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187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1878A
KR20200141878A KR1020190068985A KR20190068985A KR20200141878A KR 20200141878 A KR20200141878 A KR 20200141878A KR 1020190068985 A KR1020190068985 A KR 1020190068985A KR 20190068985 A KR20190068985 A KR 20190068985A KR 20200141878 A KR20200141878 A KR 20200141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evaporator
wall
outer case
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to KR1020190068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1878A/ko
Priority to PCT/KR2019/013559 priority patent/WO2020251118A1/ko
Publication of KR20200141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1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저장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복수의 상기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케이스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증발기를 설치함에 따라, 대용량 냉장고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간 제약없이 증발기를 조립 및 용접할 수 있고,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저장실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케이스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증발기를 설치함에 따라, 대용량 냉장고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간 제약없이 증발기를 조립 및 용접할 수 있고,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저장실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실에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가전기기로써,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대용량의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고의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실은 통상적으로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과 식품을 얼려서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로 나뉘며,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저장실로써 제빙실이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 순의 냉각사이클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저장실의 내부 후방 측에 배치된 증발기의 열교환을 통해 저장실 내에 냉기를 제공함으로써 식품을 설정된 온도로 보관하거나 얼음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와 관련하여,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7337620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냉장고는 바닥에 장착되는 냉동실과 도어가 있는 냉장실을 상하로 구비하고, 상기 냉장실 내의 제빙실로써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냉장실은 라이너를 갖고, 상기 제빙실의 상기 외부 케이스는 상기 라이너 내에 일체로 형성되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상기 내부 케이스과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의 단열재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에 장착된 제빙기와, 상기 제빙실를 닫고 얼음저장부 및 상기 제빙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전면 덮개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냉동실의 내부 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장실과 상기 냉동실을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냉장고가 대용량일 경우 증발기를 조립하거나 용접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냉동실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증발기를 조립하거나 용접하는데 있어서 공간 제약으로 인한 장애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작업자가 허리를 숙이는 등의 행동을 반복적으로 행해야 하므로 높은 강도의 피로에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케이스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증발기를 설치함에 따라, 대용량 냉장고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간 제약없이 증발기를 조립 및 용접할 수 있고,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저장실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저장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복수의 상기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후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후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증발기케이스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단열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케이스의 전방부에는 상기 저장실과 연통되는 토출구와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측에 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저장실은 제빙실, 냉장실 및 냉동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증발기케이스는 상기 제빙실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이 상기 제빙실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대용량 냉장고의 경우에도 작업자가 공간 제약없이 증발기를 조립 및 용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증발기를 조립 및 용접할 경우, 작업자가 허리를 숙여 저장실 내부로 들어갈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증발기를 조립 및 용접할 경우, 작업자의 피로도가 낮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증발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구획벽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구획벽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 및 구획벽에 단열재가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외부케이스, 내부케이스 및 구획벽만 도시함).
도 6은 도 2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와 구획벽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본체는 올려본 상태이고, 구획벽은 내려본 상태로 도시함).
도 9는 도 2의 D-D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케이스에서 단열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구획벽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구획벽이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 사이 및 구획벽에 단열재가 주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외부케이스, 내부케이스 및 구획벽만 도시함)이고, 도 6은 도 2의 B-B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C-C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와 구획벽 간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본체는 올려본 상태이고, 구획벽은 내려본 상태로 도시함)이고, 도 9는 도 2의 D-D 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증발기케이스에서 단열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저장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200)를 포함하는 본체(10)와, 복수의 상기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801)를 포함하되, 증발기(801)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10)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체(10)는 직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저장실이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저장실은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빙실(210)과, 식품을 저온의 냉장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장실(220)과, 식품을 얼려 냉동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냉동실(미도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냉장고는 프렌치도어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10)는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케이스(100)는 본체(1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 전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좌측 상단 모서리에는 후술할 증발기(810)의 설치를 위한 개구(110)가 전후 관통형성된다.
