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769A -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769A
KR20200145769A KR1020200075262A KR20200075262A KR20200145769A KR 20200145769 A KR20200145769 A KR 20200145769A KR 1020200075262 A KR1020200075262 A KR 1020200075262A KR 20200075262 A KR20200075262 A KR 20200075262A KR 20200145769 A KR20200145769 A KR 2020014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osmetic
biodegradable
packaging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469B1 (ko
Inventor
한현탁
장은지
Original Assignee
지디케이화장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케이화장품(주) filed Critical 지디케이화장품(주)
Publication of KR2020014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9/00Sacks or like containers made of fabrics; Flexible containers of open-work, e.g. net-lik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5K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를 이용하는 경우, 100% 생분해성 제품을 구성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Mask kit packed with bi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 생태계 이슈로 인해, 화장품업계에서는 내용물에 미세플라스틱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 및 포장재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용을 저감하거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 또한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트형 마스크팩은 일반적으로 화장액, 마스크 시트, 및 이를 포장하는 파우치로 구성된다. 시트형 마스크팩은 위생성과 보관성, 사용 편리성, 및 구매 용이성을 위해 대부분 1회용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구입 후 1개월 내지 3개월간을 사용하는 일반 용기형 화장품 제품에 비해 쓰레기 발생량이 많다. 한편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는 두께가 두꺼운 사출형식 제작이 일반적으로, 유리(초자) 소재로 대체가 가능하고, 필름 형태에 비해서는 생분해성 소재 적용이 수월한 편이다. 그러나 시트형 마스크팩 파우치는 화장액의 수분증발을 차단하고 광에 의한 변색 등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재 중앙에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포장지 외관에 심미감을 주는 인쇄를 위해 PET 소재 등을 외면에 필름형태로 부착하며, 알루미늄층의 내면에는 파우치의 접합(밀봉)과 화장료의 보호를 위해 LLDPE 소재 등을 라미네이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 시트형 마스크팩을 구성하는 화장액과 시트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기술 개발이 완료되었으나, 화장액의 증발 및 광변색을 차단하는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파우치의 대체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9964호
생분해성 소재를 마스크 시트 포장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1) 생분해성 소재를 10-100마이크로 미터의 얇은 필름 형태로 가공하여 포장재로 제작이 가능해야 하며 2) 화장액(수분)과 접촉시 포장재 물성의 변화가 없거나 적어서 사용시 품질의 변화가 없어야 하고, 3) 화장액(수분)의 손실이 또는 수분침투에 의한 내용물 변성이 없어야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건을 만족하면서,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이 가능한 마스크 시트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수성의 화장액 대신, O/D상의 겔의 화장료를 사용하면 화장료가 손실되지 않으면서도 포장재의 내구성 저하로 인한 품질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를 제공한다:
마스크 시트; 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오일을 포함하는 O/D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포장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PHB(poly-hydroxy butyric acid), PLA(polylactic acid), PBS(poly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Phthalate), PGA(Polyglycolic acid), 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PCL(Polycaprolactone), Polydioxanone, Polyanhydrides, Polycyanoacrylates, Polyorthoester, Poly(γ-ethylglutamate), Pseudo-poly(amino acids),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포장재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O/D상 제형(O/D상 겔 또는 O/D 겔)이란 유화제의 회합체 내에 유상을 분산시켜 만든 젤 상을 말한다. 즉, 다량의 오일(Oil)을 계면활성제(Detergent)가 포함된 상에 첨가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Oil-in-Surfactant 형태이다. 상기 O/D상은 물, 폴리올, 또는 수상의 액제와 혼합되면 저점도의 에멀젼이 형성된다.
