, 이상의 플라스틱 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금속 박막을 갖는 플라스틱 카드에 대한 것으로, 등록실용신안 제0382725호에 대한 것이다. 즉, 상기 제1 종래기술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코어시트(13)의 상부면에는 금속박막(12)이 부착되어 있고, 금속박막(12)은 코어시트(13) 보다 크기가 작으면서도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어 코어시트(13)의 상부면 둘레에는 여백(1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시트(13)의 상부면 여백(13a)에는 안테나코일(21)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고, 안테나코일(21)은 연속으로 감겨진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코일(21)의 양단은 코어시트(13) 내측에 고정된 IC칩(20)과 연결되어 리더기(도시하지 않았음)와 교신하면서 IC칩(2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리더기가 읽어들여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코어시트(13)의 상부면에는 투명한 상부 코팅지(11)가 부착되어 있고, 상부 코팅지(11)의 하부면에는 인쇄층(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층(11a)에는 카드사와 관련된 각종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다.
상기 코어시트(13)의 하부면에는 투명한 하부 코팅지(14)가 부착되어 있고, 하부 코팅지(14)의 상부면에는 인쇄층(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층(14a)에도 카드사와 관련된 각종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어시트(13)의 상,하부면에 각각 부착된 금속박막(12)은 금속재료를 녹여 연금(鍊金) 한 후 통상의 압연기를 사용하여 얇은 호일 형태 즉, 0.02∼0.1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박막(薄膜)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금속재료는 순금(Au), 백금(Pt), 은(Ag), 니켈(Ni)과 같이 연성 및 전성이 양호하면서도 고광택을 발산하는 귀금속을 사용하였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금속재료들을 둘 이상 합금(合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코어시트(13)의 상,하부면에 열 접착된 금속박막(12)들이 투명한 상,하부 코팅지(11)(14)들에 의하여 보호된 상태에서 높은 광택을 발산함에 따라 보다 격조가 높고 고품위를 느낄 수 있는 플라스틱카드를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순수한 금속재질로 구성된 금속박막(12)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변색 및 변질되는 폐단이 방지되어 항상 높은 광택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플라스틱카드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어느 정도의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코일(21)은 금속박막(12)의 둘레에 형성된 코어시트(13)의 여백(13a)에 설치되어 안테나코일(21)이 금속박막(12)에 방해받지 않고 리더기와 교신할 수 있는 것이므로 마그네틱테이프(30)가 부착된 플라스틱카드(1) 뿐 아니라
IC칩(20)이 내장된 플라스틱카드(1)에도 고광택의 금속박막(12)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 종래기술은, RF 통신을 위해서는, 금속박막(12)을 코어시트(13) 보다 작은 크기로 하면서 코어시트(13)의 상부면 둘레에 여백(13a)을 형성하여야 하며, 그 상부면 여백(13a)에 안테나코일(21)을 감을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상기 여백으로 인한 금속성 미감이 반감되어 버리는가 하면, 여백 부분의 안테나 코일로 인하여 코어시트와 상부 코팅지와의 결합력도 낮아지며, 무엇보다 금속박막과 코어시트 및 코팅지 간의 결합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어, 아이디어에 그칠 뿐, 실제로 양산화되지 못하였다.
참고로, 상기 제1 종래기술에서도, 이상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상,하부 코팅지(11)(14)들의 둘레에 금속분말이 혼합된 잉크로 인쇄를 하여 금속박막(12)과 대응되는 색상의 테두리 인쇄층(11b)(14b)을 형성하면 코어시트(13) 둘레에 고정된 안테나 코일(21)이 상,하부 코팅지(11)(14)들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플라스틱카드(1)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추가적인 제안을 하고는 있지만, 이 역시, 안테나코일(21)이 리더기와 교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속분말 함유량은 30% 이하로 하여야 하므로, 실제 금속층으로 제작하는 메탈 카드의 미려한 질감 및 내구성을 결코 따라갈 수는 없다.
한편, 추가로 이러한 메탈카드의 일종으로서, 상기 금박의 크기를 카드의 크기와 동일하게 한 대한민국 특허 제0516106호 (금박층이 형성된 신용카드 및 그 제조방법) 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 기술의 경우, 코어 상의 안테나에서 발생한 플럭스가 금박에 의해 반대방향의 유도 플럭스를 생성하게 되고, 결국 플럭스의 상쇄에 의해 RF 기능을 실제로 발휘할 수 없음은, 상기 제1 종래기술에서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06358호 (금속카드 및 그의 제조방법) 는, 최외측에 투명 플라스틱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 실제 금속층을 형성하되, 아노다이징 기법에 의해 외관상의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며, 또한 IC 칩을 수용하는 계단식의 식각 영역에도 아노다이징을 행하여 절연을 행하는 기술이나, 이는 어디까지나 접촉식 IC 칩을 수용하는 접촉식 카드에 관한 기술이다.