개구(110)는 외부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된 후술할 증발기케이스(800)의 설치공간(80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외부케이스(100)에는 내부케이스(200)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마련되고, 후술할 단열재(150)가 주입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부케이스(100)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200)는 전면이 개방되어 복수의 상기 저장실을 제공하며, 복수의 상기 저장실은 내부케이스(200)의 상부에 제공되는 제빙실(210)과 냉장실(220) 및 내부케이스(200)의 하부에 제공되는 냉동실(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빙실(210)은 후술할 구획벽(300)에 의해 내부케이스(200)의 상부 좌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냉장고는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렌치도어타입의 냉장고로, 내부케이스(200)의 상부에 형성된 냉장실(220)이 본체(10)의 좌측 상단부와 좌측 중앙부 및 우측 상단부와 우측 중앙부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회동형 도어(11)에 의해 개폐되고, 내부케이스(200)의 하부에 형성된 냉동실(미도시)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서랍형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서랍형 도어(15)는 필요에 따라 개수가 달라지게 구성될 수 있다.
좌측에 배치된 회동형 도어(11)의 전면에는 얼음 및 물이 배출되는 디스펜서(13)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얼음 및 물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펜서(13)는 좌측에 배치된 회동형 도어(11)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210)의 얼음토출구(321)와 덕트(미도시)로 연결되어 있어서 제빙실(210)로부터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다.
내부케이스(200)에는 상부벽, 후측벽 및 좌측벽에 걸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장착부(230)가 마련되고, 장착부(230)에는 후술할 증발기케이스(800)가 장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230)는 제빙실(210)의 직후방에 형성된다.
다만, 장착부(230)는 증발기(810)가 냉동실(미도시)이나 냉장실(220)의 후방 측에 설치될 경우, 냉동실(미도시)이나 냉장실(220)의 직후방에 형성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의 일측 내면에는 제1비드부(240)가 형성되고, 내부케이스(200)의 타측 내면에는 제2비드부(25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비드부(240)는 내부케이스(200)의 상측벽 내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비드부(250)는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내면에서 우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내면에서부터 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비드부(240)와 제2비드부(250)는 내부케이스(2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비드부(240)는 제2비드부(250)에 비해 다소 긴 길이로 형성된다.
제1비드부(240)의 전방측 단부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비드부(250)의 전방측 단부면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제1오목부(340)와 제2오목부(350)의 형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비드부(240)의 우측부에는 제1단차부(241)가 형성되고, 제2비드부(250)의 하부에는 제2단차부(251)가 형성되어 후술할 제1단턱부(341)와 제2단턱부(351)가 안착된다.
제1비드부(240)는 제빙실(210)을 이루는 우측벽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제2비드부(250)는 제빙실(210)을 이루는 하부벽의 일부분을 구성한다.
한편, 내부케이스(200)에는 구획벽(300)이 결합된다.
구획벽(300)은 내부케이스(200)의 좌측 상부 모서리 내측에 결합되어 제빙실(210)을 냉장실(220)과 독립적으로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및 구획벽(300)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단열재(150)가 주입되어 일체 발포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획벽(300)은 외벽(300a)과, 외벽(300a)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벽(300b)으로 이루어진다.
외벽(300a)의 상단부에는 좌측으로 개방된 제1끼움홈(301a)이 형성되고, 외벽(300a)의 좌측단부에는 좌측으로 개방된 제2끼움홈(303a)이 형성된다.
내벽(300b)의 상단부에는 제1끼움홈(301a)에 끼워지는 제1끼움부(301b)가 형성되고, 내벽(300b)의 좌측단부에는 제2끼움홈(303a)에 끼워지는 제2끼움부(303b)가 형성된다.
구획벽(300)은 정면에서 볼 때 수직배치되는 수직단열벽(310)과, 수직단열벽(310)의 하단에서 좌측으로 절곡되는 수평단열벽(320)과, 수직단열벽(310) 및 수평단열벽(320)의 전단에 일체의 직사각형상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는 전측벽(330)을 포함한다.
수평단열벽(320)의 전방측에는 전측에서 후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하 관통하는 얼음토출구(321)가 형성되며, 전측벽(330)의 중앙부에는 전후 관통하는 개방부(331)가 형성된다.
구획벽(300)은 수직단열벽(310)의 상단 및 후단이 내부케이스(200)의 상부벽 내면 및 후측벽 내면에 각각 밀착되고, 수평단열벽(320)의 좌측단 및 후단이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및 후측벽 내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내부케이스(200)에 결합된다.
