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669A -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669A
KR20200144669A KR1020190072623A KR20190072623A KR20200144669A KR 20200144669 A KR20200144669 A KR 20200144669A KR 1020190072623 A KR1020190072623 A KR 1020190072623A KR 20190072623 A KR20190072623 A KR 20190072623A KR 20200144669 A KR20200144669 A KR 20200144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back
extension member
improvement system
springback inspection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1568B1 (ko
Inventor
최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원
Priority to KR102019007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568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75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means of external apparatus, e.g. test benches or portable te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성형된 제품의 스프링백을 검사하여 개선하기 위한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와, 비교판단부와, 스프링백 개선장치를 포함하고,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베이스와, 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설치부재와, 설치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와, 연장부재를 승강하여 변위센서를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SPRINGBACK INSPECTION DEVICE FOR SPRINGBACK INSPECTION IMPROVEMENT SYSTEM}
본 발명은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 및 벤딩 가공된 제품을 측정기준점에 지지하고, 변위센서가 각각 구비된 승강구동부를 이용하여 변위센서를 승강 구동하여 해당위치의 스프링백을 측정함으로써, 스프링백을 간편하게 측정할 뿐만아니라 각 제품에 대해 검사정치를 공용화할 수 있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으로 이루어진 판재를 원하는 형상의 제품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에 성형품의 형상과 상응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다이(Die) 위에 판재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승강 작동되는 프레스 또는 펀치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판재를 원하는 각도 및 형상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판재를 굴곡 및 벤딩(Bending)시켜 성형하는 과정에서는 탄성 한계 이하의 힘을 가하거나 그 이상의 힘을 가하여도 벤딩된 부분을 원하는 각으로 굽히지 못할 수 있다.
이는 굽힘 힘을 받는 영역의 두께 방향 및 면내 응력 차이로 인하여 판재 자체의 탄성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서, 원재가 원상태로 회복되려고 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프링백 현상은 성형품의 치수 정도(精度) 및 형상 동결성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 치수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스프링백량을 미리 예측한 후 실제 제품의 각도보다 금형의 각도를 작게 설계하여 탄성회복 후의 치수가 제품의 치수가 되도록 보정하고 있다.
프레스 제품성형 과정에서 금형의 손상에 따른 마찰 조건, 금형 곡면부 등에 따라 스프링백량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동일한 금형 조건하에서도 판재의 항복점 같은 물성치의 산포에 따라서 차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로써, 기존에는 제품(주로 단품으로 구성)을 프레스 금형으로 가공한 후, 정상적으로 제작되었는 지 수지로 만든 검사구를 이용하여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핸드워크장비를 이용하여 수공으로 스프링백을 보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런데, 프레스 가공된 제품의 치수를 측정하는 수지로 제작된 검사구는 개별 단품별로 각각 제작되어 사용됨으로써, 검사구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수십 내지 수백개의 검사구를 보관할 장소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력을 이용한 스프링백 핸드워크작업은 보정시간이 많이 소요되거나 작업자가 부상당할 우려가 있고, 작업자의 실수로 제품에 손상이 발생하며, 보정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의 품질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45587호(2006.11.06, 발명의 명칭: 프리포밍 금형의 스프링백 보정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성형 및 벤딩 가공된 제품을 측정기준점에 지지하고, 변위센서가 각각 구비된 승강구동부를 이용하여 변위센서를 승강 구동하여 해당위치의 스프링백을 측정함으로써, 스프링백을 간편하게 측정할 뿐만아니라 각 제품에 대해 검사정치를 공용화할 수 있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진유도부의 직진 이동을 이용하여 연장부재가 회전 및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승강하므로 변위센서를 제품의 저면 제어 위시로 정확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성형된 제품의 스프링백을 검사하여 개선하기 위한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와, 비교판단부와, 스프링백 개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베이스; 상기 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를 승강하여 상기 변위센서를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부재를 승강하는 랙기어; 및 상기 연장부재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재는 직진유도부에 의해 상기 슬롯부재에서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상기 직진유도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슬롯부재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직진홈부; 및 상기 직진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슬롯부재의 내주면 또는 연장부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직진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진유도부는 상기 랙기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롯부재는 나사결합방식, 압입끼움방식 또는 후크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성형 및 벤딩 가공된 제품을 측정기준점에 지지하고, 변위센서가 각각 구비된 승강부를 이용하여 변위센서를 승강 구동하여 해당위치의 스프링백을 측정함으로써, 스프링백을 간편하게 측정할 뿐만아니라 각 제품에 대해 검사정치를 공용화할 수 있는 ㅎ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진유도부의 직진 이동을 이용하여 연장부재가 회전 및 유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승강하므로 변위센서를 제품의 저면 제어 위시로 정확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제품 치수를 측정하도록 변위센서의 승강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기어타입 스프링백 검사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조립 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프링백 개선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의 스프링백 개선장치에서, 보정전자석부가 작업로봇암에서 분리된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제품 치수를 측정하도록 변위센서의 승강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크류타입 스프링백 검사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조립 상태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에서, 스프링백 개선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의 스프링백 개선장치에서, 보정전자석부가 작업로봇암에서 분리된 상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스프링백 검사장치(300), 비교판단부(380) 및 스프링백 개선장치(400)를 포함하고, 스프링백 검사장치(300)는 베이스(310), 설치부재(320), 연장부재(330) 및 승강구동부(340)를 포함한다.
