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045A -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 Google Patents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045A
KR20180044045A KR1020160137629A KR20160137629A KR20180044045A KR 20180044045 A KR20180044045 A KR 20180044045A KR 1020160137629 A KR1020160137629 A KR 1020160137629A KR 20160137629 A KR20160137629 A KR 20160137629A KR 20180044045 A KR20180044045 A KR 20180044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mask pack
accommodation space
function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323B1 (ko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김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일 filed Critical 김형일
Priority to KR102016013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3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05D7/0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to surfaces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and having several recesses to accommodate a series of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04Anhydrides, e.g. cyclic anhydrides
    • C08F222/06Maleic anhyd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8Alkyl ethers substituted with nitrogen-containing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28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 C08L23/286Chlorinated poly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5/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an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개의 수용 공간을 갖는 방출형 마스크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여러개의 수용공간으로 분할된 파우치의 일측 공간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소비자가 손가락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거나 손가락으로 포장부위 끝단을 말아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면 타측 열접착 실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접착 강도가 낮은 실링 부위가 서서히 붕괴되어 압력이 낮은 분할된 다른 수용공간으로 기능성 유효성분이 방출되어 부직포에 기능성 성분이 골고루 섞이게 하기 위한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부직포가 수납된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획되며,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필름(210)과 하부필름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필름(220)으로 구성되며,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의 양 끝단은 열접착으로 실링되어 제1 실링부(231)를 형성하며, 기능성 유효성분(253)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과 정제수,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영양성분 등 수용성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251)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은 열접착되어 제2 실링부(233)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RELEASE TYPE MASK PACK POUCH WITH MULTIPLE SPACE}
본 발명은 여러개의 수용 공간을 갖는 방출형 마스크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여러개의 수용공간으로 분할된 파우치의 일측 공간에 포함된 기능성 성분을 소비자가 손가락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거나 손가락으로 포장부위 끝단을 말아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밀면 타측 열접착 실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접착 강도가 낮은 실링 부위가 서서히 붕괴되어 압력이 낮은 분할된 다른 수용공간으로 기능성 유효성분이 방출되어 부직포에 기능성 성분이 골고루 섞이게 하기 위한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과 같은 내용물의 밀폐 포장을 위해 라미네이트 필름 형태의 포장지로 제조된 파우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는 에센스 등을 부직포 시트에 다량 흡수시킨 마사지 팩의 사용이 성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마사지 팩의 경우도 파우치를 이용하여 포장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마스크 시트나 마스크팩은 부직포에 미용액을 첨가하거나 기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부직포는 합성 고분자나 식물 셀룰로오스로 제조되는데, 피부와 접촉함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의 소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만드는 셀룰로오스 겔상의 마스크 팩은 그 내부에 배지 성분이나 균체가 함유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 시트는 제작 과정 중에 마스크 시트를 미리 미용액에 함침하여 유통하게 되는데, 유통기간 중에 변질 되거나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라벤류 등과 같은 방부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마스크 시트에 방부제가 첨가됨에 따라, 마스크 시트의 사용시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팩 파우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종래의 마스크팩 파우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는 에센스 등을 부직포 시트에 다량 흡수시킨 부직포(50)가 수납된 파우치로서 단일 수납공간(40)을 갖도록 가장자리 엣지부에 열접착한 실링부(30)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파우치(100)는 밀폐용 포장 필름으로 제조된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으로 구성고, 하부 필름(10)과 상부 필름(20)의 가장자리 부분은 160~180℃로 열압착 방식으로 압착하여 실링부(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소비자가 파우치(100)를 쉽게 뜯어 개봉할 수 있도록 봉합선(30)의 일측에 절개부(32,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실링부(30) 안쪽의 수납 공간(40)에 팩(50)이 내장된다.