그리고, 그마저도 단말기에 금속카드를 다수 번 사용하는 것에 의해 카드의 금속부분과 단말기 간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카드사용에 따른 에러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식각 영역에 대해 아노다이징을 행할 때 식각 영역의 모서리부에서 아노다이징 처리가 얇게 이루질 수 밖에 없어 접촉식 IC 칩이 부착됨에 따른 금속카드 시트재와의 절연이 잘 안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제3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 역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15-0157255호 (금속카드 및 그 제조 방법) 를 출원한 적이 있으며, 상기 발명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도 참작되어 진다 (다만, 상기 선 출원의 내용은, 본 출원일 당시에 공개된 기술은 아니므로, 본 출원발명에 대한 공지기술로서는 인용되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1 종래기술을 비롯한 이후 종래기술들 및 본 발명자의 상기 선출원 기술의 경우, 카드 전체 크기에 금속층을 형성하는 메탈 카드로서 제작시, RF나 NFC 기능과 같은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다른 한편으로, 제2 종래기술로서, 일본 특허공개 제2006-270681호 (휴대기기) 는, 안테나 모듈 및 리더/라이터와의 근접 대향시 양자 사이의 통신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22)에 내장된 안테나 모듈(10)의 통신면(CS)보다도, 리더/라이터로부터 방사된 전자파의 입사측에 금속층(30)을 마련함으로서, 이 금속층(30)에서, 통신용 자기장을 안테나 모듈(10)의 안테나 코일 (15)로 유도하는 통신 상태를 확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금속층(30)은 동박 등으로 구성할 터미널 내부와 외부의 소정 위치에 붙여진다. 따라서 리더/라이터와 단말기 본체(22)의 근접시 서로의 위치 관계에 의한 통신의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도 2는, 상기 제2 종래기술의 휴대 정보 단말기(21)와 리더/라이터 간의 근접시 통신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리더/라이터의 송수신 안테나 (26)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중 일부 자기장(H)이 단말기 본체(22) 내의 배터리 팩(25) 등의 금속 물체의 영향을 받아 반사, 흡수 등에 의한 감쇠 작용을 받는다. 안테나 모듈(10)의 통신면(CS)보다 전자파의 입사측에 금속층(30)이 배치되어 있어, 이 금속층(30)의 표면에 외부 자기장의 인가에 유도 전류(와전류)가 발생하고 이에 기인하여 발생한 자기장(H1)이 안테나 모듈(10)의 안테나 코일(15)에 유도 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는, 금속층(30)이 안테나 코일(15)의 일부를 덮도록 안테나 모듈(10)에 근접 대향 배치함으로써, 금속층(3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 성분(H1)을 통해 리더/라이터의 송수신 안테나(26)와 안테나 모듈(10)의 안테나 코일(15)과의 사이가 유도 결합한다.
그리하여, 도 2에 나타낸 제2 종래기술의 안테나 장치는, 통신 상대방의 안테나와의 거리가 매우 근접했을 때, 안테나끼리의 중심 간의 위치 차이의 크기에 따라 통신 특성이 크게 변동하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 정보 단말기(21) 쪽의 안테나 모듈(10)의 안테나 코일(15)과 리더/라이터 측 송수신 안테나(26)와 쇄교하려고 하는 자속이, 케이스 내부의 배터리 팩(25) 등의 금속 물체로 차단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자속을 유도하기 위한 금속층(30)이 설치되는 것이나, 상기 배터리 팩(25) 등의 장애물의 위치 관계에 따라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안테나 장치와 통신 상대측의 안테나가 떨어진 상태에서, 상기 금속층(30)이 통신 거리를 확대하는데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다는 한계가 있다.
또다른 한편, 이러한 상기 제2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3 종래기술로서, 일본 특허 제4947217호 (안테나 장치 및 휴대전화)와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3 종래기술은, 통신 상대방의 안테나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형화하고도 안정된 통신을 할 수 있게 하고, 통신 가능한 최대 거리도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안테나 장치(101)로서,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권회 중심부를 코일 개구부로 하는 루프 모양 또는 나선형 코일 도체와 도체 개구부(CA) 및 상기 도체 개구부와 외연과 사이를 연접하는 슬릿부(SL)를 갖는 도체층(2)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도체를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코일 개구부와 상기 도체 개구부와 겹쳐 있고, 상기 도체 층의 면적은 상기 코일 도체의 형성 영역의 면적보다 크고, 평면에서 보아, 상기 도체 개구부의 내연으로부터 상기 코일 도체의 내연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도체 개구부의 바깥에서 상기 코일 도체의 외연까지의 거리가 크고, 상기 슬릿부가 상기 케이스의 단부로 향하도록 상기 단부에 근접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도체 개구부의 바깥에서 가장 가까운 상기 도체층의 외연 사이를 연접하고, 상기 도체층은 상기 케이스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성된 금속막 또는 금속 호일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상기 케이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3 종래기술에 의하면, 코일 도체에 전류가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을 차단하도록, 도체층에 전류가 흐르고, 도체층의 개구부 주변에 흐르는 전류가, 슬릿부 주변을 통과하여, 가장자리 효과에 의해 도체층 주변으로 전류가 흐르며, 따라서 도체층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여 통신 거리를 넓힐 수 있다. 또한, 도체층이 자속을 크게 선회시키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에서 통신 상대측의 안테나까지 또는 통신 상대방의 안테나에서 안테나 장비까지 자속이 도착하는 안테나 장치와 통신 상대방 안테나와 통신 가능한 최대 거리가 커진다.
다만,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종래기술의 면형상 도체(2)에는 도체 개구부(CA) 및 슬릿(2S)이 형성되어 있고, 코일형상 도체(31)는 그 코일 개구부가 도체 개구부(CA)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코일형상 도체(31)에 실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류가 흐르면, 면형상 도체(2)에는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류가 유도되는바, 영역 A1, A2, A3, A4에서는 코일형상 도체(31)에 흐르는 전류와 면형상 도체(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으나, 영역 B에서는 코일형상 도체(31)에 흐르는 전류와 면형상 도체(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이므로, 이와 같이 전류의 방향이 반대인 영역이 존재함으로써, 안테나(코일)의 인덕턴스(inductance)가 작아져서 통신 특성이 열화하는 문제가 있다. 또, 코일형상 도체(31)와 면형상 도체(2)의 부착 위치나 부착했을 때의 코일형상 도체(31)와 면형상 도체(2)의 거리 편차에 의해 유도전류의 발생량이 변화되기 때문에, 인덕턴스 값이 차이가 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제3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4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제1470341호 (안테나 장치 및 무선통신 장치) 는, 급전 회로에서 본 안테나 장치의 인덕턴스의 저하 및 편차의 문제를 해소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전 코일(3)과 면형상 도체(2)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급전 코일(3)은 자성체 코어(32)와 이 자성체 코어(32)에 권회된 코일형상의 도체(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코일형상의 도체(31)는 자성체 코어(32)에 권회된 도선(권선 도체)이어도 되고, 복수의 유전체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나 복수의 자성체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유전체층과 하나 또는 복수의 자성체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형성된 도체 패턴이어도 된다. 특히, 소형으로 표면 실장 가능한 급전 코일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자성체층(예를 들면, 페라이트 세라믹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면내 도체 패턴 및 층간 도체 패턴으로 코일형상의 도체(31)를 구성한 칩형의 급전 코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급전 코일(3)에는 급전 회로인 RFIC(13)이 접속된다. 즉, 코일형상 도체(31)의 일단 및 타단은 RFIC(13)의 두 개의 입출력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RFIC(13)는 NFC용 RFIC칩이며, NFC용 고주파신호를 처리하는 반도체 IC칩이다.
