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550A - 회전 손전등 - Google Patents

회전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550A
KR20200143550A KR1020190069922A KR20190069922A KR20200143550A KR 20200143550 A KR20200143550 A KR 20200143550A KR 1020190069922 A KR1020190069922 A KR 1020190069922A KR 20190069922 A KR20190069922 A KR 20190069922A KR 20200143550 A KR20200143550 A KR 20200143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wer
terminal
unit
supp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207B1 (ko
Inventor
진희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니타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니타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니타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6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20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5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45Adjustable mounting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에서 헤드가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회전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단부에 경사지게 몸체경사면(110)이 형성되고, 몸체경사면(110)에 돌출부(12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몸체경사면(110)에 접촉되는 헤드경사면(210)이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헤드경사면(210)에 몸체(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헤드(200)와, 헤드(200)를 관통하면서 삽입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돌출부(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부(300)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돌출부(120)를 통해 헤드(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400)와, 헤드(20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재(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 손전등{Rotating flashlight}
본 발명은 몸체에서 헤드가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회전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손전등은 어두운 곳이나 야간에 필요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휴대하면서 빛을 비추기 위한 것으로, 등산, 낚시, 야간 이동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 손전등은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일자형(bar type)이나 'ㄱ'자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 손전등은 일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그 형태가 정해져 있어서 변경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그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8056호가 2011년10월28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몸체에서 헤드가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회전 손전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손전등은, 단부에 경사지게 몸체경사면(110)이 형성되고, 몸체경사면(110)에 돌출부(12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몸체경사면(110)에 접촉되는 헤드경사면(210)이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헤드경사면(210)에 몸체(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헤드(200)와, 헤드(200)를 관통하면서 삽입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돌출부(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부(300)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돌출부(120)를 통해 헤드(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400)와, 헤드(20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재(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120)는 체결부(300)가 체결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태의 체결홈(121)이 형성되고, 헤드(200)는 외부에서 삽입부(220)까지 관통되는 체결부(300)가 체결되는 체결홀(230)이 형성되며, 체결부(300)는 핀으로 구성되어 결홀(230)을 관통하면서 끝단이 헤드(200)의 체결홀(230)로 돌출되어 돌출부(120)의 체결홈(121)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체결홈(121)은 체결부(300)가 체결홈(121)을 따라 180도 각도로 안내되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몸체(100)는 전원공급부재(4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고, 몸체(100)의 하부는 개폐부(130)에 의해 개폐되며, 전원공급부재(400)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발광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터리(10)의 일단이 접속되는 상부단자(410)와, 상부단자(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배터리(10)가 내측에 위치되는 연결관체(420)와,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연결관체(420)에 접속되면서 배터리(10)의 타단이 접속되는 하부단자(430)와, 하부단자(430) 및 연결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발광부(500)에 배선되는 배선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단자(430)는 전기가 도통되도록 금속재로 구성되고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탄성걸림부(431)와, 탄성걸림부(431)에 연이어지면서 배터리(10)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탄성접속부(432)를 포함하고, 몸체(100)는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전원공급부재(400)의 하부단자(430)가 걸려서 고정되는 단자걸림부(140)와,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단자걸림부(140)에 자력을 전달하는 영구자석(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단자걸림부(140)는 개폐부(13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영구자석(150)에 접촉되면서 내부에 하부단자(430)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걸림관체(141)와, 걸림관체(14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결부(420)가 상부에 접속되고, 후술되는 하부단자(430)의 탄성걸림부(431)가 하부에 걸리는 내향턱(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원공급부재(400)는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50)와, 제어부(4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0)의 전원을 확인하기 위한 전원확인램프(460)를 포함하고, 제어부(450)는 배터리(10)의 전원이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를 통해 제어부로 인가되면 일정시간동안 전원확인램프(460)를 점등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발광부(500)는 헤드(200)에 구비된 상태로 전원공급부재(400)의 전원이 입력되는 회로기판(510)과, 회로기판(5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내측LED(520)와, 회로기판(5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외측LED(530)와, 헤드(200)에 구비된 상태로 내측LED(52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내측반사부(540)와, 내측반사부(5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LED(53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외측반사부(550)와, 내측반사부(540) 및 외측반사부(550)를 커버하는 상태로 헤드(200)에 설치되어 내측LED(520) 및 외측LED(530)의 빛이 투고되는 글래스(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에서 헤드가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두운 곳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가 점등될 수 있고, 자신의 위치를 외부에 알릴 수 있도록 발광부가 점멸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손전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a)(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에서 헤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a)(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보인 평면도.