구획벽(300)의 수직단열벽(310), 수평단열벽(320) 및 전측벽(330)은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200) 각각의 상부벽 일부분과,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200) 각각의 좌측벽 일부분과,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200) 각각의 후측벽 일부분과 함께 제빙실(210)을 둘러싸는 제빙실케이스 및 단열벽의 역할을 하여 내부케이스(200)의 좌측 상부 모서리 내측에 제빙실(210)을 형성한다.
이때, 제빙실(210)의 상부에는 후술할 증발기(810)에 의해 공급되는 냉기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부(400)가 설치되고, 제빙실(210)의 하부에는 제빙부(40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보관부(500)가 설치되며, 얼음보관부(500)의 내부에는 얼음보관부(500)에 저장된 얼음을 이송시켜 얼음토출구(321)로 내보내는 얼음이송부(600)가 설치된다.
또한, 제빙실(210)의 개방된 전면, 즉, 전측벽(330)의 개방부(331)는 손잡이(710)가 형성된 개폐부(700)에 의해 개폐되며, 개폐부(700)와 얼음보관부(500)는 상호 고정되어 개폐부(700)가 개폐됨에 따라 얼음보관부(500)가 제빙실(210) 내에서 인출되거나 제빙실(210) 내로 인입된다.
이때, 개폐부(700)의 내부에는 단열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200)와 제빙부(400) 사이 및 내부케이스(200)와 얼음보관부(500) 사이에는 제빙부(400)와 얼음보관부(500)의 좌측 및 상부를 감싸는 설치벽(360)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벽(360)의 하단부는 제2비드부(250)와 후술할 제2오목부(350)의 형합 시, 제2비드부(250)와 제2오목부(350)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구획벽(300)의 일측에는 제1오목부(340)가 형성되고, 구획벽(300)의 타측에는 제2오목부(35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오목부(340)는 수직단열벽(310)의 상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획벽(300)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할 때 제1비드부(240)에 형합되고, 제2오목부(350)는 수평단열벽(320)의 좌측단부에 우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구획벽(300)을 내부케이스(200)에 결합할 때 제2비드부(250)에 형합됨으로써 구획벽(300)이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게 한다.
제1오목부(340)는 제1비드부(240)와 대응되도록 전방측 단부면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오목부(350)는 제2비드부(250)와 대응되도록 전방측 단부면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1비드부(240)와 제2비드부(250)의 형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오목부(340)의 우측부에는 제1비드부(240)와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제1단턱부(341)가 형성되고, 제2오목부(350)의 하단부에는 제2비드부(250)와 대응되도록 좌측으로 돌출된 제2단턱부(351)가 형성되어 제1단턱부(341)와 제2단턱부(351)가 각각 제1단차부(241)와 제2단차부(251)에 안착된다.
한편, 제1비드부(240)와 제1오목부(340) 중 어느 하나에는 제1관통공(343a)이 형성된 제1돌출부(343)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돌출부(343)가 삽입되는 제1주입구(243)가 형성되되, 제2비드부(250)와 제2오목부(350) 중 어느 하나에는 제2관통공(353a)이 형성된 제2돌출부(353)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2돌출부(353)가 삽입되는 제2주입구(25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비드부(240)에 제1주입구(243)가 형성되고, 제2비드부(250)에 제2주입구(253)가 형성되며, 제1오목부(340)에 제1돌출부(343)가 형성되고, 제2오목부(350)에 제2돌출부(353)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비드부(240)에는 제1주입구(243)가 형성된다.
제1주입구(243)는 제1비드부(240)의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나, 제1주입구(24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주입구(243)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부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 자세히는 수직단열벽(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비드부(250)에는 제2주입구(253)가 형성된다.
제2주입구(253)는 제2비드부(250)의 우측면을 좌우로 관통하는 직사각형상의 구멍으로,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나, 제1주입구(243)와 마찬가지로 제2주입구(253)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주입구(253)는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 자세히는 수평단열벽(320)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오목부(340)에는 제1주입구(243)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34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1돌출부(343)는 제1오목부(3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1주입구(243)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1돌출부(343)의 개수는 제1주입구(243)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돌출부(343)의 전면에는 좌우로 이격된 두 개의 제1리브(3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1돌출부(343)를 보강해준다.
제1돌출부(343)의 내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343a)이 형성된다.
