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062A -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062A
KR20200142062A KR1020207032686A KR20207032686A KR20200142062A KR 20200142062 A KR20200142062 A KR 20200142062A KR 1020207032686 A KR1020207032686 A KR 1020207032686A KR 20207032686 A KR20207032686 A KR 20207032686A KR 20200142062 A KR20200142062 A KR 20200142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width
terminal device
failure recovery
beam failure
avai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펭 구안
레이 첸
시통 유안
시 장
디 장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42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은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동작 대역폭이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전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본원은,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2018년 5월 11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810451394.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원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5세대(5th-Generation, 5G)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저주파(예를 들어, 6 GHz보다 낮은 주파수) 통신은 늘어나는 통신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없다. 따라서, 고주파(예를 들어, 6 GHz보다 높은 주파수)(high frequency, HF) 통신이 학계와 산업계 양쪽에서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HF 신호의 에너지가 공간에서 빠르게 감쇠하기 때문에, HF 신호는 침투 능력이 약하고, HF 신호의 신호 경로 손실은 저주파 신호의 신호 경로 손실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HF 시스템의 통달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측에서의 이득을 이 손실을 보상하는 데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HF 시나리오에서는 신호 파장이 짧고 안테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대량 MIMO(Massive-MIMO) 기술이 HF 시나리오에 적용하기에도 더욱 적합하다. 대량 MIMO 기술을 통해, 네트워크 디바이스 측과 같은 전송 측에서는 에너지가 더욱 집중된 전송 빔이 디지털 및/또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형성되어 시스템 통달 범위를 보장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 측과 같은 수신 측에서도 에너지가 더욱 집중된 수신 빔이 형성되어 수신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빔(beam)-기반 통신에 의하면, 안테나 이득이 더 높아질 수 있고, 고주파 신호의 빠른 감쇠 문제가 극복될 수 있다. 그러나, 빔-기반 통신은 차단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해 신호 간섭을 야기할 수 있다. 기존의 프로토콜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 및 단말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를 수행해서 신호 간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프로토콜에서의 빔 실패 복구는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이 고정된 경우에 수행되었고, 종래기술에서는 빔 실패 복구에 대한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 전환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가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어떻게 전환할 것인지가 시급한 해결 과제로 되고 있다.
본원은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전환하기 위한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는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전환하는 해법을 제공하고, 이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가 해결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수신되는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취득된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에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빔 실패 복구가 제1 대역폭에서 먼저 수행되고, 빔 실패 복구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정상적인 통신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된다.
대안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이 전환될 필요가 있고, 동작 대역폭이 더 이상 제1 대역폭이 아니기 때문에,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경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가 중지될 수 있으며, 제1 대역폭이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 동작 대역폭이 전환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기존의 방법에 따라 제2 대역폭에서의 서빙 빔의 품질을 재평가 및 재검출할 수 있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를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빔 실패 복구가 제1 대역폭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더라도, 즉,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더라도,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르고,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은 제1 대역폭과 연관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이 상대적으로 양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BWP #x에서의 빔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BWP #y에서의 빔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BWP #y로의 전환 이후에, UE가 서빙 빔의 품질을 재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바로 중지되고,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
대안으로서: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빔 실패 복구가 제1 대역폭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고, 즉,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고,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은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작 대역폭이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 후에도,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바로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므로, 제1 대역폭에서 완료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의 일부가 제2 대역폭에서 다시 수행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고, 제2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시간이 감소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하나의 빔 실패 인스턴스(BFI)를 검출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time window), 및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카운터 및/또는 제1 시간창을 유지하고,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를 검출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실패한 빔은 제2 대역폭에서는 가용 빔이고;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후보 빔 세트의 제1 서브세트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 제1 서브세트는 제2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 세트에 실패한 빔 이외의 빔을 포함함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요청(BFRQ)을 송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하기 시작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된다.
제1 양태를 참조하면, 제1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
제2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생성―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 전환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송신―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전환하고, 이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가 해결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을 사용해서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SSB는 제2 대역폭에서 운반되고, 제2 대역폭에서의 SSB 및 DL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SSB는 제3 대역폭에서 운반되고, 제2 대역폭에서의 SSB 및 DL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3 대역폭은 미리 정의된 대역폭, 미리 설정된 레이블을 가진 대역폭, 또는 미리 설정된 ID를 가진 대역폭이다.
제3 양태를 참조하면, 제3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 구성 정보는 QCL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2 대역폭에서 SSB 및 DLRS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대역폭은 SSB를 사용해서 측정되고, 이로써 제2 대역폭에 빔 검출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해결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 가용 빔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단계;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양태를 참조하면, 제4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후보 빔들에 제1 대역폭의 빔 및 제2 대역폭의 빔이 포함된다는 것을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용 빔은 복수의 대역폭의 빔들을 검사하는 것에 의해 발견되므로, 가용 빔의 발견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제5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다운링크 빔)을 검출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4 대역폭의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소스를 사용해서 BFRQ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4 대역폭은 미리 정의된 대역폭, 미리 설정된 레이블을 가진 대역폭, 또는 미리 설정된 ID를 가진 대역폭이다.
제5 양태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기준 신호(RS)와 RACH 리소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5 양태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구현에에 있어서,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에서의 RS와 제4 대역폭에서의 RS 사이의 QCL 관계를 구성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제5 양태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다운링크 빔이다.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다운링크 빔과 제4 대역폭의 업링크 빔 사이의 연관 관계를 구성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제5 양태를 참조하면, 제5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4 대역폭의 다운링크 빔을 사용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송되는 BFRQ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현재의 대역폭에 업링크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때문에 빔 실패 복구 요청이 송신될 수 없다는 문제는 다른 대역폭에서 BFRQ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제6 양태에 따르면, 통신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대역폭 쌍의 다운링크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을 수행하고, 가용 빔을 검출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대역폭 쌍의 업링크 대역폭을 사용해서 BFRQ를 송신하고, 다운링크 대역폭에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 각각의 대역폭 쌍은 업링크 대역폭 및 다운링크 대역폭을 포함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6 양태를 참조하면, 제6 양태의 구현예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대역폭 쌍을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BWP 쌍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고, 각각의 BWP 쌍은 상응하는 업링크 BWP 및 상응하는 다운링크 BWP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BFD RS, 후보 빔 RS, 및 BFRQ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은 BWP 쌍 중 다운링크 BWP를 사용해서 검출되고, BFRQ는 업링크 BWP를 사용해서 송신된다. 이렇게, 업링크 BWP와 다운링크 BWP 사이의 미스매칭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제8 양태에 따르면, 제2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제9 양태에 따르면,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트랜시버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트랜시버,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트랜시버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2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1 양태 및 제3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4 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2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2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구현된다.
제15 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처리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코드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코드를 실행하여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에 따른 방법 또는 제1 양태 내지 제6 양태의 가능한 구현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을 수행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15 양태에서 관련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프로세스는 프로세서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으며,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는 프로세서에 의해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에 의해 출력되는 데이터는 송신기에 출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수신되는 입력 데이터는 수신기로부터의 데이터일 수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를 총괄하여 트랜시버라고 할 수 있다.
