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633A -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633A
KR20200143633A KR1020190160601A KR20190160601A KR20200143633A KR 20200143633 A KR20200143633 A KR 20200143633A KR 1020190160601 A KR1020190160601 A KR 1020190160601A KR 20190160601 A KR20190160601 A KR 20190160601A KR 20200143633 A KR20200143633 A KR 20200143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odule
communication
distribu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8592B1 (ko
Inventor
김성권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6973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5525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to KR1020190160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5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633A/ko
Priority to KR1020210193728A priority patent/KR20220002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는, 분배기 바디 및 상기 분배기 바디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배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다른 개수로 구비되는 커넥팅모듈을 포함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의 폭은 기 설정된 규격의 케이블모듈에 구비된 제2체결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모듈의 제2체결부와 직결된다.

Description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Communication Cable Connecting Assembly}
본 발명은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 케이블모듈과 분배기의 커넥팅모듈 간의 규격을 일치시켜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통신용 케이블의 포설 소요시간 및 소요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통신 설비의 구축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새로운 세대의 통신망이 일정 기간마다 개발되고 있어, 이를 위한 새로운 통신 설비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상기 통신 설비라 함은 일반적으로 중계기, 통신케이블, 분배기 등을 포함하며, 작업자는 통신 설비가 구축되는 건축물 또는 토지 등에 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새로운 세대의 통신망이 일정 기간마다 개발되고 있어, 새로 개발되는 통신 설비와 기존의 통신 설비를 서로 혼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던 분배기(10)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이와 같은 분배기(10)에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모듈(20) 및 이들을 상호 호환시키기 위한 케이블 젠더(30)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통신 설비의 혼용으로 인해 분배기 몸체(12)에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14)의 연결부(15)와 케이블모듈(20)의 케이블(22) 끝단에 형성된 연결부(24) 간의 규격이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이들을 서로 체결시키기 위한 케이블 젠더(30)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상기 케이블 젠더(30)는 케이블모듈(20)의 연결부(24)와 호환되는 제1호환연결부(32) 및 커넥터(14)의 연결부(15)와 호환되는 제2호환연결부(34)를 양단에 구비한 형태를 가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연결 방식은 필수적으로 케이블 젠더(30)가 사용되기 때문에 설치 시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연결부 간의 접점이 늘어나게 되므로 통신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1275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통신용 케이블모듈과 분배기의 커넥팅모듈 간의 규격을 일치시켜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통신용 케이블의 포설 소요시간 및 소요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는, 분배기 바디 및 상기 분배기 바디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배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다른 개수로 구비되는 커넥팅모듈을 포함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의 폭은 기 설정된 규격의 케이블모듈에 구비된 제2체결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모듈의 제2체결부와 직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넥팅모듈에 체결되는 상기 제2체결부를 가지는 케이블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모듈은, 케이블 코어와, 상기 케이블 코어를 감싸는 외피를 포함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내측 커넥터 및 상기 내측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되는 상기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외측 커넥터, 일단이 상기 케이블 코어에 접촉되고, 타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커넥터 및 상기 외측 커넥터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케이블 코어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검침부 및 상기 검침부의 내부에 수용되며, 온도에 따라 색이 가변되는 변색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통신용 케이블모듈과 분배기의 커넥팅모듈 간의 규격을 일치시켜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통신용 케이블의 포설 소요시간 및 소요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젠더를 생략함으로 인해 접점이 최소화되므로, 통신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자재의 운반에 소요되는 노력 및 작업자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케이블모듈과 분배기 간을 서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커넥팅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과 커넥팅모듈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과 커넥팅모듈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케이블 커넥팅 어셉블리가 분배기에 연결되는 모습을 일예로 도시 및 설명하나, 분배기가 아닌 결합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커넥팅모듈(12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2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는 분배기 바디(110) 및 커넥팅모듈(120)을 포함하는 분배기(100)를 포함하며, 또한 케이블모듈(200)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모듈(120)은 상기 분배기 바디(110)에 매립되는 매립부(124)와, 상기 매립부(124)와 연결되어 상기 분배기 바디(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체결부(125)를 포함하는 몸체부(121)와, 후술할 케이블모듈(200)의 케이블 코어(214)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 코어(122)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바디(110)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다른 개수로 구비된다.
즉 상기 분배기(100)는 소정 개수로 구비되는 일측의 케이블모듈(20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와 다른 개수로 구비되는 타측의 케이블모듈(200) 측으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분배기 바디(110)의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팅모듈(120)은 상기 매립부(124)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오링(123) 및 제1체결부(125)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2오링(127)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 부품의 연결 지점에서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키는 한편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부(125)의 외주면에는 제1나사산(1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체결부(125) 외주면의 폭(W1), 즉 직경은 후술할 케이블모듈(20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모듈(200)은 케이블 코어(214) 및 상기 케이블 코어(214)를 감싸는 외피(212)를 포함하는 케이블(210)과, 상기 케이블(210)의 끝단을 감싸도록 고정되는 내측 커넥터(230)와, 상기 내측 커넥터(23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부(125)와 체결되는 제2체결부(242)가 형성되는 외측 커넥터(2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210) 끝단부 둘레에는 상기 내측 커넥터(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20)에는 