제1관통공(343a)은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 즉, 수직단열벽(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제1관통공(343a)은 제1주입구(243)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부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 자세히는 수직단열벽(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1비드부(240)와 제1오목부(340)의 형합 시, 각각의 제1돌출부(343)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1주입구(243)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상부벽 사이의 공간은 제1주입구(243)와 제1관통공(343a)을 통해 수직단열벽(31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제2오목부(350)에는 제2주입구(253)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353)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돌출부(353)는 제2오목부(350)에서 좌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제2주입구(253)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전후로 이격되게 두 개가 형성되며, 제2돌출부(353)의 개수는 제2주입구(253)의 개수가 달라질 경우 이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돌출부(353)의 전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두 개의 제2리브(3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돌출부(353)를 보강해준다.
제2돌출부(353)의 내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제2관통공(353a)이 형성된다.
제2관통공(353a)은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 즉, 수평단열벽(3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제2관통공(353a)은 제2주입구(253)와 마찬가지로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 자세히는 수평단열벽(320)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비드부(250)와 제2오목부(350)의 형합 시, 각각의 제2돌출부(353)는 대응되는 각각의 제2주입구(253)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의 좌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좌측벽 사이의 공간은 제2주입구(253)와 제2관통공(353a)을 통해 수평단열벽(3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구획벽(300)의 하면, 즉, 수평단열벽(320)의 하면과 제2비드부(250)의 하면에는 수평단열벽(320)에 스크류로 고정된 받침부재(26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및 구획벽(300)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단열재(150)가 주입되어 일체 발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획벽(300)은 제1비드부(240)와 제2비드부(250)에 각각 제1오목부(340)와 제2오목부(350)가 형합되도록 스크류 등으로 내부케이스(200)에 조립된다.
이때, 제1돌출부(343)와 제2돌출부(353)는 각각 제1주입구(243)와 제2주입구(253)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로,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사이에는 내부케이스(200)의 내부(제빙실, 냉장실 및 냉동실)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본체의 외부) 간의 단열을 위해 우레탄 등과 같은 액상 발포액인 단열재(150)가 주입된다.
이렇게 주입된 단열재(150)는 제1주입구(243)와 제1관통공(343a)을 통해 수직단열벽(310)의 내부 공간에 주입되는 동시에, 제2주입구(253)와 제2관통공(353a)을 통해 수평단열벽(320)의 내부 공간으로도 주입되며, 이에 따라 구획벽(300)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단열재(150)가 주입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열재(150)는 일체 발포되어 팽창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에서부터 구획벽(300) 내부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까지 일체로 채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획벽(300)은 본체(10)와 분리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냉장실(220)과 별도의 제빙실(210)이 냉장실(220)과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300)의 내부에는 단열재(150)가 주입되기 전에 내부단열재(315)가 미리 삽입될 수 있다.
내부단열재(315)는 구획벽(300)의 내부에서 단열재(150)가 주입될 일정 공간을 비워둔 채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단열재(315)는 구획벽(300)의 내부 중 구획벽(300)의 모서리측 내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200)에 조립된 구획벽(300)에는 수직단열벽(310)의 내부 공간 중 상단부 일부분을 제1관통공(343a)과 연통하는 제1공백영역(301)으로 두고, 수평단열벽(320)의 내부 공간 중 하부 좌측단부 일부분을 제2관통공(353a)과 연통하는 제2공백영역(303)으로 두도록 내부단열재(315)가 미리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있고,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벽(300)이 내부케이스(2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 사이 공간에는 단열재(150)가 주입되며, 이후 제1공백영역(301)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에 주입된 단열재(150)가 제1주입구(243)에 삽입된 제1돌출부(343)의 제1관통공(343a)을 통해 주입되고, 제2공백영역(303)에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에 주입된 단열재(150)가 제2주입구(253)에 삽입된 제2돌출부(353)의 제2관통공(353a)을 통해 주입되어 일체 발포되는 것이다.
다만, 본체(10)에 주입되는 단열재(150), 즉, 외부케이스(100)와 내부케이스(200)의 사이 공간에 주입되는 단열재(150)로 구획벽(300)의 내부 공간을 모두 채울 경우에는 구획벽(300) 내부에 내부단열재(315)가 미리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는 증발기케이스(800)가 마련된다.
