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143B1 -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143B1
KR101263143B1 KR1020120118319A KR20120118319A KR101263143B1 KR 101263143 B1 KR101263143 B1 KR 101263143B1 KR 1020120118319 A KR1020120118319 A KR 1020120118319A KR 20120118319 A KR20120118319 A KR 20120118319A KR 101263143 B1 KR101263143 B1 KR 10126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cashew nut
combustion
weight
nut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3143B9 (ko
Inventor
오재웅
Original Assignee
오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66598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631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웅 filed Critical 오재웅
Priority to KR1020120118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1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43B1/ko
Publication of KR10126314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143B9/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50/00Structural features of fuel components or fuel compositions, either in solid, liquid or gaseous state
    • C10L2250/06Particle, bubble or droplet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연료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캐슈넛 쉘(cashew nut shell)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캐슈넛 쉘을 일정 크기로 입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입도 조절된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COMBUSTION FUEL MIX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탄에 캐슈넛 쉘을 혼합한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이란 육상식물이나 수생식물이 퇴적되어 매몰된 후 화석으로 된 흑색 또는 갈색의 가연성 고체물질로, 여러 가지 식물이 치밀하게 경화되어 탄소분의 비중비가 50중량% 이상인 토탄질을 말한다. 석탄은 수목의 잔재가 퇴적된 후, 압력 및 미생물의 작용과 열에 의한 여러 단계의 점진적 진화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이와 같은 변화과정을 석탄화(Coalification) 또는 탄화(Carbonization)라고 하고 그 진행정도를 석탄화도 또는 탄화도라고 한다.
상기의 석탄화 과정을 다시 말하면, 태고의 식물질들이 생물학적 변화와 가압건류에 의해 탄산가스, 산소, 수분, 탄화수소 등을 방출하고 탄소가 풍부한 물질로 변하는 과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기 [표 1] 에서 탄화도가 진행될수록 탄소의 함량은 커지고 산소 함량은 작아지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표 1] Chemical Compositions of Wood, Peat and Various Coal
Figure 112012503141078-pat00001
석탄화도에 의한 석탄은 이탄, 아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 및 흑연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탄화도가 극히 작은 이탄과 거의 완전히 탄화된 흑연은 보통 제외되며 아탄과 갈탄은 같은 탄으로 간주되어 석탄의 범주에는 갈탄, 역청탄, 및 무연탄이 포함되며, 경우에 따라 비교적 탄화도가 떨어지는 역청탄을 아역청탄으로, 저탄화도의 무연탄을 반무연탄으로 세분하기도 한다.
상기 [표 1] 의 석탄분류 항목을 세분하여 설명하면, 먼저 갈탄(Lignite)은 이탄이 더욱 탄화된 것으로 수분이 40% 이상이며, 발열량은 4,600kcal/kg 이하, 휘발분은 50% 이상으로 높지만 CO2가 많아 연소 시 화염 온도는 낮다.
갈탄은 수분, 회분이 많고 발열량이 낮으며 산화가 잘되는 결점이 있지만 착화가 잘되며 연소속도가 빨라 가정용 또는 소규모 공업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다음은 아역청탄(Sub-Bituminous)으로 갈탄과 역청탄의 중간정도 탄화도를 가지며, 휘발분은 31% 이상, 발열량은 4,600~6,400kcal/kg 정도이고, 착화성이 좋고 연소성은 좋은 반면 대기 중에 방치하면 풍화되기 쉽다.
그리고, 역청탄(Bituminous)으로 석탄의 중요한 성질을 고루 가지고 있다. 수분은 비교적 낮은 편이고 고정탄소 86% 이하, 휘발분 14% 이상 발열량은 6,400kcal/kg 이상이다.