상기 O/D상의 제형은 올리브 오일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하이드로카본, 에스터, 실리콘 계열 등 종류에 상관없이 오일 성분 50-90%; 글리세린 등 폴리올 5-50%; PEG계열, sucrose 계열(e.g. sucrose laurate), polyglyceryl 계열, 미생물 발효 surfactin (sodium surfactin) 또는 소듐 다이라우미도글루타미드 라이신 (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 등 계면활성제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계면활성 소재 0.1-10%; 및 물 성분 0-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O/D상의 제형은 예컨대 올리브오일 87 wt%, 글리세린 10 wt%, 및 소듐 다이라우미도글루타미드 라이신 (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 3 wt%로 구성되거나; 올리브오일 79 wt%, 글리세린 1 wt%, 및 소듐 surfactin 20 wt%로 구성되거나; 또는 올리브오일 83 wt%, 글리세린 10 wt%, sucrose laurate 5 wt%, 및 정제수 2 wt%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는 일반적인 수상의 화장료 대신, O/D상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마스크 시트와 혼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입은 마스크 시트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펴 발라진 형태(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시트는 O/D상 제형의 화장료에 수상의 화장액을 첨가하여 에멀젼을 만든 후 사용자의 피부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D상 제형의 화장료는 물 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된 수상의 화장액과 혼합시 즉각적이고 자발적으로 백탁(유화)현상이 발생한다. 종전에는 시트형의 마스크에 에멀젼 제형의 화장료를 충진하는 경우, 유화로 인한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시트 함침 불량 또는 오일 고함량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이 낮았다. 따라서, 시트형 마스크에 적용되는 화장료에는 통상적으로 오일 성분이 5% 미만으로 함유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는 일반적인 수성의 화장료 조성물 대신, O/D상 겔 제형의 화장료를 마스크 시트와 혼입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기호도에 따라 수성 화장료의 성분이나, 함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이에 따라 1-90%까지 다양한 범위의 오일 성분을 함유하는 마스크 시트가 고안될 수 있고, 수성 화장료의 성분과 함유량을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어, semi-맞춤형 화장품으로서 고객의 만족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된 수성의 화장료를 분리된 별도의 패키지로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는 포장지 내부에 분리된 구획 내에 수성의 화장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획의 모양 및 크기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키트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a) 상술된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에서 포장지를 개봉하는 단계;
(b) 상기 마스크 키트의 포장지 내부에 수성의 화장액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포장지 내에서 마스크 시트, O/D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첨가된 수성의 화장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d) 포장지 내에서 마스크 시트를 꺼내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단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포장지 개봉은 다음 단계인 (b) 단계에서 수성의 화장액을 포장지 내부에 첨가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포장지의 일 단부를 절취하거나 찢는 행위를 의미한다. 상기 (a) 단계에서는 포장지를 개봉한 후에도 포장지 내부에 (b) 단계에서 첨가되는 화장액을 소정의 시간동안 수용할 수 있도록 포장지를 개봉하여야 하므로, 포장지의 일부만을 제거하여 포장지를 용기의 모양으로 만들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수성의 화장액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된 것으로, i) 사용자가 준비하거나, ii) 상기 마스크 키트와 별도의 패키지로 제공된 것이거나, 또는 iii) 마스크 키트의 포장지 내부에 분리된 구획 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성의 화장액이 iii) 마스크 키트의 포장지 내부에 분리된 구획 내에 포함된 것인 경우에는, 상기 단계는 마스크 키트의 포장지 내부의 분리된 구획의 경계를 파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혼합은 O/D상의 화장료를 수성의 화장액과 혼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고, 제조된 에멀젼을 마스크 시트에 고르게 적시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의 시간과 강도는 포장지가 수용하는 O/D상의 화장료가 수성의 화장액과 고르게 혼합되고 마스크 시트가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적셔질 수 있을 정도로 혼합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마스크 시트 포장에서 마스크 시트를 꺼내어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단계로, 접촉시간은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조절될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에 따르면, 일반적인 대용량의 수성 화장료 조성물 대신 소량의 O/D상 겔 제형의 화장료를 포함하므로, 포장의 크기가 감소되어 자원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류 효율성이 향상되고, 고객이 휴대하기가 용이해진다(휴대성 