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542A -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542A
KR20200140542A KR1020190067299A KR20190067299A KR20200140542A KR 20200140542 A KR20200140542 A KR 20200140542A KR 1020190067299 A KR1020190067299 A KR 1020190067299A KR 20190067299 A KR20190067299 A KR 20190067299A KR 20200140542 A KR20200140542 A KR 20200140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layer
partial network
wakeup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7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필용
서강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7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0542A/ko
Publication of KR2020014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5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은 파셜 네트워크 상의 제1 제어기가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장치는 CAN(Contro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파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고,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A CAN-based partial network device and its operation method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네트워크 환경에서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장비 시스템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그 복잡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제어기가 증가함에 따라 입/출력의 수 또한 많이 증가하게 되었다. 과거에는 거리가 떨어진 제어기들 간의 입출력을 위해 많은 통신선(wire)들이 사용되었으나, 복잡도 증가에 따라 물리적 와이어의 증가에 따른 원가와 공간상의 제약, 중량증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도입된 것이 CAN(Controller Area Network)와 같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차량의 자율주행 및 커넥티비티가 강화되면서 차량 네트워크 제어기가 증가하게 되고 많은 양의 전력이 소모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CAN 통신 및 이더넷 통신에 파셜 네트워크(PN: Partial Network) 기술 표준 도입되게 되었다.
파셜 네트워크(PN)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Network Management)의 세부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이라고 하면 네트워크 제어기의 통신 시작과 종료를 동기화하는 제어 기법이다. 기존의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이 네트워크 상의 모든 제어기가 동시에 웨이크업되고 슬립이 진행되었다면, 파셜 네트워크(PN)은 제어기를 선택적으로 웨이크업하고 슬립에 들어갈 수 있다. 즉, 파셜 네트워크(PN) 지원 트랜시버는 자신하고 관련 있는 메시지(예를 들어 웨이크업 프레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유효한 메시지인 경우에만 마이컴을 웨이크업 시킨다.
도 1은 종래의 파셜 네트워크에 따른 네트워크 시작에 대한 예시이고, 도 2는 종래의 파셜 네트워크에 따른 네트워크 종료에 대한 예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ECU A는 로컬 웨이크업(Local Wakeup)을 감지하고 부팅시간(tNWStartupLocal) 이내에 최초 웨이크업 프레임(WUF: Wakeup Frame)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ECU A는 로컬 이벤트(Local Event)에 의한 부팅된 액티브 웨이크업(Active Wakeup) 제어기이므로, 웨이크업 프레임을 짧은 전송간격으로 3회 전송한다. 즉, 이후 기설정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 간격(tNNMMsgCycle)으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ECU B는 웨이크업 프레임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부팅 시간 이내(tNwStartupRemote)에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기설정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 간격(tNMMsgCycle)으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제어기는 네트워크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만약 더는 네트워크 사용이 불필요하다면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을 중단한다. 네트워크 상의 모든 제어기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을 중단한다면 타임아웃 시간(tNMTimout) 이후 프리페어 버스 슬립 모드(Prepare Bus Sleep Mode)를 거쳐 버스 슬립모드(Bus Sleep Mode)에 진입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상의 제어기의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상태 변화는 도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종래의 파셜 네트워크에 상의 제어기의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 슬립모드(Bus Sleep Mode)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제어기들이 슬립(Sleep) 모드인 상태일 수 있다.
리피트 메시지 상태(Repeat Message State)는 네트워크 상의 제어기들이 액티브(Active)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현재 제어기들의 탐지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리피트 메시지 상태는 네트워크 모드의 초기 모드일 수 있다.
노멀 상태(Normal State)는 제어기가 네트워크를 리퀘스트(Request)하는 경우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레디 슬립 상태(Ready Sleep State)는 제어기가 네트워크를 리퀘스트(Request)하지 않는 경우, 즉 릴리즈(Release)한 경우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다.