또, 무연탄(Anthracite)은 석탄 중 탄화가 가장 많이 된 것으로 보통 고정탄소 86% 이상, 휘발분 14% 이하이며, 발열량은 시대와 생성조건에 따라 4,000~7,000kcal/kg 정도로 차이가 크다. 휘발분이 작아 연소 시 매연발생량은 낮으나 착화가 어려워 미연탄소분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연소시 노내 체류시간을 충분히 유지시켜 주어야 하고 화염안정용 보조연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에 기술된 탄화도에 따른 석탄의 특성을 요약해보면, 탄화도 진행이 덜 할수록 휘발분이 높아 연소성이 좋으나 매연발생이 많고, 고정탄소 함량이 낮아 발열량은 작은 것이 특징이다. 이와 반대로 탄화도가 진행된 탄일수록 고정탄소의 함량이 높아져 발열량이 높고 휘발분이 낮아져 매연발생은 낮아지나 연소성이 나빠져 석탄이 잘 타지 않아 미연탄소가 다량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고체연료인 석탄의 연소 과정은 석탄이 일정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분해하기 시작하여 휘발성 가스를 방출하며 이것이 공기와 혼합되면서 우선적으로 확산연소 되고, 남아있는 잔여탄소(고정탄소)가 표면연소를 하게 된다. 여기서, 확산 연소는 발생된 휘발성 가스 외측에 공기를 확산(공급)시켜 연소되는 것을 확산 연소라 한다. 이와 같이, 가스와 공기를 미리 혼합하지 않고 가연성 가스에 공기를 확산시켜 연소하는 것을 확산연소라 부른다. 또, 석탄에서 휘발분이 방출되면 고정탄소만 남게 되는데, 이 때 공기가 탄소의 표면에 접하게 되면, 그 표면에서 연소가 일어나게 된다. 이를 표면연소라 부르며, 숯(char)연소가 대표적인 예이다.
여기서, 상기 석탄 휘발분의 확산연소는 가스 상의 물질인 탄소수가 작은 탄화수소이기 때문에 착화성이 좋고 연소속도가 대단히 빨라 연소성이 좋다. 반면, 고정탄소의 표면연소는 고체연료로서 착화성이 불량하며 연소속도가 느려 연소성이 나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석탄의 휘발분 함량이 높을 경우, 연소성이 양호한 휘발분의 확산연소에서 얻어진 에너지는 연소성이 불량한 고정탄소 표면연소를 돕기 때문에 석탄 전체 연소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석탄의 연소이론에서 휘발분이 연소를 도와 연소성을 향상시키고는 있지만, 화석연료 중에 연소성이 가장 불량한 것은 고체 연료인 석탄연료이다. 화석연료는 통상적으로 기체연료, 액체연료, 고체연료로 대별되는데, 기체연료는 LNG, LPG 등이 대표적이고, 액체연료는 원유를 정제해서 만드는 석유류 등이며, 고체연료는 석탄이다.
여기서, 기체연료는 탄화수소의 탄소개수가 약 6개 이하로 그 크기가 작고 가스상의 물질로 존재하기 때문에 공기와의 혼합이 빨라 연소반응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진다. 액체연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탄소 개수가 10~25개로 비교적 작으며 가열 증발되면 기체연료와 동일한 거동을 나타내므로 연소성이 비교적 좋다. 반면, 고체연료인 석탄의 탄화수소 구조는 탄소 수가 수십 내지 수천 개로 구성되어 있고, 큰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석탄에 붙어있던 휘발분이 증발되어 나오면 고정탄소만 남아 표면연소로 연소가 진행되기 때문에 연료 중 연소성이 가장 불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석탄을 연소하게 되면 연소성이 불량하여 석탄재 중에 타지 않고 존재하는 미연탄소가 다량 포함되는 것이다. 이러한 석탄의 연소성 불량을 해결하기 위해 현장에서는 보일러 내에 석탄 체류시간을 늘리고 석탄을 미분하여 투입하는 등 여러 가지 기술적인 문제를 보완하고 있으나 그 실효성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서리가 내리지 않는 온화한 열대 또는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캐슈넛(cashew nut)나무에 열리는 견과류는 딱딱한 껍질에 싸인 땅콩과 같은 모습을 지니고 있다. 상기 견과류의 열매는 딱딱한 껍질을 말린 후 알맹이를 꺼내야 먹을 수 있는 캐슈넛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식용으로 이용하는 캐슈넛을 감싸고 있던 껍질은 통칭 캐슈넛 쉘이라 칭하며 그 두께는 약 3mm정도이며 어두운 갈색 점성을 가진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는 곰보 구조이다.
