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0360A -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 - Google Patents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0360A
KR20200140360A KR1020207032112A KR20207032112A KR20200140360A KR 20200140360 A KR20200140360 A KR 20200140360A KR 1020207032112 A KR1020207032112 A KR 1020207032112A KR 20207032112 A KR20207032112 A KR 20207032112A KR 20200140360 A KR20200140360 A KR 20200140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communication
wireless device
communication resource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530B1 (ko
Inventor
다니엘 첸 라르손
라비키란 노리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20014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9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additional or different redunda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의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고, 제1 UL-DL 구성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 접속을 위한 리소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이중 접속은 디바이스가 2개의 셀에 동시에 접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이중 접속이 LTE 및 NR 기지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일부 예시적인 이중 접속 아키텍처들을 도시한다.
전력 제어 목적들 및/또는 예를 들어, 새로운 무선(NR) 또는 롱 텀 에볼루션(LTE)(예를 들어, 단일 전송(Tx) 동작)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주어진 시간에 동작할 수 있는 목적들을 위해,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및 스케줄링 타이밍들의 특정 세트를 정의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고려되었던 스케줄링 타이밍들은 단지 LTE 측 상의 단일 캐리어 동작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만을 커버한다. 이것은 이용되는 아키텍처 옵션 3/3A(도 1 참조)에 대응할 수 있고, 이는 전형적으로 LTE가 마스터 셀 그룹(MCG: Master Cell Group)이고, NR이 이차 셀 그룹(SCG: Secondary Cell Group)일 때이다.
고려되었던 하나의 해결책은 LTE 측 상의 다운링크(DL), 즉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로의 목적들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Time Division Duplex) HARQ 타이밍 기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특정 업링크(UL), 즉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기지국으로의 서브프레임들(예컨대, UL/DL 구성에 의해 주어진 것들)에 대한 피드백을 위한 HARQ 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FDD 캐리어가 TDD 캐리어로서 HARQ-ACK 타이밍을 동작시키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TDD UL/DL 구성에 의해 주어지는 UL 서브프레임들이 UL에서의 LTE 전송에만 이용되는 시간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든 다른 경우들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NR이 UL에서 전송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LTE 측 상의 이러한 경우들에서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UL 스케줄링이 종료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10 ms 라운드 트립 시간(RTT)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되었다.
E-UTRAN 새로운 무선-이중 접속(EN-DC)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경우, FDD 일차 셀(PCell)에 대한 사례 1 HARQ 타이밍으로 구성될 때, 하나의 고려된 해결책은 다음의 사양들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CSS에서 포맷들 DCI 0 및 1A에 대한 현재의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포맷 크기에 대한 변경들이 없고;
Figure pct00002
무선 디바이스는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를 이용하지 않고;
Figure pct00003
UL 스케줄링/HARQ 타이밍은 다음과 같다:
PUSCH HARQ 라운드 트립 시간(RTT)은 10 ms이고;
서브프레임 n+4에서의 서브프레임 n 스케줄링된 PUSCH에서의 UL 승인, 및 동일한 UL HARQ 프로세스에 대한 UL 승인은 서브프레임 n+10에서 발생하고;
유의: 이것은 UL에 대한 스케줄링/HARQ 타이밍에 대한 이전의 합의들을 대체할 수 있고;
Figure pct00004
USS의 DCI 포맷들에서의 다운링크 할당 표시자(DAI) 필드 및 HARQ 프로세스 번호 필드는 TDD PCell을 갖는 FDD 이차 셀(SCell)의 설계를 따르고;
Figure pct00005
TDD PCell을 갖는 LTE FDD SCell에서와 같이 HARQ-ACK 피드백을 위한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포맷 3/4/5 절차들을 지원하고, 다음의 예외들을 갖는다:
DCI로 스케줄링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 대응하는 PUCCH 포맷 1a/1b 리소스는 FDD에 대한 리소스 결정 절차에 기반하여 도출되고;
무선 디바이스는 CSS에 의해 스케줄링된 유니캐스트 PDSCH 및 HARQ-ACK 번들링 윈도우 내의 USS에 의해 스케줄링된 유니캐스트 PDSCH 둘 다를 수신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고;
유니캐스트 PDSCH가 CSS에서 스케줄링되는 경우, 무선 디바이스는 DAI=1을 가정하고;
Figure pct00006
유의: 일부 경우들에서, 상기한 것은 기준 UL/DL 구성의 UL 서브프레임들(특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지 않음)에서만 LTE UL 전송들이 발생하는 사양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고;
Figure pct00007
유의: 일부 경우들에서, CSS 및 USS 둘 다에서의 DL 할당들에 대해, PDSCH 대 HARQ 피드백 타이밍은 기준 UL/DL 구성을 따를 수 있다.
일부 NR-LTE 이중 접속 아키텍처 옵션들은 독립형 "LTE-보조" 또는 "NR 보조" 3GPP 시나리오들 중 일부에 따라 도 1, 즉 옵션들 3/3A, 4/4A 및 7/7A에 도시된다.
NR-LTE 공존
NR 기지국(BS)(예컨대, gNB)은 LTE BS(예컨대, eNB)와 지리적으로 공동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상이한 장소들에 위치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에서, NR 및 LTE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 또는 이웃 주파수들에 공존할 수 있다.