면형상 도체(2)는 급전 코일(3)보다 면적이 크다. 즉, 면형상 도체(2)의 법선방향에서 봤을 때, 면형상 도체의 외형 치수는 급전 코일의 외형 치수보다도 크다. 면형상 도체(2)에는 바깥쪽 가장자리의 일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슬릿(2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 종래기술에서 슬릿(2S)은 그 일단에서 타단까지 일정 폭을 가지고 있지만, 그 폭은 반드시 일정하지는 않아도 된다.
상기 제4 종래기술에서, 면형상 도체(2)는 통신 단말 하우징의 금속 하우징부(금속제 커버부)이며, 도 4에 나타낸 상태에서 면형상 도체(2)의 하면에, 즉 통신 단말 하우징의 안쪽에 급전 코일(3)이 배치되어 있다. 급전 코일(3)은 코일 형상 도체(31)의 권회축 방향이 면형상 도체(2)의 법선방향과는 다르게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코일 형상 도체(31)의 권회축이 면형상 도체(2)에 대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급전 코일(3)은 그 코일 개구가 슬릿(2S)에 근접하면서 급전 코일(3)의 코일 개구가 슬릿(2S)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급전 코일(3)은 면형상 도체(2)의 슬릿(2S)을 통과하는 자속이 코일 개구를 통과할 수 있도록, 환언하면, 슬릿(2S)으로부터 코일 개구가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면형상 도체(2)는 금속 하우징부에 한하지 않고, 절연성 기재에 형성된 도체막 또는 절연성 기재 중에 형성된 도체층이어도 된다. 즉, 면형상 도체(2)는 통신 단말에 탑재된 그라운드 도체, 금속 섀시나 실드 케이스, 배터리 팩의 금속 커버 등의 각종 금속판이어도 되고, 플렉시블 시트에 마련된 금속 박막에 의한 평면 패턴이어도 된다. 면형상 도체(2)가 플렉시블 시트 상에 마련된 금속 박막 패턴인 경우는, 통신 단말의 백 커버(back cover) 안쪽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하면 된다. 또한, 면형상 도체(2)는 면형상으로 넓어지는 면을 가진 도체이면 되며, 반드시 평면일 필요는 없다(곡면이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4 종래기술의 통신 상대측의 안테나 코일(4)에는 RFIC(14)이 접속되어 있다. 면형상 도체(2)가 통신 상대의 안테나 코일(4)에 근접함으로써, 면형상 도체(2)에 유도전류가 발생하고, 이 전류는 에지 효과에 따라 면형상 도체(2)의 주로 끝가장자리를 따라 흐른다. 즉 안테나 코일(4)이 발생한 자속의 통과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전류(과전류)가 흐른다. 도 1 중의 자속(Φ1)은 안테나 코일(4)을 통과하는 자속을 나타내고 있다.
슬릿(2S)도 끝가장자리의 일부이며, 슬릿(2S)의 끝가장자리를 따른 부분의 전류 밀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슬릿(2S)의 틈이 좁을수록 슬릿(2S) 부근의 자계 강도가 높아진다. 도 4 중의 자속(Φ2)은 슬릿(2S)을 통과하는 자속을 나타내고 있다. 급전 코일(3)에 자속(Φ2)의 일부가 쇄교한다. 또한, 면형상 도체(2)의 외주 가장자리 단부를 따라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도 발생하지만, 급전 코일(3)은 면형상 도체(2)의 외주 가장자리 단부로부터는 충분히 떨어져 있으므로, 주로 슬릿(2S) 부근의 자계와 강하게 결합한다. (외주 가장자리 단부 부근의 자계와의 결합에 의해, 결합이 상쇄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하여, 면형상 도체(2)가 자계 포착 소자(방사판)로서 작용하고, 급전 코일(3)은 면형상 도체(2)를 통해 통신 상대측 안테나 코일(4)과 자계 결합한다. 또, 급전 코일을 구성하는 코일형상 도체의 코일 개구면이 면형상 도체에 대면해 있지 않고, 코일형상 도체의 일부만이 면형상 도체에 근접해 있으므로, 더 말하자면, 코일형상 도체의 권회축 방향에서 봤을 때, 코일형상 도체에는 면형상 도체와의 거리가 가까운 부분과 먼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급전 코일(3)과 면형상 도체(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다소 바뀌어도, 급전 코일(3)의 인덕턴스 값은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 때문에, 제조 편차가 작은 안테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급전 코일(3)의 코일 개구는 슬릿(2S)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지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전 코일(3)의 코일 권회축이 슬릿(2S)의 연장방향(연장되게 존재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고 있으면, 슬릿(2S)에 발생하는 자속(Φ2)과의 결합 효율이 최대가 된다.
실로 상기 제4 종래기술에 의하면, 금속층을 갖는 안테나 장치의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4 종래기술은 휴대단말기와 같은 비교적 크기가 어느 정도 있는 통신장치에서의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기존의 신용카드와 같이 두께가 겨우 1mm가 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더욱 추가적으로, 최근에는 도 24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각종 미니 유심(Mini SIM)칩을 각종 비접촉식 카드 대용으로 사용하는 추세이며, 거기에 더 나아가 도 24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은 더 작은 크기의 마이크로 유심(Micro SIM) 칩을 사용하기도 한다. 물론, 도 24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은 한층 더 작은 크기의 나노 유심(Nano SIM) 칩도 사용하기는 하나, 본 발명에서 나노 유심칩에 적용히기는 무리이며, 다만 미니 유심 칩과 마이크로 유심 칩의 경우에 적용가능하다.
