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742A - Led 디밍 장치 - Google Patents

Led 디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742A
KR20200142742A KR1020190069968A KR20190069968A KR20200142742A KR 20200142742 A KR20200142742 A KR 20200142742A KR 1020190069968 A KR1020190069968 A KR 1020190069968A KR 20190069968 A KR20190069968 A KR 20190069968A KR 20200142742 A KR20200142742 A KR 2020014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
light emitting
controller
wi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781B1 (ko
Inventor
이영식
김충섭
서정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티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티맥
Priority to KR1020190069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781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랜드, 제2 랜드, 제3 랜드 및 접지랜드를 포함하는 랜드부, 제1, 2, 3 랜드와 접지랜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3 연결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는 단자부, 제1, 2, 3 랜드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부,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러, 발광부와 컨트롤러, 랜드부와 발광부, 랜드부와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제1 랜드와 접지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발광부는 컨트롤러와 와이어로 연결되며, 컨트롤러는 제1, 2, 3 발광부의 발광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LED 디밍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LED 디밍 장치{Light-Emitting Dimming device}
본 발명은 LED 디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컨트롤러로 다수의 발광부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LED 디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램프를 구동시키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진다.
첫째는 선형 방식으로 전압, 전류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선형전압 방식은 정전압 IC에서 출력된 일정한 전압에 LED와 저항을 연결하여 일정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구동시키는 방법이며, 선형 정전류 방식은 정전류 IC를 이용하여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이 선형 방식은 회로가 간단한 반면 효율이 좋지 않아 열의 발생이 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두번째는 스위칭 방식으로 구형파의 온/오프의 듀티 비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펄스폭 변조(PWM) 방식을 이용한 구동 방법으로 선형 방식보다 효율이 좋아 LED에 발생되는 열을 줄일 수 있어 LED수명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 방식으로 구형파의 온/오프의 듀티 비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는 상기 LED 램프와 스위칭 방식의 LED 구동 모듈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어, 특정 위치에 설치된 LED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LED 램프와 LED 구동 모듈 전체를 통체로 바꿔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LED 램프 연결용 전원선에 전력량 조절장치가 별도로 구비되더라도, 변경된 전력량이 그대로 LED 램프로 인가되어 초기 돌입전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LED 램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특허문헌 1) CN 107275322 A
(특허문헌 2) KR10-1080080 B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나의 컨트롤러로 다수의 발광부의 발광량을 제어하는 LED 디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발광부의 빛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에서 보상한 후 디밍제어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LED 디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디밍 장치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랜드, 제2 랜드, 제3 랜드 및 접지랜드를 포함하는 랜드부, 상기 제1, 2, 3 랜드와 상기 접지랜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3 연결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제1, 2, 3 랜드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러, 상기 발광부와 상기 컨트롤러, 상기 랜드부와 상기 발광부, 상기 랜드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제1 랜드와 상기 접지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2, 3 발광부의 발광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랜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3 발광부는 상기 제2 랜드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 랜드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제1 출력단자와 상기 제1 발광부의 제1 N단자(RN)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제2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발광부의 제2 N단자(GN)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제3 출력단자와 상기 제3 발광부의 제3 N단자(BN)를 연결하는 제3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랜드와 상기 제2 발광부의 제2 P단자(Gp)를 연결하는 제4 와이어 및 상기 제1 랜드와 상기 제3 발광부의 제3 P단자(Bp)를 연결하는 제5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5 와이어는 상기 제1 연결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상기 제1 랜드를 통하여 상기 제2, 3 발광부로 인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디밍제어 입력단자와 상기 제3 랜드를 연결하는 제6 와이어 및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디밍제어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랜드를 연결하는 제7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컨트롤러의 접지단자와 상기 접지랜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ED 디밍 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둘러싸거나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는 하나의 컨트롤러로 다수의 발광부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고 제품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는 발광부의 빛에 대한 신호를 컨트롤러에서 보상한 후 디밍제어 출력신호를 출력하여 발광부가 일정한 빛의 세기로 출력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의 전기적인 내부 가상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100)은 하우징(110), 베이스 기판(120), 랜드부(130), 단자부(140), 발광부(150), 컨트롤러(160), 와이어(170), 캐패시터(180) 및 커버(19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베이스 기판(120)을 둘러싸거나 수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중앙부에는 개구(111)가 형성되어 있어 베이스 기판(120)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개구(111)는 모서리 및 꼭지점이 라운딩된 사각형상을 지닐 수 있으나, 이러한 개구(111)의 형상은 발광부(150)에서 조사되는 빛의 방향이나 범위를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은 하우징(11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또한, 베이스 기판(120)은 하우징(110)에 수용되거나 둘러싸이도록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는 랜드부(130), 발광부(150), 컨트롤러(160) 및 캐패시터(180)가 위치한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120)은 회로기판으로 상기한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랜드부(130)는 제1 랜드(131), 제2 랜드(132), 제3 랜드(133) 및 접지랜드(134)를 포함한다.
