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986A -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986A
KR20200142986A KR1020190070678A KR20190070678A KR20200142986A KR 20200142986 A KR20200142986 A KR 20200142986A KR 1020190070678 A KR1020190070678 A KR 1020190070678A KR 20190070678 A KR20190070678 A KR 20190070678A KR 20200142986 A KR20200142986 A KR 20200142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career
career information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윤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준 filed Critical 윤성준
Priority to KR102019007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986A/ko
Publication of KR2020014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력 정보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a) 경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AREER INFORMATION}
본 기술은 이력 정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문직 종사자들의 다양한 경력 활동 정보를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관리하고 경력 정보를 포트폴리오 형태로 자동 설계 하여, 타인에게 경력 정보에 대한 자료의 전달이 필요할 때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뷰티 분야는 실무경험, 대회수상, 행사참가, 교육수료 등 다양한 경력 정보가 자신의 능력과 가치로 평가받는 전문가 직업군으로서, 수시로 만들어지는 다양한 작품 활동과 경력 사항들을 증빙 사진과 함께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포트폴리오는 상대방에게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신뢰감 있게 전달할 수 있는 도구로서, 작품 및 다양한 경력 활동이 많은 뷰티 전문가는 포트폴리오가 필수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쌓여가는 경력 정보를 관리하는데 불편함이 존재했다. 기관 특성마다 달라지는 양식으로 인하여 이력의 관리와 보관이 복잡하고, 이직이나 재취업 등 경력 증명 필요 시 자료 갱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기존 종이 수료증, 인증서 등 오래된 증명 자료를 매번 찾을 때마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며, 기존의 이력 관리 서비스는 구인/구직 취업 매칭 목적으로 텍스트 위주의 정보들이 설계되어 있어, 디자인 분야의 특성이 있는 뷰티 전문가들의 이력 관리용으로는 부적합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0242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직 종사자들의 다양한 경력 활동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관리하고, 저장된 정보를 포트폴리오 형태로 자동 설계해주며, 취업 및 이력서, 경력 증명 등 타인에게 관련 자료의 전달이 필요할 때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모두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뷰티 전문가 전용으로 다양한 경력 정보인 헤어, 메이크업, 또는 네일아트 등의 디자인 작품과 현장 실무 활동의 사진과 경력 정보를 포트폴리오화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PC 웹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이력서 형태로 자동 변환하며, 다양한 이력서 디자인 템플릿 및 디자인 분야 포트폴리오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은, 이력 정보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경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력 정보는, 날짜, 주제, 세부내용,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단계는, 상기 경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촬영 화면에 대한 디자인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자인프레임에 따라 사진이 촬영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에 반영될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디자인프레임에 상기 텍스트 정보를 결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a)단계는, 상기 수신한 경력 정보 중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인식하고, 텍스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날짜, 주제, 또는 세부내용으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단계는, 상기 경력 정보 중 이미지 또는 영상이 있는 경우에는 압축하는 단계, 및 상기 경력 정보를 날짜별 또는 주제별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변환 요청에 따라, 상기 경력 정보를 이력서 형태 또는 포트폴리오 형태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력서 형태 또는 포트폴리오 형태는 기설정된 레이아웃 디자인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레이아웃 디자인을 입력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레이아웃 디자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레이아웃 디자인에 따라 상기 경력 정보가 자동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경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선택된 경력 정보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 디자인에 상기 선택된 경력 정보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c) 단계는, 상기 경력 정보로부터 자동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수정 요청 정보에 따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정 요청 정보는, 상기 자동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에 삽입되어 있는 경력 정보의 삭제, 위치 변경, 또는 레이아웃 디자인 수정 또는 변경에 해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변환한 문서의 파일 또는 고유 웹주소를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은, 이력 정보 관리 서버로서, 경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측면은,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으로서, 경력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변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경력 정보가 발생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바로바로 간편하게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고, 뷰티 분야에 특화되어 사진 또는 디자인이 추가된 포트폴리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고, 등록된 포트폴리오 디자인으로 