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787A -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787A
KR20200143787A KR1020190071262A KR20190071262A KR20200143787A KR 20200143787 A KR20200143787 A KR 20200143787A KR 1020190071262 A KR1020190071262 A KR 1020190071262A KR 20190071262 A KR20190071262 A KR 20190071262A KR 20200143787 A KR20200143787 A KR 20200143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expansion valve
gas
compressor
liquid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0129B1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60H1/00921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where the flow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does not change and there is an extra subcondenser, e.g. in an air 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7Control means therefor for minimizing the humidity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13Control means therefor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in a vehicle heat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2001/00949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heating/cooling sources, e.g. second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 수랭식 응축기, 제1팽창밸브, 기액분리기, 제2팽창밸브, 실외기, 제3팽창밸브, 증발기, 제4팽창밸브 및 폐열회수기를 포함하며, 제1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토출된 중압의 냉매를 기액분리기에서 기상 및 액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중압 및 기상 냉매를 압축기로 전달하며,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팽창밸브 또는 제3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압축기로 전달하고, 제4팽창밸브에서 팽창된 후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압축기로 전달하여,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는 압축기의 냉매 입구와 고압으로 토출되는 압축기의 냉매 출구 사이인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으로 기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중압의 기상 냉매를 추가로 주입시켜주는 가스 인젝션을 이용해 냉방 성능 및 난방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 시스템 {Air cond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냉방과 난방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냉방 성능 및 난방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분야에서 환경 친화적 기술의 구현 및 에너지 고갈 등의 문제 해결책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것이 전기 자동차이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또는 연료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를 이용해 주행하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적고 소음이 작다. 또한, 전기 자동차는 기존의 엔진보다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및 구동 모터의 작동 시 많은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열관리가 중요하다. 그리고 배터리를 재충전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효율적인 배터리 사용 시간의 관리가 중요하다. 특히, 전기 자동차는 실내의 냉난방을 위해 구동되는 냉매 압축기도 전기로 구동되는바 더욱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전기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은 실내의 냉방 시 배터리의 냉각이 필요한 경우 칠러를 이용해 배터리 및 전장부품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하는데, 칠러와 증발기가 병렬로 연결되므로 증발기 측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이 감소하고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전체 유량이 증가되어 냉매의 증발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냉방 성능이 악화된다. 또한, 실내의 난방 시 실외기와 폐열 회수용 칠러가 실외기와 직렬로 연결되므로 폐열 회수 시 흡열량 증대로 인해 저압측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외기의 온도와 실외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차가 줄어들어 흡열량이 감소되며, 폐열 회수 흡열량이 특정한 수준 이상이 되면 외기의 온도보다 실외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온도가 높아져 오히려 방열이 일어나 난방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637755 B1 (2016.07.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냉방과 난방을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가스 인젝션을 이용해 압축기로 기상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성능 및 난방 성능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는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저압 및 중압의 냉매가 유입되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토출하는 압축기(100); 상기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고압의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는 수랭식 응축기(200);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를 중압으로 팽창시키는 제1팽창밸브(410); 상기 제1팽창밸브(410)에서 토출된 중압의 냉매를 기상 및 액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중압 및 기상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기액분리기(500);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에서 토출된 중압 및 액상의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밸브(420); 상기 제2팽창밸브(42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흡열시키고, 상기 제2팽창밸브(42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실외기(300); 상기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에서 토출된 중압 및 액상의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제3팽창밸브(430); 상기 