기존 해결책들에서의 문제점들 중 하나는, 고려되었던 현재 해결책들이 LTE 캐리어가 TDD에서 동작하는 경우들에 대해 어떠한 해결책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 해결책들은 어느 것도, LTE 측에서 복수의 캐리어들이 구성되는 경우들을 다루지 않는다. 특히, 기존 해결책들은 FDD 및 TDD 모두에서 동작하는 LTE 측에서 캐리어들의 혼합이 존재하는 경우를 다루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이들이 이중 접속(DC) 모드에서 동작될 때, LTE 및 NR에 대한 적용가능한 UL 서브프레임들 및 대응하는 UL 슬롯들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1(SIB1)을 통해, 구성된 UL/DL 구성과 비교되는 기준 UL/DL 구성으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을 제공한다. 양쪽 구성들에서 동일한 방향(예컨대, 양쪽 UL 또는 양쪽 DL 통신 방향들, 즉, 기준 UL/DL 구성의 서브프레임/슬롯의 통신 방향이 대응하는(예컨대, SIB1) 구성된 UL/DL 구성의 서브프레임/슬롯의 통신 방향과 일치함)을 갖는 UL 서브프레임들이 LTE에 대한 UL에 이용될 수 있다. UL 서브프레임과 DL 서브프레임 사이의 구성들 간의 차이가 있을 때의 시간 인스턴스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들이 LTE에 의해 이용되지 않고 NR에 대해 대응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UL/DL 기준 구성을 구성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LTE 측에서의 캐리어 집성(CA) 동작에 이용되고/되거나 확장될 수 있다. 동일한 메커니즘들이 CA에 유용하고 유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LTE 측의 다중 캐리어 동작과 또한 LTE 캐리어들이 TDD를 동작시키는 경우를 위한 사례 1 타이밍을 구성하는 능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무선 디바이스가 동적 전력 공유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UL에서 더 높은 전력이 이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LTE와 NR 측 양쪽 모두의 커버리지가 더 커질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무선 디바이스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의 이중 접속 모드에 대해,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고, 제1 UL-DL 구성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중 어느 것도 UL 방향들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D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고,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의 이중 접속 모드에 대해,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 및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중 어느 것도 UL 방향들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다운링크(D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고,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 모드에 있을 때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가 제공된다. 네트워크 노드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을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고;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고 -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가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N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통신 리소스에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함 -;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추가로 구성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태에서,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의 표시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단계;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 -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가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N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통신 리소스에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함 -; 및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을 선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추가로 구성한다. 이 양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들 및 이에 수반되는 이점들 및 특징들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가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NR-LTE 이중 접속 아키텍처 옵션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NR 배치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라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를 경유하여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서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예시적인 방법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NR 배치 시나리오들의 예들이 또한 도 2에 도시된다. NR 및 LTE 공존이 동일한 또는 이웃 주파수들(예컨대, 공동 위치된 NR 및 LTE BS들에서와 같은 동일한 영역에서의 LTE 및 NR) 상의 TDD 시스템에서 이용될 때, 이들은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타이밍 어드밴스(TA) 오프셋을 포함하는 동일한 TDD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는 LTE 캐리어 내의 미사용 리소스들이 전송된 NR 신호들에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특히 UL 캐리어에서 이용될 수 있다. UL에서 이러한 NR-LTE 공존의 적어도 두 가지 경우, 즉 무선 디바이스 투명 및 무선 디바이스 비투명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 동일한 UL 캐리어가 2개의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LTE와 NR 사이에서 공유된다(예컨대, 무선 디바이스(1)는 LTE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반면, 무선 디바이스(2)는 NR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후자의 경우에, 동일한 UL 캐리어가 LTE 및 NR 신호들(예컨대, UL 캐리어 집성(CA)과 유사함) 둘 다를 전송하기 위해 동일한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NR 및 LTE 공존이 동일한 또는 이웃 주파수들 상의 TDD 시스템에 이용될 때 그리고 이들이 이중 접속(DC) 모드에서 동작될 때, LTE 및 NR에 대한 적용가능한 UL 서브프레임들 및 대응하는 UL 슬롯들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실시예들은 TDD 및/또는 CA에 대한 공존 동작들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과 관련된 장치 구성요소들 및 처리 단계들의 조합들에 주로 존재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성요소들은 도면들에서 종래의 심볼들로 적절히 표현되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의 이익을 갖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명백할 상세들로 개시내용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실시예들을 이해하는 것과 관련된 특정 상세만을 도시한다. 설명 전반에 걸쳐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상단" 및 "하단" 등과 같은 관계형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요소를 다른 엔티티 또는 요소와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엔티티들 또는 요소들 간의 임의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필요로 하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들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형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용어들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언급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동작, 요소,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와 통신하는" 등의 결합 용어는 전기적 또는 데이터 통신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어, 물리적 접촉, 유도, 전자기 복사, 무선 시그널링, 적외선 시그널링 또는 광학 시그널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복수의 구성요소가 연동될 수 있고, 전기적 및 데이터 통신을 달성하기 위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어 "결합된", "접속된" 등은, 반드시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접속을 나타내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유선 및/또는 무선 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BS), 무선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 제어기(BSC),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g Node B(gNB), 진화된 Node B(eNB 또는 eNodeB), Node B, MSR BS 등의 다중-표준 무선(MSR) 무선 노드, 다중 셀/멀티캐스트 조율 엔티티(MCE), 중계 노드,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노드, 중계를 제어하는 도너 노드(donor node),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전송 포인트들, 전송 노드들,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ME(mobile management entity), SON(self-organizing network) 노드, 조율 노드, 포지셔닝 노드, MDT 노드 등), 외부 노드(예를 들어, 제3자 노드, 현재 네트워크 외부의 노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DAS)의 노드들, SAS(spectrum access system) 노드,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등 중에서 임의의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에 포함된 임의의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또한 테스트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무선 노드"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무선 네트워크 노드 등의 무선 디바이스를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비제한적인 용어들 무선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는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와 같이, 무선 신호들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또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D2D) 무선 디바이스, 기계형 무선 디바이스 또는 M2M(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이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 저비용 및/또는 저복잡성 무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가 장착된 센서, 태블릿, 모바일 단말기, 스마트 폰, LEE(laptop embedded equipped), LME(laptop mounted equipment), USB 동글들, CPE(Customer Premises Equipment),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 또는 협대역 IoT(NB-IOT)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일반적인 용어 "무선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된다. 이것은, 기지국, 무선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기지국 제어기, 네트워크 제어기, RNC, 진화된 Node B(eNB), Node B, gNB, MCE(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중계 노드, IAB 노드, 액세스 포인트, 무선 액세스 포인트, RRU(Remote Radio Unit) RRH(Remote Radio Head)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LTE 및/또는 새로운 무선(NR) 등의, 하나의 특정한 무선 시스템으로부터의 용어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것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으로만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제한 없이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이 또한 본 개시내용 내에서 커버되는 발상들을 활용하는 것으로부터 이익을 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용어 "패턴" 및 "서브프레임 패턴" 및 "슬롯 패턴"은, 예를 들어, UL 및 DL 통신들을 위한 리소스들로 구성되는 프레임에서 시간 리소스들의 시간 리소스 패턴을 표시하기 위해 TDD UL/DL 구성들에 대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L/DL 구성은 TDD 프레임의 UL-DL 구성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은 예를 들어 LTE에서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다운링크로서 구성되는지,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업링크인지, 그리고 어느 서브프레임들이 특수 서브프레임들인지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LTE에서는 7개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이 존재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로서 전송될 수 있는 TDD에 대한 전형적인 UL/DL 구성들과는 상이하고/하거나 별개인 리소스 구성을 표시하도록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TDD에서 비중첩 시간 리소스 구성들을 갖도록 UL 리소스가 LTE에 대해서만 또는 NR에 대해서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LTE BS 및 NR BS로부터의 통상적인 UL/DL 구성을 비교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리소스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CA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 및/또는 예를 들어 DC에 대한 시간 리소스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리소스라는 용어는 슬롯 및/또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방향이라는 용어는 UL 통신 방향(즉, 무선 디바이스로부터 네트워크 노드로의 통신들) 및/또는 DL 통신 방향(즉,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무선 디바이스로의 방향으로의 통신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간 리소스라는 용어는 시간의 길이의 측면에서 표현되는 임의의 유형의 물리적 리소스 또는 무선 리소스에 대응할 수 있다. 