제15 양태에 따른 처리 장치는 칩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를 하드웨어를 사용해서 구현할 경우에는, 프로세서가 로직 회로, 집적 회로 등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를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구현할 경우에는, 프로세서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고,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코드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구현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고, 프로세서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제16 양태에 따르면,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시나리오의 개략도이고;
도 2는 BWP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원에 따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원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원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원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8은 본원에 따른 다른 통신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고;
도 9는 본원에 따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0은 본원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원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12는 본원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기술적인 해법을 설명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의 설명은 특정 통신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은 엔알(new radio, NR) 시스템과 같은 5세대(5th generation, 5G) 통신 시스템이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5G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예를 들어, NR 시스템에서의 전송 지점(TRP 또는 TP), NR 시스템에서의 gNB, NR 시스템에서의 원격 무선 유닛과 같은 무선 주파수 유닛, 또는 5G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하나의 안테나 패널 또는 일군의 안테나 패널(복수의 안테나 패널을 포함함)일 수 있다. 상이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셀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셀들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부 배치에 있어서, gNB는 중앙집중형 유닛(centralized unit, CU) 및 분산형 유닛(distributed unit, DU)을 포함할 수 있다. gNB는 무선 주파수 유닛(radio frequency unit, RFU)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U가 gNB의 일부 기능을 구현하고, DU가 gNB의 일부 기능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CU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의 기능을 구현하고, DU는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계층, 및 물리(physical, PHY)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RRC 계층에서의 정보는 궁극적으로 PHY 계층에서의 정보로 변환되거나, 또는 PHY 계층에서의 정보로부터 변환된다. 따라서, 이 아키텍처에서, RRC 계층 시그널링 또는 PHCP 계층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은 DU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또는 DU 및 RU에 의해 송신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CU 노드일 수 있거나, DU 노드일 수 있거나, 또는 CU 노드 및 DU 노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CU는 액세스 네트워크(RA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분류될 수 있거나, 또는 CU는 코어 네트워크(CN)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단말 디바이스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가입자 지국, 이동국, 모바일 콘솔, 원격 지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휴대폰, 코드리스 폰,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폰,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처리 장치, 차량-탑재형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 5G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디바이스, 또는 장래의 진화된 공중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웨어러블 지능형 디바이스라고 할 수도 있으며, 지능형 디자인의 일상복에 웨어러블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개발된 안경, 장갑, 시계, 의복, 및 신발과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몸에 직접 착용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의복 또는 장신구에 통합되는 휴대용 디바이스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넘어, 소프트웨어 지원, 데이터 교환, 및 클라우드 상호작용을 통해 강력한 기능을 구현한다. 일반적인 웨어러블 지능형 디바이스는,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안경과 같이, 스마트폰에 의존하지 않고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능 및 대형 디바이스, 및 신체 증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스마트 밴드 또는 스마트 주얼리와 같이, 한 가지 응용 타입에만 주력하며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와 함께 작동할 필요가 있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전술한 통신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LTE 시스템 및 5G와 같은 진화된 후속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시분할 다중 액세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또는 단일-반송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와 같은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채널 정보 피드백이 필요하거나 및/또는 2-단계 프리코딩 기술이 적용되는 시나리오, 예를 들어, 대량 어레이 안테나(mass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assive MIMO) 기술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분산형 안테나 기술이 적용되는 무선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원의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100)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 및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16) 및 단말 디바이스(12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02)는 단말 디바이스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코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동기화 신호, 브로드캐스트 신호 등을 검색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 예를 들어,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는 복수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은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104 및 106)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안테나 그룹은 안테나(108 및 110)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그룹은 안테나(112 및 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각 안테나 그룹당 2 개의 안테나를 도시하고 있지만, 각 그룹은 더 많거나 적은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는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송신기 체인 및 수신기 체인이 모두 신호 송신 및 수신과 관련되는 복수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프로세서, 변조기, 멀티플렉서, 복조기, 디멀티플렉서, 또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는 복수의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116) 및 단말 디바이스(122))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는 단말 디바이스(116 또는 122)와 유사한 임의의 수량의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6)는 안테나(112 및 114)와 통신한다. 안테나(112 및 114)는 순방향 링크(118)를 사용해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116)에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0)를 사용해서 단말 디바이스(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122)는 안테나(104 및 106)와 통신한다. 안테나(104 및 106)는 순방향 링크(124)를 통해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122)에 송신하고, 역방향 링크(126)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순방향 링크(118)가 역방향 링크(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가 역방향 링크(126)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및 전이중(full duplex) 시스템에서는, 순방향 링크(118) 및 역방향 링크(120)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순방향 링크(124) 및 역방향 링크(126)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통신을 위해 설계된 각각의 안테나 그룹 및/또는 영역을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의 섹터라고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그룹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의 통달 범위 내의 섹터에서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가 제각기 순방향 링크(118 및 124)를 사용해서 단말 디바이스(116 및 122)와 통신하는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의 전송 안테나는 빔 형성(beamforming)을 통해 순방향 링크(118 및 124)의 신호 대 잡음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가 단일의 안테나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의 모든 단말 디바이스에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가 관련 통달 범위에 무작위로 분포된 단말 디바이스(116 및 122)에 빔 형성을 통해 신호를 송신할 경우, 이웃하는 셀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간섭을 받게 된다.
정해진 시간에,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102), 단말 디바이스(116), 또는 단말 디바이스(122)는 무선 통신 송신 장치 및/또는 무선 통신 수신 장치일 수 있다. 데이터의 송신시에, 무선 통신 송신 장치는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송신 장치는 채널을 통해 무선 통신 수신 장치에 송신될 특정 수량의 데이터 비트를 취득(예를 들어, 생성,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 또는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비트는 데이터의 전송 블록(또는 복수의 전송 블록)에 포함될 수 있고, 전송 블록은 분할되어 복수의 코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공중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LMN), 디바이스-대-디바이스(device to device, D2D) 네트워크, 기계-대-기계(machine to machine, M2M)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다. 도 1은 단지 이해의 편의를 위해 단순화된 개략도의 실시예일 뿐이며,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프로토콜에서의 빔 실패 복구는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이 고정된 경우에 수행되고, 종래기술에서는 빔 실패 복구에 대한 동작 대역폭 전환의 영향이 고려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는, 동작 대역폭을 전환하는 방법이 결정될 수 없다.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단말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어떻게 전환하는지에 대한 해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어떻게 전환하는지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고, 이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가 해결된다.
이해 및 설명의 편의상,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아래에서는, 본원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의 실행 프로세스 및 실행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방법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일부 개념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QCL 관계는 복수의 리소스가 하나 이상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통신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QCL 관계를 갖는 복수의 리소스에 대하여, 동일한 또는 유사한 통신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안테나 포트가 QCL 관계를 가지면, 1 개의 포트가 심볼을 전송하는 대규모 채널 특성은 다른 포트가 심볼을 전송하는 대규모 채널 특성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대규모 특성은 지연 확산, 평균 지연, 도플러(Doppler) 확산, 도플러 주파수 편이, 평균 이득, 수신 파라미터, 단말 디바이스의 수신 빔 번호, 송신/수신 채널 상관관계, 도래각, 수신기 안테나의 공간 상관관계, 지배적인 도래각(angle-of-arrival, AoA), 평균 도래각, AoA 확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의사-동일-위치(quasi-co-location) 표시를 사용해서 QCL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사-동일-위치 표시는 적어도 2 개의 안테나 포트 그룹이 의사-동일-위치 관계를 갖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의사-동일-위치 표시는 적어도 2 개의 안테나 포트 그룹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이 동일한 전송 지점으로부터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거나; 또는 의사-동일-위치 표시는 적어도 2 개의 안테나 포트 그룹에 의해 송신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들이 동일한 빔 그룹으로부터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등이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빔을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라고 할 수도 있으며, 송신 빔을 공간 도메인 송신 필터라고 할 수도 있고, 수신 빔을 공간 도메인 수신 필터라고 할 수도 있다.