프리페어 버스 슬립 모드(Prepare Bus Sleep Mode)는 버스 슬립 모드(Bus Sleep Mode) 전 대기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파셜 네트워크(PN)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일반적인 파셜 네트워크(PN)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파셜 네트워크(PN) 지원 트랜시버를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PN) 제어기는 네트워크가 더는 요구치 않을 때 슬립모드(Sleep Mode)에 진입하여 저전력 관리를 할 수 있다. 만약 어떤 특정한 조건에서 다시 웨이크업(Wakeup)이 되어야 한다면 다른 제어기로부터 웨이크업 프레임(WUF: Wakeup Frame)를 수신하여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ECU B는 더는 네트워크가 필요 없어진 상태이므로 버스 슬립 모드(BUS Sleep Mode)에 진입해 있는 상태이다. 이때, ECU A는 정상동작 상태인 노멀 상태(Normal State)이고, ECU B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한다. 따라서, ECU B를 깨워야 하는 조건을 감지하여 웨이크업 프레임(WUF: Wakeup Frame)를 전송한다. 이때, WUF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의 일종으로 ECU B에 유효한 웨이크업(Wakeup)으로 작용하는 메시지이다. 이후, ECU B는 ECU A의 WUF을 감지하고 스타트업(Startup)을 시작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는 긴 주기 간격으로 일정하게 전송되므로 ECU B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Remote Event)를 감지하더라도 다음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전송주기까지 대기해야 하고, 이로 인해 ECU B는 늦게 부팅될 수 있고, 기능적/성능적인 이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자원으로 최소 변환 소요 시간을 갖도록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 및 이를 활용한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은 파셜 네트워크 상의 제1 제어기가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장치는 CAN(Contro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파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고,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은, CAN 네트워크의 파샬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제어기를 통해 일반 제어메시지 전송 경로를 활용하여 WUF 메시지를 즉시 전송하여 Wakeup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어기 기능 동작에 대한 성능 및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셜 네트워크에 따른 네트워크 시작에 대한 예시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셜 네트워크에 따른 네트워크 종료에 대한 예시이다.
도 3은 종래의 파셜 네트워크에 상의 제어기의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반적인 파셜 네트워크(PN)에 따른 네트워크 제어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내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내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a),(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내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500)은 네트워크 관리 계층(520) 및 상호 호환 계층(530)을 포함하고, 하나의 최상층의 애플리케이션 계층(510) 및 하위의 데이터 링크 계층(550), 물리 계층(560)을 공유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 계층(Network Management Layer, 520)은 네트워크 구성 제어기들 간의 연계 기능 관리를 위하여, 각 제어기들에 대한 네트워크 시작, 종료 및 오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다른 제어기들과 연계하지 않고, ECU 단독으로 수행하는 ECU 시작, 종료 및 오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호 호환 계층(Interaction Layer, 530)은 응용 소프트웨어에서 요청하는 형식에 필요한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시지 버퍼 및 큐 기능 제공을 위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540)은 8 바이트를 초과하는 데이터 송신을 위하여 메시지 분할 및 조합기능을 처리 할 수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550)은 낮은 레벨의 메시지 송수신과 관련된 기능 수행을 위하여 통신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 할 수 있다.
물리 계층(Physical Layer, 560)은 트랜시버 및 개별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기 위한 통신 컨트롤러를 포함 할 수 있다. 물리 계층(560)은 CAN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물리 계층(560)은 CAN 버스의 CAN_H 및 CAN_L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하, 프로토콜 스택(500) 구조상에서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하기 위한 레이어 선택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에 따른 프로토콜 스택(500) 구조는 리모트 웨이크업(Remote Wakeup) 이벤트 감지 시 전송 계층 분리하여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가 버스 슬립(Bus-Sleep)에서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하는 제2 경로의 경우, 프로토콜 스택(500)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510), 상호 호환 계층(530), 데이터 링크 계층(550), 물리 계층(560)을 순서대로 거쳐 CAN 버스에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토콜 스택(500) 구조의 제1 경로를 통해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기가 버스 슬립(Bus-Sleep)에서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하는 경우, 프로토콜 스택(500) 내에서 애플리케이션 계층(510), 네트워크 관리 계층(520), 데이터 링크 계층(550), 물리 계층(560)을 순서대로 거쳐 CAN 버스에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토콜 스택(500) 구조의 제2 경로를 통해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내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ECU A는 정상동작 상태인 노멀상태(Normal State)이고, ECU B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ECU A는 PN 네트워크상에 제1 제어기일 수 있고, ECU B는 제2 제어기일 수 있다.
ECU A가 ECU B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한 이후, ECU B에 웨이크업 프레임(WUF:Wakeup Frame)을 전송한다. 즉, ECU A는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해서 이벤트 방식으로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는 ECU A의 프로토콜 스택(500)의 제1 경로를 통한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 전송일 수 있다.