증발기케이스(800)는 복수의 저장실 즉, 제빙실(210), 냉장실(220) 및 냉동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후방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증발기(801) 역시 제빙실(210), 냉장실(220) 및 냉동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후방 측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케이스(800) 및 증발기(801)가 제빙실(210)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한다.
증발기케이스(800)는 증발기(810)가 개구(110)를 통해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증발기(810)는 증발기케이스(800)를 통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 설치되며, 제빙실(210)과의 사이에 내부케이스(200)를 두고 제빙실(210) 뒤에 배치된다.
증발기케이스(800)는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에 형성된 장착부(230)에 전방부가 장착되고,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 내면에 후방단부가 체결되어 본체(10)에 결합된다.
증발기케이스(80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801)이 형성된다.
설치공간(801)은 후방 측 개방면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10)와 동일한 형태로 개방되어 있다.
설치공간(801)은 전방부에 후술할 흡입구(805)를 통해 설치공간(801) 내로 흡입되는 냉기의 흐름을 증발기(810)의 하단부로 유도하는 가이드부(820)가 조립되고, 후방부 즉, 가이드부(820)의 후방측에는 열교환을 통해 제빙실(21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810)가 설치된다.
이때, 증발기(810)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110)를 통해 설치공간(801) 내에 설치됨으로써 별다른 장애없이 매우 용이하게 증발기(810)를 설치할 수 있다.
증발기케이스(800)의 전면측에는 제빙실(210)과 연통되는 토출구(803)와 흡입구(805)가 형성되고, 흡입구(805) 측에 팬(809)이 구비된다.
토출구(803)는 증발기케이스(800)의 전면측 상부에 전후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801)과 제빙실(210)을 연통시키고, 흡입구(805)는 증발기케이스(800)의 전면측 중앙부의 경사면, 즉, 후술할 팬설치홈(807)의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상하로 관통형성되어 설치공간(801)과 제빙실(210)을 연통시킨다.
토출구(803)는 설치공간(801) 내의 증발기(810)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제빙실(210) 내부에 설치된 제빙부(400)로 흐르도록 하는 구성이고, 흡입구(805)는 제빙부(400)와 얼음보관부(500)를 거친 냉기가 증발기케이스(800)의 설치공간(801) 내로 흐를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흡입구(805)를 통해 설치공간(801)으로 흡입된 냉기는 가이드부(820)의 안내에 따라 설치공간(801)의 중앙부 부근에서 하부측으로 유도되어 증발기(810)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증발기케이스(800)의 전면 중앙부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팬설치홈(807)이 형성된다.
흡입구(805)는 팬설치홈(807) 내부의 경사진 하면에 형성되고, 팬설치홈(807)은 흡입구(805)와 연통된다.
팬설치홈(807)에는 증발기(810)의 열교환에 의한 냉기를 순환시키는 팬(809)이 흡입구(805) 측,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구(807)의 바로 위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10)에는 단열커버(900)가 설치된다.
단열커버(900)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110) 및 설치공간(80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키기 위해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스크류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단열커버(900)는 개구(110) 및 설치공간(801)의 개폐가 가능하며, 단열커버(900)의 후면 가장자리 좌측 하부와 우측 상부에는 각각 커버손잡이(910)가 형성되어 단열커버(900)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단열커버(900)의 내부에는 커버단열재(920)가 구비되어 증발기케이스(800)의 설치공간(801)과 외부 간의 단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열커버(900)의 전면 우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공간차단부(930)가 형성된다.