도 7(a)(b)는 본 발명의 몸체에 개폐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어부를 보인 블록도.
도 9(a)(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발광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발광부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손전등은, 단부에 경사지게 몸체경사면(110)이 형성되고, 몸체경사면(110)에 돌출부(12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몸체경사면(110)에 접촉되는 헤드경사면(210)이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헤드경사면(210)에 몸체(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헤드(200)와, 헤드(200)를 관통하면서 삽입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돌출부(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부(300)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돌출부(120)를 통해 헤드(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400)와, 헤드(20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재(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5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전원공급부재(4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면서 반대방향의 돌출부(120)로도 개방된다. 즉,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부는 개폐부(130)에 의해 개폐된다. 그리고, 몸체(100)의 하부에서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개폐부(130)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즉, 개폐부(130)가 몸체(100)의 하부에 나사결합 된다.
몸체경사면(110)은 몸체(100)의 단부에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돌출부(120)는 몸체경사면(110)에서 수직되게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부(120)는 체결부(300)가 체결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태의 체결홈(121)이 형성된다. 즉, 체결부(300)의 끝단이 체결홈(121)에 삽입되어서 걸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돌출부(120)가 삽입부(220)에서 이탈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300)가 체결홈(121)을 따라 180도 각도로 안내되도록 체결홈(121)이 반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전원공급부재(400)의 하부단자(430)가 걸려서 고정되는 단자걸림부(140)와,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단자걸림부(140)에 자력을 전달하는 영구자석(150)을 포함한다.
단자걸림부(140)는 개폐부(13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영구자석(150)에 접촉되면서 내부에 하부단자(430)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걸림관체(141)와, 걸림관체(14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결부(420)가 상부에 접속되고, 후술되는 하부단자(430)의 탄성걸림부(431)가 하부에 걸리는 내향턱(142)을 포함한다.
걸림관체(141)는 전기가 도통되는 금속재로 구성되고, 하부단자(430)의 탄성걸림부(431)가 걸려서 고정되어 전기가 도통되고, 영구자석(150)이 접촉되므로 배터리(10)가 자력으로 하부단자(430)에 부착된다.
여기서, 배터리(10)는 건전지나 축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영구자석(150)은 개폐부(130)에 고정되어 단자걸림부(140)에 접촉된 상태로 자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몸체(100)에서 개폐부(130)를 개방하여 분리하면 개폐부(130)와 함께 배터리(10)가 배출되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몸체(100)에는 전원공급부재(400)의 전원을 발광부(500)로 인가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후술되는 전원스위치(470)가 노출되게 설치된다.
헤드(200)는 발광부(500)가 내장되게 설치되도록 내부공간이 삽입부(220)로 개방되면서 반대방향의 끝단으로도 개방된다. 즉,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된다.
헤드경사면(210)은 헤드(200)의 단부에서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몸체(100)의 몸체경사면(110)에 면 접촉되고, 삽입부(220)는 헤드경사면(210)에서 수직되면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몸체(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된다.
따라서, 돌출부(120)가 삽입부(220)에 삽입되면 몸체경사면(110)이 헤드경사면(210)에 면 접촉된다. 이때, 돌출부(120)가 삽입부(220)에 삽입되어 몸체(100)와 헤드(200)가 일직선을 이루는 상태에서 헤드(200)를 몸체(100)에서 180도로 회전시키면 몸체(100)에서 헤드(200)가 절곡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물론,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몸체(100)와 헤드(200)가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또한, 헤드(200)는 외부에서 삽입부(220)까지 관통되는 체결부(300)가 체결되는 체결홀(230)이 형성된다. 체결홀(230)은 나사탭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후술되는 체결부(300)인 볼트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300)는 핀이나 볼트로 구성될 수도 있어서, 결홀(230)을 관통하면서 끝단이 헤드(200)의 체결홀(230)로 돌출되어 돌출부(120)의 체결홈(121)에 걸려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300)에 의해 몸체(100)에 헤드(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몸체(100)에서 헤드(200)를 180도 각도로 회전시켜서 몸체(100)를 기준으로 헤드(200)가 90도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물론, 몸체(100)에서 헤드(200)를 반대방향으로 180도 각도로 회전시키면 몸체(100)와 헤드(200)가 일직선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 손전등은 몸체(100)에서 헤드(200)를 90도 각도로 절곡되게 하여서 사용하거나 몸체(100)에서 헤드(200)를 일직선상태를 이루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재(400)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발광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터리(10)의 일단이 접속되는 상부단자(410)와, 상부단자(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배터리(10)가 내측에 위치되는 연결부(420)와,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연결부(420)에 접속되면서 배터리(10)의 타단이 접속되는 하부단자(430)와, 하부단자(430) 및 연결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발광부(500)에 배선되는 배선부(440)를 포함한다.
