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254A -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 Google Patents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254A
KR20200142254A KR1020190069278A KR20190069278A KR20200142254A KR 20200142254 A KR20200142254 A KR 20200142254A KR 1020190069278 A KR1020190069278 A KR 1020190069278A KR 20190069278 A KR20190069278 A KR 20190069278A KR 20200142254 A KR20200142254 A KR 2020014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slurry composition
spontaneous ignition
coal slurry
dig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호원
윤상준
문태영
서명원
문지홍
윤성민
박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6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254A/ko
Publication of KR2020014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0Use of additives to fuels or fires fo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of highly inflammable material, e.g. light metals, petroleu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4Raw material of mineral origin to be used; Pre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08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된 석탄층의 표면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며 슬러리를 코팅하고 건조되어 저장된 석탄층의 산화진행을 위한 산소의 접촉을 배제하여 석탄의 산화에 의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를 유도하는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Slurry for Fire Extinguishment and Repressing Spontaneous Combustion in Coal Stockpiles}
본 발명은 석탄저탄장에서 자연발화 발생시 소화 및 자연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된 석탄층의 표면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여 슬러리를 코팅하고 건조되어 저장된 석탄층의 산화진행을 위한 산소의 접촉을 배제하여 석탄의 산화에 의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를 유도하는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연료로 발전하는 화력발전소에서는 500MW당 대략 180ton/hr의 석탄을 연소하며, 미분기 1대 당 대략 37ton에 상당하는 석탄을 보일러에 공급한다. 석탄을 사용하는 500MW의 화력발전소에는 대략 500ton 용량의 석탄저장소가 대략 6개가 설치되고, 그 중 5개는 정상적인 석탄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1개는 예비로 일정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는 석탄을 비축하는 저탄장으로 운영된다.
자연발화(Spontaneous Combustion)은 외부의 추가적인 착화원이 없는 상태에서 물질이 상온의 공기에서 자연히 발열하고, 그 열이 장시간 축적되어 마침내 발화점에 도달되면서 연소를 일으키는 현상이다. 단 외부에서 가열을 행한 경우에도 발화점에 도달하는 과정이 주로 반응열의 축적에 의하는 경우에는 자연발화에 포함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인화점과의 차이점은 착화원과의 직접적인 접촉이 있을 경우 인화점으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정의에서 자연발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물질의 화학반응에 의해 열이 발생하고, 발생한 열이 물질의 내부에 축적되며, 열의 축적에 의해 물질의 온도가 발화온도를 상회할 때 발생한다.
첫번째 및 세번째 조건은 물질 고유의 성질과 그것의 양에도 관계가 되는 조건이라고 할 수 있으나,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두번째 조건이다. 반응열의 축적은 물질 고유의 성질보다도 물질이 놓여있는 환경조건에 지배 받는 경우가 많다. 즉, 방열되기 쉬운 상태에 있으면 열의 발생량이 많아도 열이 축적되기 어렵고, 반면에 방열되기 어려운 상태에 있으면 발열량이 적어도 열이 충분히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발화의 특징은 열의 축적 과정에 있으며, 자연발화 현상은 환경조건과 깊은 관계를 가지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석탄은 가연성 물질이기 때문에 밀폐된 공간이나, 실내에 저장하게 되면 석탄의 구성 분자가 공기 중의 산소를 흡착하여 국소 부분에서 발열 산화반응을 일으키고(hot spot), 이때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충분히 방출되지 않으면 온도의 상승과 함께 산소가 계속 공급될 경우 반응이 점차 가속되면서 발화에 이르게 된다.
석탄은 야외 적재장에 적재할 경우 분진 가루가 날려 작업장의 환경을 오염시키고, 바람에 의해 원료가 일부 손실되는 문제점 등이 있어 근래에 주로 밀폐된 저장고 내부에 파일 형태로 적재하여 보관하고 있어, 자연 발화의 문제는 더 커지고 있다.
자연 발화의 원인과 영향 인자는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사전에 예방하기가 쉽지 않으며 일단 발생하면 소화하기도 어렵고, 석탄은 다공성 물질이기 때문에 단위 무게당 산소의 흡착량이 많아 산화 반응에 유리하지만 반면에 열전도도가 낮아서 발생열의 방출이 어렵다.