빔 표시 정보는 빔 번호, 다운링크 신호 리소스 번호, 빔의 절대 인덱스, 빔의 상대 인덱스, 빔의 논리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안테나 포트 그룹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신호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동기화 신호 블록의 시간 인덱스, 빔 페어 링크(beam pair link, BPL) 정보, 빔에 대응하는 송신 파라미터(Tx parameter), 빔에 대응하는 수신 파라미터(Rx parameter), 빔에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 빔에 대응하는 가중 매트릭스, 빔에 대응하는 가중 벡터, 빔에 대응하는 수신 가중치, 빔에 대응하는 송신 가중치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가중 매트릭스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가중 벡터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수신 가중치의 인덱스, 빔에 대응하는 수신 코드북, 빔에 대응하는 송신 코드북, 빔에 대응하는 수신 코드북의 인덱스, 및 빔에 대응하는 송신 코드북의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셀-특정 기준 신호(cell specific reference signal, CS-RS), 및 UE-특정 기준 신호(user equipment specific reference signal, US-R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QCL(quasi-co-location) 식별자를, 주파수 리소스 그룹과 연관되는 빔들 중에 QCL 관계를 갖는 빔들에 더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빔은 통신 리소스로 간주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빔은 넓은 빔(wide beam), 좁은 빔(narrow beam), 또는 다른 타입의 빔일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 빔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은 빔 형성 기술 또는 다른 기술적인 수단일 수 있다. 빔 형성 기술은 구체적으로 디지털 빔 형성 기술, 아날로그 빔 형성 기술, 또는 디지털/아날로그 혼합 빔 형성 기술일 수 있다. 상이한 빔들은 상이한 리소스들로 간주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상이한 빔들을 사용해서 동일한 정보 또는 상이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유사한 통신 기능을 갖는 복수의 빔은 하나의 빔으로 간주될 수 있다. 하나의 빔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채널, 제어 채널, 음향 신호 등을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송신 빔은 신호가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후에 공간에서 상이한 방향들로 형성되는 신호 강도 분포일 수 있고, 수신 빔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공간에서 상이한 방향들에 있어서의 신호 강도 분포일 수 있다. 하나의 빔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포트는 하나의 안테나 포트 세트로서 간주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빔은 대안으로서 프로토콜에서 공간 도메인 필터(공간 필터)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대역폭은 연속적인 주파수 도메인 리소스들의 세그먼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역폭은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일 수 있으며, BWP는 연속적인 주파수 대역들의 세그먼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은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부대역을 포함하고, 각각의 대역폭 부분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부반송파 간격, 주기적 전치부호(Cyclic Prefix, 간략히는 "CP") 길이,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간략히는 "TTI"), 다량의 심볼(symbol),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간략히는 "RB") 위치, 슬롯 길이, 및 프레임 포맷을 포함하는 일 그룹의 시스템 파라미터(수치학)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상이한 대역폭 부분들은 상이한 시스템 파라미터들에 대응할 수 있다. 대역폭 부분의 정의에 대해서는, 종래기술, 예를 들어, NR에 대한 다양한 제안을 참조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전술한 정의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설명의 편의상, 아래에서는 설명을 위해 대역폭이 BWP인 실시예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있어서의 대역폭은 다른 이름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BWP 구성을 도시한다. 현행 표준 회의 결론에서는, 연결된 모드의 단말 디바이스에 대하여, 2층 BWP 제어 메커니즘에 동의하고,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사용해서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UE)의 BWP(예를 들어, 도 1의 BWP 1)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매체 액세스 제어 제어 요소(media access control 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는 통신을 위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일부 주파수 리소스(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BWP 1')를 활성화하는 데 사용된다. 초기 모드(아이들)의 단말 디바이스의 경우, 초기 액세스 동안, 단말 디바이스는 디폴트 BWP(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BWP 2)에 있다. 또한, UE는 BWP에서 동기화 신호 및 브로드캐스트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광대역 셀에서, 초기 액세스에 사용되는 BWP가 랜덤 액세스 리소스를 갖는다는 점 외에도, 해당 표준에서는, 다른 BWP(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BWP 3)에, 초기 액세스 이외의 다른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리소스가 있다는 점에 동의한다.
도 2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BWP 구성을 도시하지만, 본원의 이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이 전술한 BWP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이 다른 형태의 BWP들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를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BWP의 구성 정보를 사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BWP의 구성 정보는 다음과 같은 정보, 즉, 각각의 BWP의 주파수 위치 정보 또는 각각의 BWP의 부반송파 간격과 같은 수치학 정보, 업링크 BWP와 다운링크 BWP(예를 들어, 아래에서의 BWP 쌍) 사이의 연관 관계, 각각의 BWP의 제어 채널의 구성, 각각의 BWP의 기준 신호의 구성, 각각의 BWP의 빔 표시의 구성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해법을 더 이해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 아래에서는 구체적인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3은 빔 실패 복구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예를 들어, UE) 측에서, 빔 실패 복구 절차는 주로 다음과 같은 4 가지 부분을 포함한다:
1. 빔 실패 검출:
빔 실패 검출은 빔 실패 검출 기준 신호(beam failure detection reference signal, BFD RS)에 기초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물리 계층에서 주기적으로 BFD RS를 검출한다. BFD RS가 빔 실패 인스턴스(beam failure instance) 조건을 만족하면(즉, 빔 품질이 정해진 빔 실패 임계치보다 낮으면), 빔 실패 인스턴스 표시(beam failure instance indication)가 단말 디바이스의 상위 계층에 송신된다. N 개의 연속적인 빔 실패 인스턴스가 있으면, 단말 디바이스의 상위 계층이 빔 실패를 선언한다. 빔 실패 인스턴스를 만족한다는 것은 단말 디바이스의 서빙 빔 세트 내의 모든 빔의 품질이 빔 실패 임계치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BFD RS의 목적은 상정되는 제어 채널의 빔 품질을 추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제어 채널 송신 및 수신이 있으면, BFD RS의 측정 또는 수신 결과는 제어 채널의 빔 품질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어 채널의 신호 품질이 지정된 임계치보다 높으면,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의 기준 신호 품질의 수신된 신호 강도/신호 대 잡음비/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가 지정된 임계치보다 높으면, 빔 실패 인스턴스 표시가 송신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BFI 카운터가 리셋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어 채널이 정확하게 수신될 수 있으면,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이 디코딩될 때 순환 중복 검사가 성공할 수 있으면, 빔 실패 인스턴스 표시가 송신되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BFI 카운터가 리셋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빙 빔 세트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며 무선 링크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 세트임을 이해해야 한다. 후보 빔 세트(candidate beam RS)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며 빔 실패 이후에 새로운 가용 빔을 발견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 신호 세트이다.
2. 새로운 가용 빔의 발견:
단말 디바이스의 상위 계층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빔(즉, 정해진 후보 빔 품질 임계치보다 높은 빔 품질을 갖는 빔)을 송신하기 위해 단말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을 필요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후보 빔 세트(candidate beam RS)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재구성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3. 빔 실패 복구 요청(beam failure recovery request, BFRQ)의 송신:
단말 디바이스의 상위 계층은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빔들 중 하나를 새로운 가용 빔(예를 들어, 새로운 가용 빔은 q_new로서 표시될 수 있음)으로서 선택하고, 새로운 가용 빔과 연관되는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 리소스를 단말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에 통지한다. 단말 디바이스의 물리 계층은 q_new를 사용함으로써 RACH 리소스에서 BFRQ를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기지국)에 송신한다.
4. BFRQ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의 수신:
예를 들어, BFRQ가 송신된 슬롯 이후의 x 번째(예를 들어, x=4) 슬롯(slot)(즉, (n+4) 번째 슬롯)으로부터 시작해서, 단말 디바이스는 q_new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control resource set, CORESET) 및/또는 특정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에 대응하는 탐색 공간(search space)을 모니터링하여,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을 통해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BFRQ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을 취득한다. 특정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 및/또는 특정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에 대응하는 탐색 공간에 대하여 q_new와는 다른 빔 표시가 구성되거나 또는 빔 표시가 구성되지 않더라도, 단말 디바이스는 q_new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사용해서 특정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 및/또는 특정 제어 채널 리소스 세트에 대응하는 탐색 공간을 수신한다. 응답을 취득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취득할 수 있고, 이어서 단말 디바이스는 DCI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BFR 구성 정보를 사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BFR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카운터,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시간창, BFI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임계치, 가용 빔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카운터, 가용 빔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시간창, 및 가용 빔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임계치.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도 5 내지 도 8에서 하기의 구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아래에서는, 단말 디바이스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할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상응하는 전환 처리를 수행하는 구체적인 해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방법(400)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먼저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구성 정보는 전술한 BWP 구성 정보 및 전술한 BFR 구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정보가 취득된다는 것에 기초하여, 도 4에 도시된 방법(400)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410: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도 3에서의 임의의 프로세스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수행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 디바이스가 하나의 BFI를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빔 실패를 검출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가용 빔을 결정한 후, 단말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 요청(BFRQ)을 송신한 후, 또는 단말 디바이스가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하기 시작한 후.
선택적으로, 가능한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410)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수신되는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다.
