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894A -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894A
KR20200141894A KR1020190069013A KR20190069013A KR20200141894A KR 20200141894 A KR20200141894 A KR 20200141894A KR 1020190069013 A KR1020190069013 A KR 1020190069013A KR 20190069013 A KR20190069013 A KR 20190069013A KR 20200141894 A KR20200141894 A KR 2020014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server
gift voucher
electronic gift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야코퍼레이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야코퍼레이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야코퍼레이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6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1894A/ko
Publication of KR2020014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단말기에서 상품에 인자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단계; 상기 온라인 단말기에서 식별코드에 따른 상품 정보 전송 및 전자상품권의 발행 요청을 상품권 서버로 전송하는 요청 전송단계; 상품권 서버가 온라인 단말기로부터 오는 상품 정보 및 전자상품권 발행 요청을 수신한 후, 상품 정보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생성하는 상품권 생성단계; 전자상품권 사용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상품권 서버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상품권 서버는 상기 가맹점 서버에게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하는 단계; 상기 상품권 서버가 승인이 완료된 전자상품권을 온라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품권 전송단계; 상기 온라인 단말기가 상품권 서버로부터 오는 전자상품권을 수신한 후 저장하는 상품권 저장단계; 및 상기 가맹점 서버에서 온라인 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의 대금 결제를 허락하고,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받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에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상품 대금 결제 허락단계;를 포함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신용카드 결제를 통해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장점과 보다 높은 소득 공제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며, 고객이 구매를 결정한 상품에 대하여 전자 상품권이 발행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효용성이 크고,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하나의 상품권으로 일괄적으로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PAYMENT SYSTEM FOR ONLINE SHOPPING MALL}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보안성을 높인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소자 등 전자부품 기술의 발달 및 통신 기술의 발달은 휴대 전화(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phone) 등 온라인 단말기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누구나 하나 이상의 온라인단말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활용 분야 및 사용 시간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근자에는 전자상거래의 개념이 도입되면서 온라인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고, 그 중 몇몇의 기술은 이미 상용화되고 있으며, 현금,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등에 의한 결제가 곤란할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상품 구매는 상품 공급자나 판매자 측에서 미리 발행한 상품권으로도 이루어지는데, 종래의 상품권은 구매할 상품, 구매 장소 및 구매 금액이 정해져 있다. 이러한 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방법도 근래에 들어서 온라인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기술과 접목됨으로써 전자 상품권이라는 새로운 매개체를 도출시켰는데, 전자상품권 충전을 위한 후불식 결제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용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용카드와 선불식 결제방식으로 사용자가 충전된 금액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충전식 선불카드는 현금을 대체하는 대표적 신규 결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구매할 상품이 미리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상품이 필요 없는 고객이나 구매할 상품과 동종의 다른 대체 상품을 선호하는 고객에게는 그 사용성이 낮으며, 이러한 점은 모바일 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전자상품권이 개인 소지성이 강하여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교환하기 곤란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오프라인 상품권보다 그 효용성을 오히려 더 떨어뜨린 문제점과 사용자는 충전식 선불카드를 사용하는 경우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지만,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99583호
본 발명은 언급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모바일 통신 단말기 및 전자 상품권을 이용하여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들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신용카드를 통해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은, 상품에 인자된 식별코드를 판독하고, 판독한 식별코드에 따른 상품 정보 및 전자상품권의 발행 요청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 전자상품권 충전을 위한 신용카드 결재가 수행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에 전자상품권을 전송하는 상품권 서버; 및 전자상품권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상품권 서버에게 상기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 승인을 받으며,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받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에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가맹점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상품권 서버와 사전에 상품권 위탁판매계약이 이루어져, 전자상품권 전송을 위한 상기 신용카드 결재를 받을 경우라면 이를 상품권 발행 서버에 통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에게 전자상품권을 전송토록 하는 상품권 위탁판매점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가맹점 결제계좌 개설을 요청받아 이를 개설하는 은행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맹점 서버는 상기 상품권 서버와 가맹점 계약을 맺은 것으로,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상품권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전자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임을 식별하는 식별마크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신용카드 결제를 통해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있는 장점과 보다 높은 소득 공제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며, 고객이 구매를 결정한 상품에 대하여 전자 상품권이 발행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효용성이 크고, 고객이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하나의 상품권으로 일괄적으로 결제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구성 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기술이 적용되는 전자상품권 결제시스템(이하 '결제 시스템'이라 약칭 함)은,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단말기(100), 상품권 서버(200), 가맹점 서버(300), 은행 서버(400), 상품권 위탁 판매점 서버(500) 및 네트워크(6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상품권 발행사 서버(200), 가맹점 서버(300), 은행 서버(400), 상품권 위탁 판매점 서버(5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통신망' 및 '통신'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온라인 단말기,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기 및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100)는 스마트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용 컴퓨터, IPTV, 휴대용 통신 장치(PDA, 노트북, 핸드헬드 피씨 등)을 포함하는 개념에 해당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기능들을 가진다.