그리고, 자연 발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는 외부로 방출되지 않을 경우 가스 폭발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며, 저장 설비 내의 자연발화는 분진 폭발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처럼 석탄을 보관하는 공간에는 자연발화방지를 위한 안전관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1475호에서는 고미연분 석탄회, 식물성 잔사유 및 아스팔트를 포함하는 자연발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석탄의 연소특성을 저해하는 성분이 다수 포함되어 그 기술의 적용이 어렵고 본 발명의 석탄슬러리를 적용한 개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55853호에서는 순산소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산소함량이 거의 없는 이산화탄소가 주성분인 배가스를 회수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압축 저장한 후, 석탄화력 저탄장 하부에 분사관을 설치하여 자연발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 및 예상되는 저탄장 특정지점 하부에 배가스를 분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저탄장의 석탄에 균일하게 배가스를 분사하는 것이 난제로 그 기술의 적용이 어렵고 본 발명의 석탄슬러리를 적용한 개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09587호에서는 저장된 석탄층의 내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개 구비되고, 외측 표면으로부터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발화온도)가 감지되면 내부에 압축 주입된 액화질소를 외부로 분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저탄장의 석탄에 균일하게 배치 및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것이 난제로 그 기술의 적용이 어렵고 본 발명의 석탄슬러리를 적용한 개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9942호에서는 격벽이 있는 실내 저탄장의 석탄더미 하부에서 저온의 고압공기를 지속적으로 분사시키되, 유량의 조절을 통해 석탄이 쌓인 높이가 높은 쪽에 더 많은 공기가 분사되도록 하여 석탄 입자 표면에서 발생하는 산화열을 공기 흐름과 함께 열전달하여 대기로 소산시켜 내부에 열이 축적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고 공기를 지속적으로 분사하는 것이 운영비 및 그 기술의 적용이 어렵고 본 발명의 석탄슬러리를 적용한 개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질소등의 불활성, 저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지 않아 석탄저탄부의 채널링문제가 발생하고, 물을 분사하는 경우, 미분기에서 수분함량이 높아 분쇄쪽에서 부하가 많이 걸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종래 발화를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만, 석탄슬러리를 도포하여 산소공급을 차단하는 기술은 저비용의 설비 구축 및 저가의 운용비용으로 효과가 보장되는 장치 및/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4147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5585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09587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599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저장된 석탄층의 표면에 일정 두께를 유지하며 슬러리를 코팅하고 건조되어 저장된 석탄층의 산화진행을 위한 산소의 접촉을 배제하여 석탄의 산화에 의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를 유도하는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두께로 도포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은 5cm 내지 50cm의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공업분석값이 고정탄소 37 내지 55 wt%, 휘발분 22 내지 45 wt%, 회분 5 내지 20 wt% 및 수분 4 내지 20 wt%인 석탄일 수 있다.
또한, 원소분석값이 탄소 60 내지 77 wt%, 수소 2.7 내지 5.0 wt%, 질소 1.1 내지 2.4 wt%, 황 0.2 내지 2.0 wt% 및 산소 3 내지 10 wt%인 석탄일 수 있다.
또한, 석탄 1kg 대비 물 0.35 내지 0.5 kg이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로 도포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의 대기 중 산소 농도(AirO2) 대비 도포된 석탄슬러리 최하부 산소 농도(CoalO2)의 비(CoalO2/AirO2)는 0 내지 0.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로 도포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의 표면은 내부 석탄의 산화열로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로 도포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의 표면수분은 5분 내지 5 시간내에 증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수분양(SCH2O) 대비 도포된 석탄슬러리 최하부 수분양(ICH2O)의 비(SCH2O/ ICH2O)는 0 내지 0.5일 수 있다.
또한, 상온조건에서 점도값이 1000 내지 5000 cps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슬러리의 석탄의 평균입도는 35μm 내지 200 μ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슬러리에는 석탄회,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슬러리의 석탄은 이탄(Peat), 아탄(Lignite), 갈탄(Brown Coal), 역청탄(Bituminous Coal), 무연탄(Anthraci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슬러리에는 표면응결강화를 위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 슬러리의 석탄의 발열량은 5000 내지 7000 Kcal/kg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에 따르면, 석탄의 표면을 석탄슬러리로 코팅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원리, 즉 산소 침투 방지를 위한 단 원리를 이용하여 저탄장의 자연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모든 저탄장 하부에 동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아닌 석탄 더미의 자연발화가 발생하는 특정지점에 소정의 도포조건으로 석탄슬러리를 분사 도포하여 온도 상승 등 자연발화 발생이 감지되는 지점에만 선택적으로 제어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설비비 및 불활성 가스등의 지속적인 분사를 통한 운영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에 도포된 석탄슬러리 역시 연료성분으로써 불활성 및/또는 비연소성물질의 혼합이 없어 발전소에 투입되는 연료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 살포에 따른 발열량 저하, 운송시 뭉침현상에 의한 문제 등이 없이 자연발화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상이 되는 석탄 저탄장의 자연발화 발생빈도가 높은 부위를 표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탄 저탄장의 석탄슬러리 도포를 통한 자연발화 발생시 소화 및 자연 발화억제 메커니즘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석탄이 공기 중의 산소 및 석탄과 접촉하는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여 서서히 열이 발생된다. 석탄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자연발화 발생률이 높다(산화속도 증가)
석탄 더미의 내부 온도가 10℃ 상승하면 석탄의 산소 흡수율은 약 2배로 높아진다. 석탄의 자연발화는 석탄의 탄화도, 휘발분, 수분, 유화 철광 및 불순물에 의한 산화와 산소 흡수량 등 여러 요인이 복합되어 발생된다.