상부단자(410)는 전기가 도통되도록 금속재이면서 탄성을 갖는 압축스프링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단자(410)는 연결부(420)의 상부에 고정된다.
연결부(420)는 전기가 도통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배터리(1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는 관체로 구성되면서, 상단이 상부단자(410)에 연결되고 하단이 하부단자(430)에 접속된다.
여기서, 연결부(420)의 상부에는 절연판(421)이 구비되어 연결부(420)의 상부가 상부단자(410)에 접촉됨을 방지한다.
하부단자(430)는 전기가 도통되도록 금속재로 구성되고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탄성걸림부(431)와, 탄성걸림부(431)에 연이어지면서 배터리(10)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탄성접속부(432)를 포함한다.
탄성걸림부(431)는 절곡되어서 삼각형태를 이루어 외압이 가해지면 양측에서 내측으로 수축되고 외압이 해제되면 양측으로 확장된다. 즉, 탄성걸림부(431)는 확장되어서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걸려서 고정된다.
탄성접속부(432)는 압축스프링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걸림부(431)를 수축시켜서 개폐부(130)에 고정시키면 하부단자(430)가 개폐부(130)에 내장된다.
배선부(440)는 하부단자(430) 및 연결부(420)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되면서 발광부(500)의 +측과 -측에 각각의 타단이 연결되는 전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재(400)는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50)와, 제어부(4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0)의 전원을 확인하기 위한 전원확인램프(460)를 포함한다.
제어부(450)는 배터리(10)의 전원이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를 통해 제어부로 인가되면 일정시간동안 전원확인램프(460)를 점등시키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배터리(10)가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서 장착되어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10)의 전원이 제어부(450)에 인가되므로, 제어부(450)가 전원확인램프(460)를 점등시킨 후 일정시간 경과하면 소등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전원확인램프(460)의 점등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배터리(10)에 남은 전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전원확인램프(460)는 LED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원공급부재(400)는 배터리(10)의 전원을 발광부(500)로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전원스위치(470)를 포함한다.
제어부(450)는 전원스위치(470)의 동작을 인식하는 스위치인식부(451)와, 스위치인식부(451)가 전원스위치(470)의 동작을 인식할 때마다 발광부(500)를 조작하는 발광조작부(4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70)를 작동시키면 발광조작부(452)가 발광부(500)를 점등시키고, 다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70)를 작동시키면 발광조작부(452)가 발광부(500)의 조도를 어둡게 또는 밝게 조작시키고, 다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70)를 작동시키면 발광조작부(452)가 발광부(500)를 점멸시키고, 다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70)를 작동시키면 발광조작부(452)가 발광부(500)를 소등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발광조작부(452)는 발광부(500)가 점멸될 때 점멸주기를 각기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전원스위치(470)를 작동시킬 때마다 각기 다른 형태로 점멸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전원스위치(470)를 첫 번째로 작동시키면 발광부(500)가 점등되므로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빛을 조사하여서 활동할 수 있고, 전원스위치(470)를 다시 작동시키면 발광부(500)가 점멸되므로 자신의 위치를 외부에 알리기 위해 사용되거나 위험상황을 외부에 알릴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전원스위치(470)를 다시 작동시키면 발광부(500)가 빠른 주기로 점멸될 수 있고, 전원스위치(470)가 다시 작동되면 발광부(500)가 느린 주기로 점멸될 수 있고, 전원스위치(470)가 다시 작동되면 발광부(500)가 소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회전 손전등을 이용하여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 빛을 조사하여 활동할 수 있고, 빛을 점멸 시켜서 외부에 위험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500)는 헤드(200)에 구비된 상태로 전원공급부재(400)의 전원이 입력되는 회로기판(510)과, 회로기판(5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내측LED(520)와, 회로기판(5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외측LED(530)와, 헤드(200)에 구비된 상태로 내측LED(52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내측반사부(540)와, 내측반사부(5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LED(53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외측반사부(550)와, 내측반사부(540) 및 외측반사부(550)를 커버하는 상태로 헤드(200)에 설치되어 내측LED(520) 및 외측LED(530)의 빛이 투고되는 글래스(560)를 포함한다.
회로기판(510)은 전원공급부재(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내측LED(520)는 회로기판(510)의 중앙에 설치된다.