제1 랜드(131)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도체로서, 베이스 기판(120)의 1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랜드(131)의 상면에는 빨간색(R: Red)을 발광할 수 있는 제1 발광부(151)가 위치한다.
제2 랜드(132)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도체로서, 베이스 기판(120)의 2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랜드(132)의 상면에는 녹색(G: Green)을 발광할 수 있는 제2 발광부(152) 및 청색(B: Blue)을 발광할 수 있는 제3 발광부(153)가 위치한다.
제3 랜드(133)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도체로서, 베이스 기판(120)의 3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랜드(133)의 상면에는 제1 발광부(151), 제2 발광부(152) 및 제3 발광부(153)의 발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160)가 위치한다.
접지랜드(134)는 베이스 기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전도체로서, 베이스 기판(120)의 4사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접지랜드(134)와 제1 랜드(131) 사이에는 캐패시터(180)가 위치한다.
단자부(140)는 베이스 기판(1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러한 단자부(140)는 제1, 2, 3 랜드(131, 132, 133)와 접지랜드(134)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연결단(141), 제2 연결단(142), 제3 연결단(143) 및 접지단(144)을 포함한다.
제1 연결단(141)은 구동전원(Vdd)이 인가되는 구성요소로서, 제1 랜드(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단(141)을 통하여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발광부(150)가 발광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2 연결단(142)은 디밍제어와 관련된 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요소로서, 제2 랜드(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연결단(143)은 디밍제어와 관련된 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요소로서, 제3 랜드(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단(144)은 기준이 되는 전원이 인가되는 구성요소로서, 접지랜드(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부(150)는 컨트롤러(160)와 와이어(170)로 연결된다. 이러한 발광부(150)는 제1, 2, 3 랜드(131, 132, 133)의 상면에 위치하는 제1 발광부(151), 제2 발광부(152) 및 제3 발광부(153)를 포함한다.
제1 발광부(151)는 빨간색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로서, 제1 랜드(131)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2 발광부(152)는 녹색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다디오드(LED)이고, 제3 발광부(153)는 청색을 발광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ED)로서, 상기한 제2, 3 발광부(152, 153)는 제2 랜드(132)의 상부에 위치한다.
컨트롤러(160)는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60)는 제3 랜드(133)에 위치한다.
또한, 컨트롤러(160)는 제1, 2, 3 발광부(151, 152, 153)의 발광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60)는 전원단자(161), 제1 접지단자(162), 제2 접지단자(163), 제1 출력단자(164), 제2 출력단자(165), 제3 출력단자(166), 디밍제어 입력단자(167) 및 디밍제어 출력단자(168)를 포함한다.
전원단자(161)는 컨트롤러(160)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전원단자(161)는 제1 랜드(131)로부터 구동전원(Vdd)을 인가받을 수 있는 전도체이다.
제1, 2 접지단자(162)는 컨트롤러(160)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1 접지단자(162)는 접지랜드(134)로부터 인가되는 기준전원(GND)을 인가받을 수 있는 전도체이다.
제1, 2, 3 출력단자(164, 165, 166)는 컨트롤러(160)로 입력된 디밍제어 입력신호에 따른 디빙제어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통로가 된다.
디밍제어 입력단자(167) 및 디밍제어 출력단자(168)는 컨트롤러(160)의 상면에 위치한다. 디밍제어 입력단자(167)는 제3 랜드(133)로부터 인가되는 디밍제어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통로가 된다. 한편, 디밍제어 출력단자(168)는 디밍제어 입력신호에 따라 보상한 디밍제어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통로가 된다.