시간 리소스들의 예들은 심볼, 시간 슬롯, 서브프레임, 무선 프레임, TTI, 인터리빙 시간 등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서브프레임", "슬롯", "서브프레임/슬롯" 및 "시간 리소스"라는 용어들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되고 시간 리소스 및/또는 시간 리소스 번호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셀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노드에 의해 제공되는 셀룰러 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의 통신 셀일 수 있다. 서빙 셀은 네트워크 노드(셀을 제공하거나 이에 연관된 노드, 예컨대 기지국 또는 eNodeB)가 사용자 장비에게 데이터(브로드캐스트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일 수 있음), 특히 제어 및/또는 사용자 또는 페이로드 데이터를 전송하고/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있거나, 사용자 장비가 노드에 데이터를 전송하고/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셀일 수 있고, 서빙 셀은 예를 들어 노드 및/또는 사용자 장비 및/또는 네트워크가 LTE-표준을 따르는 경우에 사용자 장비가 구성되고/되거나 동기화되고/되거나 RRC_connected 또는 RRC_idle 상태에 있는 것과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액세스 절차, 예컨대 랜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 셀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캐리어(예를 들어,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캐리어/캐리어들 및/또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둘 다에 대한 캐리어)가 셀에 연관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에 대해 고려될 수 있는 것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 특히 기지국 또는 eNodeB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셀을 통해 그리고/또는 셀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L) 접속 및/또는 채널 및/또는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DL) 접속 및/또는 채널 및/또는 캐리어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업링크 방향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기지국 및/또는 중계국으로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다운링크 방향은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및/또는 중계 노드로부터 단말기로의 데이터 전송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UL 및 DL은 상이한 주파수 리소스들, 예를 들어, 캐리어들 및/또는 스펙트럼 대역들과 연관될 수 있다. 셀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들을 가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캐리어 및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odeB는 하나 이상의 셀, 예를 들어, PCell 및/또는 LA 셀을 제공 및/또는 정의 및/또는 제어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운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단말기로의 전송에 관련될 수 있다. 업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로의 전송에 관련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에서 전송하는 것은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다른 단말기로의 (직접) 전송과 관련될 수 있다. 업링크, 다운링크 및 사이드링크(예컨대, 사이드링크 전송 및 수신)는 통신 방향들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변형예들에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는 또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무선 통신을 설명하는데 이용, 예를 들어, 기지국들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예컨대, 무선 백홀 및/또는 중계 통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특히 기지국들 또는 유사한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종단되는 통신을 설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백홀 및/또는 중계 통신 및/또는 네트워크 통신은 사이드링크 또는 업링크 통신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를 구성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가 그 구성,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설정 및/또는 레지스터 엔트리 및/또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도록 지시하고/하거나 이를 야기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는, 예를 들어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의 메모리 내의 정보 또는 데이터에 따라, 그 자체를 구성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 또는 노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노드 또는 단말기 또는 무선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다른 디바이스 또는 노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 또는 노드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 예컨대 할당 데이터(또한 구성 데이터일 수 있고/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음) 및/또는 스케줄링 데이터 및/또는 스케줄링 승인들을 전송하는 것을 지칭하고/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를 구성하는 것은 어느 변조 및/또는 인코딩을 이용할지를 표시하는 할당/구성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는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것 및/또는 예를 들어 전송을 위해 스케줄링된 및/또는 할당된 업링크 리소스들을 이용하는 것 및/또는 예를 들어 수신을 위해 스케줄링된 및/또는 할당된 다운링크 리소스들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업링크 리소스들 및/또는 다운링크 리소스들은 할당 또는 구성 데이터로 스케줄링 및/또는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노드, 특히 단말기 또는 사용자 장비 또는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하는 것은 무선 노드가 구성에 따라 동작하도록 적응 또는 야기 또는 설정 및/또는 지시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구성하는 것은 다른 디바이스, 예컨대, 네트워크 노드(16)(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odeB와 같은 네트워크의 무선 노드) 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행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는 구성 데이터를 구성될 무선 노드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데이터는 구성, 예컨대 할당된 리소스들, 특히 주파수 리소스들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한 구성, 또는 예컨대 특정한 서브프레임들 또는 무선 리소스들의 특정한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구성하고/하거나 이를 포함할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노드는,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 수신된 구성 데이터에 기반하여 자체 구성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16)는 구성을 위해 그 회로/회로들을 이용할 수 있고/있거나 이를 이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할당 정보는 구성 데이터의 형태로 고려될 수 있다. 구성 데이터는 구성 정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표시 및/또는 메시지(들)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이들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성하는 것은 구성을 표현하는 구성 데이터를 결정하고 이를 하나 이상의 다른 노드에게 (병렬로 및/또는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것, 예컨대,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다른 노드들은 구성 데이터를 추가로 무선 노드(또는 다른 노드, 이는 구성 데이터가 무선 디바이스(22)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될 수 있음)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 또는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무선 노드를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상위-레벨 노드일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16)와 같은 다른 노드로부터 구성 데이터 및/또는 구성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 및/또는 수신된 구성 데이터를 무선 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을 결정하고 구성 데이터를 무선 노드에게 전송하는 것은, 적절한 인터페이스, 예컨대, LTE의 경우에 X2 인터페이스 또는 NR에 대한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들 또는 엔티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말기(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하는 것은 단말기에 대한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 전송들, 예를 들어, 다운링크 데이터 및/또는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 및/또는 DCI 및/또는 업링크 제어 또는 데이터 또는 통신 시그널링, 특히, 확인응답 시그널링 및/또는 구성 리소스들 및/또는 그에 대한 리소스 풀을 스케줄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하는 것은 무선 디바이스(22)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라 특정 서브프레임들 또는 무선 리소스들에 대한 특정 측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측정들을 보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신호 및/또는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 및/또는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시그널링은 데이터, 특히, 사용자 데이터 및/또는 페이로드 데이터 및/또는 무선 및/또는 물리적 계층(들) 위의 통신 계층으로부터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들 및/또는 심볼들과 관련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하나 이상의 복조 신호 및/또는 심볼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특히 3GPP 및/또는 LTE 기술들에 따른 DMRS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일반적으로 연관된 데이터 시그널링 또는 데이터를 디코딩 및/또는 복조하기 위해 단말기와 같은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기준을 제공하는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시그널링, 특히, 특정 데이터 또는 데이터 시그널링과 연관될 수 있다. 데이터 시그널링 및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인터레이싱 및/또는 멀티플렉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또는 슬롯 또는 심볼을 커버하는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그리고/또는 리소스 블록과 같은 동일한 시간-주파수 리소스 구조로 배열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리소스 요소는, 예를 들어, 공통 변조에서 표현되는 하나의 심볼 또는 다수의 비트들에 의해 커버되는 시간 및 주파수 범위를 나타내는 최소 시간-주파수 리소스를 나타낼 수 있다. 리소스 요소는, 예를 들어, 특히, 3GPP 및/또는 LTE 표준들에서 심볼 시간 길이 및 서브캐리어를 커버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특정 데이터,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 블록 및/또는 전송 블록의 전송을 나타내고/내거나 이와 관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복조 기준 시그널링은 복조 기준 시그널링을 식별 및/또는 정의할 수 있는 신호들 및/또는 심볼들의 시퀀스를 포함하고/하거나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은,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네트워크 노드 및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들은 단일의 물리적 디바이스에 의한 수행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실상, 여러 물리적 디바이스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흔히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 및 관련 분야와 관련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히 그렇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된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은, 이들이 이중 접속 모드에서 동작될 때, LTE 및 NR에 대한 적용가능한 UL 서브프레임들 및 대응하는 UL 슬롯들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무선 디바이스가,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1(SIB1)을 통해, 구성된 UL/DL 구성과 비교되는 기준 UL/DL 구성으로 기지국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양 구성들에서 동일한 방향을 갖는 UL 서브프레임들은 LTE에 대한 UL에 이용될 수 있다. UL 및 DL 서브프레임들 사이의 구성들 간의 차이(예컨대, 상이한 UL/DL 구성들에서의 반대 통신 방향들)가 있을 때의 시간 리소스들(예컨대, 시간 슬롯 번호들 및/또는 서브프레임 번호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는 서브프레임들이 LTE에 의해 이용되지 않고 NR에 대해 대응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L/DL 기준 구성을 구성하는 메커니즘은 LTE 측에서 CA 동작에 의해 대신에 이용되고/되거나 CA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동일한 메커니즘들이 CA 동작에 유용하고 유익할 수 있다.
