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121A -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121A
KR20200139121A KR1020200167900A KR20200167900A KR20200139121A KR 20200139121 A KR20200139121 A KR 20200139121A KR 1020200167900 A KR1020200167900 A KR 1020200167900A KR 20200167900 A KR20200167900 A KR 20200167900A KR 20200139121 A KR20200139121 A KR 20200139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shaft member
hinge shaft
cam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452B1 (ko
Inventor
정영호
Original Assignee
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3582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1918B1/ko
Application filed by 정영호 filed Critical 정영호
Priority to KR1020200167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4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3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각형부와, 상기 각형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문틀 측벽에 인접한 고정단 문짝의 일측변을 따라 형성된 힌지케이싱에 삽입되는 힌지축 부재; 상기 문틀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힌지축 부재를 상기 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문틀 연결부재; 상기 힌지축 부재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케이싱에 인접한 상기 고정단 문짝의 측변 모서리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판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 문짝을 상기 힌지축 부재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문짝 연결부재; 상기 문틀 연결부재의 장방형 힌지공에 삽입되고, 상기 힌지축 부재 상단의 각형부 둘레에 끼워져서, 상기 힌지축 부재가 상기 문틀 연결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매개블럭; 상기 힌지축 부재의 둘레에 하단이 걸리도록 끼워지는 반동스프링; 상기 문짝 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중앙에 개구된 힌지공이 상기 힌지축 부재 상단의 각형부에 정합되어 상기 힌지축 부재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캠링; 상기 반동스프링과 상기 고정 캠링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축 부재의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에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케이싱 내주면에 형성한 스플라인 홈에 끼워지도록 스플라인 돌기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 문짝이 회전될 때, 상기 힌지케이싱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캠링과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반동스프링을 압축하거나 해제시키는 연동 캠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Hinge Structure For A Folding Type Door}
본 발명은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을 수 있게 연결된 문짝과 문짝으로 이루어진 접이식 문에 있어서, 문틀에 결합되는 고정단 문짝을 신속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피벗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이식 문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 문이란 복수의 문짝을 힌지 등을 이용해 접을 수 있도록 나란히 연결한 문을 이르는 것으로, 그 대표적인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등록특허 제10-1219095호)를 들 수 있다.
이 폴딩도어(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본적으로 출입구를 이루는 문틀(103)과,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문틀(103) 내에 설치되는 복수의 문짝(105)으로 이루어지는 바, 각각의 문짝(105)들 끼리는 연결힌지(107)에 의해서 접을 수 있게 연결되며, 최외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문짝(105)은 도시된 것처럼 고정힌지(109)에 의해 문틀(103) 측방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문짝(105)은 문짝틀(111)에 유리를 끼운 형태로 제작되며, 유리의 상측 또는 하측에 갤러리 창(113)이 설치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폴딩도어(101)는 문짝(105)을 문틀(103)에 연결하는 고정힌지(109)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인 미관이 고정힌지(109)로 인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폴딩도어(101)는 고정힌지(109)가 문짝(105)을 문틀(103)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 뿐이어서, 사용자가 문짝(105)을 잡고 정역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으면 개폐를 할 수 없으므로, 출입구 개폐에 따른 사용 편리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21909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접이식 문의 고정단 문짝을 문틀에 연결하는 힌지축 부재에 원터치 귀환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완전 개방된 상태의 고정단 문짝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신속하게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호 맞물림되는 한 쌍의 캠링에 의해 고정단 문짝의 원터치 폐쇄를 구현함으로써 접이식 문의 사용 편리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힌지축 부재가 고정단 문짝의 힌지케이싱 내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힌지축 부재가 문짝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접이식 문의 외관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단에 형성되는 각형부와, 상기 각형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고, 문틀 측벽에 인접한 고정단 문짝의 일측변을 따라 형성된 힌지케이싱에 삽입되는 힌지축 부재; 상기 문틀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힌지축 부재를 상기 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문틀 연결부재; 상기 힌지축 부재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케이싱에 인접한 상기 고정단 문짝의 측변 