상기 캐슈넛 쉘에는 지방족 탄화수소 계열 식물성 오일이 약 30~35% 정도 포함되어 있으며, 캐슈넛 쉘에서 착유된 오일의 발열량은 약 9,000kcal/kg으로 일반 경유의 발열량과 거의 동등하다. 또, 착유하지 않은 원료 캐슈넛 쉘의 발열량은 약 6,000kcal/kg 전후이고, 착유 후의 캐슈넛 쉘 또한 5,000kcal/kg 정도로 일반 목질류 바이오매스 재료의 발열량 3,000~4,500kcal/kg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오매스는 목질류로서 가공하지 않은 경우에는 3,000~3,800kcal/kg 정도의 열량을 가지며, 건조 또는 압축과정을 거친 경우에는 4,000~4,500kcal/kg 정도의 열량을 가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현재, 석탄을 연료로 에너지를 얻고 있는 현장에서는 값싼 연료를 대량으로 구입할 수 있는 석탄연료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석탄연료의 연소성 불량으로 많은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값싸고 풍부한 석탄연료를 사용함에 있어 기술적 경제적 어려움 극복이 필요한 현 시점을 감안 할 때 캐슈넛 쉘을 이용한 석탄의 연소성 향상 방법의 개발은 절실하고도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캐슈넛 쉘(cashew nut shell)을 건조 후 입도 조절하여 석탄의 연소 용도에 따라 일정량을 혼합함으로써, 캐슈넛 쉘 지방족 오일의 양호한 연소성을 이용하여 석탄연료 연소성 불량을 해결하고 환경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는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연료 혼합물의 제조방법은, 캐슈넛 쉘(cashew nut shell)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캐슈넛 쉘을 일정 크기로 입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입도 조절된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캐슈넛 쉘과 석탄의 혼합비는 캐슈넛 쉘 0.01~50중량%, 석탄 50~99.99중량%이거나, 또는 캐슈넛 쉘 0.01~99.99중량%, 석탄 0.01~9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캐슈넛 쉘의 입도 조절되는 크기는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슈넛 쉘 0.01~50중량%, 석탄 50~99.99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캐슈넛 쉘 0.01~99.99중량%, 석탄 0.01~99.99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석탄과 혼합되는 상기 캐슈넛 쉘의 크기는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여 연소함으로써, 캐슈넛 쉘에 포함된 지방족 탄화수소계 오일의 양호한 연소성을 이용하여 석탄연료의 고정탄소 연소성을 향상시켜 석탄연소의 최대 기술적 결함을 극복함과 동시에 풍부한 에너지원의 확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석탄 연소에 따른 질소 및 황산화물의 환경오염 물질 경감에도 기여할 수 있어, 향후 석탄 연료를 사용함에 있어 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경쟁력 확보에 적극 대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연소 연료 혼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슈넛 쉘(cashew nut shell)을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캐슈넛 쉘을 50mm 이하의 크기로 입도 조절하는 단계와, 입도 조절된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첫째 단계는 캐슈넛 쉘(cashew nut shell)을 건조하는 단계로, 목적은 캐슈넛 쉘이 석탄 연소에 방해인자로 작용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설명하면, 캐슈넛 쉘에 수분이 다량 포함될 경우, 오히려 석탄보다 발열량이 낮아 석탄 연소에 방해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따라서, 캐슈넛 쉘에 포함된 수분을 건조시켜 발열량 4,500kcal/kg 이상으로 만들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석탄의 발열량과 동등하거나 또는 높은 수준으로 조정한다. 단, 원료 캐슈넛 쉘의 발열량이 4,500kcal/kg 이상일 경우, 상기 공정은 생략해도 무방하다.