유사한 요소들이 유사한 참조 번호들에 의해 지칭되는 도면들을 다시 참조하면, 도 3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등의 액세스 네트워크(12) 및 코어 네트워크(14)를 포함하는, LTE 및/또는 NR (5G) 등의 표준들을 지원할 수 있는 3GPP형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10)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12)는, NB들, eNB들, gNB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들 등의, (집합적으로 네트워크 노드들(16)이라고 지칭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16a, 16b, 16c)를 포함하며, 각각은 (집합적으로 커버리지 영역들(18)이라고 지칭되는)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18a, 18b, 18c)을 정의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16a, 16b, 16c)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2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14)에 접속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18a)에 위치한 제1 무선 디바이스(22a)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c)에 무선으로 접속하거나,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c)에 의해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18b)에서의 제2 무선 디바이스(22b)는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a)에 무선으로 접속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무선 디바이스(22a, 22b)(집합적으로 무선 디바이스들(22)이라고 지칭됨)가 도시되어 있지만,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거나 또는 단 하나의 무선 디바이스가 대응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 접속하고 있는 상황에 동등하게 적용가능하다. 편의를 위해 단지 2개의 무선 디바이스(22) 및 3개의 네트워크 노드(16)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시스템은 더 많은 무선 디바이스들(22) 및 네트워크 노드들(16)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무선 디바이스(22)가 동시 통신을 하고/하거나 하나보다 많은 네트워크 노드(16) 및 하나보다 많은 유형의 네트워크 노드(16)와 별도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는 LTE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노드(16), 및 NR을 지원하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노드(16)와의 이중 접속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무선 디바이스(22)는 LTE/E-UTRAN에 대한 eNB 및 NR/NG-RAN에 대한 gNB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그 자체가 호스트 컴퓨터(24)에 접속될 수 있고, 이 호스트 컴퓨터(24)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 구현 서버, 분산형 서버 또는 서버 팜 내의 처리 리소스들로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 또는 제어 하에 있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과 호스트 컴퓨터(24) 사이의 접속들(26, 28)은, 코어 네트워크(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24)로 직접 연장되거나, 임의적인 중간 네트워크(30)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0)는, 공중,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이거나 그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30)는, 있다면,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중간 네트워크(30)는 2개 이상의 서브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의 도 3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무선 디바이스들(22a, 22b) 중 하나와 호스트 컴퓨터(24) 사이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은 OTT(over-the-top) 접속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 및 접속된 무선 디바이스들(22a, 22b)은, 매개자들로서 액세스 네트워크(12), 코어 네트워크(14), 임의의 중간 네트워크(30) 및 가능한 추가 인프라스트럭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OTT 접속을 통해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은, OTT 접속이 통과하는 참여 통신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는, 접속된 무선 디바이스(22a)로 전달(예를 들어, 핸드오버)될 호스트 컴퓨터(24)로부터 유래하는 데이터와의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대해 통보받지 않거나 통보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16)는, 호스트 컴퓨터(24)를 향해 무선 디바이스(22a)로부터 유래하는 발신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알 필요가 없다.
네트워크 노드(16)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구성 유닛(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 유닛(32)은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로서 구성하기 위한 기준 UL-DL 구성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성 유닛(32)은,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UL-DL 구성의 테이블로부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22)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고, 제1 UL-DL 구성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3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결정 유닛(34)은,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수신하고 - 제2 UL-DL 구성은 기준 UL-DL 구성임 -;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적어도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결정 유닛(34)은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결정 유닛(34)은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결정 유닛(34)은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결정 유닛(34)은 무선 디바이스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앞선 단락들에서 논의된 무선 디바이스(22), 네트워크 노드(16) 및 호스트 컴퓨터(24)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구현들이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10)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통신 시스템(1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HW)(38)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저장 및/또는 처리 능력들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42)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42)는 프로세서(44) 및 메모리(4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42)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또는 ROM(Read-Only Memory)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46)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4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호스트 컴퓨터(24)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4)에 대응한다. 호스트 컴퓨터(2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4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48) 및/또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프로세서(44) 및/또는 처리 회로(42)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44) 및/또는 처리 회로(42)로 하여금 호스트 컴퓨터(24)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호스트 컴퓨터(24)와 연관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48)는 처리 회로(4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48)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무선 디바이스(22) 및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52)을 통해 접속되는 무선 디바이스(22) 등의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는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데이터 및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어 및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서비스 제공자를 대신하여 동작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의 처리 회로(42)는 호스트 컴퓨터(24)가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2)의 관찰, 모니터링, 제어, 이들에의 전송 및/또는 이들로부터의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의 처리 회로(42)는 서비스 제공자가 네트워크 노드(16)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22)의 관찰, 모니터링, 제어, 이들에의 전송 및/또는 이들로부터의 수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통신 유닛(5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은, 통신 시스템(10) 내에 제공되고 네트워크 노드가 호스트 컴퓨터(24) 및 무선 디바이스(22)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58)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를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58)는, 통신 시스템(10)의 상이한 통신 디바이스의 인터페이스와의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셋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60)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18)에 위치한 무선 디바이스(22)와의 적어도 무선 접속(64)을 셋업하고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6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F 전송기, 하나 이상의 RF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RF 트랜시버로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0)는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접속(66)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66)은 직접적이거나 통신 시스템(10)의 코어 네트워크(14) 및/또는 통신 시스템(10) 외부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30)를 통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의 하드웨어(58)는 처리 회로(68)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68)는 프로세서(70) 및 메모리(7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68)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 및/또는 ASI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 및/또는 ROM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72)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예를 들어 메모리(72)에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외부 접속을 통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 어레이, 네트워크 저장 디바이스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74)를 추가로 갖는다. 소프트웨어(74)는 처리 회로(6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처리 회로(68)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7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네트워크 노드(16)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0)에 대응한다. 메모리(7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74)는, 프로세서(70) 및/또는 처리 회로(68)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70) 및/또는 처리 회로(68)로 하여금 네트워크 노드(16)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의 처리 회로(68)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무선 디바이스(22)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68)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을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68)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고;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고 -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N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통신 리소스에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함 -;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68)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68)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추가로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도록 구성된 구성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UL-DL 구성은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로서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 UL-DL 구성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68)는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UL-DL 구성들의 테이블로부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10)은 이미 언급된 무선 디바이스(22)를 더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2)는, 무선 디바이스(22)가 현재 위치한 커버리지 영역(18)을 서비스하는 네트워크 노드(16)와의 무선 접속(64)을 셋업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포함할 수 있는 하드웨어(80)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82)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RF 전송기, 하나 이상의 RF 수신기, 및/또는 하나 이상의 RF 트랜시버로서 형성되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의 하드웨어(80)는 처리 회로(84)를 더 포함한다. 처리 회로(84)는 프로세서(86) 및 메모리(8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중앙 처리 유닛과 같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처리 회로(84)는, 처리 및/또는 제어를 위한 집적 회로, 예를 들어,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또는 프로세서 코어 및/또는 FPGA 및/또는 ASIC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6)는, 임의의 종류의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캐시 및/또는 버퍼 메모리 및/또는 RAM 및/또는 ROM 및/또는 광학 메모리 및/또는 EPROM을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88)에 액세스(예를 들어, 기입 및/또는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메모리(88)에 저장되거나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 어레이, 네트워크 저장 디바이스 등)에 저장된 소프트웨어(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90)는 처리 회로(8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90)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컴퓨터(24)의 지원과 함께, 무선 디바이스(22)를 통해 인간 또는 비인간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실행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은, 무선 디바이스(22) 및 호스트 컴퓨터(24)에서 종단하는 OTT 접속(52)을 통해 실행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과 통신할 수 있다.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50)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52)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사용자와 상호작용하여 자신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처리 회로(8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어하고/하거나 이러한 방법들 및/또는 프로세스들이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86)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무선 디바이스(22)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6)에 대응한다. 무선 디바이스(2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데이터, 프로그램적 소프트웨어 코드 및/또는 다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8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프트웨어(90) 및/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프로세서(86) 및/또는 처리 회로(84)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86) 및/또는 처리 회로(84)로 하여금 무선 디바이스(22)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2)의 처리 회로(84)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고, 제1 UL-DL 구성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고;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이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유닛(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84)는,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84)는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84)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84)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중 어느 것도 UL 방향들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D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고;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고,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 아닌 경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84)는,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수신하고 - 제2 UL-DL 구성은 기준 UL-DL 구성임 -;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적어도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3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처리 회로(84)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처리 회로(84)는 무선 디바이스(22)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처리 회로(84)는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처리 회로(84)는 무선 디바이스(22)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6), 무선 디바이스(22), 및 호스트 컴퓨터(24)의 내부 동작들은 도 4에 도시된 것일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3의 것일 수 있다.