모서리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판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 문짝을 상기 힌지축 부재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문짝 연결부재; 상기 문틀 연결부재의 장방형 힌지공에 삽입되고, 상기 힌지축 부재 상단의 각형부 둘레에 끼워져서, 상기 힌지축 부재가 상기 문틀 연결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매개블럭; 상기 힌지축 부재의 둘레에 하단이 걸리도록 끼워지는 반동스프링; 상기 문짝 연결부재의 하부에서 중앙에 개구된 힌지공이 상기 힌지축 부재 상단의 각형부에 정합되어 상기 힌지축 부재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캠링; 상기 반동스프링과 상기 고정 캠링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축 부재의 상기 원통형 몸체의 둘레에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케이싱 내주면에 형성한 스플라인 홈에 끼워지도록 스플라인 돌기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 문짝이 회전될 때, 상기 힌지케이싱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캠링과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반동스프링을 압축하거나 해제시키는 연동 캠링;을 포함하는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에 따르면, 문틀과 고정단 문짝을 피벗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축 부재가 고정단 문짝의 힌지케이싱 내에 삽입되므로, 힌지축 부재가 문짝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접이식 문의 외관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터치 귀환부재의 연동 캠링과 고정 캠링의 상대 이동을 통해 완전 개방된 상태의 고정단 문짝을 반동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쉽고, 빠르게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접이식 문의 사용 편리성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동 캠링과 고정 캠링의 경사면 접촉으로 인해 고정단 문짝을 개방하는 도중에 외력을 제거하는 것으로 연동 캠링이 쉽게 고정 캠링과의 맞물림 상태로 복귀하므로, 접이식 문을 개방하는 도중에도 고정단 문짝을 폐쇄 위치로 쉽게 귀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접이식 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가 적용된 접이식 문을 우측단 문틀을 제거한 폐쇄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접이식 문을 좌측단 문틀이 분리된 완전 개방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문 힌지구조는 접이식 문(10)의 두 문짝 즉, 고정단 문짝(20)과 자유단 문짝(50) 중 고정단 문짝(20)을 문틀(40)의 일측단에 피벗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힌지구조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힌지축 부재(3), 문틀 연결부재(5), 문짝 연결부재(7), 원터치 귀환부재(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힌지축 부재(3)는 본 발명 힌지구조(1)의 중심이 되는 축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단 문짝(20)의 피벗 회동 중심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때, 특히 고정단 문짝(20)이 중공의 금속재 프레임으로 제작된 금속 문짝인 경우에, 힌지축 부재(3)는 도시된 것처럼, 문틀(40) 측벽에 인접한 고정단 문짝(20)의 일측변을 따라 형성된 힌지케이싱(11)에 삽입된다. 따라서, 힌지케이싱(11) 내에 힌지축 부재(3)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아래 설명하는 문짝 연결부재(7)와 같은 연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힌지축 부재(3)는 문틀(40)에도 결합되어야 고정단 문짝(20)을 문틀(40)에 피벗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도 아래 설명하는 문틀 연결부재(5)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같이, 힌지축 부재(3)는 힌지축 역할을 하도록 봉 형태로 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그 하부에 원터치 귀환부재(9)가 끼워지고, 이 원터치 귀환부재(9) 바로 위에 문짝 연결부재(7)가 결합되며, 그 위에 문틀 연결부재(5)가 결합된다. 이를 위해, 힌지축 부재(3)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형 몸체(31)의 하단에 나사부(33)가 가공되며, 상단에 각형부(35)가 형성된다. 그리고 마감볼트(39)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공(37)이 상단면 중앙에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축 부재(3)는 고정단 문짝(20)이 문틀(40)의 일측 변을 따라 피벗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힌지축 부재(3)는 문틀 연결부재(5) 및 문짝 연결부재(7)와의 연결을 매개하기 위해 매개블럭(41)과 매개링(43)을 더 포함하는 바, 상기 매개블럭(41)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 부재(3) 상단의 각형부(35) 둘레에 끼워진다. 따라서, 매개블럭(41)은 문틀 연결부재(5)의 장방형 힌지공(51)에 삽입되는 바, 중앙에 각형부(35)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관통공(42)이 형성되어 이 관통공(42)을 통해 각형부(35) 상단에 끼워짐으로써, 힌지축 부재(3)가 문틀 연결부재(5)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저지한다. 또한, 상기 매개링(43)은 각형부(35) 둘레에 끼워지는 링체로서, 각형부(35) 외형과 대응하는 형태의 힌지공(45)이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매개링(43)은 문짝 연결부재(7)의 원형 힌지공(75)에 삽입되며, 외주면이 힌지공(75)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여, 문짝 연결부재(7)가 힌지축 부재(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문틀 연결부재(5)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힌지축 부재(3)를 문틀(4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로서, 도 2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판형의 몸체가 문틀(40)의 일측 변에서 안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몸체의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힌지공(51)이 관통되어, 힌지축 부재(3) 상단의 마감볼트(39)가 매개블럭(41)과 함께 문틀 연결부재(5) 위로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문틀 연결부재(5)는 네 모서리 부분에 나사공(53)이 형성되어, 이 나사공(53)에 결합되는 체결나사를 통해 문틀(40)의 측변 상단과 상변 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문틀 연결부재(5)는 힌지공(51)에 힌지축 부재(3) 상단의 매개블럭(41)을 끼움으로써 힌지축 부재(3)를 상대 회전 불가하게 지지한다.