외측LED(530)는 복수로 구성되어 내측LED(520)는 회로기판(510)의 둘레에 설치된다. 그리고, 외측LED(530)는 적색, 녹색, 황색과 같은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다양한 색상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내측반사부(540)는 상광하협의 깔때기형태로 형성되어 내측LED(520)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반사시킨다.
외측반사부(550)는 외측LED(530)가 삽입되도록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원통형태이면서 내측반사부(540)의 둘레에서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반사부(550)는 외측LED(530)에서 발생되는 빛을 외부로 반사시킨다.
글래스(560)는 내측LED(520) 및 외측LED(530)의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부재(40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내측LED(520) 및 외측LED(530)에서 빛이 발광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전원공급부재(400)의 제어부(450)에 의해 내측LED(520)나 외측LED(530)가 각각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고, 각각의 조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각각 점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몸체에서 헤드가 회전되어 전체적으로 일자형태를 이루거나 절곡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회전 손전등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배터리 100 : 몸체
110 : 몸체경사면 120 : 돌출부
130 : 개폐부 140 : 단자걸림부
141 : 걸림관체 142 : 내향턱
150 : 영구자석 121 : 체결홈
200 : 헤드 210 : 헤드경사면
220 : 삽입부 230 : 체결홀
300 : 체결부 400 : 전원공급부재
410 : 상부단자 420 : 연결부
430 : 하부단자 431 : 탄성걸림부
432 : 탄성접속부 440 : 배선부
440 : 제어부 460 : 전원확인램프
470 : 전원스위치 500 : 발광부
510 : 회로기판 520 : 내측LED
530 : 외측LED 540 : 내측반사부
550 : 외측반사부 560 : 글래스

Claims (8)

  1. 단부에 경사지게 몸체경사면(110)이 형성되고, 몸체경사면(110)에 돌출부(120)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몸체경사면(110)에 접촉되는 헤드경사면(210)이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헤드경사면(210)에 몸체(100)의 돌출부(120)가 삽입되는 삽입부(220)가 형성되는 헤드(200)와,
    헤드(200)를 관통하면서 삽입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어 돌출부(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체결부(300)와,
    몸체(100)에 내장되어 돌출부(120)를 통해 헤드(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재(400)와,
    헤드(200)에 구비되어 전원공급부재(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돌출부(120)는 체결부(300)가 체결된 상태로 안내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원호형태의 체결홈(121)이 형성되고,
    헤드(200)는 외부에서 삽입부(220)까지 관통되는 체결부(300)가 체결되는 체결홀(230)이 형성되며,
    체결부(300)는 핀으로 구성되어 결홀(230)을 관통하면서 끝단이 헤드(200)의 체결홀(230)로 돌출되어 돌출부(120)의 체결홈(121)에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체결홈(121)은 체결부(300)가 체결홈(121)을 따라 180도 각도로 안내되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4.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00)는 전원공급부재(400)가 내장되는 내부공간이 하부로 개방되고,
    몸체(100)의 하부는 개폐부(130)에 의해 개폐되며,
    전원공급부재(400)는
    몸체(100)의 내부공간에 내장되어 발광부(5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배터리(10)의 일단이 접속되는 상부단자(410)와,
    상부단자(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배터리(10)가 내측에 위치되는 연결관체(420)와,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연결관체(420)에 접속되면서 배터리(10)의 타단이 접속되는 하부단자(430)와,
    하부단자(430) 및 연결부(420)에 연결된 상태로 발광부(500)에 배선되는 배선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5. 청구항 4에 있어서, 하부단자(430)는
    전기가 도통되도록 금속재로 구성되고 몸체(100)의 개폐부(130)에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는 탄성걸림부(431)와,
    탄성걸림부(431)에 연이어지면서 배터리(10)의 타단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탄성접속부(432)를 포함하고,
    몸체(100)는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전원공급부재(400)의 하부단자(430)가 걸려서 고정되는 단자걸림부(140)와,
    개폐부(130)에 내장된 상태로 단자걸림부(140)에 자력을 전달하는 영구자석(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6. 청구항 5에 있어서, 단자걸림부(140)는
    개폐부(13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어 영구자석(150)에 접촉되면서 내부에 하부단자(430)가 내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걸림관체(141)와,
    걸림관체(14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결부(420)가 상부에 접속되고, 후술되는 하부단자(430)의 탄성걸림부(431)가 하부에 걸리는 내향턱(1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전원공급부재(400)는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50)와,
    제어부(4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터리(10)의 전원을 확인하기 위한 전원확인램프(460)를 포함하고,
    제어부(450)는 배터리(10)의 전원이 상부단자(410) 및 연결부(420)를 통해 제어부로 인가되면 일정시간동안 전원확인램프(460)를 점등시키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발광부(500)는
    헤드(200)에 구비된 상태로 전원공급부재(400)의 전원이 입력되는 회로기판(510)과,
    회로기판(510)의 내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내측LED(520)와,
    회로기판(5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외측LED(530)와,
    헤드(200)에 구비된 상태로 내측LED(52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내측반사부(540)와,
    내측반사부(540)의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LED(530)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외측반사부(550)와,
    내측반사부(540) 및 외측반사부(550)를 커버하는 상태로 헤드(200)에 설치되어 내측LED(520) 및 외측LED(530)의 빛이 투고되는 글래스(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손전등.