제3팽창밸브(43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흡열시켜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고, 상기 제3팽창밸브(43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증발기(600); 상기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에서 토출된 중압 및 액상의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제4팽창밸브(440); 및 상기 제4팽창밸브(44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흡열시켜 차량의 전장부품을 냉각 또는 폐열을 회수하고, 상기 제4팽창밸브(44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폐열회수기(800);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의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출구측에 양단이 연결되며, 양단 사이가 상기 제1팽창밸브(410)의 입구측에 연결된 제1연결라인(L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일단은 제1방향전환밸브(210)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의 출구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타단은 제2방향전환밸브(310)로 상기 실외기(300)의 출구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방향전환밸브(3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기(300)를 거친 후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하도록 연결되거나,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거친 후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를 통과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양단 사이는 제2조인트(320)로 상기 제1팽창밸브(410)의 입구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팽창밸브(410)의 출구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팽창밸브(410)와 압축기(100)의 사이에 기액분리기(500)가 설치된 가스 인젝션 라인(L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인젝션 라인(L3)은, 상기 기액분리기(500)와 압축기(100)의 사이에 설치된 셧오프 밸브(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입구측에 양단이 연결되며, 양단 사이가 상기 증발기(600)의 입구측 및 폐열회수기(800)의 입구측에 연결된 제2연결라인(L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라인(L2)의 일단은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라인(L2)의 타단은 제1조인트(220)로 상기 실외기(300)의 입구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라인(L2)이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1조인트(220)의 사이에 제2팽창밸브(4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600)와 폐열회수기(800)는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라인(L2)은 제3조인트(510)로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와 연결되며, 냉매가 상기 제3조인트(510)를 통과한 후 분기되는 제4조인트(540)와 증발기(600)의 입구측 사이에 제3팽창밸브(430)가 설치되며 제4조인트(540)와 폐열회수기(800)의 입구측 사이에 제4팽창밸브(4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실외기(300)의 출구측, 증발기(600)의 출구측 및 폐열회수기(800)의 출구측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타단이 실외기(300)의 출구측과 연결된 제7조인트(311), 상기 제7조인트(311)에서 분기된 제1연결라인(L1) 상에 설치된 체크밸브(312), 및 상기 제7조인트(311)에서 분기된 나머지 냉매 라인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3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는 라디에이터(910) 및 히터코어(9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다.
또한, 냉방 모드 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300)를 거친 후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하여 액상 냉매만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액상 냉매는 분기된 일부의 냉매가 제3팽창밸브(43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증발기(60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가 제4팽창밸브(440)를 거치며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난방 모드 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거친 후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액상 냉매는 분기된 일부의 냉매가 제2팽창밸브(42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실외기(30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가 제4팽창밸브(440)를 거치며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습 모드 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거친 후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액상 냉매는 분기된 일부의 냉매가 제2팽창밸브(42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실외기(300)로 유입되고, 분기된 다른 일부의 냉매가 제3팽창밸브(43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증발기(60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가 제4팽창밸브(440)를 거치며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은, 실내의 냉방 시 가스 인젝션을 이용해 압축기로 기상 냉매를 공급하여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의 유량이 줄어들어 압축기의 흡입 압력이 감소되므로 증발기 측에서의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의 난방 시 실외기측 냉매의 압력 상승이 최소화되어 실외기에서의 흡열량이 증가하며, 폐열 회수 흡열량이 증가하더라도 실외기 측에서 지속적인 흡열이 가능하여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난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제습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100), 수랭식 응축기(200), 실외기(300), 제1팽창밸브(410), 제2팽창밸브(420), 제3팽창밸브(430), 제4팽창밸브(440), 제1방향전환밸브(210), 제2방향전환밸브(310), 기액분리기(500), 증발기(600), 폐열회수기(800) 및 어큐뮬레이터(700)를 포함하며, 제1방향전환밸브(210)와 제2방향전환밸브(310)를 연결하는 제1연결라인(L1)이 형성되고,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과 제1연결라인(L1)을 연결하는 가스 인젝션 라인(L3)이 형성되며,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제2연결라인(L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600)와 폐열회수기(800)는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에 병렬로 연결된다.