개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수성 화장료의 경우 생분해성 파우치와 접촉시 생분해성 파우치의 인장강도가 크게 감소하나, 수성 화장료 대신 O/D상 제형의 화장료를 충진하는 경우에는 인장강도에 영향이 없어 알루미늄 재이나, 비분해성 포장재가 아닌 생분해성 포장재로만 포장하더라도 제품의 보존성이나 제형상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는 생분해성 포장재를 포함하며, 생분해성 마스크 시트 및 생분해성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100% 생분해성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를 이용하는 경우, 100% 생분해성 제품을 구성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사용감을 구현할 수 있어 고객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1c는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의 구성요소인 O/D상 제형의 화장료를 수성의 화장액과 혼합하기 전, 중, 후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의 구성요소인 O/D상 제형의 화장료를 수성의 화장액과 혼합하기 전(좌측), 후(우측)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의 포장재인 생분해성 파우치에 종이를 합지한 포장지에 O/D상 제형의 화장료를 포장하기 전(a) 및 포장 후 36 시간 후(b)에 포장지의 외관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의 포장재인 생분해성 파우치에 종이를 합지한 포장지에 수성의 화장료를 포장하기 전(a) 및 포장 후 36 시간 후(b)에 포장지의 외관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5a-5b는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의 포장재인 생분해성 파우치에 각각 일반 수성 화장료(A)와, O/D상 제형의 화장료(B)를 접촉시킨 경우의 인장강도 시험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의 마스크 키트의 포장재인 생분해성 파우치에 각각 일반 수성 화장료(A)와, O/D상 제형의 화장료(B)를 접촉시킨 후 포장재의 절취면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O/D 상 화장료의 유화
본 발명의 O/D겔에 수성 화장액을 첨가하기 전후의 성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O/D겔에 수성 화장액을 첨가하였다. 첨가 전, 중, 후의 사진을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O/D겔의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O/D상 함량(wt%)
글리세린 (폴리올) 10
소듐다이라우미도글루타미드라이신 (sodium dilauramidoglutamide lysine) 3
올리브오일 (오일) 87
도 1a와 도 2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성 화장액 첨가 전의 O/D겔 상화장료는 겔과 같은 성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b-1c 및 도 2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성 화장액 첨가시 즉각적으로 O/D겔이 유화반응에 의해 에멀젼 형태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포장재의 재질 및 화장료의 제형(수상, O/D 상)에 따른 휘산성 시험
포장재의 재질 및 포장재에 포장되는 화장료의 제형에 따른 화장료의 휘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였다.
포장지의 재질로는 생분해성 파우치, 비닐 파우치, 알루미늄 파우치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생분해성 파우치로는 PLA(poly lactic acid)/PBS(polybutylene)/PBAT를 합지한 복합소재의 파우치(80㎛)를 사용하였고, 비닐 파우치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NYLON/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를 합지한 복합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늄 파우치로는 외측으로부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12㎛)/Aluminum(6㎛)/LLDP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80㎛)을 합지하여 구성된 파우치를 사용하였다.
화장료의 제형은 수성 화장료와 O/D상 화장료를 사용하였고, 포장재질별로 45℃ 및 실온(RT) 조건에서 수성 화장료는 20 g씩, O/D상 화장료는 1 g씩 투입하여 6h, 12h, 24h, 36h 경과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수성 화장료의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고, O/D상 화장료의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파우치, 비닐 파우치, 알루미늄 파우치에 화장액 20g적용 후 온도, 시간별 휘산성 테스트 결과
온도 재질 시간
6h 12h 24h 36h
RT 생분해성 파우치 -0.45 g -0.60 g -1.03 g -1.73 g
비닐 파우치 -0.02 g -0.03 g -0.05 g -0.07 g
알루미늄 파우치 0 g 0 g 0 g 0 g
45 ℃ 생분해성 파우치 -0.60 g -1.35 g -2.06 g -2.51 g
비닐 파우치 -0.20 g -0.28 g -0.32 g -0.35 g
알루미늄 파우치 0 g 0 g 0 g 0 g
생분해성 파우치에 O/D겔 적용 후 온도, 시간별 휘산성 테스트 결과
온도 시간
6h 12h 24h 36h
RT 0 g 0 g 0 g 0 g
45℃ 0 g 0 g 0 g 0 g