즉, USIM 사이즈 형태로 안테나가 내장된 모듈형 인레이는 주로 부스터코일이 외각에 만들어져야만 감응거리가 잘되었다. 특히 IC Chip의 표면이 메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메탈 뒷면은 페라이트 등으로 차폐하여 어느 정도 감응거리를 구현할 수 있으나 메탈면으로는 거리가 줄어들어 무선통신에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메탈면의 외측에 코일 안테나를 구현하기에 여유(약 1~2mm내외)가 많이 있지 않아 안테나 패턴을 만들어 주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제0382725호 (금속 박막 플라스틱카드) 일본 특허공개 제2006-270681호 (휴대기기) 일본 특허 제4947217호 (안테나 장치 및 휴대전화) 대한민국 특허 제1470341호 (안테나 장치 및 무선통신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장 최상급의 고객층인 VVIP 고객을 위하여, 카드 바디가 금속이어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RF나 NFC 기능과 같은 비접촉식 및 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이를 위한 미니인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에 필요한 소자가 탑재된 미니 콤비 PCB(20a); 메탈면의 외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의 상하 측면에 미세 패턴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테나; 및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의 일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 를 포함하며, 카드 양면의 RF 감도가 공히 기준치를 넘어서 양면으로 모두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은, 제1 기판(21a) 및 제2 기판(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판(21a)의 상측면에 제1 안테나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21b)의 하측면에 제2 안테나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21a)과 제2 기판(21b) 사이에 제3 안테나부(2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세패턴의 안테나 폭은 0.02~0.03mm, 패턴 간의 간격은 0.02~0.03mm 이고, 전체 턴수는 5~10 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는 높이 0.02mm 정도의 에칭형 패턴의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를 포함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비접촉식 기능을 갖는 유심(USIM)이 제공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 상기 미니인레이(20)가 미리 형성된 장착홀에 장착된 메탈 카드 바디(MCB)(10); 상기 메탈 카드 바디(MCB)의 상하측면에 각가 형성되는 제1, 제2 인쇄층(30, 30'); 및 상기 제1, 제2 인쇄층(30, 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제2 인쇄보호층(40, 40'); 을 포함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의하면, 전체 면이 금속이어서 쉽게 구부러지지 않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RF나 NFC 기능과 같은 비접촉식 메탈 카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제1 종래기술의 금속박막 플라스틱 카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제2 종래기술의 휴대 정보 단말기와 리더/라이터 간의 근접시 통신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a는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로서, (A)는 휴대 전화의 뒷면이고, (B)는 후면 하단 케이스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b는 제3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제4 종래기술에 따른 안테나 장치 및 통신 상대측의 안테나 코일의 사시도.
도 5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단면도.
도 6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분리상태의 평면도.
도 7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단면도.
도 8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9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단면도.
도 10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1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3차 라미네이션 후의 단면도.
도 12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3차 라미네이션 후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13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제조 공정의 흐름도.
도 14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평면 사진.
도 15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저면 사진.
도 16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평면 사진.
도 17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미니 콤비 인레이의 단자 상에 콤비칩을 연결한 상태의 평면 사진.
도 18은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1차 프리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
도 19는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2차 프리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
도 20은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3차 프리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
도 21은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4차 최종 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
도 22는 본 발명의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콤비 메탈카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미니 콤비 PCB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각종 미니 유심 및 마이크로 유심의 일례.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미니 콤비 PCB 및 적용가능한 유심(USIM)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유심(USIM)의 칩단자 부착 직전의 앞면 및 후면 배치도.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 단면도 및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공진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의 인덕턴스값 계산을 위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전달계수를 측정한 스펙트럼 분석기의 출력 그래프.
도 31은 듀얼아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
도 32는 L-R-C 미터기로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의 인덕턴스 및 Q-Factor 출력값 표시창.
도 33은 회로망 분석기로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의 R, L, C를 나타낸 스미스챠트.
도 34는 듀얼아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RF 감도를 측정하는 장면의 사진.
도 35는 실제 버스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RF 감도를 측정하는 장면의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과 관련된 발명으로서, 2019년 6월 17일자로, 발명의 명칭이 "페라이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용 인레이 제조방법 및 카드 제조 방법"인 특허출원 제10-2019-0071621호를 출원한 바 있는바, 다만, 상기 선출원발명은, 본 발명의 선행기술은 아니다.
(선출원발명)
먼저, 이상의 본 발명자들의 선출원발명(페라이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용 인레이 제조방법 및 카드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분리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단면도이고, 도 8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9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11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3차 라미네이션 후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3차 라미네이션 후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13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제조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평면 사진이고, 도 15는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PCB의 저면 사진이고, 도 16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에 사용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의 평면 사진이며, 도 17은 선출원발명에 관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의 미니 콤비 인레이의 단자 상에 콤비칩을 연결한 상태의 평면 사진이다.
도 18은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1차 프리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이고, 도 19는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2차 프리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이고, 도 20은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3차 프리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이며, 도 21은 선출원발명의 제조공정 중에서 4차 최종 라미네이션의 온도 및 압력 조건이다.
본 발명자들의 상기 선출원발명에 관한 페라이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탈카드 바디(10)의 상하부에, PVC의 인쇄층(30,30')이 덧대어지고, 다시 인쇄층(30,30')의 상하부에 인쇄보호층(40,40')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지는바, 상기 인쇄층은 반드시 PVC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합성수지층이나, 심지어 합성수지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른 비전도성 재질의 층이어도 된다. 아울러, 상기 인쇄층과 같은 합성수지층이 직접 상기 메탈카드 바디에 가열압착되어 합지될 수도 있고, 이들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를 통하여 합지될 수도 있다.
한편, 메탈카드 바디(10)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미니콤비 인레이(2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 외주는 도 6에서 '인레이 경계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물론 상기 '인레이 경계 가상선'은 최종 카드 제작 후에는 외관상으로 보이지 않는다.
참고로, 각 부품의 두께는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나, 일례로 카드의 전체 두께가 0.81±0.05mm라고 할 경우에, 상기 메탈카드 바디(10)의 두께는 0.45~0.52mm, 상기 인쇄층(30,30')은 각각 0.10~0.15mm, 상기 인쇄보호층(40,40')은 0.04~0.08이면 적당하다.