그리고 팩(50)은 사용자가 파우치(100)를 바로 개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파우치(100)는 단일 수납공간(40)을 갖도록 형성된다. 파우치(100)에 수납되는 팩(50)은 부직포에는 마스크팩의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비타민C와 레티놀,EGF와 같은 다양한 기능성 유효성분들이 첨가되기도 한다. 그런데 기능성 물질들(55) 중에는 화장품에 포함된 수분을 포함한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물성이 변하거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물질들도 있다. 예컨대 비타민C의 경우 수분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기능성이 떨어지며, 레티놀은 빛과 열에 의해 쉽게 불안정해 진다는 한계성이 있어 되도록 밤에 사용하고, 낮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바르는 방법으로 권장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종래의 파우치는 단일 포장 공간만을 갖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완제품 상태의 팩이 그대로 포장되어 기능성 물질의 효과를 최대한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햇볕과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장기간 유통에 따라 기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팩의 유통기한 또한 짧을 수밖에 없는 결점이 있었다. 물론 기능성 물질이 제거된 팩이 포장된 파우치와, 기능성 물질만을 별도로 포장한 파우치를 구비하여 팩 사용 시, 팩이 포장된 파우치를 먼저 개봉한 다음 기능성 물질이 포장된 파우치를 개봉하여 팩에 기능성 물질을 도포하여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하지만 이 경우 두 종류의 파우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팩과 기능성 물질이 들어 있는 파우치를 각기 개봉한 이후에, 소비자가 직접 팩에 기능성 물질을 일일이 도포해서 함침시켜야 하는 사용상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465701호에는 마사지 팩이 수납된 제1 수납공간과 화장품 내용물이 수납되는 제2수납공간을 일체로 형성하되 별도로 구획하여 수분보습용 화장품을 따로 구비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원하는 스킨케어(Skin Care)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파우치는 사용시 소비자가 일일이 절개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제1 수납공간과 제2 수납공간을 제외한 부분은 낭비되어 수용되는 화장품 내용물의 종류 및 양에 대비하여 파우치의 크기가 커지고, 열 접착되는 부분만이 증가하여, 공간이 낭비되고 이에 따라 수용 용량 대비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65701 공개실용신안 20-2105-0003313 공개실용신안 20-2010-0003466 등록특허 10-151693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직포에 도포되는 기능성 성분의 물성이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막고자 여러개의 포장공간으로 분할된 파우치의 일측 공간에 포함된 내용물을 소비자가 손가락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거나 손가락으로 포장부위를 말아서 소정의 힘을 가하면 다른 열실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봉합강도가 낮은 부위가 서서히 붕괴되어 압력이 낮은 분할된 다른 포장공간으로 기능성 유효성분이 서서히 방출되어 부직포에 기능성 성분이 골고루 섞이게 하기 위한 다중 포장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우치(20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부직포가 수납된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획되며,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필름(210)과 하부필름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필름(220)으로 구성되며,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의 양 끝단은 열접착으로 실링되어 제1 실링부(231)를 형성하며, 기능성 유효성분(253)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과 정제수,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영양성분 등 수용성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251)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은 열접착되어 제2 실링부(233)를 형성하여, 2개의 단위 수용공간으로 분할된다.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은 도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접착으로 실링되는데, 제2 실링부(233)에 의해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분된다.
제2 실링부(233)는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 및 제2 실링부를 가열 접착하기전에 제2 실링부가 이지필(easy-peel)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열접착 작업 전에 해당 부위에 소정의 코팅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코팅제의 도포에 의해 하부필름과 상부필름을 가열 열접착하면 제2 실링부(233)는 상대적으로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이지필 기능을 갖게 되어 소비자가 마스크팩 사용시 제2 수용공간(242)에 양손으로 힘을 가하여 압착하여 하향으로 밀면 열접착강도(통상 2.0kgf/15mm 이상)가 적은 제2 실링부(233)가 파우치의 다른 실링부에 우선하여 개봉됨으로써 제2 수용공간(242)에 포함된 기능성 유효성분이 제1 수용공간(241)으로 토출, 이동하여 제1 수용공간(242)의 부직포를 골고루 적시게 된다.