유화철(FeS) 관점에서는: 유황이 산소와 화합되어 SO2가 되고 다시 수분과 반응할 경우 약 800℃ 정도까지의 발열 현상을 수반하여 발화하게 된다.
2FeS2+ 7O2+ 2H2O = 2H2SO4+ 발열
휘발분(Volatile matters)관점에서는 휘발분이 많을수록 자연발화 현상이 심하고, 실험에 의하면 휘발분 40%이내에서 자연 발화 발생이 심하였다.
수분관점에서는 수분이 매우 많으면 냉각효과 및 공기 유동을 차폐하게 되어 자연발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석탄을 건조하게 되면 수분이 증발하게 되나, 다시 흡습와 건조를 반복하면 공기의 유동이(산소의 침투) 심하여져 풍화 현상에 의한 자연발화가 일어난다. 실험에 의하면 수분 함량 15% 이상에서는 자연발화가 일어나지 않고 10~15% 범위 특히 수분 12% 함유시에 자연발화가 잘 일어난다.
분화(입도)관점에서는 괴탄에 비해 분탄은 표면적이 커져서 산소와 접촉 면적이 넓어지므로 자연발화가 잘 일어난다.
장기간 저탄되면 고 휘발분 탄의 경우에는 압축 저탄이 아니된 석탄 더미의 경사부에서 저탄 7일 경과 및 평균 21일 이상 장기 저탄을 할 경우 석탄 더미 내부 온도가 80℃까지 상승되어 자연 발화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상이 되는 석탄 저탄장의 자연발화 발생빈도가 높은 부위를 표시한 모식도이다.
자연발화의 진행현상은 석탄 중심부의 온도가 40~50℃에 이르면 경계온도, 80~100℃를 위험온도200~300℃를 착화 온도로 본다.
발생되는 가스 중에 CO, CO2, CH4가 함유되어 있으면 발화의 징후로 판단하며, CO가 0.001% 검출되면 자연발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CO가 0.002% 이상 검출되면 발화중인 증거로 판단한다. 석유 냄새가 나면 자연발화가 진행 중인 상태이며 자연발화로 인하여 석탄의 열량이 저하되고 회분이 증가되며 야적된 석탄 전체에서 동시에 연기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추가적으로 자연발화가 발생할 때,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탄을 진해하면 안되며, 화재 발생시의 소화방법으로는 냉각소화, 질식소화, 부촉매제 사용소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저탄장내 발화와 관련하여서는 물을 뿌려 착화점 이하의 온도로 내려주는 냉각 소화법을 주로 사용한다. 불도저 등의 중장비로 이탄 및 압탄을 시행한다. 발화되는 석탄은 완전 소화시킨 후 상탄을 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탄 저탄장의 석탄슬러리 도포를 통한 자연발화 발생시 소화 및 자연 발화억제 메커니즘 모식도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저탄장의 자연발화 발생 높이는 석탄 적재층 상부로 부터 약 2m이다. 따라서 상기 영역내에 산소 투과를 배제한다면 자연발화를 억제할 수 있다.
석탄슬러리를 상기 석탄 저탄장에 도포하면, 석탄입자 사이를 석탄슬러리가 침투하여 공극을 막아 산소차단 역할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석탄 슬러리의 온도와 점도 조정을 통해 도포 두께를 조절이 가능할수 있다.
또한, 상기 석탄 슬러리중 포함된 물이 증발하면서 증발잠열로 냉각 효과를 추가적으로 유도하여 자연발화를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Claims (15)

  1. 소정두께로 도포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은 5cm 내지 50cm의 두께로 도포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공업분석값이 고정탄소 37 내지 55 wt%, 휘발분 22 내지 45 wt%, 회분 5 내지 20 wt% 및 수분 4 내지 20 wt%인 석탄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원소분석값이 탄소 60 내지 77 wt%, 수소 2.7 내지 5.0 wt%, 질소 1.1 내지 2.4 wt%, 황 0.2 내지 2.0 wt% 및 산소 3 내지 10 wt%인 석탄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석탄 1kg 대비 물 0.35 내지 0.5 kg이 혼합된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로 도포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의 대기 중 산소 농도(AirO2) 대비 도포된 석탄슬러리 최하부 산소 농도(CoalO2)의 비(CoalO2/AirO2)는 0 내지 0.5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로 도포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의 표면은 내부 석탄의 산화열로 건조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로 도포된 상기 석탄슬러리 조성물의 표면수분은 5분 내지 5 시간 내에 증발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수분양(SCH2O) 대비 도포된 석탄슬러리 최하부 수분양(ICH2O)의 비(SCH2O/ ICH2O)는 0 내지 0.5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온조건에서 점도값이 1000 내지 5000 cps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슬러리의 석탄의 평균입도는 35μm 내지 200 μm 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슬러리에는 석탄회,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슬러리의 석탄은 이탄(Peat), 아탄(Lignite), 갈탄(Brown Coal), 역청탄(Bituminous Coal), 무연탄(Anthracit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슬러리에는 표면응결강화를 위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슬러리의 석탄의 발열량은 5000 내지 7000 Kcal/kg 인 석탄저탄장의 자연발화 및/또는 소화용 석탄슬러리 조성물.