상기 문짝 연결부재(7)는 힌지축 부재(3)를 고정단 문짝(20)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로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과 사각판을 결합한 형태의 판체로 되어 있다. 그 중 링부(71)는 문짝 연결부재(7)를 힌지축 부재(3)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원터치 귀환부재(9)의 고정 캠링(17)과 매개블럭(41) 사이에서 힌지축 부재(3) 즉, 각형부(35) 둘레에 끼워지는데, 각형부(35)에 끼워지는 링부(71)의 힌지공(75) 내주면과 매개블럭(41)의 외주면은 서로 미끄럼 접촉한다. 따라서, 문짝 연결부재(7)는 매개블럭(41)에 대해 즉, 고정단 문짝(20)은 힌지축 부재(3)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링부(71)는 힌지케이싱(11) 상단의 개구 부분을 마감하는 역할도 겸한다. 또한, 판부(73)는 문짝 연결부재(7)를 고정단 문짝(20)에 연결하는 부분으로, 힌지케이싱(11)에 인접한 고정단 문짝(20)의 측변 모서리 상단에 나사 결합된다. 다시 말해, 문짝 연결부재(7)는 힌지축 부재(3)의 상단 부분을 둘러쌈으로써 고정단 문짝(20)이 힌지축 부재(3)를 중심으로 피벗 회동하도록 하지만, 링부(71)가 매개링(43)과 미끄럼 접촉하므로, 고정단 문짝(20)이 힌지축 부재(3)의 둘레로 겉돌게 한다.
상기 원터치 귀환부재(9)는 접이식 문(10)을 완전 개방 또는 완전 폐쇄위치에 유지시키되, 완전 개방위치에서 접이식 문(10)이 원터치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 부재(3) 둘레에 장착되는 바, 접이식 문(10)을 개방하는 외력이 개방 도중 제거되면 즉각적으로 접이식 문(10)을 완전 폐쇄위치에 복귀시킨다.
이를 위해, 원터치 귀환부재(9)는 도시된 것처럼, 크게 반동스프링(13), 연동 캠링(15), 및 고정 캠링(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반동스프링(13)은 캠링(15,17)에 탄성 반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 부재(3)의 하단에 끼워지는 바, 힌지축 부재(3) 하단의 나사부(33)에 결합되는 걸림볼트(19)에 의해 하단 부분이 걸려 고정되며, 따라서 연동 캠링(15)이 하강할 때 압축되어 연동 캠링(15)을 상향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동 캠링(15)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반동스프링(13) 위에서 힌지축 부재(3)의 둘레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캠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 캠링(17)과 반동스프링(13) 사이에서 힌지축 부재(3) 둘레에 끼워져 상하 이동 가능함으로써, 반동스프링(13)을 압축 또는 해제한다. 특히, 연동 캠링(15)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단 문짝(20)의 피벗 회동 중심에 축이음 되도록 힌지케이싱(11)에 삽입되는 바, 외주면에 스플라인 돌기(23)가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힌지케이싱(11) 내주면의 스플라인 홈(25)에 끼워진다. 따라서, 연동 캠링(15)은 고정단 문짝(20) 즉, 힌지케이싱(11)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며, 회전 중 고정 캠링(17)과의 접촉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고정 캠링(17)도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연동 캠링(15)과 문짝 연결부재(7) 사이에서 힌지축 부재(3)의 둘레에 끼워지는 링 형태의 캠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 폐쇄 상태에서 연동 캠링(15) 위에 맞물림되되, 중앙에 개구된 힌지공(21)이 각형부(35)에 정합됨으로써, 힌지축 부재(3)와 축이음된다. 따라서, 고정 캠링(17)은 힌지축 부재(3)에 대해 상대 회전이 불가하게 되어, 연동 캠링(15)이 고정단 문짝(20)과 함께 회전할 때, 현재의 고정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연동 캠링(15)으로 하여금 상대 회전을 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반동스프링(13)을 압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호 연동하도록 맞물림되는 연동 캠링(15)과 고정 캠링(17)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 파형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바, 아래쪽에 위치하는 연동 캠링(15)은 상단면에 파형 경사면이 형성되며, 반대로 위쪽에 위치하는 고정 캠링(17)은 하단면에 파형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때, 연동 캠링(15)의 경사면은 산(27)과 골(28)이, 고정 캠링(17)의 경사면은 산(29)과 골(30)이 90도 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된다. 