제1 수용공간(241) 및 제2 수용공간(242)에는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투명창(221)이 파우치(200) 폭 방향으로 두곳에 형성되어 있다. 소비자는 파우치 사용 시 제2 수용공간(242)을 손가락을 사용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압착하면 제2 수용공간 내의 기능성 성분이 제1 수용공간(241)로 배출, 이동하는 것을 투명창(22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 확인하여 균질하게 도포되지 않으면 파우치를 양손으로 가볍게 주물러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에 사전에 도포되는 코팅제는 일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고형분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무수 말레인산 (maleic acid anhydride) 및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70 내지 85 중량부; 염소 함량이 10~30 중량%인 염소화 폴리올레핀의 5 내지 20 중량부;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의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제를 파우치를 열접착하여 실링하기 전에 제2 실링부에 소정의 두께로 사전에 코팅제를 도포하며 코팅의 두께는 제2 실링부를 열접착한 후의 해당 부위의 열접착 강도가 0.5~1.2kgf/15mm 범위내에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우치의 수용공간을 2개 이상의 단위 수용공간으로 격리되게 분할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용공간으로 분할한 마스크팩이 예시되어 있다. 제 1수용공간(241)에는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등이 함친된 부직포(251)가 수용되며, 제2 수용공간(242)에는 에센스, 비타민 C, 알부틴, 히알루론산(하이알루로닉 애시드로),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EGF(epidermal growth factor) 등의 기능성 화장품 성분이 수용된다.
제1수용공간(241)에 수용되는 부직포 이외에 수용성 하이드로겔 키토산 재질의 부직포나 바이오셀룰로오즈 원단과 같은 고가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도면에 기초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는 2개의 포장공간으로 분할된 파우치의 일측 수용공간에 수용된 화장품용 기능성 성분을 소비자가 손가락으로 소정의 압력을 가하거나 손가락으로 포장부위를 말아서 소정의 힘을 가하면 다른 열접착 실링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접착 강도가 낮은 실링 부위가 서서히 붕괴되어 압력이 낮은 부직포가 수용된 타측 수용 공간으로 기능성 성분이 토출되어 부직포에 기능성 성분이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팩 파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형 마스크팩 파우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B-C 단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서 제2 수용공간에 포함된 기능성 유효성분이 가압에 의해 제1 수용공간으로 배출되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서 제2 수용공간에 포함된 기능성 유효성분이 가압에 의해 제1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마스크팩 파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출형 마스크팩 파우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B-C 단변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서 제2 수용공간에 포함된 기능성 유효성분이 가압에 의해 제1 수용공간으로 배출되어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서 제2 수용공간에 포함된 기능성 유효성분이 가압에 의해 제1 수용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우치(2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부직포가 수납된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획되며,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필름(210)과 하부필름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필름(220)으로 구성되며,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의 양 끝단은 열접착으로 실링되어 제1 실링부를 형성하며, 기능성 유효성분(253)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과 정제수,글리세린 등 수용성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251)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은 열접착되어 제2 실링부(233)를 형성하여, 2개의 단위 수용공간으로 분할된다.
상기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은 도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접착으로 실링되는데, 제2 실링부(233)에 의해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분된다.
파우치(200)의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은 도4에 도시된 실링부(231)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3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상부 및 하부 필름층은 외부층(231a), 중간층(231b) 및 내부층(231c)로 구성되며, 외부층(231a)은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나일론 재질이며, 중간층(321b)은 증착된 알루미늄층이고, 내부층(231c)은 폴리프로필렌(PP)이나 폴리에틸렌(PE)증에서 선택되어 진다. 종래에는 냅층을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을 사용하였으나 내열성이 열악한 단점이 있어 본 발명에서는 PP를 사용하였다.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 및 제2 실링부를 고온으로 열접착하기전에 제2 실링부가 이지필(easy-peel)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열접착 공정 전에 해당 부위에 소정의 코팅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코팅제의 도포에 의해 하부필름과 상부필름을 가열 열접착하면 제2 실링부(233)는 상대적으로 접착 강도가 저하되어 이지필 기능을 스스로 갖게 되어 소비자가 마스크팩 사용시 제2 수용공간(242)에 양손으로 힘을 가하여 압착하여 하향으로 밀면 열접착강도(통상 2.0kgf/15mm 이상)가 적은 제2 실링부(233)가 파우치의 다른 실링부에 우선하여 개봉됨으로써 제2 수용공간(242)에 포함된 기능성 유효성분이 제1 수용공간(241)으로 토출, 이동하여 제1 수용공간(242)의 부직포를 골고루 적시게 된다.