도 4에서, OTT 접속(52)은, 임의의 중간 디바이스들 및 이들 디바이스들을 통한 메시지들의 정확한 라우팅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없이 네트워크 노드(16)를 통한 호스트 컴퓨터(24)와 무선 디바이스(22) 사이의 통신을 예시하기 위해 추상적으로 도시되었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으며, 라우팅은, 무선 디바이스(22) 또는 호스트 컴퓨터(24)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 또는 양쪽 모두로부터 은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TT 접속(52)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부하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하여)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들을 내릴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와 네트워크 노드(16) 사이의 무선 접속(64)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른다.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은, 무선 접속(64)이 마지막 세그먼트를 형성할 수 있는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무선 디바이스(22)에 제공되는 OTT 서비스들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 정확하게, 이들 실시예들 중 일부의 교시내용들은,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또는 전력 소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감소된 사용자 대기 시간, 파일 크기에 대한 완화된 제한, 더 나은 응답성, 연장된 배터리 수명 등과 같은 이익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향상시키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인자들을 모니터링하는 목적을 위한 측정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들에서의 변동들에 응답하여, 호스트 컴퓨터(24)와 무선 디바이스(22) 사이의 OTT 접속(52)을 재구성하기 위한 임의적인 네트워크 기능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OTT 접속(52)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은 호스트 컴퓨터(24)의 소프트웨어(48)에서 또는 무선 디바이스(22)의 소프트웨어(90)에서 또는 양쪽 모두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은 OTT 접속(52)이 통과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에 또는 이와 연관하여 배치될 수 있고, 센서들은, 위에서 예시된 모니터링된 양들의 값들을 제공하거나, 소프트웨어(48, 90)가 모니터링된 양들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 양들의 값들을 제공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여할 수 있다. OTT 접속(52)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설정들, 바람직한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네트워크 노드(16)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 노드(16)에 알려지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절차들 및 기능들 중 일부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져서 실시 중에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처리량, 전파 시간들,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24)의 측정들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 무선 디바이스 시그널링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측정들은, 전파 시간들, 에러들 등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소프트웨어(48, 90)가 OTT 접속(52)을 이용하여, 메시지들, 특히 빈 또는 '더미' 메시지들이 전송되게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42) 및 무선 디바이스(22)로의 전송을 위해 셀룰러 네트워크에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62)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16)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노드(16)가 구성되고/되거나 네트워크 노드(16)의 처리 회로(68)는 무선 디바이스(22)로의 전송을 준비/개시/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무선 디바이스(22)로부터의 전송의 수신을 준비/종결/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처리 회로(42) 및 무선 디바이스(22)로부터 네트워크 노드(16)로의 전송으로부터 기원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40)에 대해 구성되는 통신 인터페이스(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가 구성되고/되거나 네트워크 노드(16)로의 전송을 준비/개시/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의 전송의 수신을 준비/종결/유지/지원/종료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82) 및/또는 처리 회로(8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가 구성 유닛(32) 및 결정 유닛(34)과 같은 다양한 "유닛들"을 각각의 프로세서 내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들 유닛들은 유닛의 일부가 처리 회로 내의 대응하는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즉, 유닛들은 하드웨어로 또는 처리 회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의 통신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무선 디바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제1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00). 제1 단계의 임의적인 하위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예를 들어 호스트 애플리케이션(74) 등의,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02). 제2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22)에 운반하는 전송을 개시한다(블록 S104). 임의적인 제3 단계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24)가 개시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22)에 전송한다(블록 S106). 임의적인 제4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실행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74)과 연관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 등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블록 S108).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3의 통신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무선 디바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제1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10). 임의적인 하위 단계(도시되지 않음)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예를 들어 호스트 애플리케이션(74) 등의,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2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디바이스(22)에 운반하는 전송을 개시한다(블록 S112). 이 전송은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임의적인 제3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14).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3의 통신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무선 디바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임의적인 제1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16). 제1 단계의 임의적인 하위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을 실행하고, 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호스트 컴퓨터(24)에 의해 제공된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18).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서, 임의적인 제2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20). 제2 단계의 임의적인 하위 단계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 등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블록 S122).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92)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추가로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된 특정한 방식에 관계 없이, 무선 디바이스(22)는, 임의적인 제3 하위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할 수 있다(블록 S124). 이 방법의 제4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라 무선 디바이스(22)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26).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3의 통신 시스템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예시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들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24), 네트워크 노드(16) 및 무선 디바이스(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의 임의적인 제1 단계에서,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실시예들의 교시내용들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는 무선 디바이스(22)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28). 임의적인 제2 단계에서, 네트워크 노드(16)는 호스트 컴퓨터(24)로의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블록 S130). 제3 단계에서, 호스트 컴퓨터(24)는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개시된 전송에서 운반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S132).