이제, 선출원발명의 가장 핵심이 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20)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에서 보듯이, 미니 콤비 PCB(20a)가 준비되어야 하는바 (일례로 PET 재질의 14×24×0.08mm 크기의 F-PCB), PCB 기판(21)의 일측면에 (도 7에서는 상측면에) 콤비칩 (Combi IC Chip) 접점 단자(23)가, 그리고 PCB 기판(21)의 타측면에 (도 7에서는 하측면에) 에칭형 패턴 안테나(22) 및 콘덴서 단자(24)가 형성되며, 콘덴서 단자(24)에는 (일례로 RF 13.56Mhz의)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25)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진다. 일례로 상기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25)는 MLCC(Multi Layer Ceramic Condenser: 적층 세라믹 콘덴서)이다.
도 8의 (a)는 앞면(도 7에서 상측면)에 콤비칩 접점 단자(23)가 형성된 미니 콤비 PCB(20a)의 앞면 모습이며, 도 8의 (b)는 후면에 안테나(22) 및 콘덴서 단자(21)가 형성된 후 콘덴서(25)가 부착된 미니 콤비 PCB(20a)의 후면(도 7에서 하측면) 모습이다.
이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니 콤비 PCB(20a)의 상하측에, PVC 혹은 글루(에폭시, UV액, 등)의 충진제(27)를 충진하고, 이를 적당한 크기로 (일례로 11×20×0.47mm 크기로) 절단한 후, 다시 사방 테두리 측면에 페라이트(26: 도 9 참조)를 형성하고 다시 상하측면에 PVC층(27')으로 마감된다. 다만, 상기 PVC 층(27')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공정상 필요에 의해 형성될 뿐, 공정에 따라 없어도 되거나, 혹은 상기 충진제(27)과 동일 재질로 일체로 이루어져도 된다. 일례로, 상기 페라이트(26)의 폭은 1~5mm, 바람직하게는 2~4mm 정도면 족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PVC층(27') 역시 0.02mm 두께 정도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례로 14×24×0.51mm 크기의 미니 콤비 인레이(20)가 얻어지는바, 사방 테두리에 페라이트로 마감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도 10의 (a)는 페라이트(26)를 사방 테두리에 부착한 상태의 미니 콤비 인레이(20)의 앞면(도 9의 상측면) 모습이며, 도 10의 (b)는 페라이트(26)를 사방 테두리에 부착하고 다시 PVC층(27')을 형성한 상태의 완성된 미니 콤비 인레이(20)의 후면(도 9에서 하측면) 모습인바,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니 콤비 PCB(20a)와 페라이트(26) 사이의 간극에는, 라미네이팅 공정에서 충진제(27)나 PVC(27')가 밀려서 틈을 메우기도 한다.
이제, 완성된 미니 콤비 인레이(20)를, 메탈 카드 바디(MCB)(10)의 장착홀에 장착하게 되는바, 먼저 예비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탈 카드 바디(MCB)(10)의 장착홀에 미니 콤비 인레이(20)를 삽입 후, 상하층에 카드 사이즈의 핫멜트필름(HMF)(15)을 적재한 상태에서 프리라미네이션을 행하게 된다.
도 12의 (a)는 메탈 카드 바디(MCB)(10)의 장착홀에 미니 콤비 인레이(20)를 삽입하고 다시 앞면(도 11에서 상측면)에 제1 핫멜트필름(15)이 형성된 상태의 앞면 모습이며, 도 2의 (b)는 메탈 카드 바디(MCB)(10)의 장착홀에 미니 콤비 인레이(20)를 삽입하고 다시 후면(도 11에서 하측면)에 제2 핫멜트필름(15')이 형성된 상태의 후면(도 11에서 하측면) 모습이다.
실제 미니 콤비 PCB(20a) 사진이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나 있는바, 도 14는 미니 콤비 PCB(20a)의 앞면(도 7의 상측면)에 콤비칩 접점단자(23)가 형성된 앞면 사진이고, 도 15는 미니 콤비 PCB(20a)의 후면(도 7의 하측면)에 안테나(22)가 형성된 후면 사진이며, 도 16은 미니 콤비 PCB(20a)의 앞면(도 9의 상측면)에 페라이트(26)까지 형성된 완성된 미니 콤비 인레이(20)의 앞면사진이다.
이제, 도 13을 참조하여, 선출원발명에 관한 페라이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용 인레이 제조방법 및 카드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먼저, 도 7 및 도 8의 미니 콤비 PCB(20a)의 PCB 기판(21)에 (일례로 PET 재질의 14×24×0.08mm 크기), 필요한 소자(23, 24)를 탑재한 미니 콤비 PCB(20a)가 준비된다(S1).
이후, L, R, C 공진 주파수의 RF 안테나 튜닝을 행하고(S2),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공정으로 콘덴서(MLCC)를 부착한다(S3).
경우에 따라 마스크 공정을 이용하여 콤비칩 단자(23)(일례로 0.06mm 두께의 TIN) 를 만들어 주기도 한다(S5).
이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은 PVC 등의 충진제(27)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도 18 참조) 1차 프리라미네이션을 행한다(S7).
이후, 금형을 이용하여 필요한 사이즈로 (일례로 11×20×0.47mm 크기로) 펀칭에 의해 절단되어진다(S11),
이제, 사방 테두리 측면에 페라이트(26: 도 9 참조)를 형성하게 되는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페라이트 기판(마 도시됨)에 적당한 크기의 상기 절단된 인레이에 대응되는 홀을 꿇고 상기 절단된 인레이를 넣고서, 위아래에 PVC로 (일례로 0.02mm 두께의) 2차 프리라미네이션을 행하게 된다(S13). 2차 프리라미네이션 조건은 도 19에서와 같다. 따라서, 상기 2차 프리라미네이션 공정에 의하면, 상하측면에 PVC층(27')이 형성되어진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PVC 층(27')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다시, 적당한 사이즈 (일례로 14×24mm 크기) 로 펀칭하여 절단한 후(S21), 1차 공진 주파수(L, R, C 값) 검사를 행한다(S23).
이후, 미리 준비된 메탈카드 바디(10)의 삽입홀 (일례로 14×24×0.51mm 보다 약간 큼) 에 상기 절단된 인레이(20)를 끼워 넣고(S31), 카드 사이즈의 메탈카드 바디의 상하층에 핫멜트용 테이프의 할멜트 필름(15, 15')으로 3차 라미네이션을 행한다(S33). 3차 프리라미네이션 조건은 도 20에서와 같다.