제1 수용공간(241) 및 제2 수용공간(242)에는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투명창(221)이 파우치(200) 폭 방향으로 두곳에 구비되어 있다. 소비자는 파우치 사용 시 제2 수용공간(242)을 손가락을 사용하여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압착하면 제2 수용공간 내의 기능성 성분이 제1 수용공간(241)로 배출, 이동하는 것을 투명창(22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 확인하여 균질하게 도포되지 않으면 파우치를 양손으로 가볍게 주물러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링부에 사전에 도포되는 코팅제는 일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고형분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무수 말레인산 (maleic acid anhydride) 및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70 내지 85 중량부; 염소 함량이 10~30 중량%인 염소화 폴리올레핀의 5 내지 20 중량부;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의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제를 파우치를 열접착하여 실링하기 전에 제2 실링부에 소정의 두께로 사전 코팅제를 도포한 후, 열접착 후의 해당 부의의 열접착 강도가 0.5~1.2kgf/15mm 범위내에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파우치의 수용공간을 2개 이상의 단위 수용공간으로 격리되게 분할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수용공간으로 분할한 마스크팩이 예시되어 있다. 제 1수용공간(241)에는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등이 함친된 부직포(251)가 수용되며, 제2 수용공간(242)에는 에센스, 비타민 C, 알부틴, 히알루론산(하이알루로닉 애시드로), 아데노신, 나이아신아마이드, EGF(epidermal growth factor) 등의 기능성 화장품 성분이 수용된다.
제1수용공간(241)에 수용되는 부직포 이외에 수용성 하이드로겔 키토산 재질의 부직포나 바이오셀룰로오즈 원단과 같은 고가의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파우치의 수용공간을 2개로 한정한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제품의 특성에 따라 2개 이상의 수용공간을 배치하여 서로 다른 기능성 성분이 혼합되는 경우 품질의 상승효과를 가져오게 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화장품 성분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242)의 부피나 크기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크기를 달리 제작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확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우치(200)에는 기능성 성분이 부직포에 골고루 균일하게 스며들면 소비자가 손으로 절개하여 부직포를 배출하는 절개부(330)가 파우치(200) 하단부 양쪽 단부에 노치(notch) 처리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200 : 파우치 210: 상부필름
220 : 하부필름 221 : 투명창
231 : 제1 실링부 233 : 제2 실링부
241 : 제1 수용공간 242 : 제2 수용공간
251 : 부직포 253 : 기능성 성분
300 : 절개부

Claims (6)

  1. 마스크팩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부직포가 수납된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획되며, 파우치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하부필름(210)과 하부필름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필름(220)으로 구성되며, 상부필름과 하부필름의 양 끝단은 열접착으로 실링되어 제1 실링부(231)를 형성하며, 기능성 유효성분(253)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과 정제수,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영양성분 등 수용성 성분이 함침된 부직포(251)를 수용하는 제1 수용공간은 열접착되어 제2 실링부(233)를 형성하는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2. 상기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은 열접착으로 실링되고, 제2실링부(233)에 의해 제1 수용공간(241)과 기능성 성분을 수용하는 제2 수용공간(242)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233)는 상부필름(220)과 하부필름(210) 및 제2 실링부를 가열 접착하기전에 제2 실링부가 이지필(easy-peel) 기능을 부여하기 하기 위하여 열접착 작업 전에 실링 부위에 소정의 코팅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공간(241) 및 제2 수용공간(242)에는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투명한 필름으로 구성된 투명창(221)이 파우치(200)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링부에 사전에 도포되는 코팅제는 접착제 조성물로, 접착제 조성물에 포함된 수지 고형분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무수 말레인산 (maleic acid anhydride) 및 올레핀의 공중합체의 70 내지 85 중량부; 염소 함량이 10~30 중량%인 염소화 폴리올레핀의 5 내지 20 중량부; 및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의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의 도포 두께는 제2 실링부에 코팅제를 도포한 후, 열접착한 후의 해당 부위의 열접착 강도가 0.5~1.2kgf/15mm 범위내에 포함되는 범위내에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KR1020160137629A 2016-10-21 2016-10-21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KR101932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29A KR101932323B1 (ko) 2016-10-21 2016-10-21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629A KR101932323B1 (ko) 2016-10-21 2016-10-21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045A true KR20180044045A (ko) 2018-05-02