상기 내측 커넥터(23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함몰홈(23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커넥터(2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케이블(210)의 외피(21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돌기(2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커넥터(240)의 제2체결부(242) 내주면에는, 전술한 제1체결부(125)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126)에 치합되는 제2나사산(2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체결부(242) 내주면의 폭(W2)은 상기 제1체결부(125) 외주면의 폭(W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측 커넥터(240)의 후단부에는 상기 케이블(210) 표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고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3오링(24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200)과 커넥팅모듈(100)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200)과 커넥팅모듈(100)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블모듈(200)의 상기 제2체결부(242) 내주면의 폭(W2)은 상기 커넥팅모듈(100)의 상기 제1체결부(125) 외주면의 폭(W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팅모듈(100)과 상기 케이블모듈(200)은 별도의 젠더 없이 제1나사산(126) 및 제2나사산(243)이 서로 치합된 형태로 직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용 케이블모듈(200)과 분배기(100)의 커넥팅모듈(120) 간의 규격을 일치시켜 직결되도록 함으로써, 통신용 케이블의 포설 소요시간 및 소요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별도의 젠더를 생략함으로 인해 접점이 최소화되므로 통신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특징을 복수 개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케이블모듈(200)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에 더하여, 일단이 상기 케이블 코어(214)에 접촉되고, 타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커넥터(230) 및 상기 외측 커넥터(240)를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검침부(2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검침부(2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코어(214)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전도시킬 수 있도록 우수한 열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침부(250)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침부(25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가변되는 변색안료가 소정량 수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검침부(250)는 내부의 변색안료의 색 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투명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케이블 코어(214)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검침부(250)를 통해 전도되는 동시에, 상기 검침부(250)의 내부에 수용된 변색안료의 색 변화를 상기 케이블모듈(20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설비의 관리자 등은 상기 검침부(250)가 상기 케이블모듈(200)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색 변화를 확인하여 현재 케이블 코어(214)가 정상적인 온도 범위 내에서 작동이 이루어지는지 또는 고열이 발생하는 이상 상태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검침부(250)는 상기 커넥팅모듈(120)에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 코어(122)까지 연결된 형태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색 변화를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색맹 또는 색약자를 위해, 검침키트(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검침키트(300)는 복수 개의 검침부(250)에 간격에 대응되는 검침돌기(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검침키트(300)를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검침돌기(310)를 상기 검침부(25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침돌기(310)는 외부의 온도판별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검침돌기(310)를 상기 검침부(250)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 코어(214)의 발열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검침부(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외측 커넥터(240)의 둘레를 감싸는 보호커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절연성이 높고 열 전도성이 낮은 재질, 예컨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 또는 수분, 화학물질 등으로부터 검침부(25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배기(100)에도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다른 추가적인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배기 바디(110)에는 제1접착홀(112)이 형성되며, 커넥팅모듈(120)에는 제2접착홀(1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접착홀(112)과 상기 제2접착홀(121)은 상기 커넥팅모듈(120)이 상기 분배기 바디(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내부에는 접착수지가 채워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접착홀(112)은 상기 제2접착홀(121)과 연결되는 제1연통부(112a) 및 상기 제1연통부와 직교하는 형태의 제1직교부(112b)를 포함하며, 상기 제2접착홀(121)은 상기 제1접착홀(112)과 연결되는 제2연통부(121a) 및 상기 제2연통부(121a)와 직교하는 형태의 제2직교부(121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접착홀(112) 및 상기 제2접착홀(121)은 각각 상기 분배기 바디(110) 및 상기 커넥팅모듈(120)의 경계 부분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T'자 형상을 이루며, 이와 같은 형태는 내부의 접착수지가 경화된 상태에서 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상기 분배기 바디(110) 및 상기 커넥팅모듈(120)의 결합이 이루어지기 전에 액체 형태의 접착수지를 제1접착홀(112) 및 제2접착홀(121)에 채워 넣은 뒤, 상기 분배기 바디(110) 및 상기 커넥팅모듈(120)을 서로 결합하여 그 경계면에 열을 가함으로써 접착수지가 경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기 분배기 바디(110) 및 상기 커넥팅모듈(120) 간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에 있어서, 케이블모듈(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케이블모듈(200)의 내측 커넥터(230)에 구비되는 가압돌기(232')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른 특징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돌기(232')는, 상기 내측 커넥터(230)의 전반적 재질과 다른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열에 의해 팽창하여 형태가 변화하는 열경화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케이블(210)과 내측 커넥터(230)를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내측 커넥터(230)를 상기 케이블(210)의 둘레에 끼운 후, 상기 내측 커넥터(230)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상기 가압돌기(232')를 팽창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가압돌기(232')는 상기 케이블(210)의 외피(212)를 강하게 가압하게 되며, 상기 가압돌기(232')가 경화된 이후에는 해당 형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케이블(210)과 내측 커넥터(23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블(210)의 외피(2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철이 반복되는 표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가압돌기(232')가 상기 외피(212)의 함몰된 영역에 삽입된 상태로 경화되도록 하여 상기 내측 커넥터(230)가 상기 케이블(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돌기(23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가열 시간의 조절에 따라 상기 내측 커넥터(230)가 상기 케이블(210) 간의 결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각각의 가압돌기(232')는 서로 높이가 다르므로, 서로 다른 강도로 상기 케이블(210)의 외피(212)를 가압하게 되며, 따라서 가열 시간을 다양하게 조절함에 따라 각 가압돌기(232')에 의한 가압력을 다양하게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분배기
110: 분배기 바디
120; 커넥팅모듈
124: 매립부
125: 제1체결부
200: 케이블모듈
210: 케이블
214: 케이블 코어
230: 내측 커넥터
240: 외측 커넥터