우선, 압축기(100)는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전동 압축기일 수 있으며, 냉매를 흡입 및 압축하여 수랭식 응축기(200)쪽으로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압축기(100)는 입구측과 출구측 사이의 중간부분으로도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될 수 있는 구조의 가스 인젝션 압축기가 될 수 있다. 즉, 압축기(100)는 상대적으로 저압의 냉매가 입구측으로 유입되고, 압축기(100)를 통과하면서 냉매가 압축되어 출구측으로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토출되며, 저압의 냉매가 고압으로 압축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점차 증가되는데 저압측인 냉매 입구와 고압측인 냉매 출구의 사이에 중압을 형성하는 영역인 중간부분으로도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압축기(100)는 입구측으로 저압의 냉매가 유입되고 중간부분으로 중압의 냉매가 유입되며, 상대적으로 저압 및 중압의 냉매가 압축기(100)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상대적인 고압으로 냉매를 토출할 수 있다.
수랭식 응축기(200)는 차량의 실외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랭식 응축기(200)는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냉매를 순환되는 냉각수를 이용해 열교환시킨다. 여기에서 수랭식 응축기(200)는 차량의 전장부품 등의 냉각을 위한 라디에이터(910)에 연결되어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하는 냉매가 냉각수에 의해 응축되거나, 차량의 실내에 배치되어 차량의 난방에 이용되는 히터코어에 연결되어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하는 냉매가 냉각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실외기(300)는 차량의 실외에 구비될 수 있으며, 실외기(300)는 통과되는 냉매를 외부 공기 등과 열교환시켜 냉매를 응축시키거나 외부의 열을 흡열하여 냉매를 가열시키는 공랭식 응축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실외기(300)는 입구측이 수랭식 응축기(200)의 출구측과 연결되며, 실외기(300)의 출구측은 어큐뮬레이터(700)에 연결된다.
제1팽창밸브(410), 제2팽창밸브(420), 제3팽창밸브(430) 및 제4팽창밸브(440)는 통과되는 냉매를 교축하여 팽창시키거나 냉매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각각 3개의 냉매 라인이 만나도록 연결되며,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3개의 냉매 라인들이 서로 연결되거나 차단된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3방향의 방향전환밸브가 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500)는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로 분리하여 토출할 수 있으며, 분리된 액상 냉매를 실외기(300),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보내고 기상 냉매는 직접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증발기(600)는 차량의 실내에 배치된 공조장치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증발기(600)는 유입되는 냉매를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시켜 실내를 냉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증발기(600)의 출구측은 어큐뮬레이터(700)에 연결될 수 있다.
폐열회수기(800)는 난방 모드에서만 배터리, 구동모터, 인버터 등의 전장부품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회수하고, 냉방 모드에서는 전장부품을 냉각시키는 수단이다. 일례로 폐열회수기(800)는 배터리 칠러일 수 있고, 폐열회수기(800)에서는 냉매와 냉각수가 서로 열교환될 수 있으며, 열교환된 냉각수를 이용해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거나 폐열을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어큐뮬레이터(700)는 일측이 실외기(300)의 출구측, 증발기(600)의 출구측 및 폐열회수기(800)의 출구측에 연결되고, 어큐뮬레이터(700)의 타측이 압축기(10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어큐뮬레이터(700)는 유입되는 냉매를 저장하였다가 압축기(100)의 입구측으로 기상 냉매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제1방향전환밸브(210)는 수랭식 응축기(200)의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입구측을 연결하는 냉매 라인 상에 설치되고,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실외기(300)의 출구측과 어큐뮬레이터(700)를 연결하는 냉매 라인 상에 설치되며, 제1방향전환밸브(210)와 제2방향전환밸브(310)가 제1연결라인(L1)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연결라인(L1)과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이 가스 인젝션 라인(L3)으로 연결된다. 이때, 가스 인젝션 라인(L3) 상에 제1팽창밸브(410), 기액분리기(500) 및 셧오프 밸브(520)가 설치되며,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제1팽창밸브(410), 기액분리기(500) 및 셧오프 밸브(520)가 차례대로 배치된다. 또한, 제1연결라인(L1)과 가스 인젝션 라인(L3)은 제2조인트(320)로 연결되며, 제2조인트(320)에서 3개의 냉매 라인이 만나 모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입구측에 연결된 냉매 라인이 제2연결라인(L2)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연결라인(L2)과 실외기(300)의 입구측은 제1조인트(220)로 연결되며, 제1조인트(220)에서 3개의 냉매 라인이 만나 모두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연결라인(L2)에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제3조인트(510)와 제2팽창밸브(420)가 차례로 설치되며, 제3조인트(510)는 증발기(600)의 입구측 및 폐열회수기(800)의 입구측과 냉매 라인으로 연결된다.