또, 상기 건조에 사용되는 캐슈넛 쉘은 오일 착유하기 전과 오일 착유 후의 캐슈넛 쉘 모두를 포함한다. 그 이유는 착유 후에도 캐슈넛 쉘에는 오일의 상당량이 남아 있어 발열량이 3,500kcal/kg 정도인 목질류 보다 월등히 높은 5,000kcal/kg을 상회하고 있기 때문이다. 좀 더 부연 설명하면, 착유 전 캐슈넛 쉘에는 지방족 탄화수소계인 식물성 오일이 약 30~35중량% 들어 있어 약 6,000kcal/kg 정도의 양호한 열량을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착유 후에도 오일이 약 10~15중량% 함유하여 약 5,000kcal/kg 정도의 양호한 열량을 보유하고 있어 석탄 고정탄소의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지방족 탄화수소계인 오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단계는 상기 건조되어 발열량이 상향조정된 캐슈넛 쉘을 50mm 이하의 크기로 입도를 조절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의 목적은 캐슈넛 쉘의 운반 또는 연소로 투입 등의 작업과정에서 막힘성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저장조에서 캐슈넛 쉘을 인출할 때 호퍼 등의 인출설비에 막히는 것을 완화하기 위한 공정으로, 캐슈넛 쉘 오일 착유 후 상호간 자체 오일의 점착력으로 제어하기 곤란한 크기로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캐슈넛 쉘 오일은 공기 중에 방치하면 굳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오일이 대부분 굳어져 딱딱하게 되었을 경우 적당한 충격을 주어 다시 입도를 50mm 이하의 크기로 조쇄한다.
다음 단계로는 상기 건조하고 입도 조절된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는 캐슈넛 쉘에 포함된 발열량 높은 식물성 오일을 석탄에 혼합시켜 연소성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캐슈넛 쉘에 포함된 식물성 오일은 약 3mm정도의 쉘 두께 내부에 다공성의 스폰지같은 곰보 구조에 들어있어 액체의 거동을 보이지 않아 고체연료인 석탄과 혼합하기에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 혼합비율은 석탄 연소방법에 따라 달라지는데, 미분탄 연소방식의 경우는 캐슈넛 쉘 0.01~50.00중량%, 석탄 50.00~99.99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유동층 연소방식의 경우에는 캐슈넛 쉘 0.01~99.99중량%, 석탄 0.01~99.99중량%의 비율로 혼합한다. 여기서, 미분탄 연소방식이 유동층 연소방식보다 캐슈넛 쉘의 중량%를 작게 혼합하는 이유는 미분탄 연소방식은 노내 체류시간과 연소시간이 짧아 기화온도가 낮은 캐슈넛 쉘 오일이 한꺼번에 다량으로 기화하면 연소용 공기와의 접촉기회가 작아 타지 않고 연돌로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와 반대로 유동층 연소방식은 연료가 모두 연소할 때까지 연료가 노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소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혼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연소방식에 따라 캐슈넛 쉘과 석탄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는 이유는 석탄 연소방식의 연료 체류시간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체류시간이 짧은 미분탄 연소방식이 체류시간이 긴 유동층 연소방식에 비해 캐슈넛 쉘 혼합율을 작게 하여 짧은 연소시간 내에 캐슈넛 쉘 오일과 공기와의 순간적인 불균형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연소되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캐슈넛 쉘을 석탄에 혼합하여 석탄의 연소성을 향상시키는 재료로 선택 사용하는 중요한 물리적 이유로는 캐슈넛 쉘은 작은 세포 기공에 오일이 들어있어 오일이 액체의 거동을 하지 않고 고체와 같은 거동을 보이고 있어, 고체 상태인 석탄과의 혼합이 수월한 구조로서 캐슈넛 쉘과 석탄의 혼합이 한층 용이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연소 연료 화합물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연소 연료 화합물은 연소로에 투입되어 연소되고, 이로써 연소성이 불량한 석탄 연료의 연소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술한 내용에서 석탄연료는 휘발분보다 고정탄소 비율이 높으며, 탄소개수가 수십 내지 수천개로 분자가 구성되어 있어 연소성이 다른 연료에 비해 현저히 불량함을 기술하였다. 