Claims (1)

  1. 분배기 바디; 및
    상기 분배기 바디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매립부와 연결되어 상기 분배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기 바디의 일측 및 타측에 서로 다른 개수로 구비되는 커넥팅모듈;
    을 포함하는 분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의 폭은 기 설정된 규격의 케이블모듈에 구비된 제2체결부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모듈의 제2체결부와 직결되는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KR1020190160601A 2019-06-13 2019-12-05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KR10237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601A KR102378592B1 (ko) 2019-06-13 2019-12-05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KR1020210193728A KR20220002856A (ko) 2019-12-05 2021-12-31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739A KR102055252B1 (ko) 2019-06-13 2019-06-13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결합기 어셈블리
KR1020190160601A KR102378592B1 (ko) 2019-06-13 2019-12-05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739A Division KR102055252B1 (ko) 2019-06-13 2019-06-13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결합기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728A Division KR20220002856A (ko) 2019-12-05 2021-12-31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633A true KR20200143633A (ko) 2020-12-24
KR102378592B1 KR102378592B1 (ko) 2022-03-25

Family

ID=80935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601A KR102378592B1 (ko) 2019-06-13 2019-12-05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5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2757A (ko) 1998-02-14 1998-04-30 정창동 가공통신케이블용 접속분배기
JP3124231U (ja) * 2006-05-31 2006-08-10 エムアンドエム株式会社 ケーブルテレビ用分配・分岐器
KR20140074020A (ko) * 2012-12-07 2014-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넥터와 이를 이용하는 튜너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4708C2 (de) * 1995-07-10 2000-01-05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Stromabnehmer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Schienenfahrzeu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2757A (ko) 1998-02-14 1998-04-30 정창동 가공통신케이블용 접속분배기
JP3124231U (ja) * 2006-05-31 2006-08-10 エムアンドエム株式会社 ケーブルテレビ用分配・分岐器
KR20140074020A (ko) * 2012-12-07 2014-06-1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넥터와 이를 이용하는 튜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592B1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2705B2 (en) Enclosure assembly for a connector, strain relief element and method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7492996B2 (en) Grounding device for armored cable
CN104350405B (zh) 通用远程无线电单元纤维光学线缆组件
US7284994B2 (en) Grounding lug for armored cable and method
JPS60182404A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デバイスと光フアイバの着脱自在結合装置
CN105518502A (zh) 鲁棒的光学压接连接器
RU2257652C2 (ru) Кабельный штекер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бельных соединений
WO2006054653A1 (ja) 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21298B1 (ko) 광섬유 고정수단이 개선된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CN103718075A (zh) 包括其内具有稳定光纤长度的连接器的光缆组件
KR20200143633A (ko)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KR20200143636A (ko) 케이블 연결용 커넥팅모듈
KR102055252B1 (ko)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결합기 어셈블리
KR102064884B1 (ko) 커넥터 일체형 분배기 및 결합기 커넥팅 모듈
US6855888B2 (en) Cable terminal
KR20220002856A (ko) 통신용 케이블 커넥팅 어셈블리
BR112020003318B1 (pt) Conector de fibra óptica, fibra óptica pré-fabricada, adaptador, e caixa de terminação de fibra
KR20110037342A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1440580B1 (ko) 필터링 기능이 있는 광커넥터
KR101132835B1 (ko) 광 커넥터
US6454466B1 (en) In situ mountable optical conductor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optical conductor connector in situ
KR200480789Y1 (ko) 리본 슬롯형 케이블 심선 분기구
KR20210047796A (ko) 케이블 꼬임 방지용 커넥팅 모듈
US11131812B2 (en) Fibre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