또한, 증발기(600)와 폐열회수기(800)는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에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4조인트(540)에서 증발기(600)쪽으로 분기된 냉매 라인 상에는 증발기(600)의 입구측에 근접하여 제3팽창밸브(430)가 설치되며, 제4조인트(540)에서 폐열회수기(800)쪽으로 분기된 냉매 라인 상에는 폐열회수기(800)의 입구측에 근접하여 제4팽창밸브(44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방향전환밸브(310)의 작동에 따라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기(300)를 거친 후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차례대로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며, 기액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냉매가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방향전환밸브(310)의 작동에 따라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차례대로 통과한 다음 기액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조장치는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공조장치의 내부에는 온도조절도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공조장치 내에 배치된 증발기 및 히터코어는 온도조절도어의 작동에 따라 송풍기에서 토출된 공기가 증발기만을 거친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증발기를 거친 후 히터코어를 통과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치 및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제2방향전환밸브(310)만 다르고 나머지는 동일한 구성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제7조인트(311), 체크밸브(312) 및 개폐밸브(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7조인트(311)는 냉매의 유동방향으로 실외기(300)의 출구측 바로 후방에 설치되어 세 개의 냉매 라인이 만나는 지점이며, 세 방향으로 모두 냉매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체크밸브(312)는 제7조인트(311)에서 상측으로 분기된 제1연결라인(L1)상에 설치되어, 체크밸브(312)에 의해 제7조인트(311)에서 제2조인트(320)쪽으로는 냉매가 흐를 수 있으나, 그 반대 방향으로는 냉매가 흐르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7조인트(311)에서 우측으로 분기된 냉매 라인 상에는 냉매의 흐름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313)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7조인트(311), 체크밸브(312) 및 개폐밸브(313)가 제2방향전환밸브(310)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의 작동 모드에 따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1. 냉방 모드 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냉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축기(100)가 작동하여 압축기(100)에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토출된다. 그리고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한다. 이때, 수랭식 응축기(200)는 라디에이터(910)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며, 냉각수에 의해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하는 냉매가 응축된다. 이후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한 냉매는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1조인트(220)를 차례대로 통과한 후 실외기(300)로 유입된다. 이때, 제1방향전환밸브(210)는 상측과 하측이 연통되고 우측은 막혀있도록 작동되어, 제1방향전환밸브(210)의 우측과 제2조인트(320)의 사이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제2팽창밸브(420)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제1조인트(220)의 상측과 제3조인트(510)의 하측 사이에도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실외기(30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 등에 의해 냉각되어 응축되며, 응축된 냉매는 제2방향전환밸브(310) 및 제2조인트(320)를 차례대로 거친 후 제1팽창밸브(410)로 유입된다. 이때,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좌측과 상측이 연통되고 우측은 막혀있는 상태가 되어, 제2방향전환밸브(310)의 우측과 제5조인트(550)의 우측 사이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제1팽창밸브(410)로 유입된 제1팽창밸브(410)에서 교축에 의해 중압으로 팽창된 후 기액분리기(500)로 유입되며, 기액분리기(500)에서는 중압의 냉매를 액상 및 기상으로 분리하며, 분리된 후 중압의 기상 냉매는 개방된 상태의 셧오프 밸브(520)를 통과하여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기액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냉매는 제3조인트(510) 및 제4조인트(540)를 차례대로 거쳐 제4조인트(540)에서 두 개의 냉매 라인으로 분기되어 제3팽창밸브(430) 및 제4팽창밸브(440)로 유입된다.