다시 말해, 단말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됨 ―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의 데이터가 더 높은 전송 대역폭을 필요로 할 경우,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대응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취득된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가능한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단계(410)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취득된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다시 말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를 사전에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기지국이 특정 시간에 기지국의 동작 대역폭을 전환할 경우, 스케줄링 결과에 기초하여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이 한 순간(예를 들어, 구성 정보가 송신된 후 X 시간, 또는 구성 정보가 정확하게 수신된 것을 단말 디바이스가 확인한 후 X 시간)에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해당 순간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가 RRC 시그널링, DCI, 또는 MAC CE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를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420: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설정된 정책을 미리 설정된 구성, 미리 설정된 규칙, 미리 설정된 해법, 디폴트 구성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를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정책이 있을 수 있다. 실제 용례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정책들 중 하나를 사용하여 상응하는 전환 거동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용례에서 사용되는 미리 설정된 정책은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될 수 있거나, 또는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기지국에 의해 단말에 통지될 수 있거나, 또는 단말에 의해 기지국에 통지될 수 있다. 단말은 능력 보고(capability reporting)를 통해 하나 이상의 지원 정책을 기지국에 더 통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몇 가지 선택적인 미리 설정된 정책을 특정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리 설정된 정책 1: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에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 미리 설정된 정책 1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먼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나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한 후에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대역폭 전환을 위한 타이머를 일시 정지할 수 있다.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기존의 대역폭 전환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설명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빔 실패 복구가 제1 대역폭에서 먼저 수행되고, 빔 실패 복구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의 정상적인 통신이 보장될 수 있으며, 이로써 서비스 연속성이 보장된다.
대안으로서, 미리 설정된 정책 1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가 완료된 후에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 유지하고, 동작 대역폭의 전환을 스킵할 수 있다.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되었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정상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된 후에 동작 대역폭 전환이 회피되므로, 정상적인 서비스 실행이 보장될 수 있고, 불필요한 전환 동작이 회피된다.
미리 설정된 정책 2: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의 동작 대역폭이 전환될 필요가 있고, 동작 대역폭이 더 이상 제1 대역폭이 아니기 때문에,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경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가 중지될 수 있으며, 제1 대역폭이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 동작 대역폭이 전환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기존의 방법에 따라 제2 대역폭에서의 서빙 빔의 품질을 재평가 및 재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중지할 수 있다.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기존의 대역폭 전환 프로세스를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는 것이,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빔 실패 복구에서의 모든 시간창 및 카운터를 재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미리 설정된 정책 3: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미리 설정된 정책 1 및 미리 설정된 정책 2에서, 전술한 설명들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의 수행된 프로세스에 관계없이, 단말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정책 1 또는 미리 설정된 정책 2에서 결정되는 해법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처리를 직접 수행하고 특정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미리 설정된 정책 3은 전술한 2 가지의 미리 설정된 정책들과는 다르다. 미리 설정된 정책 3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응하는 전환 처리를 수행하고, 상이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전환 처리가 상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 예를 들어, BWP #x 및 제2 대역폭, 예를 들어, BWP #y의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하기의 사례들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사례 1:
BWP #x의 하나 이상의 CORESET가 BWP #y의 하나 이상의 CORESET와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고, BWP #x 및 BWP #y의 TCI 값이 서로 동일하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송 구성 인덱스(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ex, TCI)가 빔 표시 방법이다. 예를 들어, TCI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TCI-State ::= SEQUENCE {
tci-StateId TCI-StateId,
qcl-Type1 QCL-Info,
qcl-Type2 QCL-Info
...
}
QCL-Info ::= SEQUENCE {
cell ServCellIndex
bwp-Id BWP-Id
referenceSignal CHOICE {
csi-rs NZP-CSI-RS-ResourceId,
ssb SSB-Index,
csi-RS-for-tracking NZP-CSI-RS-ResourceSetId
},
qcl-Type ENUMERATED {typeA, typeB, typeC, typeD},
...
}
TCI는 복수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셀 ID, BWP ID, 기준 신호 ID, 동기화 신호 블록 ID, 및 QCL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TCI의 표시에 따라 수신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채널의 빔 표시는 TCI 상태이다. 단말은, TCI 상태에서 QCL 타입에 대응하고 단말이 기준 신호 ID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 또는 TCI 상태에서 동기화 신호 블록 ID에 대응하는 동기화 신호 블록을 수신할 경우에 사용되는 QCL 가설을 사용해서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사례 2:
BWP #x의 하나 이상의 CORESET가 BWP #y의 하나 이상의 CORESET와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고, BWP #x 및 BWP #y의 TCI에서 RS ID 및 QCL 타입이 서로 동일하다.
사례 3:
BWP #x의 하나 이상의 CORESET가 BWP #y의 하나 이상의 CORESET와 일대일 대응 관계에 있고, BWP #x 및 BWP #y의 TCI에서 RS ID로 표현되는 RS들이 QCL 관계를 갖는다.
사례 4:
BWP #x 및 BWP #y에 대하여 구성되는 BFD RS 세트가 서로 동일하다.
사례 5:
BWP #x의 하나 이상의 CORESET의 TCI 세트와 BWP #y의 하나 이상의 CORESET의 TCI 세트가 동일한 요소를 갖는다.
아래에서는, 제1 대역폭이 BWP #x이고 제2 대역폭이 BWP #y인 실시예를 사용해서, 미리 설정된 정책 3의 해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정책 3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를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처리 방식은 전술한 정책 2에서의 방식과 유사하므로, 세부 내용을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빔 실패 복구가 제1 대역폭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더라도, 즉,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더라도,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르고,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은 제1 대역폭과 연관 관계가 없기 때문에,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이 상대적으로 양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BWP #x에서의 빔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BWP #y에서의 빔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BWP #y로의 전환 이후에, UE가 서빙 빔의 품질을 재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을 경우,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는 바로 중지되고,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
대안으로서, 미리 설정된 정책 3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빔 실패 복구가 제1 대역폭에서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즉,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이 상대적으로 불량하다.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은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작 대역폭이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 후에도,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바로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므로, 제1 대역폭에서 완료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의 일부가 제2 대역폭에서 다시 수행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고, 제2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시간이 감소된다.
다시 말해, 상이한 BWP들의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면, 서빙 빔은 BWP #y가 전환된 후 변화되지 않고, 주파수만 변화된다. 이 경우, BWP #x에서의 빔 상태도 BWP #y에 반영될 가능성이 높고, BWP #x에서 시작된 빔 실패 복구 절차가 계속되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서의 모든 시간창 및 카운터를 유지하고,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동작들이 전적으로 동일한 것은 아니다. 각각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참조하여, 아래에서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 후에,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하나의 BFI를 검출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카운터 및/또는 제1 시간창을 유지하고,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BWP #y로 전환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BWP #x에서의 시간창 및 카운터를 계속 유지하고, 종래기술에 따라 서빙 빔 모니터링 및 BWP #y에서 상응하는 빔 실패 복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를 검출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n 개(예를 들어, n은 빔 실패 임계치임)의 연속적인 BFI들을 검출한다. 다시 말해, 실패가 선언되었을 경우, 상이한 BWP들에서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BWP를 전환하되, 모든 카운터/시간창을 유지한다. BWP #y로의 전환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종래기술에 따라, 새로운 가용 빔의 발견과 같은 빔 실패 복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실패한 빔은 제2 대역폭에서는 가용 빔이고,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후보 빔 세트의 제1 서브세트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 제1 서브세트는 제2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 세트에 실패한 빔 이외의 빔을 포함함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BWP #x에서 실패한 빔이 BWP #y에서 후보 빔으로 구성되면, 가용 빔을 결정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BWP #x에서 실패한 빔을 측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이 검색될 경우, 제1 대역폭에서 실패한 빔의 측정이 회피되므로, 불필요한 반복적인 측정 작업이 회피될 수 있고, 가용 빔의 결정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BWP #x에서 발견되는 가용 빔은 {BWP #x, q_new_x}로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q_new_x를 가진 기준 신호들이 BWP #y에서 구성되면, q_new_x가 바로 BWP #y에서의 기준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다.
대안으로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BWP들에서의 RS들간에 QCL 관계가 존재하면, QCL 관계를 갖는 {BWP #x, q_new_x} 및 {BWP #y, q_new_x'}가 확인될 수 있고, {BWP #y, q_new_x'}는 BWP #y에서 가용 빔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이 빔들 사이의 QCL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 후에,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에 기초하여 바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이 다시 선택될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된다. 구체적으로, BWP #y로의 전환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기존의 방식으로 BWP #y에서 후보 빔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새로운 가용 빔 {BWP #y, q_new_y}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BWP #y, q_new_y}를 결정하기 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BWP #x, q_new_x}에 기초하여 BFRQ를 송신한다. {BWP #y, q_new_y}를 결정한 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BWP #y, q_new_y}에 기초하여 BFRQ를 송신한다. 다시 말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기 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확인된 가용 빔을 사용해서 제2 대역폭에서 BFRQ를 전송하고,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확인된 가용 빔을 사용해서 BFRQ를 전송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요청(BFRQ)을 송신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상, BWP #x에서 발견되는 가용 빔은 {BWP #x, q_new_x}로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q_new_x를 가진 기준 신호들이 BWP #y에서 구성되면, q_new_x가 바로 BWP #y에서의 기준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다.