도 9는 무선 디바이스(22)가 이중 접속 모드에 있을 때의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 및/또는 방법은 예시적인 방법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16)의 하나 이상의 요소, 예컨대 처리 회로(68), 프로세서(70), 무선 인터페이스(62) 등의 구성 유닛(3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구성 유닛(32), 처리 회로(68)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통해,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무선 디바이스(22)를 결정하는 단계(블록 S13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구성 유닛(32), 처리 회로(68)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통해,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의 표시를 통신하는 단계(블록 S133a)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는 단계(블록 S133a); 예를 들어 구성 유닛(32), 처리 회로(68)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통해,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블록 S133b) -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가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N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통신 리소스에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함 -; 및 예를 들어 구성 유닛(32), 처리 회로(68)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통해,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는 단계(블록 S135)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블록 S133b)는, 예를 들어, 구성 유닛(32), 처리 회로(68)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62)를 통해,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을 선택하는 단계(블록 S133b)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경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추가로 구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UL-DL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22)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로서 구성하기 위한 기준 UL-DL 구성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UL-DL 구성의 테이블로부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22)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블록 및/또는 기능 및/또는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22)의 하나 이상의 요소, 예컨대 처리 회로(84), 프로세서(86), 무선 인터페이스(82) 등의 결정 유닛(3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블록 S136)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블록 S138)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블록 S140)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제1 UL-DL 구성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 경우,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중 어느 것도 UL 방향들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다운링크(D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고,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 아닌 경우,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예를 들어 결정 유닛(34), 처리 회로(84)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82)를 통해, 기준 UL-DL 구성과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2)에서 구현되는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UL-DL 구성은 기준 UL-DL 구성임 -, 및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적어도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22)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은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22)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을 일반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일부 이러한 실시예들의 더 상세한 설명이 아래에 제공된다.
LTE 측 상의 단일 캐리어가 TDD로 동작하고 있을 때의 제1 예시적인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옵션 3/3A 또는 옵션 4/4A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중 접속이 NR 측에서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갖는 NR과 LTE 사이에서 이용된다. 옵션 4/4A는 NR이 MCG이고, LTE가 SCG인 경우에 대한 옵션일 수 있고, 옵션 3/3A는 LTE가 MCG이고, NR이 SCG인 경우에 대한 것일 수 있다.
NR 및 LTE 측 양쪽 모두가 TDD로 동작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많은 실제 배치들에서, 동일한 TDD 패턴(즉, UL/DL 전송들의 패턴)이 LTE 및 NR 양쪽 모두에 대해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NR이 LTE 주파수 대역들 내에서 동작하는 경우일 수 있다. 동일한 UL/DL 구성은 그러한 경우에 전체 주파수 대역 전체에 걸쳐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 대역 내의 모든 오퍼레이터들이 그 기술과 독립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NR 측 상에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이 있을 수 있다.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의 경우, 패턴(예컨대, UL/DL 구성 서브프레임 패턴)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NR 측의 각각의 슬롯(예컨대, 시간 슬롯)이 길이가 1 ms 대신에 0.5 ms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턴은 이후 (예를 들어, 1 ms 슬롯이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응하고, 0.5 ms 슬롯이 30kHz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응하는 2개의 연속적인 0.5 ms 슬롯으로 특정 UL/DL 방향으로 적용가능한 1 ms 슬롯을 대체함으로써) 이 사실을 반영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TE에서의 적용가능한 TDD 구성은 다음의 표(표 1)에 보여질 수 있고, 여기서 UL-DL 구성은 미리 정의된 TDD 서브프레임 구성에 대응하는 UL-DL 구성 번호 또는 표시자에 의해 표시된다:
<표 1>
Figure pct00008
일부 실시예들에서, LTE 캐리어가 (위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L/DL 구성 1을 동작시키고 있다고 가정 또는 결정될 수 있다. 이 구성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시스템 정보(예를 들어, SIB)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다. 유사하게, NR 측 상에서, 구성 1을 모방하는 구성이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16), 예컨대 gNB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R 측의 경우, 서브프레임 대 슬롯(NR 및 LTE 용어가 상이할 수 있음)에 기반한 표기 변경과 더불어 적절한 경우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한 수정이 있을 수 있다. NR에 특수 서브프레임이 없을 수 있지만, DL과 UL 사이의 스위치가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슬롯(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에 또한 유의한다(이는 LTE에서의 "특수 서브프레임"의 기능으로 고려된다). 또한, 표 1 내지 표 5에서, 'D'는 DL 서브프레임/슬롯을 나타내고, 'U'는 UL 서브프레임/슬롯을 나타내고, 'S'는 서브프레임/슬롯이 DL과 UL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특수 서브프레임" 또는 유사한 서브프레임임을 나타낸다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NR 및 LTE 둘 다가 15kHz 서브캐리어 간격을 동작시키고 있다고 가정될 수 있다. UL 및 DL 패턴들은 다음의 표(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다:
<표 2>
Figure pct00009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예에서, LTE 및 NR 둘 다는 표 1의 구성 1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슬롯 번호 패턴을 보여준다. 사례 1 타이밍이 구성되지 않은 경우, 전력 제어 관점에서, 네트워크는 LTE 측 및 NR 측에 걸친 총 최대 전력이 최대 출력 전력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NR 및 LTE 측 양쪽 모두 상에서 정적 최대 전력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을 NR과 LTE 사이에서 절반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것은 커버리지가 LTE 및 NR 둘 다에서 더 작아질 수 있는 직접적인 결과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대안은 할당된 전력이 무선 디바이스(22)의 최대 출력 전력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22)가 LTE 또는 NR을 규모축소할 수 있도록 무선 디바이스(22)가 동적 전력 공유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임계값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일 수 있다.
이것에 대한 대안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예컨대 네트워크 노드(16)에 의해, LTE 측 상의 UL/DL 기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부 실시예들에서, LTE 및 기준 구성이 (LTE 셀의 동작에 따라) Pcell 또는 일차 Scell(PScell)에 적용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위의 예에 대한 이러한 기준 구성은, 예를 들어, 구성 2와 동일한 UL/DL 서브프레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의 구성이 표 3에 다음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표 3>
Figure pct00010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 1의 구성 2에 대응하는 LTE 기준 구성이 있다. 이러한 기준 구성은 LTE 측에서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UL에 이용되는 UL 서브프레임(들)을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표 3에서의 다른 서브프레임/슬롯 번호들과 달리, 서브프레임/슬롯 번호들 2 및 7이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LTE 기준 구성 및 NR에 대한 UL로서 구성되므로, 서브프레임 2 및 7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기준 구성은 DL HARQ 타이밍들(즉, 다운링크에서 PDSCH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업링크에서 HARQ-ACK를 전송하는 타이밍)을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는, 기준 구성으로 구성된 후에, 서브프레임 2 및 7만이 UL에서의 LTE 전송들에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는 LTE SIB 구성된 UL/DL 구성(위의 표 3에서의 "LTE"에 대응하는 행)과 LTE 기준 구성(위의 표 3에서의 "LTE 기준 구성"에 대응하는 행) 사이에서 상이한 방향들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이 LTE에 의해 이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 위의 예에서, 이것은 서브프레임 3 및 8이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들 서브프레임들(즉, NR 측에서 이들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슬롯들)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22)는 NR이 이들을 UL(위의 표 3에서의 "NR"에 대응하는 행)에서 이용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예컨대, 네트워크 노드(16))가 LTE 및 NR에 대한 비중첩 UL 전송들을 스케줄링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위의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UL에서의 LTE 전송들에 대한 서브프레임들 2 및 7과 UL에서의 NR에 대한 서브프레임들 3 및 8을 이용할 수 있다.