자동 적용하여 경력 정보를 문서화할 수 있고, 문서를 출력하거나 문서로 연결될 수 있는 웹주소의 전송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텍스트로만 전달되는 형태의 이력서와는 달리 이력 내용을 날짜별 또는 주제별 등으로 정렬해서 볼 수 있고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사진, 이미지, 또는 영상자료를 함께 확인할 수 있어 전문직 종사자들의 이력을 신뢰와 믿음, 그리고 더욱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프라인 형태로 이력 정보의 전달이 필요한 경우에는, PC 버전 소프트웨어를 통해 경력 정보로부터 이력서 형태로 자동 변환되어 생성된 문서를 바로 출력할 수 있고, 수정 편집이 필요한 경우에는 웹상에서 바로 간편하게 작업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전문직 종사자들의 다양한 활동들의 특수성을 전달하기 위해 이미지를 포함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력서 또는 경력증명서의 디자인 레이아웃을 제공하여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문서 형태보다 더 진화되고 더 나은 결과물로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바일 또는 웹 등으로 작성되는 일련의 포트폴리오를 면접 또는 서류 발송 용으로 제출시, 경력 정보에 대한 기존 목록을 그대로 출력하는 방식이 아닌, 원하는 디자인 형태로 출력하여 나만의 개성이 있는 세련된 완성형 포트폴리오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다.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경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경력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특정 형태의 문서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한 서비스 제공 시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의 요청에 따라 특정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은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와 연결되어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와 송수신하는 기기이다. 바람직하게, 제1 사용자 단말(120)은 경력 정보를 생성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30)은 경력 정보의 변환 요청 또는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데 요구되는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장치 및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성/영상통화, 인터넷 데이터통신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기능을 갖춘 모든 모바일 폰 또는 음성통화 기능이 없으나 인터넷 접속 가능한 모든 인터넷폰 또는 테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하는 통신기기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자유롭게 사용하고 삭제가 가능한 오픈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smart phone)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30)은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30)은 이를 위하여 특정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입력되어 저장된 경력 정보는 웹 뷰어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제2 사용자 단말(130)에서도 확인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의 플랫폼 특성에 따라 구성된 UI/UX로 최적화된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20)과 제2 사용자 단말(130)을 구분하였으나,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은 동일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이 수행하는 동작은 상호 수행될 수 있고, 그 수행 주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120) 및 제2 사용자 단말(130)을 조작하는 주체는 동일한 사용자일 수 있고,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연결되는 사용자 단말의 수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사용자가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들 간에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서 관리되고 있는 경력 정보가 동기화되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 PC, 테블릿 PC를 통하여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여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폰, PC, 또는 테블릿 PC 중 어느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접속하더라도 동기화된 동일한 경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수신부(210), 저장부(220), 메모리(230), 변환부(240), 생성부(250), 전송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어부(270)는 수신부(210), 저장부(220), 메모리(230), 변환부(240), 생성부(250) 및 전송부(260)의 동작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인 도 3, 및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 내지 9를 참조하여,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의 각 구성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구성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수신부(2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경력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 여기에서, 경력 정보는 날짜, 주제, 세부내용,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120)에는 사용자로부터 경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의 (a)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는 제1 사용자 단말(120)에 경력 정보로서 날짜, 커리어 주제, 구분, 또는 세부내용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커리어 주제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분되고 각 주제별로 특정 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커리어 주제와 구분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자격증, 증명서, 또는 활동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고, 활동 동영상 등과 같은 영상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20)의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의 디자인 관리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촬영 화면에 대한 디자인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자인 관리부는 다양한 디자인프레임을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선택된 