KR101932323B1 KR101932323B1 (ko) 2019-03-20

Family

ID=6218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629A KR101932323B1 (ko) 2016-10-21 2016-10-21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805A (ko) *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중앙플라텍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118642B1 (ko) * 2019-01-29 2020-06-04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전자레인지 파우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식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1177A1 (en) * 2004-07-29 2006-02-0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edical container with improved peelable seal
JP2009538800A (ja) * 2006-06-01 2009-11-1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易壊性シールを備えた複室パウチ
KR20100003466U (ko) 2008-09-22 2010-03-31 (주) 제이티 파우치 절단 구조
KR200465701Y1 (ko) 2010-12-01 2013-03-06 이스다니코스메틱(주)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261591B1 (ko) * 2012-01-16 2013-05-09 금양화학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전자레인지 조리용 스팀백
KR200475477Y1 (ko) * 2013-04-22 2014-12-03 윤지양행(주)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
KR101516933B1 (ko) 2013-12-18 2015-05-04 주식회사 닥터미즈 에센스와 키토산 부직포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된 키토산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150003313U (ko) 2014-02-27 2015-09-04 이은우 화장품 포장용 파우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1177A1 (en) * 2004-07-29 2006-02-0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edical container with improved peelable seal
JP2009538800A (ja) * 2006-06-01 2009-11-1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易壊性シールを備えた複室パウチ
KR20100003466U (ko) 2008-09-22 2010-03-31 (주) 제이티 파우치 절단 구조
KR200465701Y1 (ko) 2010-12-01 2013-03-06 이스다니코스메틱(주) 스킨케어용 다중 구획 파우치
KR101261591B1 (ko) * 2012-01-16 2013-05-09 금양화학 주식회사 접착제 조성물 및 전자레인지 조리용 스팀백
KR200475477Y1 (ko) * 2013-04-22 2014-12-03 윤지양행(주) 포장 공간이 분리된 파우치
KR101516933B1 (ko) 2013-12-18 2015-05-04 주식회사 닥터미즈 에센스와 키토산 부직포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된 키토산 마스크팩용 파우치
KR20150003313U (ko) 2014-02-27 2015-09-04 이은우 화장품 포장용 파우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8805A (ko) * 2018-09-07 2020-03-17 주식회사중앙플라텍 파우치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118642B1 (ko) * 2019-01-29 2020-06-04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전자레인지 파우치 및 이를 구비한 포장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323B1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2124A (en) Liquid dispensing pouch
US7806877B2 (en) Grippable packet applicator
US20070053737A1 (en) Dispenser for a fluent product
KR101316033B1 (ko) 함침 내용물의 블리스터 포장 용기
JP2002511824A (ja) 内部支持構造体を備えた流体サンプラパウチ
US8297866B2 (en) Actuator pouch and method thereof
US20070130708A1 (en) Single use applicator
US20050284777A1 (en) Reservoir barrier wipes, pads and applicators
KR101932323B1 (ko) 다중 수용공간을 갖는 마스크팩 파우치
KR20210082053A (ko) 마스크팩 보관용 파우치
AU779382B2 (en) A portable disposable personal article containing a product for body care
EP2747595B1 (en) Pad with internal chamber and opening mechanism
KR20190002011U (ko) 비닐지로 제작되는 낱장의 화장용 마스크 팩
JP3172582U (ja) 化粧料内容物の吐出量の調節が可能な多室包装袋
US6322271B1 (en) Applicator for applying and distributing substances to target surfaces
KR102356452B1 (ko) 마스크팩 시트
CN100506659C (zh) 可选择性地活化的片状材料及其制备方法、食物储存包裹片
KR101505978B1 (ko) 물주머니의 제조 방법
KR20140137253A (ko) 다중 구획 파우치
KR20190004496A (ko) 다중 구획 파우치
CN116605534A (zh) 一种折叠打开式双腔包装及其制备方法
JP2009102046A (ja) 異材分離型包装容器
KR102236774B1 (ko) 휴대용 화장 패드 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39415A (ko) 다중 구획 트레이
KR20160064929A (ko) 물주머니 및 이를 갖는 포장 물티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