KR1020190069278A 2019-06-12 2019-06-12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KR2020014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78A KR20200142254A (ko) 2019-06-12 2019-06-12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278A KR20200142254A (ko) 2019-06-12 2019-06-12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254A true KR20200142254A (ko) 2020-12-22

Family

ID=7408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278A KR20200142254A (ko) 2019-06-12 2019-06-12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22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44B1 (ko) * 2021-03-29 2021-09-10 주식회사 블루오션에코 석탄의 자연발화 방지제 및 자연발화 방지방법
KR20230026867A (ko) * 2021-08-18 2023-02-27 황성규 석탄의 자연발화 방지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942B1 (ko) 2016-04-08 2016-09-26 (주)대우건설 비대칭 격벽형 실내 저탄장용 자연발화 방지 장치
KR101855853B1 (ko) 2011-06-17 2018-05-10 한국전력공사 배가스를 이용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시스템
KR101909587B1 (ko) 2016-07-22 2018-10-18 (주) 피플아이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 냉각볼
KR101941475B1 (ko) 2015-09-22 2019-01-25 한국전력공사 자연발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853B1 (ko) 2011-06-17 2018-05-10 한국전력공사 배가스를 이용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시스템
KR101941475B1 (ko) 2015-09-22 2019-01-25 한국전력공사 자연발화 방지제 및 이를 이용한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방법
KR101659942B1 (ko) 2016-04-08 2016-09-26 (주)대우건설 비대칭 격벽형 실내 저탄장용 자연발화 방지 장치
KR101909587B1 (ko) 2016-07-22 2018-10-18 (주) 피플아이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 냉각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44B1 (ko) * 2021-03-29 2021-09-10 주식회사 블루오션에코 석탄의 자연발화 방지제 및 자연발화 방지방법
KR20230026867A (ko) * 2021-08-18 2023-02-27 황성규 석탄의 자연발화 방지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42254A (ko)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US7695535B2 (en) Process for in-situ passivation of partially-dried coal
US4210423A (en) Solid fuel use in small furnaces
US6068671A (en) Coal drying method and equipment, method for aging reformed coal and aged reformed coal, and process and system for producing reformed coal
US5401364A (en) Process for treating noncaking, noncoking coal to form char with process derived gaseous fuel having a variably controllable calorific heating value
da Silva Alves et al. Recycling spent mushroom substrate into fuel pellets for low-emission bioenergy producing systems
KR101263143B1 (ko)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2263A (ko) 석탄저탄장 소화 및 발화억제를 위한 슬러리 분사장치 및 방법
JPS5974189A (ja) 低品位炭の安定化方法
KR101925882B1 (ko)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방법
JP3935553B2 (ja) 改質炭の熟成方法及び熟成改質炭
JP2020111724A (ja) 泡原液形態の多機能性有煙炭用自然発火抑制剤
US4518393A (en) Coal based cement cover for coal pile
JPS59227979A (ja) 粒状低品位石炭から低い自然発火性を有する乾燥粒状石炭燃料を製造する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装置
Liu et 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different distilled water, rainwater and seawater mass ratios on coal spontaneous combustion characteristics
Odeh et al. Coal pyrolysis: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two Southern Hemisphere demineralized bituminous coals
Hossfeld et al. PRB coal degradation: Causes and cures
KR101269391B1 (ko) 미분연료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77155A (ja) 石炭の自然発火防止方法および自然発火を防止した石炭混合燃料
KR102509196B1 (ko) 저탄장 자연발화 발생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Goldan et al. REDUCING OF SELF-HEATING COAL STOCKPILE FOR PREVENTION AN ENVIRONMENTAL HAZARD
LU500064B1 (en) Method for lowering the CO2 footprint of industrial operations using biomass
KR20210092405A (ko) 옥내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essman The spontaneous combustion of coal
JPS6012405A (ja) 堆積石炭の劣化防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