LTE SIB 구성된 UL/DL 구성과 LTE 기준 구성 사이에서 상이한 방향들을 갖는 서브프레임들, 즉 위의 예의 서브프레임들 3 및 8에 대해, 무선 디바이스(22)는 LTE 측에서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와 같은 DL 기준 신호들에 대해 측정들, 예컨대 RSRP/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Signal/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측정들을 수행하면서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을 배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또한 이들 NR UL 서브프레임들(예컨대, 이 예에서의 서브프레임 3 및 8)에 대한 LTE DL 제어 채널, 즉 LTE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스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또한 그러한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ICH) 리소스들이 이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다(예컨대, 무선 디바이스(22)는 그 PHICH 리소스들을 디코딩하는 것을 스킵할 수 있거나, ACK가 그들 상에서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SIB 구성된 UL/DL 구성은 예를 들어 SystemInformationBlock1(SIB1)에서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기준 UL/DL 구성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네트워크 노드(16)로부터 전용 무선 리소스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2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기준 구성은, 예를 들어, 위의 특정 사례에 대한 표 1의 구성 4 또는 구성 5이다. 그 결과의 구성은 표 4에서 다음과 같을 수 있으며, 이는 표 1로부터의 구성 4에 대응하는 기준 구성을 이용한다:
<표 4>
Figure pct00011
이 예의 경우, 기준 구성으로 구성된 후 LTE에 의해 이용되는 UL 서브프레임은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번호들 2 및 3이 모든 UL/DL 구성들(LTE, LTE 기준 구성 및 NR)에 대한 UL 서브프레임들이기 때문에) 이 예에서 서브프레임 2 및 3이다. NR은 서브프레임/슬롯 번호들 7 및 8이 이러한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슬롯 번호들에서의 구성들에 대해 상이한 방향들(UL 및 DL)을 갖기 때문에 UL 전송들에 서브프레임/슬롯 번호 7 및 8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서브프레임 번호들로 조직화된 구성들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실시예들은 슬롯 번호들로 조직화된 구성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 따라서 용어 "서브프레임/슬롯 번호"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표 5는 기준 구성이 표 1로부터의 구성 5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예시한다.
<표 5>
Figure pct00012
이 예의 경우, LTE에 의해 이용되는 UL 서브프레임은 서브프레임 2일 수 있다. NR은 UL 전송들에 대해 슬롯 번호 3, 7 및 8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예컨대, 네트워크 노드(16))는,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기준 구성들과 같은, 이용가능한 기준 구성들 중에서 직접 주어진 기준 구성으로(예컨대, RRC 시그널링 또는 다른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22)를 구성할 수 있다. 후술하는 예에서, 기준 구성은 UL 및 DL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UL에 대해, 동일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즉 기준 구성은 네트워크 노드(16) 또는 무선 노드(예컨대, eNB)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22)에 직접 구성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무선 디바이스(22)가 다운링크에서 PDSCH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업링크에서 HARQ-ACK를 전송할 타이밍이 도출되는 것에 기반하여 DL-기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2)가 다운링크에서 PDDCH UL 승인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업링크에서 PUSCH를 전송할 타이밍이 도출되는 것에 기반하여 UL-기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적용가능한 UL 서브프레임들은 DL 기준 타이밍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위의 시나리오(들)의 경우, LTE 측의 특수 서브프레임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UL에서 NR 측에 의해, 또는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LTE 측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적용가능한 기준 구성은 알려진 방법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고, 예컨대 DL에서의 구성 1의 경우, DL에서의 적용가능한 구성은 2, 4 및 5이다. UL의 경우, 적용가능한 구성들은 UL 구성들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메커니즘을 따르는 {6 및 0}이다.
제2 실시예에서, 동일한 및/또는 유사한 메커니즘들 및 프로세스들이 캐리어 집성(CA) 동작에 적용될 수 있다.
LTE 측에서의 CA 동작의 경우, 이하의 메커니즘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FDD 캐리어들만의 경우, 모든 LTE 캐리어들에 동시에 적용되는 단일 UL/DL 기준 구성이 구성될 수 있다. 기준 구성은 LTE 이용 및 DL HARQ 타이밍들에 대한 적용가능한 UL 서브프레임들을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것은 PCell 또는 PScell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캐리어가 LTE 측에서 TDD 캐리어들인 실시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2)는 LTE 전송을 위해 적용가능한 UL 서브프레임들을 도출하는데 이용되는 DL에서의 단일 UL/DL 기준 구성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IB1 시그널링(즉, 구성된 기준 구성이 아님)으로부터 TDD 캐리어들 상에서 이용되는 UL/DL 구성들이 그러한 경우, 복수의 캐리어들 중의 적용가능하고 구성가능한 기준 구성들이 알려진 기술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 A1.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해 구성되고/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하거나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이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2 UL-DL 구성은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로서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 UL-DL 구성이다.
예 A2. 예 A1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 A3. 예 A1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 A4. 예 A1 내지 예 A3 중 어느 한 예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처리 회로는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UL-DL 구성의 테이블로부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 A5. 예 A1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 B1. 네트워크 노드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무선 디바이스에,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UL-DL 구성은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로서 무선 디바이스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기준 UL-DL 구성이다.
예 B2. 예 B1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 B3. 예 B1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로서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 B4. 예 B1 내지 예 B3 중 어느 한 예의 방법으로서,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기반하여 복수의 UL-DL 구성의 테이블로부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B5. 예 B1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통신은 무선 디바이스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 C1.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디바이스로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해 구성되고/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하거나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이 처리 회로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수신하고 - 제2 UL-DL 구성은 기준 UL-DL 구성임 -;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적어도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C2. 예 C1의 무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처리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C3. 예 C1의 무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C4. 예 C1 내지 예 C3 중 어느 한 예의 무선 디바이스로서, 처리 회로는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예 C5. 예 C1의 무선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처리 회로는 무선 디바이스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D1.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 - 제2 UL-DL 구성은 기준 UL-DL 구성임 -; 및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적어도 제1 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UL 리소스 및 DL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D2. 예 D1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결정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D3. 예 D1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이고,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가 이중 접속(DC) 모드에 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가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시분할 듀플렉스(TDD) 프레임에서의 UL 시간 리소스 및 DL 시간 리소스 중 하나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 D4. 예 D1 내지 예 D3 중 어느 한 예의 방법으로서, 제1 UL-DL 구성 및 제2 UL-DL 구성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시간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UL-DL 구성을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 D5. 예 D1의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이고,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디바이스가 캐리어 집성(CA) 모드에 있을 때 비중첩 통신들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리소스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방법, 데이터 처리 시스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또는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개념들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회로" 또는 "모듈"로 지칭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양태들 모두를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프로세스, 단계, 동작 및/또는 기능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는 대응하는 모듈에 의해 수행되고/되거나 이와 연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유형의 컴퓨터 이용가능한 저장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들, CD-ROM들, 전자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방법들, 시스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각각의 블록, 및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범용 컴퓨터(이에 의해 특수 목적 컴퓨터를 생성함),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기계를 생성하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고,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의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 또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특정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고, 컴퓨터 판독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된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동작을 구현하는 명령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 상에 로딩되어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수행되게 하여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한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이러한 명령어들은 흐름도 및/또는 블록도의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지정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한다.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동작 예시들에서 언급된 순서를 벗어나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으로 도시된 2개의 블록은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블록들은 관련된 기능들/동작들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일부 도면들이 통신의 주요 방향을 보여주기 위해 통신 경로들 상에서 화살표들을 포함할지라도,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들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개념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Java® 또는 C++과 같은 객체 지향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C"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은 종래의 절차형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작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체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부분적으로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사용자의 컴퓨터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컴퓨터 상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후자의 시나리오에서, 원격 컴퓨터는 근거리 네트워크(LAN) 또는 광역 네트워크(WAN)를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접속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접속은 (예를 들어,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를 이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외부 컴퓨터에 행해질 수 있다.