다시, 2차 공진 주파수(L, R, C 값) 검사를 행하고(S41), 제1, 제2 인쇄층(30, 30') 및 제1, 제2 인쇄보호층(40, 40')을 가접한 후, 최종 라미네이션을 행하게 된다(S43). 4차 최종라미네이션 조건은 도 21에서와 같다.
이후, 엔드 밀링장치를 이용하여 콤비칩(Combi-Chip)용 포켓을 포밍하고(S51), 콤비칩(50)과 PCB의 콤비칩 단자(23)를 연결한다(S55). 최종 완성된 제품의 부분 확대 사진이 도 17에 나타나 있는바, 경우에 따라서 하측면의 안테나 길이가 적당하지 않을 경우, 상측면에도 일부 안테나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최종 검사(RF 테스트, 외관 전수 검사, 등)를 거쳐(S55), 포장 및 납품되어진다(S57).
이상, 본 발명자들의 상기 선출원발명에 의하면, 인레이의 테두리에 페라이트를 적용함으로써 비접촉식 기능이 가능한 메탈카드가 가능하였으나, 페라이트막을 형성하는데 공정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페라이트의 특성상 반사특성이 일측으로 편중될 수 밖에 없으며, 특히 콤비칩 단자의 금속 성질에 의하여 어느 일방향 통신만 우세하여, 역으로 다른 방향의 통신은 열성이므로, 어느 한쪽으로만 사용하여야 한다는 불편한 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IC Chip의 표면이 메탈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메탈 뒷면은 페라이트 등으로 차폐하여 어느 정도 감응거리를 구현할 수 있으나 메탈면으로는 거리가 줄어들어 무선통신에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메탈면의 외측에 코일 안테나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나, 메탈면의 외측에 코일 안테나를 구현하기에 여유(약 1~2mm내외)가 많이 있지 않아 안테나 패턴을 만들어 주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는바,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22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콤비 메탈카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미니 콤비 PCB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각종 미니 유심 및 마이크로 유심의 일례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미니 콤비 PCB 및 적용가능한 유심(USIM)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유심(USIM)의 칩단자 부착 직전의 앞면 및 후면 배치도이며, 도 27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공진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의 인덕턴스값 계산을 위한 도면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전달계수를 측정한 스펙트럼 분석기의 출력 그래프이고, 도 31은 듀얼아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이고, 도 32는 L-R-C 미터기로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의 인덕턴스 및 Q-Factor 출력값 표시창이며, 도 33은 회로망 분석기로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의 R, L, C를 나타낸 스미스챠트이다.
도 34는 듀얼아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RF 감도를 측정하는 장면의 사진이고, 도 35는 실제 버스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RF 감도를 측정하는 장면의 사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탈면의 외측에 코일 안테나를 구현하되, 메탈면의 외측에 코일 안테나를 구현하기에 여유(약 1~2mm 내외)가 많이 있지 않아 안테나 패턴을, 본 발명자들은, 미세패턴(메탈 패턴 0.03mm, 패턴간 간격 0.03mm)으로 5~10 turns을 1mm 이내에 형성하면서, Multi-PCB에서 가능한 2 이상의 층을 이용하여 1~2mm 이내에서도 약 5~10 Turns의 감도가 좋은 패턴형 안테나가 내장되도록 만들 수 있었다.
그리하여, 미니 마이크로 유심 및 마이크로 유심에서도 표준형 단말기에서 약 20m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였고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버스단말기 및 지하철 단말기에서도 25mm 이상의 고감도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 23, 도 25 내지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PCB 기판의 양면에 안테나를 구현하고,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를 부가함으로써,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드 양면의 RF 감도가 변함이 없도록, 즉 양면으로 모두 인식 가능하도록 하였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 역시, 상기 선출원발명(도 5 참조)에서와 같이, 메탈카드 바디(10)의 상하부에, PVC의 인쇄층(30,30')이 덧대어지고, 다시 인쇄층(30,30')의 상하부에 인쇄보호층(40,40')이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역시, 메탈카드 바디(10)에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미니콤비 인레이(2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에 메탈카드 바디(10)가 안착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가장 핵심이 되는 미니 콤비 인레이(20)에 대하여, 도 23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먼저, 미니 콤비 PCB(20a)가 준비되어야 하는바 (일례로 PET 재질의 14×19×0.08mm 크기의 F-PCB), PCB 기판(21)의 일측면에 (도 23에서는 상측면에) 콤비칩 (Combi IC Chip) 접점 단자(23) 및 제1 안테나부(22a)가, 그리고 PCB 기판(21)의 타측면에 (도 23에서는 하측면에) 제2 안테나부(22b) 및 콘덴서 단자(24)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제1 안테나부(22a) 및 제2 안테나부(22b)가 함께 에칭형 패턴 안테나(22)를 구성한다. 상기 제1 안테나부(22a) 및 제2 안테나부(22b)는, 높이 0.02mm 정도의 에칭형 패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미니 인레이의 전체 높이가 0.5 mm 정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최대한 박막으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PCB 기판(21)의 메탈카드 바디(메탈면) 외측으로의 여유 공간이 1~2mm 정도에 불과한바, 안테나 패턴의 폭은 0.02~0.03mm 정도로, 패턴 간의 간격 역시 0.02~0.03mm 정도로 제한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함으로서, 1~2mm 정도의 여유 공간에 2~3개 턴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결국 상하측면 전체로서 5~15 턴수 (바람직하게는 5~10 턴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턴수를 더욱 늘리기 위한 도 25의 변형예에서는, PCB 기판을 상하 2개로 형성하고, 제1 기판(21a)의 상측면에 제1 안테나부(22a)를 제2 기판(21b)의 하측면에 제2 안테나부(22b)를 형성하며, 제1 기판(21a)과 제2 기판(21b) 사이에 제3 안테나부(22c)를 형성하고, 이들을 스루홀(미 도시됨)로 연결함으로써, 턴수를 늘려 (도 25에서는 9 턴수), 감도 거리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25에서는, 폭(도면에서는 세로) 방향 여유공간은, USIM 칩의 최대사이즈(13mm)에서 COB 칩의 크기(12mm)를 차감하면, 약 1mm 정도의 여유에 불과하며, 길이(도면에서 가로) 방향 여유공간은, USIM 칩의 최대사이즈(18mm)에서 COB 칩의 크기(13mm)를 차감하면, 약 5mm 정도의 여유에 불과하게 되는바, 상기와 같은 여유공간에서는, 종래의 코일 방식(코일 직경 0.12mm) 및 코일과의 간격 0.25mm 으로는 약 15 Turns (인덕턴스 값: 5.3uH)로도 본 발명에서 원하는 안테나를 구현할 수 없다. 즉, 종래의 기술인 에나멜코일을 이용하여서는, 1mm 내외의 공간에 5~10 턴수 이상의 13.56MHz RFID 태그 안테나 패턴을 구현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를 플럭시블 프린트 서키트보드(F-PCB, 두께 0.04mm)를 이용하여 미세 패턴(패턴 선폭 0.03mm, 선과 선 사이 Gap : 0.03mm, 선두께: 0.02mm)을 구현하였고, 여유가 없는 공간(폭 : 약 1mm)에서도 5~10 turns의 안테나를 만들어 주었다. 이들 특성에 대해서는, 도 28 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PCB 기판(21)의 콘덴서 단자(24)에는 (일례로 RF 13.56Mhz의)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25)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진다. 일례로 상기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25)는 MLCC(Multi Layer Ceramic Condenser: 적층 세라믹 콘덴서)이다.