디자인프레임으로 촬영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20)에서 디자인프레임에 따라 사진이 촬영되고,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사진에 반영될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으면,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의 경력 정보 처리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디자인프레임에 텍스트 정보를 결합하여 경력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관리부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자인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도 6의 (a)에 도시된 디자인프레임이 선택되어 사진이 촬영된 후,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으면, 경력 정보 처리부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프레임에 해당 텍스트 정보를 결합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력 정보 처리부는 디자인프레임에 결합될 정보로서 텍스트 정보뿐만 아니라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경력 정보 처리부는 입력받은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특정된 위치에 배치하거나, 디자인프레임별로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기설정된 위치로 자동 배치하거나, 기설정된 위치 중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특정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는, 경력 정보 중 날짜, 주제, 또는 세부내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사진이 촬영되는 경우에는, 디자인프레임에 주제 또는 세부내용에 대한 정보가 자동 반영되어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지 않아도 도 6의 (b)와 같은 디자인프레임이 자동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디자인프레임별로 입력될 수 있는 정보의 종류가 기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경력 정보 중 일부 정보가 디자인프레임에 자동으로 결합되어 출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디자인프레임에 날짜와 주제에 대한 정보가 특정 위치에 삽입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경력 정보로 입력한 정보 중 날짜 및 주제에 대한 정보가 디자인프레임에 자동으로 반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한 경력 정보 중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경력 정보 처리부는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인식하고, 텍스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날짜, 주제, 또는 세부내용으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료증, 또는 증명서가 카메라로 촬영되어 이미지로 수신된 경우에는, 경력 정보 처리부는 해당 이미지에서 이름, 교육수료내용, 수료기간, 발행일, 발행처 등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경력 정보의 날짜, 주제, 또는 세부내용으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경력 정보를 저장한다(단계 S320). 바람직하게, 저장부(220)는 경력 정보 중 이미지 또는 영상이 있는 경우에는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고, 경력 정보를 날짜별 또는 주제별로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력 정보는 저장부(220)를 통하여 메모리(230)에 저장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은 저장부(220)에 의하여 저장된 경력 정보를 날짜별 또는 주제별로 자동 정렬시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에 출력되는 화면으로서, 경력 정보의 주제에 따라 대회는 보라색, 자격증은 초록색, 행사·이벤트는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등록된 경력 정보는 날짜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준으로 정렬된 경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경력 정보가 선택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경력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변환부(240)는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한다(단계 S330). 바람직하게, 변환부(240)는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입력된 변환 요청에 따라, 경력 정보를 이력서 형태 또는 포트폴리오 형태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력서 형태 또는 포트폴리오 형태는 기설정된 레이아웃 디자인에서 제2 사용자 단말(120)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특정 레이아웃 디자인을 입력받을 수 있고, 기설정된 레이아웃 디자인은 디자인 관리부를 통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환부(240)는 제2 사용자 단말(130)에 의하여 선택된 레이아웃 디자인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입력받은 레이아웃 디자인에 따라 경력 정보를 자동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는 변환부(240)는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선택된 경력 정보 및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입력받은 선택된 경력 정보의 배치 위치에 따라 레이아웃 디자인에 선택된 경력 정보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변환부(240)는 경력 정보로부터 자동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입력된 수정 요청 정보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정 요청 정보는, 자동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에 삽입되어 있는 경력 정보의 삭제, 위치 변경, 또는 레이아웃 디자인 수정 또는 변경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레이아웃 디자인이 미리 설정되어 디자인 관리부를 통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고, 도 9의 (a)에 도시된 8개의 레이아웃 디자인에서 초록색 박스로 표시된 부분, 및 도 9의 (b)에 도시된 6개의 레이아웃 디자인에서 회색 박스로 표시된 부분은 경력 정보 중 이미지 또는 영상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며, 그 이외의 부분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설정된 레이아웃 디자인들 중 특정 레이아웃 디자인을 선택하면, 경력 정보가,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력 정보의 유형에 따라 레이아웃 디자인에 자동으로 배치되고, 사용자는 자동으로 배치된 정보를 확인하고,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삭제, 위치 변경, 또는 다른 레이아웃 디자인으로의 변경, 등을 수행하여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최종적으로 완성시키는 것이다.