현재, 석탄에 포함된 휘발분이 석탄의 연소성을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고는 있으나, 일부 석탄에는 휘발분이 소량 함유하고 있어 석탄의 연소성이 불량할 뿐만 아니라, 휘발분이 다량 들어있는 석탄일지라도 석탄 중의 휘발분 특성상 연소성을 크게 향상시키지 못하는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석탄의 휘발분은 대부분이 방향족 탄화수소로 구성되어 있어 지방족 탄화수소에 비해 연소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그 이유로 첫째, 방향족 탄화수소의 구성은 탄소와 수소의 함유율 중 탄소함유율이 지방족 탄화수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탄소는 수소에 비해 연소성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방향족은 지방족에 비해 탄소간의 결합력이 강해 연소할 때 불완전 연소되어 그을음을 많이 발생하는 등 지방족에 비해 연소성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 두 번째 이유로는 석탄 휘발분은 카복실기(COOH)가 다량 포함되어 있어 연소시 카복실기의 CO2 다량발생으로 발열량이 적고 불꽃의 휘도와 화염온도가 낮아 고정탄소의 연소성을 증진시키는데 지방족 탄화수소계열의 오일보다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탄 휘발분은 석탄 고정탄소의 연소성을 개선하기는 하지만 그 효과는 지방족 탄화수소에 비해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상기 케슈넛 쉘을 혼합한 석탄을 연소하는 경우 캐슈넛 쉘에 함유된 식물성 오일이 석탄의 고정탄소 연소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그 이유로서 캐슈넛 쉘 오일은 약 70~80%가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연소성이 방향족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지방족 탄화수소의 구성을 살펴보면 탄소와 수소함유율 중 방향족에 비해 수소의 함유율이 높다. 따라서, 발열량이 높으며 연소성이 양호한 수소의 우선 연소로 주위 연소성이 불량한 탄소연료들에게 연소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상대적으로 많이 공급할 뿐만 아니라, 원소 구성비에서 상대적으로 탄소 함유율도 낮고 탄소간의 결합력도 방향족에 비해 약해, 불완전 연소되는 탄소의 감소로 더욱 더 에너지 방출이 크게 된다. 또 석탄 휘발분에 비해 카복실기 함량이 작아 발열량이 높고 불꽃 휘도와 화염온도가 높아 석탄 고정탄소 표면연소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로 캐슈넛 쉘에 포함된 식물성 오일이 석탄의 휘발분보다 석탄 고정탄소 연소성을 개선시키는데 월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성이 불량한 석탄에 지방족 탄화수소로 구성된 캐슈넛 쉘을 혼합하여 연소함으로 석탄연료의 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캐슈넛 쉘에는 황과 질소성분이 석탄에 비해 일반적으로 극히 미량 들어있다. 따라서, 캐슈넛 쉘을 혼합하여 연소할 경우 대기로 방출되는 황 및 질소 산화물의 감소로 석탄 연소로 인한 대기환경오염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도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 공정을 통하여 석탄의 고정탄소 연소성을 개선하여 석탄재 중에 타지 않고 배출되는 석탄 성분인 미연탄소분을 감소시켜 경제적 이익 도모는 물론 석탄 연소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며, 석탄 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적 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여 연소함으로써, 캐슈넛 쉘에 포함된 지방족 탄화수소계 오일의 양호한 연소성을 이용하여 석탄연료의 고정탄소 연소성을 향상시켜 석탄연소의 최대 기술적 결함을 극복함과 동시에 풍부한 에너지원의 확보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석탄 연소에 따른 질소 및 황산화물의 환경오염 경감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캐슈넛 쉘(cashew nut shell)을 4,500kcal/kg이상으로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캐슈넛 쉘을 일정 크기로 입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입도 조절된 캐슈넛 쉘을 석탄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슈넛 쉘과 석탄의 혼합비는 미분탄 연소용인 경우 캐슈넛 쉘 0.01~50중량%, 석탄 50~9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슈넛 쉘과 석탄의 혼합비는 유동층 연소용인 경우 캐슈넛 쉘 0.01~99.99중량%, 석탄 0.01~99.99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슈넛 쉘의 입도 조절되는 크기는 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의 제조 방법.
  5. 캐슈넛 쉘 0.01~50중량%, 석탄 50~99.99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
  6. 캐슈넛 쉘 0.01~99.99중량%, 석탄 0.01~99.99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석탄과 혼합되는 상기 캐슈넛 쉘의 크기는 5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연료 화합물.