도 26의 (a)는 앞면(도 23 및 도 25에서 상측면)에 콤비칩 접점 단자(23) 및 제1 안테나부(22a)가 형성된 미니 콤비 PCB(20a)의 앞면 모습이며, 도 26의 (b)는 후면에 제2 안테나부(22b) 및 콘덴서 단자(21)가 형성된 후 콘덴서(25)가 부착된 미니 콤비 PCB(20a)의 후면(도 23 및 도 25에서 하측면) 모습이다.
이제,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미니 콤비 PCB(20a)의 상하측에, PVC 혹은 글루(에폭시, UV액, 등)의 충진제(27)를 충진하고, 이를 적당한 크기로 (일례로 11×20×0.47mm 크기로) 마감한 후, 콤비칩(50)을 접속하여, 본 발명의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20)를 완성한다. 결국,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례로 14×24×0.51mm 크기의 미니 콤비 인레이(20)가 얻어진다.
경우에 따라서,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은, 미니 유심 혹은 마이크로 유심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후, 완성된 미니 콤비 인레이(20)를, 메탈 카드 바디(MCB)(10)의 장착홀에 장착하고, 메탈 카드 바디(MCB)(10)의 장착홀에 미니 콤비 인레이(20)를 삽입 후, 상하층에 카드 사이즈의 핫멜트필름(HMF)(15)을 적재한 상태에서 프리라미네이션을 행하며, 상하측에 인쇄층 및 인쇄보호층을 형성하는 최종 라미네이션 공정은 선출원발명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제, 도 28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의 주파수 특성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공진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인바, 콤비칩(50)의 양 접속단자(23)에, 콘덴서(25)가 콤비칩과 병렬로, 안테나 코일(22)이 직렬로 접속되어 진다.
본 실험예에서는, F-PCB 크기를 13mm X 18mm 로, 안테나 패턴의 내부 및 외부 사이즈를 각각 11mm X 16mm 및 12.5mm X 17.5mm로 하였으며, 안테나 턴수는, 9 턴수로 하였는바, 이때 인덕턴스 값은 2.2uH, 콘덴서 값은 260pF 이었다.
이때, 공진주파수(f)는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에서, f는, 카드의 공진 주파수,
C는, 카드 내부에 형성된 콘덴서 값
L은, 코일로 만들어진 인덕턴스 값
한편, 도 29에서 보는 바와 같은 미세 패턴 안테나의 인덕턴스 값의 계산식은, 다음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에서,
Figure pat00003
그리하여, 미니 마이크로 유심 및 마이크로 유심에서도 표준형 단말기에서
약 20m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하였고 일상에서 주로 사용되는 버스단말기 및 지하철 단말기에서도 25mm 이상의 고감도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었다.