첫째, 상품에 인자된 식별코드를 판독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온라인단말기(100)에는 식별코드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성되어야 한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바코드(특히 QR코드와 같이 다량의 정보를 내재시킬 수 있는 2차원 바코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별코드는 일반적으로 상품의 명칭, 가격, 상품의 재료 등과 같이 정형화된 정보를 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기능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온라인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고객이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식별코드를 판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판독한 식별코드에 따른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품 정보는 상품명과 상품 가격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품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은 식별코드 자체가 내재하고 있는 상품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현되는 방식일 수도 있다.
만일 제1 기능이 복수의 상품들에 각각 인자된 복수의 식별코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실행된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판독한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들을 도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목록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셋째, 판독된 상품 정보에 따른 전자 상품권 발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품권 서버(200)로 문의하는 기능을 가진다. 궁극적으로 모든 상품들에 대하여 전자 상품권 발행이 가능하게 되면 이러한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겠지만, 초기 적용 단계나 상품 공급자들의 기호에 따라서 개개의 상품마다 전자 상품권 발행이 가능하거나 가능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능이 필요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문의 기능은 개개의 상품에 대한 식별코드가 판독될 때마다 자동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식별코드가 판독된 복수개의 상품들에 대하여 차후 전자 상품권 구매 요청과 동시에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상품에 대한 식별코드가 판독될 때마다 자동으로 문의하도록 구현되는 예를 따른다.
이와 같은 문의 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고객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하여 전자 상품권 발행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자 상품권 발행이 가능한 동종의 다른 대체 상품을 선택하게 될 것이다.
상기 상품권 서버(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100)에 충전식 신용카드를 제공하는 기능 및 전자상품권을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가맹점 서버(300)는 상기 상품권 서버(200)와 상품권 위탁판매계약 및 가맹점 계약을 수행하고 은행 서버(400)로부터 가맹점 결재 계좌를 개설받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100)의 결재시 현금영수증을 발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상품권 위탁 판매점 서버(5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100)가 신용카드 결제를 통해 전자상품권 충전을 수행하면 상기 상품권 서버(200)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100)에 전자상품권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권 위탁 판매점 서버(500)는 상기 가맹점 서버(4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온라인 단말기(100)에서 상품에 인자된 식별코드를 판독하고(S200), 판독한 식별코드에 따른 상품 정보 전송 및 전자상품권의 발행 요청을 상품권 서버(200)로 전송한다(S210).
이때, 상기 단계 S200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단계 S210은 복수의 상품들에 대한 상품 정보 및 복수의 상품들을 구매할 수 있는 하나의 전자 상품권의 발행 요청을 상품권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상기 온라인 단말기(100)에서 판독된 상품 정보에 따른 전자상품권 발행이 가능한지 여부를 상품권 서버(200)로 문의하는 과정과, 상기 상품권 서버(200)에서 수신된 상품 정보에 따른 전자상품권 발행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하여 응답하는 과정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품권 서버(200)가 온라인 단말기(100)로부터 오는 상품 정보 및 전자상품권 발행 요청을 수신한 후, 상품 정보에 따른 전자상품권을 생성한 후(S220), 전자상품권 사용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상품권 서버가 가맹점 서버로부터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요청받는다(S230).