KR1020120118319A 2012-10-24 2012-10-24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19A KR101263143B1 (ko) 2012-10-24 2012-10-24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319A KR101263143B1 (ko) 2012-10-24 2012-10-24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143B1 true KR101263143B1 (ko) 2013-05-15
KR101263143B9 KR101263143B9 (ko) 2023-12-07

Family

ID=48665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319A KR101263143B1 (ko) 2012-10-24 2012-10-24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1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44B1 (ko) * 2014-05-23 2015-07-06 박우상 합성수지 폐기물과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형 연료
KR20160064945A (ko) 2014-11-28 2016-06-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캐슈넛 쉘 오일의 회분 저감 및 산화안정성 향상 방법
KR101635974B1 (ko) * 2015-10-05 2016-07-06 주식회사 이지앤씨코리아 캐슈넛을 이용한 연료용 펠릿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료용 펠릿
JP3207830U (ja) * 2016-09-05 2016-12-08 武 荒川 植物性固形燃料
KR101761684B1 (ko) 2016-09-13 2017-07-26 (주)메가바이오테크 오일성분을 분리하고 폐기되는 캐슈넛껍질 폐기물을 주재료로 이용한 친환경 연료조성물 및 연료펠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0574A1 (en) 1998-06-30 2000-01-06 Duquesne Energy, Inc. Coal-based pelletized fue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0574A1 (en) 1998-06-30 2000-01-06 Duquesne Energy, Inc. Coal-based pelletized fue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44B1 (ko) * 2014-05-23 2015-07-06 박우상 합성수지 폐기물과 슬러지를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및 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형 연료
KR20160064945A (ko) 2014-11-28 2016-06-0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캐슈넛 쉘 오일의 회분 저감 및 산화안정성 향상 방법
KR101635974B1 (ko) * 2015-10-05 2016-07-06 주식회사 이지앤씨코리아 캐슈넛을 이용한 연료용 펠릿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료용 펠릿
JP3207830U (ja) * 2016-09-05 2016-12-08 武 荒川 植物性固形燃料
KR101761684B1 (ko) 2016-09-13 2017-07-26 (주)메가바이오테크 오일성분을 분리하고 폐기되는 캐슈넛껍질 폐기물을 주재료로 이용한 친환경 연료조성물 및 연료펠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143B9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1459B2 (en) System for production of a renewable liquid fuel
US113458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renewable liquid fuel
Wang et al. Assessment of combustion and emission behavior of corn straw biochar briquette fuels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KR101263143B1 (ko) 연소 연료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Valix et al. Combustion of thermochemically torrefied sugar cane bagasse
Vershinina et al. Impact of environmentally attractive additives on the ignition delay times of slurry fuels: Experimental study
US9758738B2 (en) Green renewable liquid fuel
Ozgur et al. Thermal analysis of co-firing of oil shale and biomass fuels
Wu et al. Characteristics and synergistic effects of co-firing of coal and carbonaceous wastes
García et al. Residual pyrolysis biochar as additive to enhance wood pellets quality
Kizuka et al. Improvement of biomass fuel properties for rice straw pellets using torrefaction and mixing with wood chips
Kim et al. Heating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briquettes developed from spent coffee grounds
Marganingrum et al. Value increasing of reject coal with biomass adding as bio-coal briquette
KR101925882B1 (ko) 저탄장 자연발화 방지방법
RU2008149215A (ru) Система топлив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Dorokhov et al. Thermogravimetric, kinetic study and gas emissions analysis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waste-derived fuels
GB2562557A (en) Slurry fuel suspens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Xing et al. Co-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kinetic analyses of biomass briquette and municipal solid waste in N2/O2 and CO2/O2 Atmospheres
KR101269391B1 (ko) 미분연료 및 그 제조 방법
Larina et al. Investigation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ixed Fuel of Biomass and Coal Sludge.
Peng et al. Co-combustion interactions between teak sawdust and sewage sludge with additives
Patabang et al. Co-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ow-rank coal mixed with candlenut shell by using Thermogravimetry analysis-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JP2006077155A (ja) 石炭の自然発火防止方法および自然発火を防止した石炭混合燃料
Jeguirim et al.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tomato wastes
Asof et al. Characteristics of Char from Low-Rank Coal Gas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19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414

Effective date: 20210104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119;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1015

Effective date: 20220223

J203 Request for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invalidation of limit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814; TRIAL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186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215

Effective date: 202209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081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OF CORRECTION REQUESTED 20220323

Effective date: 20221121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30001078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006

Effective date: 202301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30000022;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410

Effective date: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