아울러, 연동 캠링(15)의 산(27)의 상단에는 산마루(271)가, 골(28)의 하단에는 골바닥(282)이 각각 형성되며, 고정 캠링(17)도 마찬가지로 산(29)의 하단에 산마루(291)가, 골(30)의 상단에는 골바닥(30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산마루(271,291)와 골바닥(282,302)은 평탄하게 되어 있으므로, 도 2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고정단 문짝(20)이 완전 폐쇄위치에 있을 때, 연동 캠링(15)의 산마루(271)는 고정 캠링(17)의 골바닥(34)에, 고정 캠링(17)의 산마루(33)는 연동 캠링(15)의 골바닥(32)에 각각 접촉된다. 반대로, 도 3에 상세 도시된 것처럼, 고정단 문짝(20)이 완전 개방위치에 있을 때, 연동 캠링(15)의 산마루(31)는 고정 캠링(17)의 산마루(33)에 접촉된다. 따라서, 고정단 문짝(20)의 완전 개방 위치에서 산마루(31)와 산마루(33)가 접촉하여 위치를 유지하는 구간을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연동 캠링(15)과 고정 캠링(17)은 산(27,29)과 골(28,30)이 경사 접촉하므로, 반동스프링(13)의 반력에 의해 항상 도 2에 도시된 정합위치로 귀환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1)가 적용된 접이식 문(10)은 폐쇄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40) 내에서 고정단 및 자유단 제2 문짝(20,50)이 일자로 곧게 펴져 출입구를 막는다. 이때, 본 발명의 힌지구조(1)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문틀 연결부재(5)는 물론, 문짝 연결부재(7)도 고정단 문짝(20)을 따라 배치되며, 연동 캠링(15)과 고정 캠링(17)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정단 문짝(20)을 직접 또는 자유단 문짝(50)을 통해 간접적으로 밀거나 당기면, 접이식 문(10)은 고정단 문짝(20)이 연결부(60)를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접히면서 최종적으로 도 3과 같이 출입구를 완전 개방한다. 이때, 연동 캠링(15)은 스플라인 돌기(23)가 힌지케이싱(11)의 스플라인 홈(25)에 물려 고정단 문짝(20)과 함께 회전하며, 문짝 연결부재(7)도 고정단 문짝(20)과 함께 회전한다. 그러나, 힌지축 부재(3)의 각형부(35)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고정 캠링(17)은 힌지축 부재(3)의 각형부(35)가 매개블럭(41)의 관통공(42)에 끼워맞춤되고, 또 매개블럭(41)이 문틀 연결부재(5)의 장방형 힌지공(51)에 끼워짐으로써, 문틀(40)에 고정되어, 연동 캠링(15)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고정 위치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연동 캠링(15)을 상대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연동 캠링(15)이 고정 캠링(17)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동안, 고정 캠링(17)은 회전하지 않을 뿐 아니라, 문짝 연결부재(7)에 걸려 상승하지도 못하므로, 연동 캠링(15)은 회전하면서 고정 캠링(17)의 경사면에 의해 하향 가압되어 반동스프링(13)을 압축하며,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단 문짝(20)이 완전 개방된 위치에서 하사점에 이르러, 산마루(271)가 고정 캠링(17)의 산마루(291)와 접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연동 캠링(15)은 산마루(271)가 고정 캠링(17)의 산마루(291)와 접촉하기 전까지는 고정 캠링(17)과 경사면 접촉을 하므로, 접이식 문(10)을 열고자 하는 사용자의 외력이 사라진 순간 반동스프링(13)의 반력에 의해 원래의 문 폐쇄 위치로 귀환하며, 따라서 고정단 문짝(20)도 문 폐쇄 위치로 귀환한다. 이때, 문 개방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 캠링(15)을 하사점에 유지시키는 산마루(271)와 산마루(291)의 접촉 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연동 캠링(15)은 외력에 의한 약간의 회전으로도, 반동스프링(13)의 복원력에 의해 곧바로 경사면을 타고 도 2에 도시된 문 폐쇄 위치로 귀환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완전 개방 상태의 접이식 문(10)을 신속하게 완전 폐쇄할 수 있게 된다.