이때, 상기 전자상품권 사용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는, 상기 가맹점 서버(300)에서 이루어지거나 상기 상품권 서버(200)와 상품권 위탁판매계약을 맺은 상품권 위탁판매점 서버(500)에서 이루어지는 지며, 상기 가맹점 서버(300)는 상기 상품권 서버와 가맹점 계약을 맺은 것으로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상품권 서버와 통신한다.
이후, 상기 상품권 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서버(300)에게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한다(S240).
상기 상품권 서버(200)가 승인이 완료된 전자상품권을 해당 온라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250).
이에 따라 상기 온라인 단말기(100)가 상품권 서버(200)로부터 오는 전자상품권을 수신한 후 저장한다(S260).
상기 온라인 단말기(100)에서 저장한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결제를 요청하면, 상기 가맹점 서버(300)에서 온라인 단말기(100)가 가지고 있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의 대금 결제를 허락하고,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받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100)에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한다(S270).
따라서, 상기 가맹점 서버(300)는 상기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상품 대금 결제 허락 이후에, 상기 상품권 서버(200)로부터 상응하는 대금을 지급받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온라인 단말기 200 : 상품권 서버
300 : 가맹점 서버 400 : 은행 서버
500 : 상품권 위탁 판매점 서버 600 : 네트워크

Claims (4)

  1.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결제 방법을 수행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에 인자된 식별코드를 판독하고, 판독한 식별코드에 따른 상품 정보 및 전자상품권의 발행 요청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
    전자상품권 사용을 위한 신용카드 결제가 수행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에 전자상품권을 전송하는 상품권 서버; 및
    전자상품권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상품권 서버에게 상기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 승인을 받으며, 전자상품권 사용 승인을 받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에게 현금영수증을 발급하는 가맹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권 서버와 사전에 상품권 위탁판매계약이 이루어져, 전자상품권 사용을 위한 상기 신용카드 결재를 받을 경우라면 이를 상품권 발행 서버에 통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온라인 단말기에게 전자상품권을 전송토록 하는 상품권 위탁판매점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서버로부터 가맹점 결제계좌 개설을 요청받아 이를 개설하는 은행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서버는 상기 상품권 서버와 가맹점 계약을 맺은 것으로,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상품권 서버와 통신하며, 상기 상품권 서버로부터 전자상품권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임을 식별하는 식별마크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KR1020190069013A 2019-06-11 2019-06-11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KR20200141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13A KR20200141894A (ko) 2019-06-11 2019-06-11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013A KR20200141894A (ko) 2019-06-11 2019-06-11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894A true KR20200141894A (ko) 2020-12-21

Family

ID=74090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013A KR20200141894A (ko) 2019-06-11 2019-06-11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18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583A (ko) 2005-03-14 2006-09-20 장양호 전자 상품권을 통한 온라인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583A (ko) 2005-03-14 2006-09-20 장양호 전자 상품권을 통한 온라인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0701B2 (en) Secure processing of electronic payments
CN113379401B (zh) 电子支付的安全处理
CN101354770B (zh) 使用五方协议实现银行卡支付的系统和方法
US20140046788A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US201401294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ssuing mobile payment cards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nternet-connected devices
KR20150046080A (ko) 이동전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모바일 비접촉 발권/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1400953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 Store Shopping With Instant Cash
KR20120074497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모바일 안심클릭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67010B2 (ja) モバイルプリペイドカードのサービスシステム、そのクローンカード保存装置及びサービス方法
CN105741099A (zh) 一种支付结算方法
Vizzarri et al. m-Payment systems: Technologies and business models
KR20170123297A (ko)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카드 서비스 시스템과 서비스 방법
US108466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service
KR20190018292A (ko) 전자상품권 및 복권당첨금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
KR20110069911A (ko) 스티커 카드를 이용한 금융 결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41893A (ko) 전자상품권 및 복권당첨금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시스템
KR20200141894A (ko)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KR101803075B1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18291A (ko)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KR20170123224A (ko) 모바일 카드의 클론 카드 저장장치, 카드 월렛 어플리케이션, 클론 카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1502799B1 (ko) 선불 모바일 카드의 후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02571A (ko) 전자화폐 결제 방법, 이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 및 시스템
KR20190018289A (ko)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방법
US11494756B2 (en) Payment transactions with integrated point of sale terminals
KR2011003835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대금결제 시스템, 거기에 이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대금결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