대안으로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BWP들에서의 RS들간에 QCL 관계가 존재하면, QCL 관계를 갖는 {BWP #x, q_new_x} 및 {BWP #y, q_new_x'}가 확인될 수 있고, {BWP #y, q_new_x'}는 BWP #y에서 가용 빔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이 빔들 사이의 QCL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 후에,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에 기초하여 바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이 다시 선택될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된다. 구체적으로, BWP #y로의 전환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기존의 방식으로 BWP #y에서 후보 빔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새로운 가용 빔 {BWP #y, q_new_y}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BWP #y, q_new_y}를 결정하기 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BWP #x, q_new_x}에 기초하여 BFRQ를 송신한다. {BWP #y, q_new_y}를 결정한 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BWP #y, q_new_y}에 기초하여 BFRQ를 송신한다. 다시 말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기 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확인된 가용 빔을 사용해서 제2 대역폭에서 BFRQ를 전송하고,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는, 단말 디바이스가 확인된 가용 빔을 사용해서 BFRQ를 전송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BWP #y, q_new_y}와 {BWP #x, q_new_x} 사이에 QCL 관계가 없으면, 단말 디바이스가 동작 대역폭을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 후에, BFRQ 재전송 카운터가 재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말이 제1 대역폭에서 BFRQ를 송신하고, 단말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면, 단말은 일시적으로 제1 대역폭으로 다시 전환하고, 제1 대역폭의 특정 CORESET 및/또는 특정 탐색 공간에서 BFRQ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은 {BWP #x, q_new_x}를 사용해서 응답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제2 대역폭에서 BFRQ를 송신한 후에, 단말은 제1 대역폭으로 다시 전환하는 거동을 종료할 수 있다.
다른 방식에 있어서, 단말이 제1 대역폭에서 BFRQ를 송신하고, 단말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면, 단말은 제2 대역폭의 특정 CORESET 및/또는 특정 탐색 공간에서 BFRQ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단말은 {BWP #x, q_new_x} 또는 {BWP #y, q_new_x'}를 사용해서 응답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하기 시작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상, BWP #x에서 발견되는 가용 빔은 {BWP #x, q_new_x}로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q_new_x를 가진 기준 신호들이 BWP #y에서 구성되면, q_new_x가 바로 BWP #y에서의 기준 신호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다.
대안으로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상이한 BWP들에서의 RS들간에 QCL 관계가 존재하면, QCL 관계를 갖는 {BWP #x, q_new_x} 및 {BWP #y, q_new_x'}가 확인될 수 있고, {BWP #y, q_new_x'}는 BWP #y에서 가용 빔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이 빔들 사이의 QCL 관계에 기초하여 결정된 후에,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에 기초하여 바로 결정될 수 있고,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이 다시 선택될 필요가 없다.
대안으로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된다. 구체적으로, BWP #y로의 전환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기존의 방식으로 BWP #y에서 후보 빔의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새로운 가용 빔 {BWP #y, q_new_y}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BWP 전환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BWP #x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BFRQ가 수신된 후에 BWP 전환이 발생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BWP #y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응답을 송신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2 동작 대역폭으로의 전환 이후에, BWP #y에서 BFRQ를 송신하기 전에, 단말 디바이스는 q_new_x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단말 디바이스가 응답을 수신할 수 없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BWP #y에서 BFRQ를 송신하고, q_new_y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응답을 모니터링한다.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제2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은 제1 대역폭에서의 빔 품질과 유사하다. 따라서, 동작 대역폭이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 후에도,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바로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므로, 제1 대역폭에서 완료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가 제2 대역폭에서 다시 수행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고, 제2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시간이 감소된다.
도 5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제1 대역폭이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 후에, 제2 대역폭에서 빔 검출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시나리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DL BWP #x로부터 DL BWP #y로 전환되고, 빔 검출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가 DL BWP #y에서 구성되지 않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방법(500)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510: 단말 디바이스가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520: 단말 디바이스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을 사용해서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검출을 수행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대역폭에서 SSB 및 DLRS는 QCL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대역폭은 SSB를 사용해서 측정되고, 이로써 제2 대역폭에 빔 검출에 사용되는 기준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해결된다.
선택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SSB는 제2 대역폭에서 운반되고, 제2 대역폭에서의 SSB 및 DL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SSB가 DL BWP #y에서 구성되고, 제2 대역폭에서 SSB 및 DLRS가 QCL 관계를 만족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QCL 관계에서 SSB를 사용해서 빔 실패 복구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SSB는 제3 대역폭에서 운반되고, 제2 대역폭에서의 SSB 및 DLRS는 QCL 관계를 만족한다.
선택적으로, 제3 대역폭은 미리 정의된 대역폭, 미리 설정된 레이블을 가진 대역폭, 또는 미리 설정된 ID를 가진 대역폭이다.
예를 들어, 제3 대역폭은 프로토콜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미리 정의된 BWP, 또는 미리 설정된 레이블을 가진 BWP, 예를 들어, BWP #0, 또는 미리 설정된 ID를 가진 BWP, 예를 들어, 모든 BWP 중 최소 또는 최대 ID를 가진 BWP이다.
구체적으로, DL BWP #y에 대하여 SSB가 구성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주기적으로 다시 디폴트 DL BWP, 즉, 제3 대역폭으로 전환하고, 제3 대역폭의 SSB에 따라 빔 실패 복구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대역폭 및 제1 대역폭은 동일한 대역폭일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대역폭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 구성 정보는 QCL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2 대역폭에서 SSB 및 DLRS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2 대역폭에서 빔 검출에 대한 기준 신호가 다른 대역폭에서의 기준 신호로 구성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대역폭에서의 기준 신호를 측정함으로써, 제2 대역폭에서의 빔이 불량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 빔 검출에 대한 기준 신호와 QCL 관계를 갖는 다른 기준 신호가 다른 가용 대역폭에서 구성되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2 대역폭에서 빔 검출에 대한 기준 신호의 QCL의 다른 기준 신호를 다른 가용 대역폭에서 측정함으로써, 제2 대역폭에서의 빔이 불량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 빔 검출에 대한 기준 신호가 다른 대역폭에서의 기준 신호로 구성되되, 다른 대역폭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는 활성화되지 않은 대역폭에서의 기준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방법은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이 확인되지 않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방법에서, BWP #x에 가용 빔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BWP #y에서 가용 빔을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방법(600)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610: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 가용 빔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한다.
620: 단말 디바이스가 동작 대역폭을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다.
630: 단말 디바이스가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검출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후보 빔들에 제1 대역폭의 빔 및 제2 대역폭의 빔이 포함된다는 것을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BWP #x에서의 후보 빔 세트에는 BWP #x에서의 RS 및 BWP #y에서의 RS가 포함될 수 있다. 빔 실패가 발생한 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우선적으로 현재의 BWP에서 가용 빔을 검출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현재의 BWP에 가용 빔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BWP #y로 전환하여 가용 빔을 검출한다.
제1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 세트가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을 포함할 경우,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의 우선순위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의 우선순위는 해당 대역폭들의 ID들의 내림차순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용 빔은 복수의 대역폭의 빔들을 검사하는 것에 의해 발견되므로, 가용 빔의 발견 확률이 증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제1 대역폭에서 RACH 리소스가 구성되지 않는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방법에서, 가용 빔이 BWP #x에서 검출될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BWP #z와 같은 다른 대역폭의 RACH 리소스를 사용해서 BFRQ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방법(700)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710: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다운링크 빔)을 검출한다.
720: 단말 디바이스가 제4 대역폭의 랜덤 액세스 채널(RACH) 리소스를 사용해서 BFRQ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제4 대역폭은 미리 정의된 대역폭, 미리 설정된 레이블을 가진 대역폭, 또는 미리 설정된 ID를 가진 대역폭이다.