제3팽창밸브(430)로 유입된 중압의 액상 냉매는 제3팽창밸브(430)에서 교축에 의해 팽창된 후 증발기(600)로 유입되며,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600)를 거치면서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매가 증발되면서 공기가 냉각되어, 냉각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4팽창밸브(440)로 유입된 중압의 액상 냉매는 제4팽창밸브(440)에서 교축에 의해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팽창된 냉매는 폐열회수기(800)를 거치면서 배터리를 냉각시면서 증발될 수 있다.
그리고 증발기(600)에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와 폐열회수기(800)에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는 제6조인트(560)에서 합류된 후 어큐뮬레이터(700)를 거쳐 압축기(100)의 입구측으로 유입된다. 그리하여 압축기(100)에서는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저압의 기상 냉매와 중간부분으로 유입되는 중압의 기상 냉매를 압축하여 다시 출구측으로 고압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매가 순환되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은 실내의 냉방 시 가스 인젝션을 이용해 압축기로 기상 냉매를 공급하여 압축기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기상 냉매의 유량이 줄어들어 압축기의 흡입 압력이 감소되므로 증발기 측에서의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난방 모드 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난방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축기(100)가 작동하여 압축기(100)에서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토출된다. 그리고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한다. 이때, 수랭식 응축기(200)는 히터코어(920)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며, 냉각수에 의해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하는 냉매가 가열된다. 그리고 히터코어(920)는 차량의 실내에 구비된 공조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고,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코어(9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공기가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진다.
이후 수랭식 응축기(200)를 통과한 냉매는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조인트(320)를 차례대로 통과한 후 제1팽창밸브(410)로 유입된다. 이때, 제1방향전환밸브(210)는 상측과 우측이 연통되고 하측은 막혀있도록 작동되어, 제1방향전환밸브(210)의 하측과 제1조인트(220)의 사이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제1팽창밸브(410)로 유입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410)에서 교축에 의해 중압으로 팽창된 후 기액분리기(500)로 유입되며, 기액분리기(500)에서는 중압의 냉매를 액상 및 기상으로 분리하며, 분리된 중압의 기상 냉매는 개방된 상태의 셧오프 밸브(520)를 통과하여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기액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중압의 액상 냉매는 제3조인트(510)를 거쳐 분기된 일부의 냉매는 제2팽창밸브(42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는 제4팽창밸브(440)로 유입된다. 이때, 제3팽창밸브(430)는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증발기(600)로는 냉매가 통과되지 않는다. 즉, 증발기(600)와 연결되는 제4조인트(540)와 제6조인트(560) 사이의 냉매 라인에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제2팽창밸브(420)로 유입된 중압의 액상 냉매는 제2팽창밸브(420)에서 교축에 의해 저압으로 팽창된 후 제1조인트(220)를 거친 다음 실외기(300)로 유입되며, 실외기(300)로 유입된 냉매는 외부의 공기 등과 열교환되어 외부의 열을 흡열하여 증발된다. 또한, 제4팽창밸브(440)로 유입된 액상 냉매는 제4팽창밸브(440)에서 교축에 의해 저압으로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된 냉매는 전장부품이나 배터리의 폐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그리고 실외기(300)에서 증발된 냉매와 폐열회수기(800)에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는 제5조인트(550)에서 합류되며 제6조인트(560) 및 어큐뮬레이터(700)를 차례대로 거친 후 압축기(100)의 입구측으로 유입된다.
그리하여 압축기(100)에서는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저압의 기상 냉매와 중간부분으로 유입되는 중압의 기상 냉매를 압축하여 다시 출구측으로 고압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매가 순환되어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공조 시스템은 실내의 난방 시 실외기측 냉매의 압력 상승이 최소화되어 실외기에서의 흡열량이 증가하며, 폐열 회수 흡열량이 증가하더라도 실외기 측에서 지속적인 흡열이 가능하여 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제습 모드 시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제습 모드 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습 모드에서는 난방 모드에서 추가로 제3팽창밸브(430)가 열려있는 상태가 되어, 제4조인트(540)에서부터 제3팽창밸브(430), 증발기(600) 및 제6조인트(560)를 연결하는 냉매 라인 상에 냉매가 흐르게 된다. 즉, 제4조인트(540)에서 중압의 액상 냉매가 분기되어 분기된 일부의 냉매는 증발기(600)로 유입되고 분기된 나머지 냉매는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실외기(300)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와 증발기(600)를 통과하면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와 폐열회수기(800)에서 증발된 저압의 기상 냉매가 어큐뮬레이터(700)를 거친 후 압축기(100)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며, 압축기(100)에서는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저압의 기상 냉매와 중간부분으로 유입되는 중압의 기상 냉매를 압축하여 다시 출구측으로 고압의 냉매를 토출하게 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매가 순환된다.