공간차단부(930)는 설치공간(801)에서 가이드부(820)와 증발기(810)가 설치된 공간 외에 남는 공간인 설치공간(801) 우측부에 삽입되어 불필요한 공간을 메꾸어 불필요한 공간까지 냉기가 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빙실(210)을 형성하는 구획벽(300) 및 증발기케이스(800)에 설치되는 증발기(810)가 냉장고 본체(100)의 상부 좌측 모서리 측에 적용되는 것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반대로 냉장고 본체(100)의 상부 우측 모서리 측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증발기(810) 및 증발기케이스(800)가 제빙실(310)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빙실(310) 후방 측의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제빙실(310)에 연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증발기(810) 및 증발기케이스(800)는 냉장실(220) 또는 냉동실(미도시) 후방 측의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과 내부케이스(200)의 후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냉장실(220) 또는 냉동실(미도시)에 연통되어 냉기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 위치에 대응하는 외부케이스(100)의 후측벽에 개구가 형성되어 개구를 통해 증발기의 조립 및 용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본체 11 : 회동형 도어
13 : 디스펜서 15 : 서랍형 도어
100 : 외부케이스 110 : 개구
150 : 단열재 200 : 내부케이스
210 : 제빙실 220 : 냉장실
230 : 장착부 240 : 제1비드부
241 : 제1단차부 243 : 제1주입구
250 : 제2비드부 251 : 제2단차부
253 : 제2주입구 260 : 받침부재
300 : 구획벽 300a : 외벽
300b : 내벽 301 : 제1공백영역
301a : 제1끼움홈 301b : 제1끼움부
303 : 제2공백영역 303a : 제2끼움홈
303b : 제2끼움부 310 : 수직단열벽
315 : 내부단열재 320 : 수평단열벽
321 : 얼음토출구 330 : 전측벽
331 : 개방부 340 : 제1오목부
341 : 제1단턱부 343 : 제1돌출부
343a : 제1관통공 345 : 제1리브
350 : 제2오목부 351 : 제2단턱부
353 : 제2돌출부 353a : 제2관통공
355 : 제2리브 400 : 제빙부
500 : 얼음보관부 600 : 얼음이송부
700 : 개폐부 710 : 손잡이
800 : 증발기케이스 801 : 설치공간
803 : 토출구 805 : 흡입구
807 : 팬설치홈 809 : 팬
810 : 증발기 820 : 가이드부
900 : 단열커버 910 : 커버손잡이
920 : 커버단열재 930 : 공간차단부

Claims (6)

  1.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저장실을 제공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본체;
    복수의 상기 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후측벽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후측벽과 상기 내부케이스의 후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개구와 연통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는 증발기케이스;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단열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증발기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케이스의 전방부에는 상기 저장실과 연통되는 토출구와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측에 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저장실은 제빙실, 냉장실 및 냉동실로 구성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케이스는 상기 제빙실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이 상기 제빙실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068985A 2019-06-11 2019-06-11 냉장고 KR20200141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985A KR20200141878A (ko) 2019-06-11 2019-06-11 냉장고
PCT/KR2019/013559 WO2020251118A1 (ko) 2019-06-11 2019-10-16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985A KR20200141878A (ko) 2019-06-11 2019-06-11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1878A true KR20200141878A (ko) 2020-12-21

Family

ID=7378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985A KR20200141878A (ko) 2019-06-11 2019-06-11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141878A (ko)
WO (1) WO202025111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7620B2 (en) 2005-05-18 2008-03-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9896A (ja) * 1992-11-18 1994-06-07 Hitachi Ltd 冷蔵庫
KR100528289B1 (ko) * 2004-04-21 2005-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92277A (ko) * 2009-02-12 201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128991A (ko) * 2012-05-18 2013-11-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44627B1 (ko) * 2017-07-31 202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7620B2 (en) 2005-05-18 2008-03-04 Whirlpool Corporation Insulated ice compartment for bottom mount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51118A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195B2 (en) Refrigerator
US7231782B2 (en) Refrigerator
KR102627719B1 (ko) 냉장고
KR102338471B1 (ko) 냉장고
US20120000238A1 (en) Refrigerator with selective airflow passage between the icemaker and the ice making evaporator
KR20130114850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6930A (ko) 냉장고
KR101740333B1 (ko) 냉장고
JP2001147072A (ja) 電気冷蔵庫
KR20200141878A (ko) 냉장고
KR20200141879A (ko) 냉장고
KR20210089549A (ko) 냉장고
KR101053853B1 (ko) 냉장고 및 그 제조방법
JPS62288468A (ja) 5温度式冷蔵庫
JP3600579B2 (ja) 冷蔵庫
KR20210072576A (ko) 냉장고
US20240175619A1 (en) Refrigerator
US11150004B1 (en) Integrated ice chute with dispenser housing
JPH10253219A (ja) 冷蔵庫
KR101949195B1 (ko) 냉장고
KR20210089545A (ko) 냉장고
KR20210089539A (ko) 냉장고
KR20210089543A (ko) 냉장고
KR20210089542A (ko) 냉장고
KR200292004Y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