예를 들어, 제4 대역폭은 프로토콜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는 미리 정의된 BWP, 또는 미리 설정된 레이블을 가진 BWP, 예를 들어, BWP #0, 또는 미리 설정된 ID를 가진 BWP, 예를 들어, 모든 BWP 중 최소 또는 최대 ID를 가진 BWP이다.
선택적으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기준 신호(RS)와 RACH 리소스 사이의 연관 관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연관 관계를 결합 관계, 대응 관계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를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UL BWP #z, RACH}와 {DL BWP #x, q_new_x}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결합 관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가용 빔 q_new_x의 결합 이후에, 단말 디바이스는 UL BWP #z RACH 리소스를 사용해서 BFRQ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에서의 RS와 제4 대역폭에서의 RS 사이의 QCL 관계를 구성하는 데 더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DL BWP #z, q_new_x'}와 {DL BWP #x, q_new_x} 사이의 QCL 관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다운링크 빔이고,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다운링크 빔과 제4 대역폭의 업링크 빔 사이의 연관 관계를 구성하는 데 더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DL BWP #x, q_new_x}와 {UL BWP #z, Tx}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결합 관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구성 정보는 제1 대역폭의 가용 빔과 제4 대역폭의 가용 빔(다운링크 빔) 사이의 연관 관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구성 정보는 {DL BWP #z, q_new_x'}와 {DL BWP #x, q_new_x} 사이의 연관 관계 또는 결합 관계를 구성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4 대역폭의 가용 빔을 사용해서 연관 관계에 기초하여 BFRQ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4 대역폭의 다운링크 빔을 사용해서,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전송되는 BFRQ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른 셀 또는 캐리어 컴포넌트를 사용해서 제1 대역폭의 BFRQ에 대한 응답 및/또는 현재의 셀 또는 캐리어 컴포넌트에 대하여 사용되는 새로운 빔 표시 구성을 UE에 더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RRC 시그널링, MAC-CE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등을 포함하는 시그널링을 다른 셀 내의 또는 다른 캐리어 컴포넌트 상의 UE에 송신하여, 현재의 셀 또는 캐리어 컴포넌트의 제1 대역폭에서 UE에 의해 송신되는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응답 및 현재의 셀 또는 캐리어 컴포넌트의 제1 대역폭에 대하여 사용되는 빔 구성 정보를 UE에 전송― 빔 구성 정보는 셀 또는 캐리어 컴포넌트의 식별자, 대역폭의 식별자, 제어 채널의 빔 등을 포함함 ―할 수 있다. 다른 셀 또는 캐리어 컴포넌트가 보다 안정된 통신 링크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 방식이 UE에 의한 응답 수신의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현재의 대역폭에 업링크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때문에 빔 실패 복구 요청이 송신될 수 없다는 문제는 다른 대역폭에서 BFRQ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업링크 BWP들 및 다운링크 BWP들이 매칭되지 않는 시나리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링크 BWP의 수량이 다운링크 BWP의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시나리오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방법(800)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810: 단말 디바이스가 대역폭 쌍의 다운링크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을 수행하고, 가용 빔을 검출한다.
820: 단말 디바이스가 대역폭 쌍의 업링크 대역폭을 사용해서 BFRQ를 송신하고, 다운링크 대역폭에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 각각의 대역폭 쌍은 업링크 대역폭 및 다운링크 대역폭을 포함함 ―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대역폭 쌍을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BWP 쌍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거나 또는 프로토콜에 의해 미리 정의되고, 각각의 BWP 쌍은 상응하는 업링크 BWP 및 상응하는 다운링크 BWP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BFD RS, 후보 빔 RS, 및 BFRQ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은 BWP 쌍 중 다운링크 BWP를 사용해서 검출되고, BFRQ는 업링크 BWP를 사용해서 송신된다. 이렇게, 업링크 BWP와 다운링크 BWP 사이의 미스매칭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통신 방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4는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에서 대역폭 전환 해법을 설명하고, 도 5 내지 도 8은 몇 가지 시나리오에서의 빔 실패 검출 해법을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서로 독립적이지 않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 용례에서, 도 5 내지 도 8의 방법들은 도 4의 방법과 결합되어, 도 4에서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한 후에 도 5 내지 도 8의 방법들에 따라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용례에서, 도 5 내지 도 8의 해법들은 도 4의 방법 실시형태에 적용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프로토콜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구성 정보를 추가로 미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8의 방법들 및 도 4 내지 도 8의 실시형태들이 결합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전에,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기의 구성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제2 대역폭에서의 SSB 및 DLRS가 QCL 관계를 만족함 ―;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제1 대역폭의 후보 빔들에 제1 대역폭의 빔 및 제2 대역폭의 빔이 포함되는 구성 ―;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제1 대역폭에서의 RS와 제4 대역폭에서의 RS 사이에 QCL 관계가 존재함 ―;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리소스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역폭의 기준 신호와 제4 대역폭의 RACH 리소스 사이의 연관 관계 ―;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예를 들어, 도 7에서는, 제1 대역폭의 다운링크 빔과 제4 대역폭의 업링크 빔 사이의 연관 관계 ―;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 예를 들어, 도 8에서의 대역폭 쌍 ―.
본원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대역폭(예를 들어, BWP) 전환 시나리오에서의 해법을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이것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다른 시나리오로 확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캐리어 전환 시나리오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의 BWP는 캐리어(캐리어 컴포넌트, CC)로 대체되어, 캐리어 전환 시나리오 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시나리오로 확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의 BWP는 대안으로서 CC+BWP로 대체되어, 복수의 캐리어가 존재하고 각각의 캐리어가 복수의 BWP를 갖는 시나리오로 확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의 BWP는 대안으로서 셀 및/또는 전송 지점+CC+BWP로 대체되어, 복수의 셀 및/또는 전송 지점에 의해 조정된 전송이 수행되는 시나리오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은 RACH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빔 실패 복구 요청의 송신을 설명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다른 시나리오로 확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을 통해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형태들에서의 RACH는 업링크 제어 채널 또는 업링크 데이터 채널로 대체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상, 본원에서 "제1" 및 "제2"와 같은 다양한 번호는 구별을 위한 것일 뿐,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게 하려는 것일 뿐,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해당 실시예들에서의 특정 값 또는 특정 시나리오로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라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등가의 수정 또는 변경을 할 수 있을 것임이 분명하고,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도 본원의 실시형태들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하기에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통신 장치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9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통신 장치(900)는:
처리 유닛(910) 및 트랜시버 유닛(9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수신되는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된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은, 미리 취득된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대역폭 전환 표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의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에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를 경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고, 제2 대역폭에서, 제1 대역폭에서의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제1 대역폭 및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하나의 BFI를 검출한 후에, 처리 유닛은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카운터 및/또는 제1 시간창을 유지하고,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를 검출한 후에, 처리 유닛은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빔 실패 복구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실패한 빔은 제2 대역폭에서는 가용 빔이고;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 후보 빔 세트의 제1 서브세트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 제1 서브세트는 제2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 세트에 실패한 빔 이외의 빔을 포함함 ―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 처리 유닛은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요청(BFRQ)을 송신한 후에, 처리 유닛은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하기 시작한 후에, 처리 유닛은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하기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선택적으로,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된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는:
구성 정보를 취득―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유닛을 더 포함한다: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
본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900)는 도 4의 방법 실시형태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통신 장치에서의 유닛/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4의 방법 실시형태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통신 장치(900)는 도 5 내지 도 8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에도 대응할 수 있다. 통신 장치에서의 유닛/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5 내지 도 8의 방법 실시형태들의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는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전환하는 해법을 제공하고, 이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가 해결된다.
도 9의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에 설치된 칩 또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도 10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단말 디바이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해 및 예시의 편의상, 도 10에서,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휴대폰이다. 도 10은 단말 디바이스의 주된 구성요소만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000)는 프로세서, 메모리, 제어 회로, 안테나, 및 입력/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는 주로 기저 대역 신호와 무선 주파수 신호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회로와 안테나의 결합을 트랜시버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전자기파 형태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출력 장치는 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단말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진 후에, 프로세서는 저장 유닛 내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설명 및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가 무선 방식으로 송신될 필요가 있을 경우, 프로세서는 송신 대상 데이터에 대한 기저 대역 처리를 수행하고 나서 기저 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 회로에 출력한다. 기저 대역 신호에 대한 무선 주파수 처리를 수행한 후에, 무선 주파수 회로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안테나를 사용해서 전자기파 형태로 외부로 송신한다. 데이터가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경우, 무선 주파수 회로는 안테나를 사용해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기저 대역 신호를 프로세서에 출력한다. 프로세서는 기저 대역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데이터를 처리한다.