디자인 분야는 자신만의 포트폴리오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고 이미지를 단순히 사각형으로 올리는 것보다, 구도, 크기, 또는 배치 등을 통해 심플하거나 다양한 느낌으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디자인하여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렇게 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저장된 경력 정보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경력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130)의 PC 웹 기반 프로그램에서 실시간 동기화된 자료를 불러들여 디자인분야용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로 변환될 수 있도록, 변환부(240)는 제공되는 여러 가지 레이아웃 디자인에 경력 정보를 넣고 레이아웃 안에서 이미지 등을 이동하여 보여주고 싶은 부분을 설정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된 경력 정보를 기초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력서, 또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트폴리오가 변환부(240)를 통하여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생성부(250)는 변환부(240)를 통하여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한다(단계 S340). 여기에서, 웹주소는 특정 문서로 연결될 수 있는 링크 주소에 해당하고, 예를 들어, mybeautyfolio.com/@kim과 같은 링크 주소가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부(260)는 변환부(240)를 통하여 변환된 문서의 파일 또는 생성부(250)를 통하여 생성된 고유 웹주소를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변환부(24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특정 문서, 즉,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는 온라인 서버에 저장되어 상대방에게 링크주소를 통해 볼 수 있도록 전달될 수 있고 출력도 가능하도록 지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부(260)는 제1 사용자 단말(12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130)로부터 입력된 전송 요청 정보에 따라 문서의 파일 또는 고유 웹주소를 SNS, 문자메시지, 또는 이메일 등을 통하여 타인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서의 파일 또는 고유 웹주소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이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인이 사용자 단말을 통해 고유 웹주소에 접속하면,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경력 정보를 날짜별 또는 주제별로 정렬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구인구직 광고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맞춤 타겟 구인 구직 광고 전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구인업체는 원하는 조건(예를 들어, 지역, 자격증, 경력활동, 학력, 나이 등)의 구직자를 설정할 수 있고, 구인구직 광고부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를 통하여 경력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중 구인업체에서 설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구인업체의 광고를 제공하고 구인업체의 다이렉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구직자는 원하는 조건의 근무환경(예를 들어, 급여조건, 지역, 등)을 설정할 수 있고, 구인구직 광고부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등록된 구인업체 중 구직자가 설정한 근무환경을 제공하는 구인업체의 사용자 단말 또는 구인업체의 서버에 구직자의 경력 정보를 기초로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거나 구직자의 다이렉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심사 지원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심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특정 대회(또는 테스트)에 참가하는 참가자들 및 심사자의 사용자 단말이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접속 가능한 경우, 참가자들이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이미지, 영상, 또는 설명내용을 입력하여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로 전송하면, 심사 지원부는 참가자들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심사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심사자는 참가자들이 보내온 이미지, 영상 또는 설명내용을 심사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확인하고 참가자 그룹을 설정해 참가자의 점수를 항목별로 실시간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심사 지원부는 심사자가 입력한 점수를 기초로 총점을 계산하고 그룹에 속하는 참가자들의 점수를 기준으로 랭킹 순위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참가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해 본인의 점수를 확인하고, 본인의 경력 정보 관리 메뉴에 대회(또는 테스트) 명칭, 주제, 및 점수 결과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심사 지원부는 대회(또는 테스트) 주제를 기준으로 이전의 결과 점수들의 데이터를 취합한 통계자료를 그래프로 제공하여 사용자(참가자)가 본인의 실력을 데이터 수치로 정확히 분석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는 교육 플랫폼 제공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교육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교육 플랫폼 제공부는 미용인 대상 세미나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원하는 세미나의 실시간 접수부터 결제까지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세미나 정보를 제공하는 모집자 또는 모집업체의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에 등록되어 있으며, 모집자 또는 모집업체는 사용자 단말 또는 서버를 통하여 접수자 파악, 접수자 출석체크, 또는 접수자에게 단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교육 플랫폼 제공부는 모집자와 접수자 간의 그룹자료공유방을 제공하여 세미나 관련 자료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모집자 또는 세미나를 제공하는 업체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110)를 통해 접수자의 사용자 단말로 수료증을 발행할 수 있고, 접수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경력 정보에 해당 세미나 수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
110: 이력 정보 관리 서버
120: 제1 사용자 단말
130: 제2 사용자 단말
210: 수신부
220: 저장부
230: 메모리
240: 변환부
250: 생성부
260: 전송부
270: 제어부

Claims (11)