위의 설명 및 도면들과 관련하여, 많은 상이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이들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과 하위 조합을 문자 그대로 설명하고 예시하는 것은 지나치게 반복적이고 혼란스럽게 만들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모든 실시예들은 임의의 방식 및/또는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도면들을 포함하여 본 명세서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의 모든 조합들 및 하위조합들과, 이들을 제작하고 이용하는 방식 및 프로세스의 완전히 작성된 설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임의의 이러한 조합 또는 하위조합에 대한 청구항들을 뒷받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위의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위에서 반대로 언급하지 않는 한, 첨부 도면들 모두가 축척에 맞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위의 교시내용들에 비추어 다양한 수정들 및 변형들이 가능하다.

Claims (36)

  1. 네트워크 노드(16)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디바이스(22)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2)는 처리 회로(84)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의 이중 접속 모드에 대해,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고;
    상기 제1 UL-DL 구성을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고, 상기 제1 UL-DL 구성에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기준 UL-DL 구성과 상기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임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상기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상기 제1 UL-DL 구성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상기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중 어느 것도 UL 방향들이 아닌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D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고,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 아닌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84)는, 상기 기준 UL-DL 구성과 상기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결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22).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22).
  10.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의 이중 접속 모드에 대해,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S136);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1 UL-DL 구성을 상기 기준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S138);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과 상기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이용될 것임을 결정하는 단계(S140)
    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상기 제1 UL-DL 구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상기 제1 UL-DL 구성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상기 제1 UL-DL 구성과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양쪽 모두 업링크(UL) 방향들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 중 어느 것도 UL 방향들이 아닌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다운링크(D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고,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UL 방향이 아닌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7.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준 UL-DL 구성과 상기 제1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무선 디바이스(22)에서의 방법.
  19. 무선 디바이스(22)가 이중 접속 모드에 있을 때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16)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16)는 처리 회로(68)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68)는,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22)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6).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68)는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상기 제1 UL-DL 구성을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6).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상기 제1 UL-DL 구성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68)는,
    상기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고;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고 -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상기 제1 UL-DL 구성과 상기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N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통신 리소스에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함 -;
    상기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6).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68)는,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6).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68)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L) 리소스인 경우,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경우,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네트워크 노드(16).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추가로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16).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노드(16).
  28.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으로서,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과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도록 스케줄링하는 무선 디바이스(22)를 결정하는 단계(S134)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 블록 유형 1(SIB1) 메시지에서 상기 제1 UL-DL 구성의 표시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롱 텀 에볼루션(LTE) 기준 구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는 상기 제1 UL-DL 구성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슬롯 또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업링크-다운링크(UL-DL) 구성의 표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는 단계(S133a);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S133b) -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가 상기 제1 UL-DL 구성과 상기 기준 UL-DL 구성의 비교에 기반하여, 상기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NR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어느 것을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링된 통신 리소스에 이용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함 -; 및
    상기 기준 UL-DL 구성의 표시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에 통신하는 단계(S135)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S133b)는,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이 상기 기준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을 선택하는 단계(S133b)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롱 텀 에볼루션(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업링크(UL) 리소스인 경우,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가 새로운 무선(NR)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UL 리소스인 경우, 상기 제1 UL-DL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상기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리소스의 통신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기준 UL-DL 구성을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22)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타이밍을 추가로 구성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36. 제28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UL-DL 구성은 복수의 시분할 듀플렉스(TDD) 구성 패턴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노드(16)에서의 방법.
KR1020207032112A 2018-04-06 2019-04-04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 KR102506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53955P 2018-04-06 2018-04-06
US62/653,955 2018-04-06
PCT/EP2019/058556 WO2019193116A1 (en) 2018-04-06 2019-04-04 Communication resource configurations for dual connectiv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360A true KR20200140360A (ko) 2020-12-15
KR102506530B1 KR102506530B1 (ko) 2023-03-06

Family

ID=6610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112A KR102506530B1 (ko) 2018-04-06 2019-04-04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711861B2 (ko)
EP (1) EP3777458A1 (ko)
JP (1) JP7089052B2 (ko)
KR (1) KR102506530B1 (ko)
CN (1) CN112219444B (ko)
RU (1) RU2754579C1 (ko)
WO (1) WO2019193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186A1 (ja) * 2018-04-17 2019-10-2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
KR20200111553A (ko) *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 접속을 위한 단말의 상향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US11350444B2 (en) * 2019-08-12 2022-05-31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roundtrip times for dual connectiv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88A1 (en) * 2014-01-17 2015-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ations of dual connectivity operation to ue capability
JP2016530749A (ja) * 2013-06-28 2016-09-29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時分割複信(tdd)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ul−dl)再構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0680B1 (en) 2012-08-02 2023-0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ode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face between base stations
RU2605440C2 (ru) * 2012-10-12 2016-12-20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Узел связи
CN105191189B (zh) * 2013-03-07 2018-01-23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改变动态资源的使用时消除干扰的方法及其设备
CN104105220B (zh) 2013-04-03 2018-03-02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支持双连接的方法和装置
WO2015045234A1 (ja) * 2013-09-26 2015-04-0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通信方法
US9854576B2 (en) * 2013-12-27 2017-12-26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21618A1 (en) 2014-07-18 2016-01-2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 transmission power control
GB2528913B (en) * 2014-08-04 2017-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gnalling in dual connectivity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WO2016114593A1 (ko) * 2015-01-13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기지국
EP3930420A1 (en) 2016-07-18 2021-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network interconnectivity
CN107666727B (zh) * 2016-07-25 2023-04-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能力协商的方法及装置、系统
WO2018031746A1 (en) * 2016-08-12 2018-02-15 Intel IP Corporation Long term evolution (lte) and new radio coexistence with reserved resource scheduling
WO2018035540A1 (en) * 2016-08-19 2018-02-22 Seth Campbell Vehicle occupant detection system
US11595948B2 (en) * 2016-09-23 2023-02-28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patterns for scheduling services in a wireless network
KR20180049750A (ko) * 2016-11-03 2018-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30749A (ja) * 2013-06-28 2016-09-29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時分割複信(tdd)アップリンク−ダウンリンク(ul−dl)再構成
WO2015108388A1 (en) * 2014-01-17 2015-07-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ations of dual connectivity operation to ue capability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4778* *
3GPP R2-13336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9764A1 (en) 2021-01-28
RU2754579C1 (ru) 2021-09-03
KR102506530B1 (ko) 2023-03-06
JP2021520738A (ja) 2021-08-19
WO2019193116A1 (en) 2019-10-10
US11711861B2 (en) 2023-07-25
EP3777458A1 (en) 2021-02-17
CN112219444B (zh) 2024-04-26
CN112219444A (zh) 2021-01-12
JP7089052B2 (ja) 2022-06-21
WO2019193116A9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63235B (zh)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及系统
WO201913850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853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97643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4928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1130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90174462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WO2019069471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2615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050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20035947A1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7431158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WO2019138524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3883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066299B (zh) 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系统
CN112005575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910259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855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42272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A3118252A1 (e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EP3738379A1 (en) Configured grants in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KR102506530B1 (ko) 이중 접속을 위한 통신 리소스 구성들
RU2747131C1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терминал,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способ радиосвязи
WO2020031324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9283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