당업자라면, 설명의 편의상, 도 10이 하나의 메모리 및 하나의 프로세서만을 도시한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 단말 디바이스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복수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를 저장 매체, 저장 장치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기저 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 대역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처리 장치는 주로 전체 단말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기저 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장치의 기능들은 도 10의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기저 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장치가 각각 독립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버스와 같은 기술을 사용해서 상호 연결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당업자라면, 단말 디바이스가 상이한 네트워크 표준들에 적응하도록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단말 디바이스가 해당 단말 디바이스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이 다양한 버스를 사용해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저 대역 프로세서를 기저 대역 처리 회로 또는 기저 대역 처리 칩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중앙 처리 장치를 중앙 처리 회로 또는 중앙 처리 칩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은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 유닛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기저 대역 처리 기능을 구현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신 및 송신 기능을 갖는 안테나 및 제어 회로는 단말 디바이스(1000)의 트랜시버 유닛(101)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도 9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수신 및 송신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단말 디바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기능을 갖는 프로세서는 단말 디바이스(1000)의 처리 유닛(102)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도 9의 처리 유닛(910)에 대응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000)는 트랜시버 유닛(101) 및 처리 유닛(102)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유닛을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계, 트랜시버 장치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트랜시버 유닛은 도 9의 트랜시버 유닛(920)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101)에서의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고, 트랜시버 유닛(101)에서의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는 송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트랜시버 유닛(101)은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을 수신기, 입력 포트, 수신기 회로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송신 유닛을 송신기, 송신기 기계, 송신기 회로 등이라고 할 수도 있다.
처리 유닛(102)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고, 신호를 수신 및/또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랜시버 유닛(101)을 제어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의 기능을 완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현예에 있어서, 트랜시버 유닛(101)의 기능들은 트랜시버 회로 또는 트랜시버-전용 칩을 사용해서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단말 디바이스(1000)는 도 4 내지 도 8의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와 관련된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단말 디바이스(1000)에서의 모듈들의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의 상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이 적절하게 생략된다.
도 11은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장치(11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장치(1100)는:
처리 유닛(1110) 및 트랜시버 유닛(1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 유닛은 구성 정보를 생성―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 전환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고;
트랜시버 유닛은 구성 정보를 송신―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된다: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
본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장치는 도 4 내지 도 8의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응한다. 통신 장치에서의 유닛들/모듈들의 기능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구성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므로, 단말 디바이스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동작 대역폭을 전환하고, 이로써 종래기술에서의 문제가 해결된다.
도 11의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설치된 칩 또는 집적 회로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단말 디바이스이다. 도 12는 본원의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예를 들어, 도 12는 기지국의 개략적인 구성도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고,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능들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 유닛, 예를 들어, 원격 무선 유닛(remote radio unit, RRU)(121) 및 하나 이상의 기저 대역 유닛(baseband unit, BBU)(디지털 유닛(digital unit, DU)이라고 할 수도 있음)(122)을 포함할 수 있다. RRU(121)를 트랜시버 유닛(121)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1의 트랜시버 유닛(1120)에 대응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을 트랜시버 기계, 트랜시버 회로, 트랜시버 등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1211) 및 무선 주파수 유닛(1212)을 포함할 수 있다. RRU(121) 부분은 주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와 기저 대역 신호 사이의 변환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프리코딩 매트릭스 정보를 단말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BBU(122)는 주로 기저 대역 처리의 수행, 기지국의 제어 등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RRU(121) 및 BBU(122)는 물리적으로 함께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즉, 분산형 기지국일 수 있다.
BBU(122)는 기지국의 제어 센터이거나, 또는 처리 유닛(122)이라고 할 수 있다. BBU(122)는 도 11의 처리 유닛(1110)에 대응할 수 있으며, 주로 기저 대역 처리 기능, 예를 들어, 채널 코딩, 멀티플렉싱, 변조, 또는 확산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BBU(처리 유닛)는 기지국을 제어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련된 동작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BBU(12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보드는 함께 단일의 액세스 표준을 갖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액세스 표준을 갖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BBU(122)는 메모리(1221) 및 프로세서(1222)를 더 포함한다. 메모리(1221)는 필요한 명령어 및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22)는 기지국을 제어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기지국을 제어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련된 동작 절차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1221) 및 프로세서(1222)는 하나 이상의 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각각의 보드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복수의 보드가 동일한 메모리 및 동일한 프로세서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회로가 각각의 보드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는 도 8의 방법 실시형태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관련된 프로세스들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1200)에서의 모듈들의 동작들 및/또는 기능들은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의 상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세부 내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설명을 참조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이 적절하게 생략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프로세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처리 장치를 더 제공― 프로세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통신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됨 ―한다.
처리 장치는 칩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네트워크 프로세서(network processor, NP),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MCU), 프로그램 가능 컨트롤러(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또는 다른 집적 칩일 수 있다.
구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은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해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해서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함께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프로세서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으며, 신호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현 프로세스에 있어서,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단계들은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집적 논리 회로를 사용해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기구,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기구, 또는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개시되는 방법들, 단계들, 및 논리적 블록도들을 구현 또는 수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개시되는 방법들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를 사용해서 직접 실행 및 성취될 수 있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에서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조합을 사용해서 실행 및 성취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리드-온리 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본 기술분야에서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 내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함께 전술한 방법들에서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본원의 이 실시형태에서의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리드-온리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설명을 통해, 많은 형태의 RAM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싱크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 RAM)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 및 시스템의 메모리는 이들 메모리 및 적절한 타입의 임의의 다른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전술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통신 방법이 구현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더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의 통신 방법이 구현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형태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경우, 실시형태들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들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어느 하나의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다운링크 전송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원은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전술한 설명에서의 해법과 유사한 해법이 업링크 전송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전술한 장치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는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단말 디바이스에 완전히 대응한다. 상응하는 모듈 또는 유닛이 상응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 모듈(송신기)은 방법 실시형태에서의 송신 단계를 수행하고, 수신 모듈(수신기)은 방법 실시형태에서의 수신 단계를 수행하고, 송신 및 수신 이외의 단계들은 처리 모듈(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모듈의 기능에 대해서는, 상응하는 방법 실시형태를 참조한다.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은 트랜시버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송신기 및 수신기는 수신 및 송신 기능을 함께 구현하도록 트랜시버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을 의미하고, "복수"는 2 개 이상을 의미한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 가지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경우들, 즉 A만 존재, A와 B 모두 존재, 및 B만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A 및 B는 단수형 또는 복수형일 수 있다. 부호 "/"는 통상 연관된 대상들 사이의 "또는"의 관계를 나타낸다. "다음 중 적어도 하나(하나의 부분)" 또는 이와 유사한 표현은, 단수형 아이템들(부분들) 또는 복수형 아이템들(부분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들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하나의 부분)는, a, b, c, a-b, a-c, b-c, 또는 a-b-c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a, b, 및 c는 단수형 또는 복수형일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되는 "일 실시형태" 또는 "실시형태"는 해당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또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을 사용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본원의 다양한 실시형태들에서 실행 순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 "모듈", 및 "시스템"과 같은 용어들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될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 및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에 위치될 수 있거나 및/또는 2 대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컴포넌트는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저장하는 다양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로부터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들은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예를 들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형 시스템에서, 및/또는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시스템들과 상호작용하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2 개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을 갖는 신호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제1, 제2, 제3, 제4, 및 다양한 번호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별되는 것이지, 본원의 실시형태들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단지 연관된 대상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를 설명하고, 3 가지의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다음과 같은 3가지 경우, 즉 A만 존재, A와 B 모두 존재, 및 B만 존재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illustrative logical block)과 조합하여, 단계들(step)이 전자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기능들이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의 여부는 기술적인 해법의 특정 용례 및 설계 제약 조건에 의존한다. 당업자라면, 각각의 특정 용례에 대하여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지만, 해당 구현은 본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당업라자면,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하여, 전술한 방법 실시형태들에서의 상응하는 프로세스를 참조하고, 여기서는 세부 내용을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형태들에 있어서는,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이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일 뿐이며,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컴포넌트가 다른 시스템에 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된 또는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들 또는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 기계, 또는 그 밖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개별 부품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들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형태들의 해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형태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해당 유닛들 각각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된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해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가 실시형태들을 구현하는 데 사용될 경우, 실시형태들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프로그램)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프로그램)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본원의 실시형태들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들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그 밖의 프로그램 가능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어느 하나의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isk)(SSD)) 등일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원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이지, 본원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적인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는 임의의 변형 또는 대체는 본원의 보호 범위에 속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Claims (29)

  1.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상기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상기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상기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상기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하나의 BFI를 검출한 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time window), 및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카운터 및/또는 제1 시간창을 유지하고, 상기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를 검출한 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실패한 빔은 상기 제2 대역폭에서는 가용 빔이고;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후보 빔 세트의 제1 서브세트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 상기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상기 후보 빔 세트에 상기 실패한 빔 이외의 빔을 포함함 ―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방법.