  1. 이력 정보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경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d)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력 정보는, 날짜, 주제, 세부내용, 이미지, 또는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경력 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촬영 화면에 대한 디자인프레임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자인프레임에 따라 사진이 촬영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진에 반영될 텍스트 정보를 입력받으면, 상기 디자인프레임에 상기 텍스트 정보를 결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수신한 경력 정보 중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를 인식하고, 텍스트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날짜, 주제, 또는 세부내용으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경력 정보 중 이미지 또는 영상이 있는 경우에는 압축하는 단계; 및
    상기 경력 정보를 날짜별 또는 주제별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변환 요청에 따라, 상기 경력 정보를 이력서 형태 또는 포트폴리오 형태로 자동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력서 형태 또는 포트폴리오 형태는 기설정된 레이아웃 디자인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레이아웃 디자인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선택된 레이아웃 디자인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레이아웃 디자인에 따라 상기 경력 정보가 자동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경력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선택된 경력 정보의 배치 위치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 디자인에 상기 선택된 경력 정보가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경력 정보로부터 자동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수정 요청 정보에 따라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정 요청 정보는, 상기 자동 변환된 이력서 또는 포트폴리오에 삽입되어 있는 경력 정보의 삭제, 위치 변경, 또는 레이아웃 디자인 수정 또는 변경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한 문서의 파일 또는 고유 웹주소를 특정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력 정보 관리 방법.
  10. 경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
  11. 경력 정보를 전송하는 제1 사용자 단말;
    상기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 요청하는 제2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경력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변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경력 정보를 특정 문서 형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특정 문서에 대한 고유 웹주소를 생성하는 이력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
KR1020190070678A 2019-06-14 2019-06-14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200142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78A KR20200142986A (ko) 2019-06-14 2019-06-14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78A KR20200142986A (ko) 2019-06-14 2019-06-14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86A true KR20200142986A (ko) 2020-12-23

Family

ID=7408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78A KR20200142986A (ko) 2019-06-14 2019-06-14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428A (ko) 2013-06-26 2015-01-07 (주)아스크스토리 이력관리방법 및 이력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428A (ko) 2013-06-26 2015-01-07 (주)아스크스토리 이력관리방법 및 이력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emens ‘It's a team if you use “reply all”’: An exploration of research teams in digital humanities environments
US9461834B2 (en) Electronic document provision to an online meeting
US201201098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capturing communications in a recruiting environment
US8117131B2 (en) Distributed technology transfer department
US8706810B2 (en) Real-time collaborative document review and transfer method and system
US201703579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utomated workforce management systems and work intermediation platforms
US9082107B2 (en) Intellectual asset automatic docketing and file association
US10642926B2 (en) Methods and systems relating to context-specific writing frameworks
US94675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ion of user-generated content with social 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US10078845B2 (en) Marketing application including event and survey development and management
JP6633238B1 (ja) 求人管理システム、求人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035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ject and business records
US20230179556A1 (en) Differentiated message presentation in a communication platform
Stoeller Global virtual teams
US2013023839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ssessment report
KR20200142986A (ko) 이력 정보 관리 방법 및 서버
US11757949B2 (en) Event registr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2013544405A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サービスの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Väätäjä Framing the user experience in mobile newsmaking with smartphones
JP65022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20201770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8649B1 (ko) 행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7270943B1 (ja) チャット管理プログラム、チャット処理プログラム、チャット管理装置、チャットシステム、及びチャット処理方法
KR20200052517A (ko) Qr코드를 이용한 다자간 명함교환 방법
Wilkinson Application of social media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