이때, ECU A가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 감지로부터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한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전송하기까지의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시간(Max Wakeup Delay Time)은 시간은 ECU A의 내부처리시간(ECU A Internal Process Time)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ECU A는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시간에 대응하여 제1 경로에 따른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ECU B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ECU A는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2 경로를 통해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ECU B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ECU B는 버스 슬립 모드(BUS Sleep Mode)에 진입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ECU B가 ECU A로부터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한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수신하는 경우, ECU B는 웨이크업 딜레이 시간에 이후에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ECU B가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ECU B의 부팅 시간(tNWStartupRemoteB)이 이후에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ECU A가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해서 이벤트 방식으로 ECU B에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전송하여, ECU B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ECU A가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한 이후, ECU B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하기까지 걸리는 최대 웨이크업 시간(PN ECU Max.Wakeup Time)은 이하 수학식 1에 의하여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ECU Internal Process Time는 ECU A의 내부처리시간(ECU Internal Process Time)이고, tNwStartupRemote는 ECU B의 부팅 시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파셜 네트워크(PN)에 포함된 제1 제어기가 제2 제어기에 대응하는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 감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10).
제1 제어기가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S710의 YES), 제1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500) 중 에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생성할 수 있다(S720).
상기 S720 단계 이후, 제1 제어기의 상호 호환 계층(530)에서 이벤트 방식을 전송할 수 있다(S730).
상기 S730 이후, 제1 제어기의 전송 계층에서 논-세그먼트(Non-Segmen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40).
상기 S740 이후, 제1 제어기의 데이터 링크 계층(550) 및 물리 계층(560)을 거쳐 CAN 버스에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전송할 수 있다(S750). 즉, 제1 제어기는 프로토콜 스택(500)의 제1 경로를 통하여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CAN 버스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710 이후, 제1 제어기가 제2 제어기에 대응하는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S710의 NO), 기설정된 간격(tNMMsgCycle)으로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760). 즉, 제1 제어기는 프로토콜 스택(500)의 제2 경로를 통하여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CAN 버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상의 제어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의 파셜 네트워크에는 바디컨트롤모듈(Body Control Module, 810), 엔진컨트롤모듈(Engine Control Module, 820), 트랜스미션컨트롤모듈(Transmission Control Module, 830), 파워 트렁크/테이게이트 모듈(PTGM:Power Trunk Tailgate Lid Module, 840) 및 도어 영역 유닛(Door Area Unit, 8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PTGM(840)의 경우, 주행중에는 사용 빈도가 낮으며, PTGM(840)은 P단이 아니고 차속이 3mph 인 경우 Sleep에 진입할 수 있다. 이후, BCM(810)은 PTGM(840)의 리모트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BCM(810)은 정상동작 상태인 노멀상태(Normal State)이고, 이벤트 조건 모니터링을 통하여 PTGM(840)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BCM(810)이 PTGM(840)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한 이후, PTGM(840)에 웨이크업 프레임(WUF:Wakeup Frame)을 전송한다. 즉, BCM(810)은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해서 이벤트 방식으로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BCM(810)은 최대 웨이크업 딜레이 시간에 대응하여 제1 경로에 따른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PTGM(8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BCM(810)은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2 경로를 통해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PTGM(84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PTGM(840)는 버스 슬립 모드(BUS Sleep Mode)에 진입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PTGM(840)가 BCM(810)로부터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한 웨이크업 프레임(WUF)을 수신하는 경우, PTGM(840)는 웨이크업 딜레이 시간에 이후에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PTGM(840)가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PTGM(840)의 부팅 시간(tNWStartupRemoteB)이 이후에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즉, BCM(810)이 상호 호환 계층(530)을 통해서 이벤트 방식으로 PTGM(840)에 웨이크업 프레임(WUF) 메시지를 전송하여, PTGM(840)가 네트워크 매니지먼트(NM) 메시지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 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500: 프로토콜 스택
510: 애플리케이션 계층
520: 네트워크 관리 계층
530: 상호 호환 계층
540: 전송 계층
550: 데이터 링크 계층
560: 물리 계층

Claims (20)

  1. CAN(Contro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파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셜 네트워크 상의 제1 제어기가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제어기의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관리 계층, 상호 호환 계층, 전송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 상호 호환 계층, 전송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순서대로 사용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제어기가 노멀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가 버스 슬립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기가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 수신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내부처리시간 이후에 웨이크업 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제어기가 웨이크업 되어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가 상기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변경으로부터 기설정된 부팅 시간이후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CAN 버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CAN 버스에 전송하기까지 걸리는 최대 웨이크업 시간(PN ECU Max.Wakeup Time)은 이하 수학식 1에 의하여 연산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수학식 1]