생분해성 파우치, 비닐 파우치, 알루미늄 파우치에 수성 화장액을 20 g 충진하여 RT, 45℃ 조건으로 휘산성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분해성 파우치> 비닐 파우치> 알루미늄 파우치의 순으로 휘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분해성 파우치에 건식형태의 O/D겔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온도별 시간별 휘산성에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일반 수성 제형의 화장료는 생분해성 파우치에 포장하기에는 휘산성 등의 문제로 보존성 및 유통안전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O/D상 겔 제형의 화장료는 휘산성이 가장 큰 생분해성 파우치에 포장하여도 보존성이나 유통안전성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기 생분해성 포장지에는 인쇄가 가능한 방식이 제한된다. 따라서, 레이저인쇄, 프린팅 인쇄, UV 인쇄 등 다양한 인쇄방식을 적용하거나, 인쇄의 품질을 향상시키려면 상기 생분해성 파우치에 종이를 합지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표 3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생분해성 파우치를 종이에 합지하여, PLA(poly lactic acid)/PBS(polybutylene)/PBAT/종이와 같이 구성된 포장지를 제조하고, 이 포장지에 실제로 O/D 상 겔 또는 수성 화장액을 포장하는 경우에 온도 및 시간에 따라 포장지 내에 포장된 화장료로 인해 포장지가 훼손되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고, O/D겔 포장 전과 O/D겔 포장 후 36시간 후의 포장지의 외관을 촬영하였다. 결과는 표 4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생분해성 파우치/종이 합지 포장지에 O/D겔 적용 후 온도, 시간별 휘산성 테스트 결과
온도 시간
6h 12h 24h 36h
RT 0 g 0 g 0 g 0 g
50℃ 0 g 0 g 0 g 0 g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포장재에 종이를 합지한 포장지의 경우에도 O/D상 겔 제형의 화장료는 중량의 변화가 없어 휘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O/D 상의 겔 제형의 화장료를 포장한 후에도 포장지의 인쇄나 외관에 변화가 없어 화장료로 인한 훼손이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O/D겔이 아닌 일반 수성 화장액을 포장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포장재를 합지한 포장재의 내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포장재에 종이를 합지한 포장지에 수성 화장액을 포장하기 전(도 4의 (a))과, 포장한 36시간 후(도 4의 (b))의 포장지의 외관을 촬영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성의 화장료를 포장한 경우에는 포장지가 쉽게 젖었고, 약한 자극이나 마찰력에도 쉽게 포장지의 인쇄가 훼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포장재를 마스크 시트의 포장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수성 화장료 대신 O/D상 겔 제형의 화장료를 내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화장료의 제형에 따른 생분해성 파우치의 인장강도 변화
3-1. 인장강도 시험 1
화장료의 제형에 따른 생분해성 파우치의 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성의 화장액(20 g)과 O/D상 겔(1 g)을 각각 45℃에서 36시간 동안 보관 한 생분해성 파우치를 같은 크기(6 cm)로 재단하고, 양쪽 선에 맞추어 잡아당겨 늘어남 정도를 확인하였다(A: 화장액이 적용된 생분해성 파우치, B: O/D상 겔 제형의 화장료가 적용된 생분해 파우치, C: 화장액을 적용하지 않은 생분해 파우치)
결과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었다. 선에 맞춰 양쪽을 잡아당겨
인장강도를 테스트해 본 결과 수성 화장액이 적용된 생분해성 파우치는 O/D겔 제형의 화장료가 적용된 생분해성 파우치와 화장액을 적용하지 않은 기존 생분해 파우치에 비해 질김성이 하락하여 파우치의 인장강도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3-2. 인장강도 시험 2
상기 3-1과 같은 조건에서 생분해성 파우치의 인장 강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1) 45℃에서 수성 화장액을 충진한 생분해 파우치와, 2) O/D겔 형 화장료를 충진한 생분해 파우치를 45℃에서 7일 경과 후 인장 강도 측정 장치MultlTest2.5-i를 이용하여 속도 100 mm/min, 높이 500% 조건에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연신율
1 251.65%
2 401.45%
** 연신율 : 인장시험 때 재료가 늘어나는 비율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분해 파우치 인장시험 결과 1) 수성 화장액을 충진한 생분해 파우치가 2) O/D상 제형을 충진한 생분해 파우치에 비해 연신율이 낮아진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O/D상 제형의 화장료는 생분해 파우치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4: 화장료의 제형에 따른 생분해성 파우치의 절취성 변화
화장료의 제형에 따른 생분해성 파우치의 변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성의 화장액(20 g)과 O/D상 겔(1 g)을 각각 45℃에서 3일 동안 보관한 생분해성 파우치의 상단을 각각 절취하고 절취면을 관찰하였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성의 화장액이 담겨 있던 생분해성 파우치의 경우에는 수성 화장액에 의해 생분해성 파우치의 표면이 쭈글쭈글하게 변형되었을 뿐만 아니라, 절취선의 절취면이 늘어남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다음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화장용 마스크 키트:
    마스크 시트; 계면활성제, 폴리올 및 오일을 포함하는 O/D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생분해성 포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포장재는 PHB(poly-hydroxy butyric acid), PLA(polylactic acid), PBS(polybutylene succinate), PBAT(Poly Butylene Adipate Phthalate), PGA(Polyglycolic acid), PLGA [poly(lactic-co-glycolic acid)], PCL(Polycaprolactone), Polydioxanone, Polyanhydrides, Polycyanoacrylates, Polyorthoester, Poly(γ-ethylglutamate), Pseudo-poly(amino acids), 또는 이들의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생분해성 포장재인, 마스크 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시트는 O/D상 제형의 화장료에 수성의 화장액을 첨가하여 에멀젼을 만든 후 사용자의 피부에 적용되는 것인, 마스크 키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키트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된, 수성의 화장료를 분리된 별도의 패키지로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 키트.