1 : 힌지구조 3 : 힌지축 부재
5 : 문틀 연결부재 7 : 문짝 연결부재
9 : 원터치 귀환부재 10 : 접이식 문
11 : 힌지케이싱 13 : 반동스프링
15 : 연동 캠링 17 : 고정 캠링
20 : 고정단 문짝 40 : 문틀
50 : 자유단 문짝

Claims (1)

  1. 상단에 형성되는 각형부(35)와, 상기 각형부(35)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통형 몸체(31)와, 상기 원통형 몸체(31)의 하단에 형성되는 나사부(33)로 이루어지고, 문틀(40) 측벽에 인접한 고정단 문짝(20)의 일측변을 따라 형성된 힌지케이싱(11)에 삽입되는 힌지축 부재(3);
    상기 문틀(40)의 내측 모서리 부분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힌지축 부재(3)를 상기 문틀(40)에 고정하기 위한 문틀 연결부재(5);
    상기 힌지축 부재(3)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71)와, 상기 링부(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케이싱(11)에 인접한 상기 고정단 문짝(20)의 측변 모서리 상단에 고정 결합되는 판부(73)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단 문짝(20)을 상기 힌지축 부재(3)에 상대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문짝 연결부재(7);
    상기 문틀 연결부재(5)의 장방형 힌지공(51)에 삽입되고, 상기 힌지축 부재(3) 상단의 각형부(35) 둘레에 끼워져서, 상기 힌지축 부재(3)가 상기 문틀 연결부재(5)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매개블럭(41);
    상기 힌지축 부재(3)의 둘레에 하단이 걸리도록 끼워지는 반동스프링(13);
    상기 문짝 연결부재(7)의 하부에서 중앙에 개구된 힌지공(21)이 상기 힌지축 부재(3) 상단의 각형부(35)에 정합되어 상기 힌지축 부재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캠링(17); 및
    상기 반동스프링(13)과 상기 고정 캠링(17)의 사이에서 상기 힌지축 부재(3)의 상기 원통형 몸체(31)의 둘레에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케이싱(11) 내주면에 형성한 스플라인 홈(25)에 끼워지도록 스플라인 돌기(23)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 문짝(20)이 회전될 때, 상기 힌지케이싱(11)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 캠링(17)과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반동스프링(13)을 압축하거나 해제시키는 연동 캠링(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KR1020200167900A 2020-03-24 2020-12-03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KR102326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00A KR102326452B1 (ko) 2020-03-24 2020-12-03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822A KR102211918B1 (ko) 2020-03-24 2020-03-24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KR1020200167900A KR102326452B1 (ko) 2020-03-24 2020-12-03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822A Division KR102211918B1 (ko) 2020-03-24 2020-03-24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121A true KR20200139121A (ko) 2020-12-11
KR102326452B1 KR102326452B1 (ko) 2021-11-15

Family

ID=73786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00A KR102326452B1 (ko) 2020-03-24 2020-12-03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71A (ja) * 2009-08-26 2011-03-10 Sugimoto Soken:Kk ヒンジ機構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KR20130021520A (ko) * 2011-08-23 2013-03-06 동우정밀(주) 내마모성이 개선된 회전 캠이 구비되는 도어용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7171A (ja) * 2009-08-26 2011-03-10 Sugimoto Soken:Kk ヒンジ機構
KR20130021520A (ko) * 2011-08-23 2013-03-06 동우정밀(주) 내마모성이 개선된 회전 캠이 구비되는 도어용 힌지 장치
KR101219095B1 (ko) 2012-09-03 2013-01-11 알에스시스템(주) 개폐각도 조절이 가능한 갤러리 창을 갖는 폴딩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452B1 (ko)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242B2 (en) Window curtain pulling device
US8336930B2 (en) Window sash latch
KR101086277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자동잠금장치
KR102211918B1 (ko)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CN101688411B (zh) 门锁装置
KR20200139121A (ko)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US4495672A (en) Hinge latch
US20080106104A1 (en) Fire-Blocking Door Lock Structure
TWI663316B (zh) 基於單次控制之鎖栓長距傳動之鎖閘結構
KR20160140280A (ko) 접이식 문의 힌지구조
US11661772B2 (en) Window fastener
JP2020535337A5 (ko)
AU2016324689B2 (en) A window fastener
KR102257352B1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0493784Y1 (ko) 폴딩도어 핸들장치용 기어박스
KR200416599Y1 (ko) 윗 열기와 여닫이 겸용 시스템창호의 안전장치
KR101653811B1 (ko) 도어 닫힘 유지장치를 갖춘 사물함용 경첩
KR102602330B1 (ko) 접이식 도어
KR102522760B1 (ko) 접이식 도어
TWM511535U (zh) 雙重聯動鎖
US4688350A (en) Collapsible revolving door
JP3001891U (ja) 折戸用蝶番
KR20200134195A (ko) 접이식 문 연결구조
KR200190915Y1 (ko) 양측 오픈 도어
KR102199167B1 (ko) 일자형 크리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