  10.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요청(BFRQ)을 송신한 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방법.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하기 시작한 후에, 상기 단말 디바이스는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방법.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취득― 상기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인
    방법.
  14.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 정보를 생성―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 전환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구성 정보를 송신― 상기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인
    방법.
  15. 통신 장치로서,
    처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가 수행되는 프로세스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이 제1 대역폭으로부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미리 설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다를 경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중지하고,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할 경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상기 빔 실패 복구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상기 제어 채널의 구성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은 상기 제1 대역폭 및 상기 제2 대역폭의 상기 제어 채널의 빔이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통신 장치.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하나의 BFI를 검출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빔 실패를 결정하기 위한 제1 카운터 및/또는 제1 시간창을 유지하고, 상기 제2 대역폭에서 빔 실패 검출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를 검출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시작하는 동작;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응답하는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통신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실패한 빔은 상기 제2 대역폭에서는 가용 빔이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2 대역폭에서 후보 빔 세트의 제1 서브세트에서 가용 후보 빔을 발견하는 프로세스를 수행― 상기 제1 서브세트는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상기 후보 빔 세트에 상기 실패한 빔 이외의 빔을 포함함 ―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2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을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통신 장치.
  24.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 요청(BFRQ)을 송신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통신 장치.
  25.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BFRQ에 대한 응답을 검출하기 시작한 후에,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동작 대역폭이 상기 제1 대역폭으로부터 상기 제2 대역폭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대역폭에서 빔 실패 복구에 대한 전체 시간창 및 BFRQ 재전송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카운터를 유지하고,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대역폭에서 가용 빔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에 기초하여, 빔 실패 복구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빔 실패 복구 요청에 대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응답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인
    통신 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 및 상기 제1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QCL 관계를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대역폭에서의 가용 빔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대역폭에서 측정을 통해 취득되는
    통신 장치.
  27. 제1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구성 정보를 취득― 상기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인
    통신 장치.
  28. 통신 장치로서,
    처리 유닛 및 트랜시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구성 정보를 생성― 상기 구성 정보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동작 대역폭 전환 및/또는 빔 실패 복구를 수행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트랜시버 유닛은 구성 정보를 송신― 상기 구성 정보는 하기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구성하는 데 사용됨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정보는:
    교차-대역폭인 다운링크 신호와 동기화 신호/브로드캐스트 채널 블록(SSB) 사이의 QCL 관계;
    하나의 대역폭에서의 후보 빔들에 복수의 대역폭에서의 빔들이 포함되는 구성;
    교차-대역폭 기준 신호들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인 업링크 신호와 후보 빔의 기준 신호 사이의 연관 관계;
    교차-대역폭 업링크 및 다운링크 빔들 사이의 연관 관계; 및
    업링크 대역폭과 다운링크 대역폭 사이의 연관 관계인
    통신 장치.
  29.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32686A 2018-05-11 2019-04-08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20200142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451394.0A CN110475279B (zh) 2018-05-11 2018-05-11 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
CN201810451394.0 2018-05-11
PCT/CN2019/081802 WO2019214382A1 (zh) 2018-05-11 2019-04-08 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062A true KR20200142062A (ko) 2020-12-21

Family

ID=6846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686A KR20200142062A (ko) 2018-05-11 2019-04-08 데이터 전송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63150B2 (ko)
EP (1) EP3768019B1 (ko)
KR (1) KR20200142062A (ko)
CN (1) CN110475279B (ko)
WO (1) WO2019214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6887A4 (en) * 2018-06-28 2021-11-17 Apple Inc. HARNESS FAILURE RECOVERY USING RANDOM RESTRICTION-BASED ACCESS
CN110536431B (zh) * 2018-09-21 2023-04-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恢复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304201B2 (en) * 2019-03-29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Beam indication set determination
US20210314021A1 (en) * 2020-04-01 2021-10-07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resource reduction with bandwidth part hopping
US11516800B2 (en) 2020-04-02 2022-11-29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part (BWP) configuration for full duplex
US20230232384A1 (en) * 2020-07-02 2023-07-20 Qualcomm Incorporated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WO2022027254A1 (en) * 2020-08-04 2022-02-10 Apple Inc. Cross-cell beam failure recovery
CN116318590A (zh) * 2020-08-07 2023-06-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传输失败恢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968538A1 (en) * 2020-09-11 2022-03-16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failure detection regarding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po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70027A (ko) * 2021-05-08 2023-12-18 애플 인크. 비-지상 네트워크(ntn)에서의 빔 실패 복구 타이밍
US20230041404A1 (en) * 2021-08-06 2023-02-09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a beam failure instance count for beam failure detection
CN115843105A (zh) * 2021-09-17 2023-03-24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CN113890691B (zh) * 2021-09-29 2024-04-23 天翼物联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控制方法、装置、物联网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2624B2 (en) * 2007-03-06 2010-01-26 Intel Corporation Millimeter-wave communication stations with directional antennas and methods for fast link recovery
CN106572017B (zh) * 2015-10-09 202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Bier信息的发送方法、接收方法及装置
US11088747B2 (en) * 2016-04-13 2021-08-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US10194442B2 (en) * 2017-02-10 2019-01-29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esources for beam recovery
WO2018237400A1 (en) * 2017-06-23 2018-12-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UNIFIED RLF DETECTION, MULTI-BEAM RLM AND BFR MECHANISMS WITH FULL DIVERSITY
US11006441B2 (en) * 2017-09-22 2021-05-11 Asustek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reventing bandwidth part misal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64318A1 (en) * 2017-11-24 2023-04-12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035556B (zh) * 2018-01-11 2020-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业务过程冲突的处理方法及终端
CN110324069B (zh) * 2018-03-28 2021-02-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波束失败处理方法、终端、网络设备及可读存储介质
EP3744140B1 (en) * 2018-03-30 2024-02-14 Ofinno, LLC Bandwidthpart (bwp) switching during beam failure recovery
US10841149B2 (en) * 2018-04-14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in connection with switching BW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8019A1 (en) 2021-01-20
CN110475279A (zh) 2019-11-19
US20210067234A1 (en) 2021-03-04
EP3768019B1 (en) 2024-05-29
CN110475279B (zh) 2021-04-09
WO2019214382A1 (zh) 2019-11-14
US11463150B2 (en) 2022-10-04
EP3768019A4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3150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737082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10484983B2 (en) Robust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scheme
KR102207082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 및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4453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107630B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N111866936B (zh) 辅小区激活方法和装置
CN107431517B (zh) 用于探测性波束成形训练的装置、系统和计算机可读介质
CN105075370B (zh) 用于d2d通信的分布式信道接入的用户设备和方法
US10959282B1 (en) 5G beam group discontinuous reception
CN110581725B (zh) 用于波束训练的方法和通信装置
US11729653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measurement and report outside active downlink (DL) bandwidth part (BWP)
CN111586858A (zh) 信号传输方法和通信装置
CN117136504A (zh) 用于侧行链路参考波束的技术
US116467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llimeter-wave MIMO mode selection
KR20230017307A (ko) 빔 실패 복구를 위한 방법, 장치 및 기기
US20220294520A1 (en) Group-based scell beam failure recovery
CN112351451B (zh) 波束失败恢复方法及装置
US20230140502A1 (en) Beam ind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CN117397173A (zh) 信息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4450999A (zh) 信息处理及信息指示方法和装置
CN114586400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24502624A (ja) ビーム障害情報の生成方法、報告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