  5.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마스크 시트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a) 제1항의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에서 포장지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마스크 키트의 포장지 내부에 수성의 화장액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포장지 내에서 마스크 시트, O/D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및 첨가된 수성의 화장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d) 포장지 내에서 마스크 시트를 꺼내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단계.
KR1020200075262A 2019-06-21 2020-06-19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 KR102390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4409 2019-06-21
KR1020190074409 201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769A true KR20200145769A (ko) 2020-12-30
KR102390469B1 KR102390469B1 (ko) 2022-04-25

Family

ID=7111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262A KR102390469B1 (ko) 2019-06-21 2020-06-19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00456B2 (ko)
EP (1) EP3753547A1 (ko)
KR (1) KR102390469B1 (ko)
CN (1) CN11211003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693A (ko) * 2007-08-07 2009-02-11 (주)메디웨이코리아 나노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피부미용시트와 그 제조방법
KR101199964B1 (ko) 2011-12-23 2012-11-12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식물성 전분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6900A (ko) * 2015-09-24 2017-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용 시 유화기능이 부여되는 마스크 팩 조성물
KR2018003822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23946A (en) * 2003-01-31 2004-06-25 Carl Ernest Alexander Portable hygiene compositions comprising a semi-solid gel and active ingredients in bead form for use in personal oral, dental or skin care
US20060182704A1 (en) * 2005-02-15 2006-08-17 Gianelli Penelope M Disposable Whole Face Mask for Topical Delivery of Cosmetic, Nutritional or Medicinal Preparations and for use with Facial Massage, Acupressure and Aroma Therapies and the Method of Applying Topical Cosmetic, Nutritional or Medicinal Preparations thereby
US20090045210A1 (en) * 2007-08-18 2009-02-19 Tilton Christopher R Pliable ground calcium carbonates storag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00072224A1 (en) * 2008-09-25 2010-03-25 Minna Ha Fillable and/or refillable tube
FR3014885B1 (fr) * 2013-12-17 2017-04-14 Univ De Reims Champagne-Ardenne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s agro-sources et biodegradables
KR20190052276A (ko) * 2017-11-08 2019-05-16 주식회사 피앤씨이노텍 가용성 화장용 마스크 시트, 마스크 팩, 및 이를 함유하는 포장용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693A (ko) * 2007-08-07 2009-02-11 (주)메디웨이코리아 나노섬유 부직포를 이용한 피부미용시트와 그 제조방법
KR101199964B1 (ko) 2011-12-23 2012-11-12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식물성 전분을 이용한 마스크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36900A (ko) * 2015-09-24 2017-04-04 코스맥스 주식회사 사용 시 유화기능이 부여되는 마스크 팩 조성물
KR20180038220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분리형 이중 파우치 마스크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00456B2 (en) 2021-05-11
US20200397669A1 (en) 2020-12-24
EP3753547A1 (en) 2020-12-23
CN112110036A (zh) 2020-12-22
KR102390469B1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1846A1 (en) Water-soluble packag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7443360B2 (ja) 多層水分散性物品
KR101981359B1 (ko) 향이 나는 수용성 패키지
RU2008102798A (ru) Термоплавкий клей с душистыми веществами
CN110708984B (zh) 面膜及其制造方法
CA2296200A1 (en) Composition and manufacture of topical pharmaceutical and cosmetic semi -solid post-foaming dosage forms in a pouch
MX2011000594A (es) Metodo de fabricacion de peliculas directamente en alveolo.
US10117818B2 (en) Wet wipe concentrate comprising a polyglyceryl fatty ester
KR20190037437A (ko)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JPH0421586B2 (ko)
US20220410543A1 (en) Multilayer water-dispersible articles
US21287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sterile suture material for medicinal purposes ready for use
FR2997956A1 (fr) Composition d'encre pour l'impression par jet continu devie notamment sur des substrats en polymeres organiques.
KR20200145769A (ko) 생분해성 포장재로 포장된 마스크 키트
EP1149574A2 (en) Cleansing material
JP6193846B2 (ja) パック
RU2674122C2 (ru) Поверхность и композиция
US3070462A (en) Protective wrapping materials
KR20180044045A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KR19980024038A (ko) 선택투과성 필름
US20060078515A1 (en) Sunscreen wipes
WO2016208044A1 (ja) パック
JP2015224224A (ja) 炭酸ガスを溶解した油組成物及びその用途
US2744019A (en) Process of packaging dried fruit
JP2011162202A (ja) 食品トレー用吸水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