KR1020190069922A 2019-06-13 2019-06-13 회전 손전등 KR10220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22A KR102203207B1 (ko) 2019-06-13 2019-06-13 회전 손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22A KR102203207B1 (ko) 2019-06-13 2019-06-13 회전 손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550A true KR20200143550A (ko) 2020-12-24
KR102203207B1 KR102203207B1 (ko) 2021-01-15

Family

ID=7408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922A KR102203207B1 (ko) 2019-06-13 2019-06-13 회전 손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2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2755A (en) * 1977-06-20 1979-05-01 Nixt Richard E Portable magnetically actuatable flashlight
KR200221293Y1 (ko) * 2000-11-10 2001-04-16 이용상 다기능 손전등
KR200389295Y1 (ko) * 2005-04-25 2005-07-07 박철수 손전등의 헤드부 개선구조
KR20060009536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엠비피 손전등
KR100741512B1 (ko) * 2005-11-10 2007-07-20 윤한선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KR101530310B1 (ko) * 2013-11-21 2015-06-22 주식회사 부성엘티 발광머리부의 꺾임변환이 가능한 랜턴
KR20180035303A (ko) * 2016-09-29 2018-04-06 (주)와이디인터내셔널 휴대용 랜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2755A (en) * 1977-06-20 1979-05-01 Nixt Richard E Portable magnetically actuatable flashlight
KR200221293Y1 (ko) * 2000-11-10 2001-04-16 이용상 다기능 손전등
KR20060009536A (ko) * 2004-07-26 2006-02-01 주식회사 엠비피 손전등
KR200389295Y1 (ko) * 2005-04-25 2005-07-07 박철수 손전등의 헤드부 개선구조
KR100741512B1 (ko) * 2005-11-10 2007-07-20 윤한선 방수기능을 갖는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랜턴
KR101530310B1 (ko) * 2013-11-21 2015-06-22 주식회사 부성엘티 발광머리부의 꺾임변환이 가능한 랜턴
KR20180035303A (ko) * 2016-09-29 2018-04-06 (주)와이디인터내셔널 휴대용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207B1 (ko) 202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9958B2 (en) Light fixtures with twist and lock mounting bracket assembly
US9057500B2 (en) Flashlight
KR101591868B1 (ko) 집어등
US20160025283A1 (en) Portable lamp
EA009153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ыравнивания существенного точечного источника света с отражателем
KR102203207B1 (ko) 회전 손전등
JP2014041758A (ja) 照明装置
JP4245445B2 (ja) 充電モニタを有する非常灯
US7014335B2 (en) Flashlight with wave spring electrical connection
US10480756B1 (en) Light fixture with focusable LED light bulb from inside the heat sink
KR100742314B1 (ko) 내부전원으로 작동하는 연등용 조명장치.
JP4776493B2 (ja) 非常灯付き接合器
KR102606223B1 (ko) 직선형 마그네틱 엘이디 조명등
JP3167851U (ja) 直管蛍光灯型led照明器
KR200231307Y1 (ko) 법당용 등조명기구
KR101978030B1 (ko) 다기능 손전등
JP2014011121A (ja) 船舶用携帯形昼間信号灯
KR102387066B1 (ko) 낚시용 집어등
CN211738731U (zh) 一种小夜灯
RU30187U1 (ru) Ружье для подводной охоты (варианты)
US8545043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providing synchronous forward and backward lighting
CN207674153U (zh) 一种多功能工作灯
KR100392941B1 (ko) 건전지의 소모량 표시등이 설치된 손전등
KR200160637Y1 (ko) 발광가능한 도어손잡이
KR101898767B1 (ko) 수납장에 설치되는 led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