와이어(170)는 발광부(150)와 컨트롤러(160), 랜드부(130)와 발광부(150), 랜드부(130)와 컨트롤러(160)를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어(170)는 전원와이어(171), 접지와이어(172), 제1 와이어(173), 제2 와이어(174), 제3 와이어(175), 제4 와이어(176), 제5 와이어(177), 제6 와이어(178) 및 제7 와이어 (179)를 포함한다.
전원와이어(171)는 제1 랜드(131)와 전원단자(16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접지와이어(172)는 컨트롤러(160)의 접지단자(162, 163)와 접지랜드(134)를 적어도 하나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접지와이어(172)는 제1 접지와이어(172a) 및 제2 접지와이어(172b)를 포함한다.
우선, 제1 접지와이어(172a)는 컨트롤러(160)의 제2 접지단자(163)와 접지랜드(1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다음, 제2 접지와이어(172b)는 컨트롤러(160)의 제1 접지단자(162)와 접지랜드(134)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와이어(173)는 컨트롤러(160)에 형성되는 제1 출력단자(164)와 제1 발광부(151)의 제1 N단자(RN)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와이어(174)는 컨트롤러(160)에 형성되는 제2 출력단자(165)와 제2 발광부(152)의 제2 N단자(GN)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3 와이어(175)는 컨트롤러(160)에 형성되는 제3 출력단자(166)와 제3 발광부(153)의 제3 N단자(BN)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4 와이어(176)는 제1 랜드(131)와 제2 발광부(152)의 제2 P단자(Gp)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5 와이어(177)는 제1 랜드(131)와 제3 발광부(153)의 제3 P단자(Bp)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한 제4, 5 와이어(176, 177)는 제1 연결단(141)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Vdd)이 제1 랜드(131)를 통하여 제2, 3 발광부(152, 153)로 인가시킨다.
제6 와이어(178)는 컨트롤러(160)에 형성되는 디밍제어 입력단자(167)와 제3 랜드(133)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7 와이어(179)는 컨트롤러(160)에 형성되는 디밍제어 출력단자(168)와 제2 랜드(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캐패시터(180)는 축전기 또는 콘덴서로 전기 회로에서 전기 용량을 전기적으로 퍼텐셜 에너지로 저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캐패시터(180)는 제1 랜드(133)와 접지랜드(134) 사이에 위치한다.
커버(190)는 베이스 기판(120)과 대향하면서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1,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디밍 장치의 전기적인 내부 가상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최초, 제1 연결단(141)로부터 구동전원(Vdd)이 인가된다. 구동전원은 각각 발광부(150) 및 컨트롤러(160)로 인가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60)는 전원와이어(171)을 통해 제1 랜드(131)에 인가된 구동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제1, 2, 3 발광부(151, 152, 153)는 제1 랜드(131)와 연결되는 제4 와이어(176), 제5 와이어(177)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제1 발광부(151)와 연결되는 와이어는 본 발명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랜드(131)와 제1 발광부(151)를 연결시키는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아니면, 제1 랜드(131)와 제1 발광부(151)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발광부(150) 및 컨트롤러(160)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디밍제어 입력단자(167)로 디밍제어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컨트롤러(160)는 입력된 디밍제어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제1, 2, 3 발광부(151, 152, 153)의 밝기 제어신호를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밝기 제어신호는 컨트롤러에서 기설정된 프로그래밍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1, 2, 3 발광부(151, 152, 153)는 컨트롤러(160)의 제1, 2, 3 출력단자(164, 165, 166)와 연결된 제1, 2, 3 와이어(173, 174, 175)를 통해 입력된 자신의 구동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해당하는 세기의 빛을 출력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기설정된 프로그래밍에 따라 디밍제어 입력신호를 보상하여 일정한 빛을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LED 디밍 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LED 디밍 장치
110: 하우징
111: 개구
120: 베이스 기판
130: 랜드부
131: 제1 랜드
132: 제2 랜드
133: 제3 랜드
134: 접지랜드
140: 단자부
141: 제1 연결단
142: 제2 연결단
143: 제3 연결단
144: 접지단
150: 발광부
151: 제1 발광부
152: 제2 발광부
153: 제3 발광부
160: 컨트롤러
161: 전원단자
162: 제1 접지단자
163: 제2 접지단자
164: 제1 출력단자
165: 제2 출력단자
166: 제3 출력단자
167: 디밍제어 입력단자
168: 디밍제어 출력단자
170: 와이어
171: 전원와이어
172: 접지와이어
172a: 제1 접지와이어
172b: 제2 접지와이어
173: 제1 와이어
174: 제2 와이어
175: 제3 와이어
176: 제4 와이어
177: 제5 와이어
178: 제6 와이어
179: 제7 와이어
180: 캐패시터
190: 커버

Claims (8)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랜드, 제2 랜드, 제3 랜드 및 접지랜드를 포함하는 랜드부;
    상기 제1, 2, 3 랜드와 상기 접지랜드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3 연결단 및 접지단을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제1, 2, 3 랜드의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러;