스프링백 검사장치(300)는 스프링백을 측정하고자 하는 제품(2)을 측정기준점에 위치시켜 다수개의 변위센서(10)를 승강 이동하여 각 해당 위치의 변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스프링백 검사장치(300)는 판재를 프레스로 성형하거나 벤딩하여 특정 형상을 갖는 제품(2)을 가공할 때,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와 다르게 판재가 원상태로 회복되려고 하는 스프링백(Spring back)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성형된 제품(2)을 설계 데이터치수와 일치하는 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스프링백 검사장치(300)가 필요한 실정이다.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의 상측에 스프링백 검사를 위해 성형된 제품(2)을 고정하여 검사 위치로 이동하는 이동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00)는, 제품(2)을 이송하여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의 상측에 위치시키는 이송로봇(110)과, 이송로봇(110)의 로봇암(1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품(2)을 전자기력으로 부착하거나 분리하는 이송용전자석(130)을 포함한다.
로봇암(120)은 다관절 로봇암을 이용하도록 한다. 로봇암(120)의 단부에는 이송용전자석(130)을 일체로 구성하거나 분리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송용전자석(130)은 금속 판재를 성형한 제품(2)을 스프링백 개선장치(400)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300)로 이송하거나,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에서 검사가 완료된 제품(2)에서 스프링백을 개선하기 위해 스프링백 개선장치(40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부(100)는 비교판단부(380)와 연결되어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를 제공받는다.
이때, 측정기준점은 제품(2)을 이동부(100)를 통해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의 상측에 위치시킬 때, 변위센서(10) 중 적어도 3개지점을 통한 영점조정에 의해 정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변위센서(10)는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에 설치될 때,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여 설치하는 것이 검사에 유리하다. 이때, 변위센서(10)가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어방식의 스프링백 검사장치(300)를 살펴 보도록 한다.
베이스(310)는 바닥에 접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베이스(310)에는 승강구동부(340)의 구동모터(341)가 설치되는 수용공간부(311)를 구비한다. 수용공간부(311)는 구동모터(341)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아니라, 승강구동부(340)가 승강하는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311)의 저면에는 수용공간부(311)를 차단하는 커버판(312)이 구비된다. 커버판(312)은 나사결합으로 베이스(311) 저면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됨으로써, 구동모터(341) 및 구동모터(341)의 관련 구성을 설치하거나 수리하는 데 활용한다.
변위센서(10)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비교판단부(380)와 연결되도록 설치부재(32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재(320)는 변위센서(10)가 상측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연장부재(330)는 설치부재(320)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연장부재(330)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된다.
변위센서(10)는 설치부재(320)의 상측에 내장되는 무선송신기(미도시)를 통헤 비교판단부(380)와 연결될 수 있다.
변위센서(10)는 미도시된 전선을 통해 연장부재(330), 베이스(310)을 거쳐 비교판단부(38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승강구동부(340)는 연장부재(330)를 승강하여 변위센서(10)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승강구동부(340)는, 구동모터(341)와, 구동모터(341)의 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342)와, 연장부재(330)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맞물린 피니언기어(342)의 회전에 따라 연장부재(330)를 승강하는 랙기어(343)와, 연장부재(330)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연장부재(3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344)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41)는 회전력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서보모터를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랙기어(343)는 연장부재(33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331)에 형성된다.