    Figure pat00002

    (ECU Internal Process Time는 제1 제어기의 내부처리시간(ECU Internal Process Time)이고, tNwStartupRemote는 제2 제어기의 부팅 시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제2 경로를 통해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CAN 버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순서대로 사용하는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셜 네트워크 동작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1. CAN(Contro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파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고,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프로토콜 스택으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관리 계층, 상호 호환 계층, 전송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경로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계층, 상호 호환 계층, 전송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순서대로 사용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노멀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버스 슬립모드에서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 수신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내부처리시간 이후에 웨이크업 되고,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변경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리피트 메시지 상태로 변경으로부터 기설정된 부팅 시간이후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CAN 버스에 전송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가 상기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상기 CAN 버스에 전송하기까지 걸리는 최대 웨이크업 시간(PN ECU Max.Wakeup Time)은 이하 수학식 1에 의하여 연산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수학식 1]
    Figure pat00003

    (ECU Internal Process Time는 제1 제어기의 내부처리시간(ECU Internal Process Time)이고, tNwStartupRemote는 제2 제어기의 부팅 시간)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지 않는 경우,
    상기 프로토콜 스택의 제2 경로를 통해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메시지를 CAN 버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1 경로로 애플리케이션 계층, 네트워크 매니지먼트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및 물리 계층을 순서대로 사용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
  20. 서로 통신 연결되는 다수의 제어기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제어기가 파셜 네트워크 통신으로 동작하는 파셜 네트워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파셜 네트워크 장치는
    CAN(Contro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파셜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는 제1 제어기 및 제2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제2 제어기의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를 감지하고,
    상기 리모트 웨이크업 이벤트에 대응하는 웨이크업 프레임을 생성하고,
    프로토콜 스택의 제1 경로를 통해 상기 웨이크업 프레임을 상기 제2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190067299A 2019-06-07 2019-06-07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KR202001405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99A KR20200140542A (ko) 2019-06-07 2019-06-07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7299A KR20200140542A (ko) 2019-06-07 2019-06-07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542A true KR20200140542A (ko) 2020-12-16

Family

ID=7404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7299A KR20200140542A (ko) 2019-06-07 2019-06-07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05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16028A (zh) * 2021-11-15 2022-03-01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行车电脑ecu的唤醒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WO2023277632A1 (ko) * 2021-07-01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632A1 (ko) * 2021-07-01 2023-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통신 장치
CN114116028A (zh) * 2021-11-15 2022-03-01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行车电脑ecu的唤醒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69821B2 (en) Method of operating selective wake-up of communication node in vehicle network
US113364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ke-up signal in vehicle network
US8332676B2 (en) Methods of preparing a power saving stat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nd universal serial bus host
US201903571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ke-up of communication node in vehicle network
JP7192047B2 (ja) 車載コンピューティ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の休眠制御方法、装置、機器及び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US20100049881A1 (en) Universal serial bus (usb) remote wakeup
TWI401565B (zh) 一種控制能量的方法及系統
US2014007853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0011235A1 (en) Usb self-idling techniques
US20160364247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automotive network
KR20200140542A (ko) Can에 기반한 파셜 네트워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과 그를 포함하는 차량
CN114363099A (zh) 一种网络管理系统、控制方法、电子控制器及电动汽车
AU2013219155B2 (en) Monitoring systems of a vehicle by generating and transmitting customized information messages to wireless networked computers
WO2013063972A1 (zh) 一种通信方法、通信装置及电子设备
US20160366646A1 (en)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in automotive network
CN109887143B (zh) 用于智能门锁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门锁
US11616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communication node using network management function in vehicle network
CN113422738B (zh) 一种智能主机的mcu通信服务方法
CN105807886A (zh) 一种芯片唤醒系统及方法以及移动终端
WO2024061177A1 (zh) 网络唤醒方法、装置、电子设备及车辆
CN111490918A (zh) 车载以太网网络唤醒系统、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13220107A (zh) PCIe链路的功耗管理方法以及终端设备和存储介质
WO2022100374A1 (zh) 一种终端设备分级管理方法及系统
CN115416596A (zh) 车辆唤醒方法、车辆唤醒装置、车辆及存储介质
KR101524143B1 (ko) 부분적 통신 네트워킹을 위한 전자 제어기 및 동작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