도 30은,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전달계수를 측정한 스펙트럼 분석기의 출력 그래프인바, 스펙트럼 분석기로 전달 계수를 측정한 결과, 약 -20dB~32dB까지 하락하는 곡선을 보아 13.56MHz 부분에서 주파수공진이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31은, 듀얼아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인바, 듀얼아이 단말기를 이용하여
감도거리를 높여가면서 안테나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보았는데, 약 1.5 Volt에서 IC Chip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3개의 샘플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는바, 모두 40mm 이격된 거리에서도 1.0V 이상의 출력이 나왔으며, 1.5 V의 충분한 수신 감도가 나오는 감도거리가 30mm 정도로 나오는바, 근거리용 무선 통신이 충분히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32 및 도 33은, 제2 실험예로서, F-PCB 사이즈를 12mm X 15mm로, 안테나 패턴의 내부 및 외부 사이즈를 각각 11mm X 14mm 및 11.5mm X 14.5mm로, 안테나 턴수를 15 턴수로, 인덕턴스 값을 2.212783uH 로, 콘덴서 값을 260pF 로 했을 경우, 도 32에서 보는 바와 같이, L-R-C 미터기로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의 Q-Factor 값이 2.44 임을 확인하였으며, 회로망 분석기로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의 안테나 코일의 R, L, C를 나타낸 스미스챠트에서와 같이 (도 33 참조), 지향성도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도 34는, 듀얼아이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20)의 RF 감도를 측정하는 장면의 사진인바, 양자의 거리측정기(2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35.34mm 의 이격 거리에서 신호가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 35는, 실제 버스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한 미니인레이(20)의 RF 감도를 측정하는 장면의 사진인바, 이 경우에는, 양자의 거리측정기(2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56.59mm 의 이격 거리에서도, 감도 표시창(210)에서 신호가 감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에 의하면, 미니 콤비 PCB의 연부에 형성된 2층 이상의 미세 패턴 형성 및 매칭용 콘덴서의 결합에 의해, 충분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선출원발명: 도 5 내지 도 21)
10 : 메탈카드 바디(MCB)
15,15' : 제1, 제2 핫멜트 필름(HMF)
20 : 미니 콤비 인레이
20a : 미니 콤비 PCB 21 : PCB 기판
22 : 안테나 23 : 콤비칩 접점단자
24 : 콘덴서 단자 25 : 콘덴서
26 : 페라이트 27 : 충진제
27' : PVC층
30,30' : 제1, 제2 인쇄층
40,40' : 제1, 제2 인쇄보호층
50 : 콤비칩
(본 발명: 도 22 내지 도 29)
100 : 본 발명의 미니인레이 200 : 단말기
10 : 메탈카드 바디(MCB)
20 : 미니 콤비 인레이
20a : 미니 콤비 PCB 21 : PCB 기판
22 : 안테나 23 : 콤비칩 접점단자
24 : 콘덴서 단자 25 : 콘덴서
27 : 충진제
30,30' : 제1, 제2 인쇄층
40,40' : 제1, 제2 인쇄보호층
50 : 콤비칩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에 필요한 소자가 탑재된 미니 콤비 PCB(20a);
    메탈면의 외측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의 상하 측면에 미세 패턴으로 형성되는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는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안테나; 및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의 일 안테나부에 접속되는 공진 주파수 매칭용 콘덴서;
    를 포함하며,
    카드 양면의 RF 감도가 공히 기준치를 넘어서 양면으로 모두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PCB 기판은, 제1 기판(21a) 및 제2 기판(21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판(21a)의 상측면에 제1 안테나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기판(21b)의 하측면에 제2 안테나부(22b)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21a)과 제2 기판(21b) 사이에 제3 안테나부(2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의 안테나 폭은 0.02~0.03mm, 패턴 간의 간격은 0.02~0.03mm 이고, 전체 턴수는 5~10 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코일형 안테나부는 높이 0.02mm 정도의 에칭형 패턴의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상기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를 포함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비접촉식 기능을 갖는 양면 이용 가능한 유심(USIM).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상기 양면 이용 가능한 미니인레이;
    상기 미니인레이(20)가 미리 형성된 장착홀에 장착된 메탈 카드 바디(MCB)(10);
    상기 메탈 카드 바디(MCB)의 상하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인쇄층(30, 30'); 및
    상기 제1, 제2 인쇄층(30, 3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1, 제2 인쇄보호층(40, 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
KR1020190072752A 2019-06-19 2019-06-19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KR20200145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52A KR20200145883A (ko) 2019-06-19 2019-06-19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52A KR20200145883A (ko) 2019-06-19 2019-06-19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83A true KR20200145883A (ko) 2020-12-31

Family

ID=7408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52A KR20200145883A (ko) 2019-06-19 2019-06-19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58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97U (ko) 2021-11-09 2023-05-16 조호형 양면인식용 신용카드구조
US20230198140A1 (en) * 2021-12-17 2023-06-22 Idemia The Netherlands B.V. Smart Card with Radio Frequency Antenn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7217B1 (ko) 1969-05-06 1974-12-14
KR100382725B1 (ko) 2000-11-24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러스터화된 플라즈마 장치에서의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2006270681A (ja) 2005-03-25 2006-10-05 Sony Corp 携帯機器
KR101470341B1 (ko) 2012-05-21 2014-12-0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안테나 장치 및 무선통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7217B1 (ko) 1969-05-06 1974-12-14
KR100382725B1 (ko) 2000-11-24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러스터화된 플라즈마 장치에서의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JP2006270681A (ja) 2005-03-25 2006-10-05 Sony Corp 携帯機器
KR101470341B1 (ko) 2012-05-21 2014-12-08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안테나 장치 및 무선통신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997U (ko) 2021-11-09 2023-05-16 조호형 양면인식용 신용카드구조
US20230198140A1 (en) * 2021-12-17 2023-06-22 Idemia The Netherlands B.V. Smart Card with Radio Frequency Antennas
US11984657B2 (en) * 2021-12-17 2024-05-14 Idemia The Netherlands B.V. Smart card with radio frequency antenn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4985B1 (ko)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120524A (ko)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그 제조 방법
US9960476B2 (en) Smart card constructions
US20210081748A1 (en) Proximity and dual interface metal cards and methods of making card bodies with two metal layers
KR101868478B1 (ko)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US8261997B2 (en) Surface-tolerant RFID transponder device
JP5026522B2 (ja) 受動共振回路を用いた高周波通信用トランスポンダの最適化された読取り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005042B1 (ko) 강화된 강도를 갖는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그에 사용되는 금속판 어셈블리, 그리고 그들의 제조 방법
US8608082B2 (en) Microcircuit device including means for amplifying the gain of an antenna
US20150269477A1 (en) Dual-interface hybrid metal smartcard with a booster antenna or coupling frame
CN1839515B (zh) 具有非接触读取器和/或写入器的信息处理装置以及磁耦合用的环形天线
JP4273314B2 (ja) Rfid用タグ及びその製造方法
TWI382595B (zh) Antenna construction of RFID transpond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413424B1 (en) Antenna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6245950A (ja) 磁芯部材、磁芯部材の製造方法、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JP2012039242A (ja) Rfタグ、磁性体アンテナ及び当該rfタグを実装した基板、通信システム
JP6785966B2 (ja) Rfidタグ付きパッケージ
KR20200145883A (ko) 양면 이용 가능한 메탈카드용 미니인레이 및 이를 이용한 메탈카드
CN202009072U (zh) 一种近场通讯天线
US20200065641A1 (en) Metal chip card body
JP2002373319A (ja)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パッケージとそれに用いる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用アンテナ磁心
KR102669097B1 (ko) 비접촉식 카드 기능을 갖는 메탈 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308861B1 (ko) 비접촉식 메탈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4186A (ko) 페라이트를 이용한 비접촉식 메탈 카드용 인레이 제조방법 및 카드 제조 방법
JP2008131116A (ja) アンテナ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