함몰홈부(331)의 깊이는 랙기어(343) 기어치의 산(山)부분이 연장부재(330)의 외경에 보다 더 돌출되지 않는 정도의 깊이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 함몰홈부(331)의 깊이는 피니언기어(342)가 삽입된 상태에서 랙기어(343)와 치합되도록 연장부재(330)의 외경에 비해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피니언기어(342)는 함몰홈부(331)에 삽입되어 회전하므로 함몰홈부(331)는 연장부재(330)의 상하 직진가이드 역할도 수행한다.
연장부재(330)는 직진유도부(350)에 의해 슬롯부재(344)에서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진다.
직진유도부(350)는, 연장부재(330)의 외주면 또는 슬롯부재(344)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직진홈부(351)와, 직진홈부(351)에 결합되도록 슬롯부재(344)의 내주면 또는 연장부재(33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직진돌부(352)를 포함한다.
직진홈부(351)와 직진돌부(352)는 연장부재(330)의 외주면과 슬롯부재(344)의 내주면에 각각 한 개씩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직진홈부(351)와 직진돌부(352)의 형성 개수는 제한되지 않는다.
슬롯부재(344)의 내경은 연장부재(330)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장부재(330)가 슬롯부재(344)에서 승강시, 유동되는 것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안내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직진유도부(350)는 랙기어(343)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피니언기어(342)가 랙기어(343)를 수평으로 미는 힘을 직진유도부(350)가 180도 반대측에서 서포트하여 힘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연장부재(330)가 안정적으로 승강하는 것을 도와준다.
슬롯부재(344)는 나사결합방식, 압입끼움방식 또는 후크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베이스(310)에 설치될 수 있다.
슬롯부재(344)는 결속부(360)에 의해 베이스(310)에 설치될 수 있다.
결속부(360)는 베이스(310)에 형성되는 결속나사홈부(361)와, 결속나사홈부(361)에 체결되도록 슬롯부재(344)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결속나사산부(362)를 포함한다.
제품(2)이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의 상측에 안치될 때, 변위센서(10) 중 3개는 삼각형으로 배치되어 영점조정용으로 사용되고, 변위센서(10)의 나머지는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와 비교를 위한 치수 측정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영점조정용으로 사용되는 3개의 변위센서(10) 역시 치수 측정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제품(2)의 측정기준점을 잡는 방법은 제품(2)을 이동부(100)의 로봇암(120)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에서 측정기준점을 잡는 제1방법과, 제품(2)을 3개소의 변위센서(10)를 정해 영점조정용으로 안착 지지함으로써,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에서 측정기준점을 잡는 제2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한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제품(2)의 측정기준점을 잡을 수도 있다.
비교판단부(380)는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에서 측정된 측정치수와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를 서로 비교하여 제품(2)에서 스프링백이 발생된 위치의 보정치수를 도출하는 구성이다.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는 비교판단부(380)를 구성할 때, 미리 입력시키도록 한다. 비교판단부(380)는 컴퓨터의 모니터를 통해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비교판단부(380)는 다수개의 변위센서(10)에서 측정된 측정치수가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와 오차범위 내에서 모두 일치하는 경우, 제품(2)에서 스프링백이 없음을 판정한다.
또한, 변위센서(10)에서 측정된 측정치수가 제품(2)의 설계 데이터치수와 오차범위 내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보정치수가 도출되는 경우, 스프링백 개선장치(400)를 통해 개선작업이 수행되어야 함을 판정하도록 한다.
제품(2)에서 스프링백이 없음을 판정하는 경우, 이동부(100)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제품(2)을 이동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제품(2)에서 스프링백이 있음을 판정하는 경우, 이동부(100)를 이용하거나 수작업으로 제품(2)을 스프링백 개선장치(400)의 상측으로 이송시켜 비교판단부(38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바탕으로 스프링백 개선작업을 진행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프링백 개선장치(400)를 살펴 보도록 한다.
스프링백 개선장치(400)는 비교판단부(380)에서 스프링백이 확인된 경우, 제품(2)을 이동시켜 고정하고, 비교판단부(380)의 보정치수를 통해 제품(2)에서 각 해당위치의 스프링백을 개선시키는 구성이다.