그리하여 공조장치의 송풍기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증발기(60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후 히터코어(9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제습 및 가열된 공기가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어 실내 공기의 제습 및 난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압축기
200 : 수랭식 응축기 210 : 제1방향전환밸브
220 : 제1조인트
300 : 실외기 310 : 제2방향전환밸브
311 : 제7조인트 312 : 체크밸브
313 : 개폐밸브 320 : 제2조인트
410 : 제1팽창밸브 420 : 제2팽창밸브
430 : 제3팽창밸브 440 : 제4팽창밸브
500 : 기액분리기 510 : 제3조인트
520 : 셧오프 밸브 540 : 제4조인트
550 : 제5조인트 560 : 제6조인트
600 : 증발기
700 : 어큐뮬레이터
800 : 폐열회수기
910 : 라디에이터 920 : 히터코어

Claims (20)

  1. 상대적으로 저압 및 중압의 냉매가 유입되며, 유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상대적으로 고압으로 토출하는 압축기(100);
    상기 압축기(100)에서 토출된 고압의 냉매를 냉각수와 열교환시키는 수랭식 응축기(200);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를 중압으로 팽창시키는 제1팽창밸브(410);
    상기 제1팽창밸브(410)에서 토출된 중압의 냉매를 기상 및 액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중압 및 기상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기액분리기(500);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에서 토출된 중압 및 액상의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밸브(420);
    상기 제2팽창밸브(42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흡열시키고, 상기 제2팽창밸브(42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실외기(300);
    상기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에서 토출된 중압 및 액상의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제3팽창밸브(430);
    상기 제3팽창밸브(43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흡열시켜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고, 상기 제3팽창밸브(43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증발기(600);
    상기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기액분리기(500)에서 토출된 중압 및 액상의 냉매를 저압으로 팽창시키는 제4팽창밸브(440); 및
    상기 제4팽창밸브(44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흡열시켜 차량의 전장부품을 냉각 또는 폐열을 회수하고, 상기 제4팽창밸브(440)에서 토출된 저압의 냉매를 상기 압축기(100)로 전달하는 폐열회수기(800);
    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의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출구측에 양단이 연결되며, 양단 사이가 상기 제1팽창밸브(410)의 입구측에 연결된 제1연결라인(L1)을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일단은 제1방향전환밸브(210)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의 출구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타단은 제2방향전환밸브(310)로 상기 실외기(300)의 출구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전환밸브(210) 및 제2방향전환밸브(3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기(300)를 거친 후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하도록 연결되거나,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거친 후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를 통과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양단 사이는 제2조인트(320)로 상기 제1팽창밸브(410)의 입구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1팽창밸브(410)의 출구측에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팽창밸브(410)와 압축기(100)의 사이에 기액분리기(500)가 설치된 가스 인젝션 라인(L3)을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인젝션 라인(L3)은,
    상기 기액분리기(500)와 압축기(100)의 사이에 설치된 셧오프 밸브(520)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과 실외기(300)의 입구측에 양단이 연결되며, 양단 사이가 상기 증발기(600)의 입구측 및 폐열회수기(800)의 입구측에 연결된 제2연결라인(L2)을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L2)의 일단은 상기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라인(L2)의 타단은 제1조인트(220)로 상기 실외기(300)의 입구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라인(L2)이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와 연결되는 지점과 상기 제1조인트(220)의 사이에 제2팽창밸브(4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600)와 폐열회수기(800)는 기액분리기(500)의 액상 냉매 출구측에 병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라인(L2)은 제3조인트(510)로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와 연결되며, 냉매가 상기 제3조인트(510)를 통과한 후 분기되는 제4조인트(540)와 증발기(600)의 입구측 사이에 제3팽창밸브(430)가 설치되며 제4조인트(540)와 폐열회수기(800)의 입구측 사이에 제4팽창밸브(4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실외기(300)의 출구측, 증발기(600)의 출구측 및 폐열회수기(800)의 출구측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압축기(100)의 입구측에 연결된 어큐뮬레이터(700)를 더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전환밸브(310)는,