    상기 발광부와 상기 컨트롤러, 상기 랜드부와 상기 발광부, 상기 랜드부와 상기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제1 랜드와 상기 접지랜드 사이에 위치하는 캐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와이어로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2, 3 발광부의 발광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LED 디밍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는 상기 제1 랜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3 발광부는 상기 제2 랜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LED 디밍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3 랜드에 위치하는 LED 디밍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제1 출력단자와 상기 제1 발광부의 제1 N단자(RN)를 연결하는 제1 와이어;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제2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발광부의 제2 N단자(GN)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제3 출력단자와 상기 제3 발광부의 제3 N단자(BN)를 연결하는 제3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LED 디밍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랜드와 상기 제2 발광부의 제2 P단자(Gp)를 연결하는 제4 와이어; 및
    상기 제1 랜드와 상기 제3 발광부의 제3 P단자(Bp)를 연결하는 제5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4, 5 와이어는 상기 제1 연결단으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전원이 상기 제1 랜드를 통하여 상기 제2, 3 발광부로 인가시키는 LED 디밍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디밍제어 입력단자와 상기 제3 랜드를 연결하는 제6 와이어; 및
    상기 컨트롤러에 형성되는 디밍제어 출력단자와 상기 제2 랜드를 연결하는 제7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LED 디밍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컨트롤러의 접지단자와 상기 접지랜드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LED 디밍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디밍 장치는,
    상기 베이스 기판을 둘러싸거나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베이스 기판과 대향하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LED 디밍 장치.
KR1020190069968A 2019-06-13 2019-06-13 Led 디밍 장치 KR102249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68A KR102249781B1 (ko) 2019-06-13 2019-06-13 Led 디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68A KR102249781B1 (ko) 2019-06-13 2019-06-13 Led 디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742A true KR20200142742A (ko) 2020-12-23
KR102249781B1 KR102249781B1 (ko) 2021-05-10

Family

ID=7408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968A KR102249781B1 (ko) 2019-06-13 2019-06-13 Led 디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78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155A (ja) * 2005-05-13 2006-11-24 Calsonic Kansei Corp 共通電子回路基板
KR20100003487U (ko) * 2008-09-22 2010-03-31 에이피에이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풀컬러 발광다이오드 패키징 구조
JP2017220384A (ja) * 2016-06-08 2017-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9155A (ja) * 2005-05-13 2006-11-24 Calsonic Kansei Corp 共通電子回路基板
KR20100003487U (ko) * 2008-09-22 2010-03-31 에이피에이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풀컬러 발광다이오드 패키징 구조
JP2017220384A (ja) * 2016-06-08 2017-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781B1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928B2 (en) Replaceable lighting fixture components
KR101134752B1 (ko) Led 패키지
US9028086B2 (en) Light source for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RU2497316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озбуждения led
US9179511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 source for lighting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5249773B2 (ja) 可変電圧ブースト電流源を有する固体照明パネル
US20040160197A1 (en)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light ballast and other devices
US9295119B2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2248554A (ja) 可変色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200146119A1 (en) Wirelessly Controllable Lighting Modules
JP6489473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4143307A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KR100524656B1 (ko) 다색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다색 발광다이오드 시스템
JP2005327845A (ja) Led点灯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884599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KR101287901B1 (ko) 피엔접합 발광소자 조명 장치
KR102249781B1 (ko) Led 디밍 장치
CN109155344B (zh) 发光装置及照明装置
JP6827195B2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EP2784381A2 (en) Straight tube lamp and luminaire
US9089015B2 (en) Light emitting module
JP6926512B2 (ja) 照明器具
US10039165B2 (en) Multi-pad, multi-junction LED package
US9265106B2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11209129B2 (en) Ligh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