스프링백 개선장치(400)는, 제품(2)을 고정하는 고정전자석부(410)와, 고정전자석부(410)에 장착된 제품(2)의 스프링백을 보정하기 위해 스프링백 검사장치(300)에서 측정되어 비교판단부(380)에서 도출된 스프링백 보정치수를 이용하여 제품(2)의 해당위치의 스프링백을 전자기력을 통해 보정하는 보정전자석부(420)를 포함한다.
고정전자석부(410)는, 바닥에 지지되는 프레임부재(411)와, 프레임부재(41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품(2)을 받쳐주는 받침부재(412)와, 프레임부재(411)를 통해 받침부재(412)에 내장 설치되어 전자기력을 발생하는 고정자기력발생부(413)를 포함한다.
고정전자석부(410)는 제품(2)을 지지하면서 전자기력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스프링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정전자석부(420)는 제품(2)에서 스프링백이 존재하는 해당위치로 이동하여 스프링백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때, 보정전자석부(420)에서 인력을 강하게 가하면 제품(2)의 해당위치를 보정전자석부(420) 측으로 당겨주게 되면서 스프링백이 제거되고, 보정전자석부(420)에서 척력을 강하게 가하면 제품(2)의 해당위치를 보정전자석부(420)의 반대측으로 밀어주게 되면서 스프링백이 제거되는 것이다.
보정전자석부(420)는, 수작업을 위해 그립되거나 작업로봇(430)의 작업로봇암(431)에 연결되는 바디부재(440)와, 바디부재(44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제품(2)에 접근하고, 바디부재(440)에 비해 넓은 면적을 갖는 작업부재(450)와, 바디부재(440)를 통해 작업부재(450)에 설치되어 제품(2)의 스프링백을 보정하는 보정자기력발생부(460)를 포함한다.
바디부재(440)는 작업로봇암(431)에 내장된 장착전자석부재(432)에 의해 작업로봇암(431)에서 분리 및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디부재(440)는 착탈부(470)에 의해 장착전자석부재(432)와 함께 추가 고정된다.
착탈부(470)는, 작업로봇암(431) 또는 작업부재(450)에 구비되는 걸이부재(471)와, 걸이부재(471)에 걸려지는 걸쇠부재(472)와, 작업로봇암(431) 또는 작업부재(459)에 구비되고, 장착부재(474)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걸쇠부재(472)를 당겨주어 걸이부재(471)에 구속시키는 구속레버부재(473)을 포함한다.
걸이부재(471)는 작업로봇암(431) 또는 작업부재(450)의 측면에 용접 또는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와, 설치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U자 형상르로 구부려져 절쇠부재(472)을 걸어주는 굴곡부재를 포함한다.
장착부재(474)는 작업로봇암(431) 또는 작업부재(450)의 양측면에 나사결합 또는 용접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걸쇠부재(472)가 삽입되어 걸려지므로 걸쇠부재(47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부(475)가 더 구비된다.
걸쇠부재(472)는 구속레버부재(473)의 양측면에서 더 돌출되므로 이탈방지홈부(475)에 삽입될 수 있다.
구속레버부재(473)는 장착부재(474)에서 힌지 회동하는 구성으로서, 구속레버부재(473)가 젖혀지면 걸쇠부재(472)가 힌지방향으로 이동하여 걸이부재(471)에서 분리되고, 구속레버부재(473)가 눌려지면 걸쇠부재(472)가 힌지 반대방향으로 당겨져서 걸이부재(471)에 구속되는 것이다.
바디부재(440)의 외주면을 다각형으로 구성하여 작업로봇암(431)의 단부에 함몰된 다각형의 회전방지홈부(480)에 삽입되어 회전 방지된다.