    상기 제1연결라인(L1)의 타단이 실외기(300)의 출구측과 연결된 제7조인트(311), 상기 제7조인트(311)에서 분기된 제1연결라인(L1) 상에 설치된 체크밸브(312), 및 상기 제7조인트(311)에서 분기된 나머지 냉매 라인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313)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는 라디에이터(910) 및 히터코어(9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냉방 모드 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300)를 거친 후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하여 액상 냉매만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액상 냉매는 분기된 일부의 냉매가 제3팽창밸브(43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증발기(60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가 제4팽창밸브(440)를 거치며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난방 모드 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거친 후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액상 냉매는 분기된 일부의 냉매가 제2팽창밸브(42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실외기(30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가 제4팽창밸브(440)를 거치며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제습 모드 시,
    상기 수랭식 응축기(200)에서 토출된 냉매는 제1팽창밸브(410) 및 기액분리기(500)를 거친 후 액상 냉매만 실외기(300), 증발기(600) 및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며,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기상 냉매는 상기 압축기(100)의 냉매 입구와 냉매 출구 사이의 상대적으로 중압이 형성되는 영역인 압축기(100)의 중간부분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기(500)를 통과한 액상 냉매는 분기된 일부의 냉매가 제2팽창밸브(42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실외기(300)로 유입되고, 분기된 다른 일부의 냉매가 제3팽창밸브(430)를 거치며 팽창된 후 증발기(600)로 유입되며, 분기된 나머지 냉매가 제4팽창밸브(440)를 거치며 팽창된 후 폐열회수기(80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KR1020190071262A 2019-06-17 2019-06-17 공조 시스템 KR102630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62A KR102630129B1 (ko) 2019-06-17 2019-06-17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262A KR102630129B1 (ko) 2019-06-17 2019-06-17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787A true KR20200143787A (ko) 2020-12-28
KR102630129B1 KR102630129B1 (ko) 2024-01-29

Family

ID=7408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262A KR102630129B1 (ko) 2019-06-17 2019-06-17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7378A1 (zh) * 2022-10-25 2024-05-02 浙江凌昇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热管理集成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406A (ja) * 1998-02-05 1999-08-17 Nippon Soken Inc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KR20130101253A (ko) * 2012-03-05 2013-09-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637755B1 (ko) 2014-12-02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96359A (ko) * 2017-02-21 2018-08-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3406A (ja) * 1998-02-05 1999-08-17 Nippon Soken Inc ヒートポンプサイクル
KR20130101253A (ko) * 2012-03-05 2013-09-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637755B1 (ko) 2014-12-02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96359A (ko) * 2017-02-21 2018-08-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7378A1 (zh) * 2022-10-25 2024-05-02 浙江凌昇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热管理集成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129B1 (ko) 202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867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JP7326074B2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20210026705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0013396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20220097487A1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210021728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05359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24077B1 (ko) 차량용 배터리 히팅장치
KR20210000117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1949078B2 (en) Heat management system
KR20210104354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017119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102537052B1 (ko) 열관리 시스템
KR20210152794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52795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US11807066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KR20210003002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0791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20048170A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10123571A (ko) 차량용 열 관리 시스템
KR20210126361A (ko) 베이퍼 인젝션 히트펌프 시스템
KR102587577B1 (ko) 공조 시스템
KR20220040793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10136642A (ko)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