회전방지홈부(480)는 사각형으로 도시하지만,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바디부재(440)의 회전이 방지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제품 10 : 변위센서
100 : 이동부 110 : 이송로봇
120 : 로봇암 130 : 이송용전자석
300 : 스프링백 검사장치 310 : 베이스
311 : 수용공간부 312 : 커버판
320 : 설치부재 330 : 연장부재
331 : 함몰홈부 340 : 승강구동부
341 : 구동모터 342 : 피니언기어
343 : 랙기어 344 : 슬롯부재
350 : 직진유도부 351 : 직진홈부
352 : 직진돌부 360 : 결속부
361 : 결속나사홈부 362 : 결속나사돌부
400 : 스프링백 개선장치 410 : 고정전자석부
411 : 프레임부재 412 : 받침부재
413 : 고정자기력발생부 420 : 보정전자석부
430 : 작업로봇 431 : 작업로봇암
432 : 장착전자석부재 440 : 바디부재
450 : 작업부재 460 : 보정자기력발생부
470 : 착탈부 471 : 걸이부재
472 : 걸쇠부재 473 : 구속레버부재
480 : 회전방지홈부

Claims (6)

  1. 성형된 제품의 스프링백을 검사하여 개선하기 위한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에서 스프링백 검사장치와, 비교판단부와, 스프링백 개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백 검사장치는,
    베이스;
    상기 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를 승강하여 상기 변위센서를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맞물린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장부재를 승강하는 랙기어; 및
    상기 연장부재가 내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슬롯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랙기어는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홈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재는 직진유도부에 의해 상기 슬롯부재에서 안정적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고,
    상기 직진유도부는,
    상기 연장부재의 외주면 또는 상기 슬롯부재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되는 직진홈부; 및
    상기 직진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슬롯부재의 내주면 또는 연장부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직진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유도부는 상기 랙기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부재는 나사결합방식, 압입끼움방식 또는 후크결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KR1020190072623A 2019-06-19 2019-06-19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KR102251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23A KR102251568B1 (ko) 2019-06-19 2019-06-19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623A KR102251568B1 (ko) 2019-06-19 2019-06-19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69A true KR20200144669A (ko) 2020-12-30
KR102251568B1 KR102251568B1 (ko) 2021-05-13

Family

ID=7408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623A KR102251568B1 (ko) 2019-06-19 2019-06-19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5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990U (ko) * 1996-12-13 1998-09-15 김종진 다이얼게이지 검사용 장치
KR19990002703A (ko) * 1997-06-21 1999-01-15 에로 메이키넨 페카 라이토 알루미늄 측면판(Profile)의 절곡장치 및 절곡방법
KR19990012179A (ko) * 1997-07-28 1999-02-25 이우복 패널 측정용 고정장치
KR20020095398A (ko) * 2001-06-14 2002-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측정용 홀딩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990U (ko) * 1996-12-13 1998-09-15 김종진 다이얼게이지 검사용 장치
KR19990002703A (ko) * 1997-06-21 1999-01-15 에로 메이키넨 페카 라이토 알루미늄 측면판(Profile)의 절곡장치 및 절곡방법
KR19990012179A (ko) * 1997-07-28 1999-02-25 이우복 패널 측정용 고정장치
KR20020095398A (ko) * 2001-06-14 2002-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패널 측정용 홀딩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568B1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23681B (zh) 一种模具板料定位感应器装置
KR101655586B1 (ko) 검사 그리퍼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US11065763B2 (en) Clamp installation apparatus, clamp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a clamp
KR102194892B1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개선장치
KR102251567B1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KR20200128736A (ko) 타이어 시험기
EP2715302B1 (en) Balancing machine for balancing vehicle wheels
KR102251566B1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
TWI470200B (zh) 輪胎檢測裝置
CN210140039U (zh) 对接站和贴标签机
KR102251568B1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JP5796104B1 (ja) 電子部品測定用の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
KR100961507B1 (ko) 벤딩물의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101482267B1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CN108871775B (zh) 一种轴承滚子塑性变形实验装置及其使用方法
US20110314925A1 (en) Deflection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KR20230155079A (ko) 차체 용접용 3면 턴 지그의 정교정 장치
KR101886257B1 (ko) 표면 프로파일 측정 장치를 이용한 표면 프로파일 측정 방법
KR101238392B1 (ko) 차량용 테이퍼 리프스프링의 두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6455349B2 (ja) 材料試験機
CN203587278U (zh) 一种扭矩扳手检定仪
KR101463162B1 (ko) 차량 슬라이딩도어용 와이어링의 내구성 검출장치
JP4224015B2 (ja) 線状材の自動曲げ加工装置及び自動曲げ加工システム
KR102404980B1 (ko) 안정적인 제품안착구조를 포함하는 제품측정장치
JP6281478B2 (ja) タイヤ圧縮試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